KR19990019605U -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605U
KR19990019605U KR2019970032974U KR19970032974U KR19990019605U KR 19990019605 U KR19990019605 U KR 19990019605U KR 2019970032974 U KR2019970032974 U KR 2019970032974U KR 19970032974 U KR19970032974 U KR 19970032974U KR 19990019605 U KR19990019605 U KR 199900196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vehicle
driving
remote control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97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윤모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329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605U/en
Publication of KR199900196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605U/en

Links

Landscapes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정기의 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 원격 조정상태를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서 확인 가능한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원격조정기에서 발신된 명령을 수행후 차체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램프를 발광시키도록 하는 원격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격조정기에 설치되는 차량에 소망의 조작상태를 명령하기 위한 입력패널과, 상기 입력패널의 명령에 의하여 소망의 구동동작을 수행토록하고, 상기 구동완료시에 이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원격조정기에 구동감지상태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조정기 조작자가 원격조정기의 입력된 명령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 that can be confirm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vehicle to the remote control state made by the adjustment of the remote control, and further performs a command sent from the remote contro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for causing a lamp to emit light so as to be directly visible from a vehicle body, the remote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input panel for instructing a vehicle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to command a desired operation state; To detect and detect when the drive is completed. It includes a 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rive detection status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ler operato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input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r.

Description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본 고안은 차량용 원격제어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 조정기의 조정에 의해서 이루어진 원격 조정상태를 차량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의해서 확인 가능한 원격조정기에 관한 것이며, 나아가 원격조정기에서 발신된 명령을 수행후 차체에서 직접 확인가능하도록 램프를 발광시키도록 하는 원격조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te controlle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te controller capable of confirming a remote control state made by a remote controller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a vehicle, and furthermore, after executing a command sent from the remote controller. It relates to a remote control system for causing the lamp to emit light so that it can be directly seen from the vehicle body.

겨울철 예열을 위하거나, 다량의 차가 주차하고 있을 때, 자신의 차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원격조정기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다.The use of remote controls is common in winter preheating or when a large number of cars are parked to locate their cars.

그러나, 보통의 원격조정기는 단순히 원격조정기에서 차량에 특정 명령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단방향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원격조정기에서 특정명령을 입력하였을 때 이의 수행이 적절히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았다.However, the average remote controller is simply configured to enable one-way communication, which simply instructs the vehicle to execute a specific command. Therefore, when a specific command is input from the remote controller, a method of confirming that the execution is properly completed is given. This did not exist.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치유하고자 착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원격조정기를 통하여 송신한 명령에 대해서 차량에서 완료된 후 특정 표시수단이나, 원격조정기에 대해서 확인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상태를 재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remedy the above problems,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rm the vehicle status by enabling the driver to check the specific display means or the remote controller after the command transmi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s completed in the vehicle. It is to make it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원격 조정기의 일시예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mporary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0: 입력패널 20: 확인패널10: input panel 20: confirmation panel

30: 제 1 마이콤 50: 제 1 송신부30: first micom 50: first transmitter

60: 제 1 수신부 80: 제 2 마이콤60: first receiving unit 80: second micom

90: 구동부 100: 점등 구동부90: drive part 100: lighting drive part

120: 제 2 송신부 130: 제 2 수신부120: second transmitter 130: second receiver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을 조작상태를 원격조정하기 위한 원격조정기와 차량내에 상기 원격조정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신장치가 구비된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에 설치되는 차량에 소망의 조작상태를 명령하기 위한 입력패널과, 상기 입력패널의 명령에 의하여 소망의 구동동작을 수행토록하고, 상기 구동완료시에 이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원격조정기에 구동감지상태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원격조정기 조작자가 원격조정기의 입력된 명령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operation state and a receiving device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in the vehicle, the remote controller An input panel for instructing a desired operation state to a vehicle installed in the vehicle; and a desired driving operation by a command of the input panel to perform a desired driving operation; It includes a 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rive detection status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ote controller operato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input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ler.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원격조정기는 차량의 조작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패널과, 상기 입력패널에 각각의 입력 키들에 의해서 지시된 조작상태에 따라서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조정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 1 마이컴과, 상기 제 1 마이컴으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드를 무선 데이터로 송신하는 제 1 송신부와,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무선전송된 구동감지상태신호를 추출,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 1 마이콤에 전송하기 위한 제 2 수신부 및 상기 제 2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구동감지상태신호를 근거로 제 1 마이콤의 명령에 따라 차량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확인 패널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mote controller generates an input panel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a first code for generating a specific co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the respective input keys on the input panel, and controlling the remote controller as a whole. A micom, a first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icom as wireless data, and a driver for extracting and receiving a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receiver,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first micom. And a confirmation panel for displaying the vehicl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the command of the first micom based on the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eceiving unit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제 1 송신부로 송출되는 특정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부와, 상기 제 1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드에 따라 각각의 제어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수신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 2 마이콤와, 상기 제어요소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에서 전송되는 구동감지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마이콤으로부터 전송되는 특정코드를 상기 원격조정기에 무선송출하는 제 2 송신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control command for a first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pecific code transmitted to the first transmitting unit, and a driving unit for driving each control element according to the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ceiving unit. A second micom for controlling the receiving device as a whole, and a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icom according to a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control element to the remote controller. And a second transmitter.

또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종료시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된 구동감지상태신호에 근거로 상기 제 2 마이콤으로부터 전송된 점등신호에 의해서 점등되는 각각의 상태표시램프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receiv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respective status display lamps that are turned on by the ligh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icom based on the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when the driving unit stops driving.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특징들을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시스템의 일실시예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원격 조정기의 입력패널(10)에는 차량의 여러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입력키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키를 눌렀을 때, 차에 준비된 스피커에서 소리가 발신되도록 하기 위한 위치 키, 시동을 걸거나, 끄기 위한 시동 키, 도어를 잠그거나 열기 위한 도어 키, 전조등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조등키, 미등을 온/오프하기 위한 미등 키등이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panel 10 of the remote controller is provided with input keys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vehicle. For example, when a key is press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a position key for the sound coming from the speaker prepared for the vehicle, a start key for starting or turning off the door, a door key for locking or opening the door, and a headlamp Headlight key for turning on / off, taillight key for turning on / off the taillight may be provided.

제 1 마이컴은 원격조정기의 제어대상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게 되고, 입력패널(10)의 입력신호에 의해서 특정의 제어신호를 증폭부(40)에 송출하여 증폭한 후에 제 1 송신부(50)에 공급한다. 제 1 송신부(50)에서는 증폭부(40)에서 공급된 유선 데이터를 무선데이터로 변환한 후에 안테나를 통하여 외부로 송출하게 된다.The first microcomputer controls the control object of the remote controller as a whole, and sends a specific control signal to the amplifying unit 40 by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 panel 10 and amplifies it, and then supplies it to the first transmitting unit 50. do. The first transmitter 50 converts the wired data supplied from the amplifier 40 into wireless data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outside through an antenna.

제 1 수신부(60)는 제 1 송신부(50)에서 송출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노이즈를 필터(70)를 통하여 제거한 후 제 2 마이컴(80)에 보낸다.The first receiver 60 receives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first transmitter 50, removes the noise through the filter 70, and sends the second data to the second microcomputer 80.

제 2 마이컴(80)에서는 차량내의 원격조정기에서 보낸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제어대상과 관련하여 전반적인 제어명령을 공급하고, 제어대상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The second microcomputer 80 supplies an overall control command with respect to a control object controlled by a signal sent from a remote controller in the vehicle, and receives data from the control objects.

또한, 제 2 마이컴(80)은 제 1 수신부(60)에서 공급된 명령에 따라서 구동부(90)가 동작될 수 있도록 구동부(90)에 제어명령을 송출한다. 구동부(90)에서는 제 1 구동요소(D1), 제 2 구동요소(D2) 및 제 3 구동요소(D3)들을 직접구동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90)에서는 상기 구동요소들의 동작완료를 감지하여 동작완료시에는 제 2 마이컴(80)에 각각의 제어대상의 구동완료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제 2 마이컴(80)에서는 구동부(90)로부터 공급된 구동완료신호에 따라서 점등구동부(100)에 점등신호를 공급하게 되고, 점등구동부(100)에서는 상기 점등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램프(L1, L2, L3)를 점등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램프(L1, L2, L3)들은 차량 외부에 설치되어 있어, 원격조정기의 조작자가 직접 입력된 명령에 대하여 수행여부를 램프의 점등상태로 확인해 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icrocomputer 8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driving unit 90 so that the driving unit 90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command supplied from the first receiving unit 60. In the driving unit 90, the first driving element D1, the second driving element D2, and the third driving element D3 are directly driven. In addition, the driving unit 90 senses the completion of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elements and, upon completion of operation, transmits a driving completion signal of each control target to the second microcomputer 80. In addition, the second microcomputer 80 supplies a lighting signal to the lighting driver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comple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90, and the lighting driver 100 supplies the respective lamps L1, L1, according to the lighting signal. L2 and L3) are turned on. At this time, each of the lamps (L1, L2, L3)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vehicle, so that the operator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check whether the execution of the command directly input to the lighting state of the lamp.

또한, 제 2 마이컴(80)으로 부터는 증폭부(110)를 통하여 각각의 구동요소들의 구동완료신호를 제 2 송신부(120)에 공급하고, 제 2 송신부(120)에서는 원격조정기의 제 2 수신부(130)에 제 2 마이컴(80)으로 부터의 신호를 송출한다. 제 2 수신부(130)에서는 제 2 송신부(120)에서 송신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한 후 필터(140)에 의해서 노이즈 제거 및 특정 밴드의 데이터를 제 1 마이컴(130)에 공급한다. 제 1 마이콤(30)에는 확인 패널(20)이 연결되어져 있어 제 1 마이컴(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신호에 의해서 구동한다.In addition, the second microcomputer 80 supplies the driving completion signal of each driving element through the amplifier 110 to the second transmitter 120, the second transmitter 120, the second receiver ( 130, the signal from the second microcomputer 80 is transmitted. After receiving the wireless data transmitted from the second transmitter 120, the second receiver 130 removes noise and supplies data of a specific band to the first microcomputer 130 by the filter 140. The confirmation panel 20 is connected to the first microcomputer 30 and driven by a signal supplied from the first microcomputer 13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패널(10)과 확인패널(20)은 하나의 스위치로 2단 동작을 할 수 있는 2단 스위치로 동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put panel 10 and the confirmation panel 20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body as a two-stage switch capable of performing two-stage operation with one switch.

도 2는 본 고안의 입력패널과 확인패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n input panel and a confirmation panel of the present invention.

원격조정기(200)의 본체의 전면에는 다수의 입력 키(201), (202), (203), (204)가 설치되어 있다. 전조등키(202), 도어록 키(203), 시동키(204)등은 눌렸을 때 동작을 수행하고, 눌리지 않았을 때에 동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잇거나 이와 반대로 설정할 수 있다.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a plurality of input keys 201, 202, 203, and 204 are provided. The headlight key 202, the door lock key 203, the start key 204, and the like can be set to perform an operation when pressed and not to perform the operation when not pressed or vice versa.

또한, 각각의 입력키들(201), (202), (203), (204)은 점등될 수 있도록 하여, 확인 키(201)의 확인 입력에 따라서 각각의 키들은 구동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점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Further, the respective input keys 201, 202, 203, and 204 can be turned on so that the respective keys are turned 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tate of the drive in accordance with the confirmation input of the confirmation key 201. Consists of.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동작을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accord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동작 수행의 일예로 도어록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As an example of performing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door lock.

원격조정기(200)의 조작자는 도어를 잠그기 위해서 원격조정기(200)의 전면의 입력패널(10)부에 설치된 도어록 키(203)를 누르게 된다. 이때 도어록 키(203)가 눌려지게 되면 누러진 상태신호가 제 1 마이컴(30)에 공급되게 되고, 제 1 마이컴(30)에서는 이 상태신호를 특정코드로 변환하여 증폭부(40)를 통하여 제 1 송신부(50)에 공급하게 된다. 제 1 송신부(50)에서는 제 1 마이컴(30)으로부터 공급된 특정코드를 무선 데이터로 변환하여 안테나(205)를 통하여 송출한다. 차량측의 제 1 수신부(60)에서는 송출된 무선 데이터를 수신하여 필터(70)를 통하여 제 2 마이콤(80)에 공급하게 된다. 제 2 마이콤(80)에서는 수신된 특정 코드명령에 따라서 구동명령을 구동부(90)에 송출하게 되고, 구동부(90)에서는 도어를 록 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The operator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presses the door lock key 203 installed in the input panel 10 of the front side of the remote controller 200 to lock the door. At this time, when the door lock key 203 is pressed, the pressed state signal is supplied to the first microcomputer 30, and the first microcomputer 30 converts the state signal into a specific code to convert the state signal into a specific code. 1 is supplied to the transmitter 50. The first transmitter 50 converts the specific code supplied from the first microcomputer 30 into wireless data and transmits the converted code through the antenna 205. The first receiver 60 on the vehicle side receives the transmitted wireless data and supplies the received wireless data to the second microcomputer 80 through the filter 70. The second microcomputer 80 transmits a driving command to the driving unit 90 according to the received specific code command, and the driving unit 90 performs a task for locking the door.

구동부(90)에서는 도어 록 동작을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이의 완료된 상태에서 제 2 마이콤(80)에 동작완료 신호를 공급한다. 이때, 원격조정기(200)로부터 확인키(201)가 눌려져 확인동작이 입력되면 이는 상기에 도어 록 키(203)가 눌려진 상태에서의 명령전달과정을 동일하게 거쳐서 제 2 마이콤(80)에 이르게 되고, 제 2 마이콤(80)에서는 구동부(90)로부터 공급된 구동완료신호를 특정 코드화 하여 제 2 송신부(120)에 공급하게 된다. 제 2 송신부(120)에서는 구동완료신호의 특정 코드를 무선 테이터로 송신하게 되고, 제 2 수신부(130)에서는 이를 수신하여 제 1 마이콤(30)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 1 마이콤(30)에서는 수신된 구동완료신호의 특정 코드에 근거하여 도어록 키(203)에 점등신호를 전송하게 됨에 따라서 도어록 키(203)가 점등하게 된다.The driver 90 continuously performs the door lock operation, and supplies an operation completion signal to the second microcomputer 80 in its completed state. At this time, when the confirmation key 201 is press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and a confirmation operation is input, the confirmation key 201 is reached through the command transfer process in the state where the door lock key 203 is pressed. In the second microcomputer 80, the driving completion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90 is coded and supplied to the second transmitting unit 120. The second transmitter 120 transmits a specific code of the driving completion signal to the wireless data, and the second receiver 130 receives the same and transmits the data to the first microcomputer 30. The first microcomputer 30 transmits a lighting signal to the door lock key 203 based on the specific code of the received drive completion signal, thereby turning on the door lock key 203.

한편, 제 2 마이컴(80)에서는 구동부의 구동완료신호에 따라서 점등 구동부(100)에 도어록 상태 램프에 점등명령신호를 전송하게되고, 이 점등신호에 따라서 도어록 상태 램프는 점등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microcomputer 80 transmits a lighting command signal to the door lock status lamp to the lighting driver 100 according to the driving completion signal of the driver, and the door lock status lamp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lighting signal.

다른 키의 입력과정과 확인과정 또한 상기 도어록 키(203)의 기능과 같으며, 특정 키의 입력이 있을 때, 확인 키(201)의 입력과정 없이 자동적으로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 1 마이콤(200)의 프로그램을 수행시킬 수 있고, 이러한 기능은 본 고안으로부터 당연히 얻어질 수 있는 개량적인 내용이다.The process of inputting and confirming other keys is also the same as that of the door lock key 203, and when there is an input of a specific key, the first microcomputer can automatically perform a confirmation function without inputting the confirmation key 201. It is possible to execute the program of 200, and this function is an improved content that can be naturally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각각의 명령을 수행하기 위하여 원격조정기의 키를 작동 시켰을 때에 원격조정기에 직접적으로 동작수행의 종료 또는 오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고, 차체의 외면에 부착된 램프를 통하여 관찰 할 수 있기 때문에 원격조정기의 조작자는 안심을 하게되고, 조작상태에 대하여 확신을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key of the remote controller is operated to execute each comman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end of the operation performance or the malfunction state directly on the remote controller, and to fix the lamp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vehicle body. Because it can be observed through the remote control, the operator of the remote controller can feel relieved and can feel confident about the operation status.

Claims (5)

차량을 조작상태를 원격조정하기 위한 원격조정기와 차량내에 상기 원격조정기로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수신장치가 구비된 원격제어 시스템에 있어서:A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a remote controller for remotely controlling a vehicle operation state and a receiving device for processing data received by the remote controller in a vehicle: 상기 원격조정기에 설치되는 차량에 소망의 조작상태를 명령하기 위한 입력패널;An input panel for instructing a desired operation state to the vehicle installed in the remote controller; 상기 입력패널의 명령에 의하여 소망의 구동동작을 수행토록하고, 상기 구동완료시에 이를 감지하고. 이를 상기 원격조정기에 구동감지상태신호를 전송하는 수신장치를 포함함으로써,In accordance with the command of the input panel to perform the desired drive operation, and detects the completion of the drive. By including a receiving device for transmitting a drive detection state signal to the remote controller, 원격조정기 조작자가 원격조정기의 입력된 명령의 수행여부를 확인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A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o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input command of the remote 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조정기는:The remote control of claim 1, wherein the remote controller comprises: 차량의 조작상태를 지시하기 위한 입력패널;An input panel for indica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vehicle; 상기 입력패널에 각각의 입력 키들에 의해서 지시된 조작상태에 따라서 특정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조정기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 1 마이컴;A first micom that generates a specific cod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state indicated by respective input keys on the input panel and controls the remote controller as a whole; 상기 제 1 마이컴으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드를 무선 데이터로 송신하는 제 1 송신부;A first transmitter to transmit a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first microcomputer as wireless data;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무선전송된 구동감지상태신호를 추출,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 1 마이콤에 전송하기 위한 제 2 수신부; 및A second receiving unit for extracting and receiving a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receiving device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to the first micom; And 상기 제 2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구동감지상태신호를 근거로 제 1 마이콤의 명령에 따라 차량조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확인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And a confirmation panel for displaying a vehicle operation state according to a command of the first micom based on the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recei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ceiving device 상기 제 1 송신부로 송출되는 특정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제 1 수신부;A first receiver for receiving a specific code sent to the first transmitter; 상기 제 1 수신부로부터 전송된 특정 코드에 따라 각각의 제어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에 제어명령을 전송하며, 수신장치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 2 마이콤;A second micom which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a driver for driving each control element according to a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first receiver and controls the receiver as a whole; 상기 제어요소의 구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구동부에서 전송되는 구동감지상태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마이콤으로부터 전송되는 특정코드를 상기 원격조정기에 무선송출하는 제 2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And a second transmitter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pecific code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icrocomputer to the remote controller according to a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drive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state of the control element. system.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ceiving device 상기 구동부의 구동종료시 상기 구동부로부터 공급된 구동감지상태신호에 근거로 상기 제 2 마이콤으로부터 전송된 점등신호에 의해서 점등되는 각각의 상태표시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And a status display lamp which is turned on by a light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cond micom based on a driving detection state signal supplied from the driving unit when the driving unit stops driving. 제 2 항 내지 제 4 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패널과 상기 확인패널이 일체로 이루어져, 하나의 키가 입력기능, 확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원격제어시스템.The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input panel and the confirmation panel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one key can perform an input function and a confirmation function.
KR2019970032974U 1997-11-20 1997-11-20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KR19990019605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74U KR19990019605U (en) 1997-11-20 1997-11-20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74U KR19990019605U (en) 1997-11-20 1997-11-20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605U true KR19990019605U (en) 1999-06-15

Family

ID=69692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974U KR19990019605U (en) 1997-11-20 1997-11-20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605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2107B1 (en) Keyless entry system, and system transmitter having optimized signal transmission power level
US6512462B1 (en) Dual function radio frequency remote control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6781519B1 (en) Method and vehicle system for remote-controlling vehicle audio system
EP0889538B1 (en) Antenna apparatus for vehicles
JPH04345545A (en) Multiplex control device of vehicle with the remote manipulation function of illumination in car
JP2002247656A (en) Mobile unit for remote control
KR19990019605U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EP1067028A3 (en) Security apparatus for vehicle
GB2297667A (en) Portable control device with multi-mode transmission
KR100407266B1 (en) remoting move device of window class for vehicles
JPS63145151A (en)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CN203345004U (en) Infrared key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device of steering wheel
KR0177349B1 (en) Device for checking whether the vehicle is operated by a remote key
CN103264724A (en) Infrared transceiving device for signals of steering wheel buttons
JP5199923B2 (en) Keyless entry system
KR200156727Y1 (en) Remote controllable taxi-meter system
KR200210924Y1 (en) Automatic open/close apparatus of door lock for vehicle
KR970004898B1 (en) Remote controlling system
JP2004096220A (en) Radio wave transmitter, radio wave transmitting method therefor and remote driving system
KR200358147Y1 (en) On/off control device for loads using any remote controller
KR20160021657A (en) Smartkey system and method of smartkey system control
GB2310747A (en) Vehicle security system
JPH0476174A (en) Keyless entry system
KR200156248Y1 (en) A vibration device of remote key
JPH03286077A (en) Lock controlle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