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9217U -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 Google Patents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9217U
KR19990019217U KR2019970032936U KR19970032936U KR19990019217U KR 19990019217 U KR19990019217 U KR 19990019217U KR 2019970032936 U KR2019970032936 U KR 2019970032936U KR 19970032936 U KR19970032936 U KR 19970032936U KR 19990019217 U KR19990019217 U KR 199900192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ring gear
planetary gear
motor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29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용석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329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9217U/ko
Publication of KR199900192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9217U/ko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본 고안은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2)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구성은 조립 및 접속강도가 저하되어 고장의 우려가 있었다.
(3)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하우징(10)의 내방으로 등간격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댐퍼리테이너부(30)를 구비하고, 유성기어어셈블리의 링기어(15)의 외경면의 대응하여 일체로 돌출한 댐퍼리테이너부(40) 사이에 상기 댐퍼리테이너부(30,40)의 형성공간과 간극(G)을 충진하여 완충하도록 원호체의 일부 시그먼트의 댐퍼(50)를 개재하여 가지는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15)의 댐퍼리테이너부(40)와/ 또는 링기어(15)의 외경면(15')으로부터 돌출성형된 다양한 단면형상의 인서트고정부(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고정부(70)를 수용포함하면서 몰딩성형되는 몰딩충진댐핑부(71)를 일체로 성형하여 가진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일체로 몰딩성형되고 접속강도를 증대하는 인서트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작동중의 이탈이 없다.

Description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본 고안은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 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어셈블리에서의 내치기어인 링기어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한 구성 및 적용을 개선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동모우터의 내방에는 구동하는 모우터의 샤프트의 동력을 피니언 및 유성기어어셈블리로서 전달받아 엔진링기어를 구동하기 위하여 피니언샤프트를 회동시키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종래로부터의 상기하는 구성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어셈블리는 다수개의 유성기어를 그 내방에 수용하는 인너플레너타리기어인 링기어를 구비하게 되고 급격한 시동모우터의 구동과 피니언샤프트의 엔진링기어로의 접속시의 충격을 완충하기 위하여,
상기의 링기어의 외방면과 하우징의 내방수용면사이에는 고무재 등의 탄성부재를 원호형상으로 분리된 댐핑시그먼트를 구비하여 완충을 도모하고 있다.
종래의 상기하는 댐퍼는 링기어 외방으로 링기어와 일체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댐퍼리테이너와 하우징의 내방수용면으로 돌출한 댐퍼리테이너사이에 단순히 개제되어 조립됨으로서,
조립시에 다수개의 댐퍼를 배설하여 하우징 내방의 정위치로 조립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더욱 중요한 문제는 댐퍼가 장착공간으로부터 이탈되어 버림으로서 시동모우터의 작동자체가 불량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이 된 것으로서, 댐퍼의 장착구성 및 조립구성을 개선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사용할 때의 정위치로부터의 이탈을 근원적으로 방지하는 구성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가 적용부위를 도시하는 시동모우터의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구성을 도시하는 제 1 도의 A부로부터 본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구성을 도시하는 제 1 도의 A부로부터 본 정면도 및 부분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15 : 링기어
30,40 : 댐퍼리테이너부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종래 구성과 비교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가 적용부위를 도시하는 시동모우터의 단면도, 제 2 도는 종래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구성을 도시하는 제 1 도의 A부로부터 본 정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구성을 도시하는 제 1 도의 A부로부터 본 정면도 및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시하는 제 1 도는 통상적인 자동차시동모우터의 단면을 도시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0)의 내방에서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자(11)를 구비하고, 회전자(11)의 샤프트(12) 단부에 고착되는 피니언(13) 및 피니언(13)과 접속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14)를 자기도 유성기어(14)는 링기어(15)의 내방에 조립되어 전체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내방에 클러치를 구비하는 드라이브유니트(20)는 솔레노이드(21)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작동레버(22)가 이동함으로서 피니언샤프트(23)가 도시하지 아니하는 엔진의 링기어의 외치와 접속 및 이탈을 하게 된다.
상기에서 화살표방향의 드라이브유니트(20)의 이동시 및 회전자(11)의 급격한 구동에 의한 치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링기어의 축중심에 대한 약간의 유동여유를 보장하기 위하여 종래로부터
제 2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내방으로 등간격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댐퍼리테이너부(30)를 구비하고, 유성기어어셈블리의 링기어(15)의 외경면에도 동일한 돌출하여 일체로 성형된 댐퍼리테이너부(40)를 구비하고,
그 사이에 각각의 댐퍼리테이너부(30,40)의 형성공간과 간극(G)과 일치하는 형상이며 개략 원호체의 일부 시그먼트의 댐퍼(50)를 개재하여 조립함으로서 화살표방향으로의 회전유동을 보장하여 완충 및 정위치보정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다수개의 댐퍼(50)가 하우징(10) 내방의 댐퍼리테이너부(30)와 링기어(15)의 댐퍼리테이너부(40)에 각각 개재되어 조립되어야 하므로,
깊이가 깊은 하우징(10) 내방에서의 정위치의 조립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상기의 링기어(15)와 댐퍼(50)를 별도로 조립하여 그 사이에 개재함으로서 장시간의 사용할 때에 비교적 연성의 댐퍼(50)가 밀려져 링기어(15)와 다른 부재(회전자커버) 등에 끼워짐으로서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상술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기어(15)와 댐퍼(60)를 일체로 몰딩성형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바람직하게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기어(15)의 돌출하는 댐퍼리테이너부(40) 및 링기어(15)의 외경면(15')으로부터 돌출(도시하지 아니함)하는 등의 다양한 형상의 인서트고정부(70)를 더 구비하고 이 인서트고정부(70)를 포함하도록 몰딩충진댐핑부(71)로서 몰딩성형한다.
따라서, 상기하는 댐퍼리테이너부(40)부 또는 링기어(15)의 외경면(15')으로 돌출하는 인서트고정부(70)를 구비하는 링기어(15)를 몰딩성형의 금형내에 안치하고 고무 또는 합성수지계고무 등을 사출주입하여 몰딩성형하여 몰딩충진댐핑부(71)을 형성함으로서 본 고안의 댐퍼구성은 완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댐퍼어셈블리는 링기어(15)와 댐퍼의 조립공정을 생략하게 하고 댐퍼와 링기어(15)는 인서트고정부(70)에 의하여 상호 파지하는 형상을 구비함으로서 링기어(15)의 외경면(15')으로부터의 이탈은 근원적으로 방지되는 것이다.
이탈의 방지 및 접속강도를 고려할 때에 상기의 인서트고정부(70)의 형상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링기어(15)의 댐퍼리테이너부(40)로부터 출발하는 역삼각형상의 연장된 돌출체로 하는 것이 좋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는 링기어와 일체로 몰딩성형되고 접속강도를 증대하는 인서트고정부를 더 구비함으로서 조립이 대단히 용이하고 작동중의 이탈이 없는 종속부재로서 제조함으로서 종래의 문제점을 일소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2)

  1. 하우징(10)의 내방으로 등간격으로 돌출하는 다수개의 댐퍼리테이너부(30)를 구비하고, 유성기어어셈블리의 링기어(15)의 외경면의 대응하여 일체로 돌출한 댐퍼리테이너부(40) 사이에 상기 댐퍼리테이너부(30,40)의 형성공간과 간극(G)을 충진하여 완충하도록 원호체의 일부 시그먼트의 댐퍼(50)를 개재하여 가지는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에 있어서;
    상기 링기어(15)의 댐퍼리테이너부(40)와/ 또는 링기어(15)의 외경면(15')으로부터 돌출성형된 다양한 단면형상의 인서트고정부(7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인서트고정부(70)를 수용포함하면서 몰딩성형도는 몰딩충진댐핑부(71)를 일체로 성형하여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고정부(70)의 형상은 링기어(15)의 댐퍼리테이너부(40)로부터 출발하는 역삼각형상의 연장된 일체의 돌출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KR2019970032936U 1997-11-14 1997-11-14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KR199900192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36U KR19990019217U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2936U KR19990019217U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9217U true KR19990019217U (ko) 1999-06-05

Family

ID=69679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2936U KR19990019217U (ko) 1997-11-14 1997-11-14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921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02A (ko) * 2001-11-21 2003-05-28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시동전동기의 공회전 정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102A (ko) * 2001-11-21 2003-05-28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시동전동기의 공회전 정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1579B1 (ko) 차량 시동기
KR101953417B1 (ko) 구동 장치
US5960512A (en) Windshield wiper assembly with a noise and vibration-damping fastener
JPH0956091A (ja) 永久磁石式回転電機
CN102549700B (zh) 具有缓冲的预啮合致动器
GB2172938A (en) Bearing for the propeller shaft of motor vehicles
KR20050062410A (ko) 하우징 내에 수용된 액츄에이터를 위한 지지 장치
JP7023695B2 (ja)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モータを生産する方法
EP1016786B1 (en) Coupling for transmission of rotation in a synchronous motor
KR101362461B1 (ko) 자동차용 마운트
KR19990019217U (ko) 자동차시동모우터의 유성기어용 댐퍼
US5644171A (en) Starter having an elastic seal member shaped to tap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motor
EP0867613A1 (en) A starte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47520A (ja) スロットルボデー
KR102017638B1 (ko) 스타터
KR100793370B1 (ko) 차량용 윈도우 리프트 모터의 하우징에 구비된 댐핑 수단
JP2005110489A (ja) モータの保持構造、及び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CN208565527U (zh) 一种减小换挡杆晃动间隙的换挡器
JP2593739Y2 (ja) 衝撃緩衝機構付きのウオームギア減速装置
JP4950962B2 (ja) 減速機構付モータ
KR20190002804A (ko) 프리로드 타입 마운트
JPH09303459A (ja) 防振装置
JP2011122665A (ja) ギアードモータ
JPH0214992B2 (ko)
KR100821529B1 (ko) 파워 윈도우 모터용 일체형 댐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