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693U -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693U
KR19990018693U KR2019970031977U KR19970031977U KR19990018693U KR 19990018693 U KR19990018693 U KR 19990018693U KR 2019970031977 U KR2019970031977 U KR 2019970031977U KR 19970031977 U KR19970031977 U KR 19970031977U KR 19990018693 U KR19990018693 U KR 1999001869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coin
vending machine
passage
coi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삼현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31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693U/ko
Publication of KR199900186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693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선별기구(21), 보류통(22), 호퍼기구(23)로 구성되는 코인메카(25)를 지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보류통(22)에서 금고(17)와 연통되는 수입통로(34) 후방으로 별도의 호퍼기구(33)를 지니는 보조통(31)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통(31)에서 수입통로(34)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낙하되는 동전을 보조통(31)으로 유도하는 조절판(2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무인 판매를 위한 자동판매기에서 거스름돈이 부족하여 상품 판매가 중지됨에 따른 영업 손실과 수요자의 불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본 고안은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무인 판매를 위한 자동판매기에서 거스름돈이 부족하여 상품 판매가 중지됨에 따른 영업 손실과 수요자의 불편을 방지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음료, 생필품, 복권 등 다양한 상품을 무인 판매하는 장치로서 공공장소를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는 바, 규격화된 상품을 그대로 판매하거나 적절한 가공을 추가하여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품대금 지급 방법에 있어서 동전을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지폐는 물론 소정의 카드까지 통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상품이 적재된 고내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1) 상에 상품을 전시하는 진열대(12)를 비롯하여 지폐 처리기구(13), 동전투입구(14), 코인메카(15), 거스름돈 반환기구(16), 금고(17) 등 많은 기능부가 설치되는 구성을 지닌다. 지폐 처리기구(13)는 투입된 지폐의 진위를 식별·계수하고, 코인메카(15)는 동전투입구(14)로 투입된 주화를 식별·계수·분리 수집하고, 거스름돈 반환기구(16)는 지폐 처리기구(13)와 코인메카(15)에서 합산한 금액과 상품대금의 차액을 송출한다.
이러한 구성의 자동판매기에서 코인메카(15)는 선별기구(21), 보류통(22), 호퍼기구(23) 등으로 구성되는데 부분 상세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류통(22)의 상부에는 조절판(18)이 설치된다. 조절판(18)은 선별기구(21)의 게이트(19)를 통과한 동전이 보류통(22)으로 유도되도록 하지만 보류통(22)이 충만되면 동전이 걸려 방향을 전환하기 때문에 수입통로(24)를 통하여 금고(17)로 낙하시킨다.
만일 보류통(22)의 내측 하부에는 동전의 소진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데 보류통(22)의 동전이 모두 거스름돈으로 사용되고 없으면 판매중지를 알리는 신호가 발생된다. 수요자는 적절한 금액의 동전을 구해 오거나 다른 자판기를 이용하는 불편을 감수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무인 판매를 위한 자동판매기에서 거스름돈이 부족하여 상품 판매가 중지됨에 따른 영업 손실과 수요자의 불편을 방지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에서 상품 대금을 정산 처리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설치상태를 주요 작동부의 상세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도어 12: 진열대
13: 지폐 처리기구 14: 동전투입구
15, 25: 코인메카 16, 26: 거스름돈 반환기구
17: 금고 18, 28: 조절판
19: 게이트 21: 선별기구
22: 보류통 23, 33: 호퍼기구
24, 34: 수입통로 31: 보조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선별기구(21), 보류통(22), 호퍼기구(23)로 구성되는 코인메카(25)를 지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보류통(22)에서 금고(17)와 연통되는 수입통로(34) 후방으로 별도의 호퍼기구(33)를 지니는 보조통(31)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통(31)에서 수입통로(34)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낙하되는 동전을 보조통(31)으로 유도하는 조절판(2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선별기구(21), 보류통(22), 호퍼기구(23)로 구성되는 코인메카(25)를 지니는 자동판매기에 적용한다. 선별기구(21)는 투입되는 동전을 500원, 100원, 50원, 10원 등 금액단위로 선별하여 각각의 보류통(22)으로 보낸다. 보류통(22)의 하단에 위치하는 호퍼기구(23)는 동전 크기의 구멍을 지니는 플레이트를 한번 작동할 때마다 하나의 동전을 거스름돈 반환기구(26)에 보낸다.
도 2에서 본 고안에 따르면 보류통(22)에서 금고(17)와 연통되는 수입통로(34) 후방으로 별도의 호퍼기구(33)를 지니는 보조통(31)이 설치된다. 보류통(22)은 종류에 따라 통상 60∼85개의 동전을 적층하여 저장하는 크기인데 보조통(31)도 이와 비슷한 용량으로 하면 거스름돈 능력은 2배로 늘어난다. 본 고안의 호퍼기구(33)는 보류통(22)에 장착되는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조통(31)에서 수입통로(34)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낙하되는 동전을 보조통(31)으로 유도하는 조절판(28)이 설치된다. 조절판(28)은 게이트(19)의 하부에서 보류통(22)의 입구에 위치하는 조절판(18)처럼 투입되는 동전의 이동 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지닌다. 부호 A는 동전의 적층 및 걸림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조절판(28)은 둔각의 V자형으로 성형되어 보조통(31)이 충만되면 동전의 중량으로 수입통로(34)를 개방하도록 위치가 변경된다. V자형의 일변은 수입통로(34)를 막을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하고 타변은 보조통(31)의 함몰부(31a)에 안착되도록 한다. 보류통(22)이 충만되면 조절판(18)에 의해 수입통로(34)로 유도되는 동전은 본 고안의 조절판(28)에 충돌한 후 보조통(31)에 적층된다. 보조통(31)에서도 동전이 충만되면 조절판(28)이 수직으로 세워지므로 이후의 동전은 수입통로(34)를 따라 금고(17)에 저장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이러한 보조통(31), 호퍼기구(33), 조절판(28)은 각각의 동전 금액단위로 적합하게 구분된다. 보조통(31)에는 선별기구(21)를 설치하지 않아도 각각의 조절판(28)에 의해 동전이 금액별로 구분되어 보관되므로 거스름돈을 지불할 준비가 완료된다. 보조통(31)의 내측 하단에는 보류통(22)처럼 거스름돈 없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보류통(22)에서 거스름돈이 소진되는 경우 보조통(31)의 호퍼기구(33)를 작동시키고 다시 보류통(22)에 거스름돈이 유입되면 보류통(22)의 호퍼기구(23)를 우선적으로 작동하여 거스름돈을 지불한다. 보류통(22) 및 보조통(31) 모두에 동전이 소진되는 경우에만 판매중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고안의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는 무인 판매를 위한 자동판매기에서 거스름돈이 부족하여 상품 판매가 중지됨에 따른 영업 손실과 수요자의 불편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별기구, 보류통, 호퍼기구로 구성되는 코인메카를 지니는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상기 보류통에서 금고와 연통되는 수입통로 후방으로 별도의 호퍼기구를 지니는 보조통이 설치되고, 상기 보조통에서 수입통로와 연통되는 부분에는 낙하되는 동전을 보조통으로 유도하는 조절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통, 호퍼기구, 조절판은 각각의 동전 금액단위로 적합하게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둔각의 V자형으로 성형되어 보조통이 충만되면 동전의 중량으로 수입통로를 개방하도록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KR2019970031977U 1997-11-13 1997-11-13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KR1999001869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77U KR19990018693U (ko) 1997-11-13 1997-11-13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977U KR19990018693U (ko) 1997-11-13 1997-11-13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693U true KR19990018693U (ko) 1999-06-05

Family

ID=69691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977U KR19990018693U (ko) 1997-11-13 1997-11-13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69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3510A (en) Currency and coin-activated drop safe
US6957732B2 (en) Vending machine having direct data link to cash dispenser
US20100017017A1 (en) Machine and Method for Self-Service Cash Redemption and Cash Recycling
US5791449A (en) Bezel for a vending machine
JP4162299B2 (ja) 貨幣入出金装置
GB2348732A (en) Money acceptance apparatus for a vending machine
EP0266090A2 (en) Coin handling system
KR19990018693U (ko) 자동판매기용 보조 동전보관 기구
JPH0916853A (ja) 金銭収納箱及びこれを用いた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US6634481B1 (en) Inventory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415152B1 (ko) 광고 및 게임 기능을 구비한 자동판매기 및 그 사용 방법
JP3956564B2 (ja) 金銭投入口装置
JP4793231B2 (ja) カード払出装置
JPH0745807Y2 (ja) 硬貨処理装置
KR20010058019A (ko) 안경 자동 판매기
JP2001134805A (ja) 硬貨処理装置
JP2000123215A (ja) 硬貨自動払出機およびこの硬貨自動払機を用いたチェックアウト装置
KR20010068915A (ko) 수산물 가공식품 자동 판매기
JP2001076217A (ja) 硬貨払出装置
JPS6252356B2 (ko)
KR20010068914A (ko) 소스 자동 판매기
KR20010058015A (ko) 낚시 도구 자동 판매기
KR20010058026A (ko) 옷 자동 판매기
KR20010068913A (ko) 카드 자동 판매기
JP2002032817A (ja) 硬貨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