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122A -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122A
KR19990018122A KR1019970041215A KR19970041215A KR19990018122A KR 19990018122 A KR19990018122 A KR 19990018122A KR 1019970041215 A KR1019970041215 A KR 1019970041215A KR 19970041215 A KR19970041215 A KR 19970041215A KR 19990018122 A KR19990018122 A KR 19990018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ing
data
mobile phone
display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경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4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122A/ko
Publication of KR19990018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122A/ko

Links

Landscapes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라 과금 내역을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을 카운터하여 기 등록된 과금 데이터에 따라 과금 내역을 표시하고 누적하여 사용자 요구시 누적 과금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이,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다이얼링후 통화 시작시점부터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통화시간을 카운트 하는 과정과, 카운트된 시간을 과금 도수 테이블에 의해 계산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표시된 과금 내역을 메모리의 누적과금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과금 내역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내역을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으로 통화를 할 경우 통화에 따른 내역을 알수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화된 시간을 계산하여 통화료를 계산하거나 또는 서비스회사에 확인을 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드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내역을 계산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이,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다이얼링후 통화 시작시점부터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통화시간을 카운트 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과금 도수 테이블에 의해 계산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과금 내역을 메모리의 누적과금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블록 구성도.
도 2a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통화 종료시 통화시간 및 과금 내역을 표시부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과금 도수 테이블의 수정시 표시부에 표시된 것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핸드폰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 111은 핸드폰의 통화 및 서비스 제공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내역을 계산하여 표시의 제어를 수행한다. 듀플렉서 112는 안테나 ANT로부터 수신되는 RF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부 113으로 출력하고 송신부 114로부터 수신되는 RF 데이터를 상기 안테나 ANT로 출력한다. 수신부 113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듀플렉서 112로부터 수신된 RF 데이터를 필터링(Filtering)하고 증폭하여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부 115로 출력하고 특정 톤 데이터가 검출될 경우 상기 검출된 톤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송신부 114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음성 처리부 115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RF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 112로 출력한다. 음성 처리부 115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통화 모드시 마이크로부터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코드화하여 상기 송신부 114로 출력하고 상기 수신부 113으로부터 수신된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출력한다. 메모리부 116은 상기 핸드폰의 수행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프로그램의 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거나 본 발명에 따른 과금에 따른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 구분된다. 키입력부 117은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하고 표시부 118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수행과정등을 표시한다.
도 2a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1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통화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통화키가 입력될 경우 14단계로 진행하고 통화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3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12단계에서 14단계로 진행하면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여 다이얼링을 수행하고 1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부 113으로 링백톤이 검출이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링백톤의 검출이 종료될 경우 18단계로 진행하고 링백톤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3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통화 종료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통화 종료키가 입력될 경우 종료하고 통화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1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16단계에서 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음성치비루 115, 송신부 114, 수신부 113 및 듀플렉서 112를 제어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하며 통화에 따른 시간을 카운트(Count)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20단계로 진행하여 통화가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여기서 통화 종료의 검사는 비지톤(Busy Tone)이 수신되거나 또는 통화종료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통화가 종료될 경우 2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카운트된 시간에 따른 과금 내역을 계산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하고 상기 검사결과 통화가 종료되지 않을 경우 18단계의 통화모드를 계속 수행한다. 상기 통화종료시 통화 요금에 따른 과금 내역을 도 3에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서 통화 시간에 따른 과금내역의 계산은 통화 도수에 따라 계산된다.
상기 제어부 111은 24단계로 진행하여 누적 과금 테이블에 상기 22단계에서 계산된 과금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고 2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표시 종료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누적 과금 테이블을 예를 들어 표시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누적 금액 통화시간
4480원 56분
이하 상기 표 1을 누적 과금 테이블이라 칭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표시 종료키가 입력될 경우 3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된 과금 내역을 삭제하고 종료하며 표시 종료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28단계로 진행하여 설정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설정시간이 경과하면 30단계로 진행하고 설정시간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26단계의 검사를 계속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 111은 12단계에서 3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과금 표시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과금 표시키가 입력될 경우 3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 116에 저장된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같은 누적 과금 테이블을 독출하고 상기 과금 표시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4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6단계에서 3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누적 과금 테이블로부터 독출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하고 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누적 과금 테이블의 리프레시(Refresh)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리프레시 신호가 입력될 경우 4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 116에 저장된 누적 과금 테이블의 과금 내역을 삭제하고 종료하며 상기 리프레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26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4단계에서 4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과금 데이터의 변경 요구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과금 데이터 변경 요구신호가 입력될 경우 46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메모리부 116에 저장된 과금 도수 테이블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한다. 이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상기 과금 도수 테이블을 예를 들어 도시하면 하기 표 2와 같다.
시간/1통화 금액/1통화
60초 80원
이하 상기 표 1을 과금 도수 테이블이라 칭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8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과금 시간 변경요구인가를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입력되는 키입력 신호를 검사하여 시간 데이터 변경인 경우 5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된 시간에 커서(Cursor)를 표시하고 시간 데이터 변경이 아닌 경우 5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0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수신되는 키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시각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하고 52단계로 진행하여 확인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확인키가 입력될 경우 5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변경된 내용을 상기 독출된 메모리부 116의 해당 장소에 저장하고 종료하며 상기 검사결과 확인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65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56단계에서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금액 변경 요구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고 상기 검사결과 금액조절 요구신호가 입력될 경우 5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된 금액에 커서를 표시하고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수신되는 키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금액 데이터를 변경하여 상기 표시부 118에 표시하고 60단계로 진행하여 확인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검사결과 확인키가 입력될 경우 62단계로 진행하여 변경된 내용을 상기 메모리부 116의 해당 장소에 저장하고 종료하며 확인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상기 메모리부 116에 저장하지 않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휴대폰에서 통화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계산하여 표시할 수 있고, 상기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데이터가 누적되어 표시되므로 계획적인 통화를 할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화요금이 변경되어도 통화요금을 수정할 수 있다.

Claims (7)

  1.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된 키입력 신호에 따라 다이얼링후 통화 시작시점부터 통화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통화시간을 카운트 하는 과정과, 상기 카운트된 시간을 과금 도수 테이블에 의해 계산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된 과금 내역을 메모리의 누적과금 테이블에 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통화 시작시점의 검사과정이, 상기 다이얼링후 수신되는 링백톤을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링백톤이 종료되는 시점을 검사하여 상기 링백톤이 종료될 시 통화 시작시점으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통화 종료시점의 검사과정이, 키입력부로부터 통화 종료키가 입력되가를 검사하는 종료키 검사 과정 또는 수신부를 통해 비지톤 데이터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톤 검사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과금 표시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표시키가 입력될 경우 메모리부로부터 누적과금 테이블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누적과금 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누적과금 데이터의 삭제요구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내역 삭제 요구신호 수신시 상기 메모리부의 누적과금 테이블을 리프레시하여 저장된 과금 데이터를 삭제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과금 데이터의 변환 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데이터의 변경 요구신호 수신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과금 도수 테이블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과금 시간 데이터의 수정 요구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시간 데이터의 수정 요구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과금 시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과금 데이터의 변환 요구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데이터의 변경 요구신호 수신시 상기 메모리로부터 과금 도수 테이블을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된 과금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과금 금액 데이터의 수정 요구인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과금 금액 데이터의 수정 요구인 경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키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과금 금액 데이터를 변경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KR1019970041215A 1997-08-26 1997-08-26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KR19990018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215A KR19990018122A (ko) 1997-08-26 1997-08-26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1215A KR19990018122A (ko) 1997-08-26 1997-08-26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122A true KR19990018122A (ko) 1999-03-15

Family

ID=66046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1215A KR19990018122A (ko) 1997-08-26 1997-08-26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12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6808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과금데이터를 이용한 통화품질 감시 방법
KR100556492B1 (ko) * 1999-01-1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요금 계산방법
KR100844319B1 (ko) * 2001-12-13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요금 시뮬레이션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70A (ko) * 1990-08-25 1992-03-28 이헌조 전화기의 통화료 표시방법
JPH05336219A (ja) * 1992-06-04 1993-12-17 Fujitsu Ltd 電話端末装置
KR940003770A (ko) * 1992-08-17 1994-03-12 전성원 속도 감지장치의 상태 판단장치 및 그의 실현방법
KR0141640B1 (ko) * 1995-06-13 1998-07-01 김광호 이동무선 전화기의 요금정산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4350A (ko) * 1997-06-27 1999-01-15 송재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19990011393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일반 전화 단말장치에서 과금 표시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570A (ko) * 1990-08-25 1992-03-28 이헌조 전화기의 통화료 표시방법
JPH05336219A (ja) * 1992-06-04 1993-12-17 Fujitsu Ltd 電話端末装置
KR940003770A (ko) * 1992-08-17 1994-03-12 전성원 속도 감지장치의 상태 판단장치 및 그의 실현방법
KR0141640B1 (ko) * 1995-06-13 1998-07-01 김광호 이동무선 전화기의 요금정산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04350A (ko) * 1997-06-27 1999-01-15 송재인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통화요금 확인방법
KR19990011393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일반 전화 단말장치에서 과금 표시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492B1 (ko) * 1999-01-13 200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시스템에서의 통화요금 계산방법
KR20030046808A (ko) * 2001-12-06 2003-06-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과금데이터를 이용한 통화품질 감시 방법
KR100844319B1 (ko) * 2001-12-13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발신 통화 요금 시뮬레이션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45266A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airtime accounting and methods therefor
JP2000184036A (ja) 移動電話端末機における機能選択方法
KR0156175B1 (ko) 전화기의 통화요금 디스플레이장치 및 방법
KR19990018122A (ko) 휴대폰에서 통화시간에 따른 과금 표시 방법
KR0141640B1 (ko) 이동무선 전화기의 요금정산방법 및 그 장치
JP3209207B2 (ja) 歩行距離表示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1005571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 내역 정보 이용 방법
KR100375035B1 (ko) 이동통신 단말기기의 통화시간 카운팅방법
KR940003770B1 (ko) 휴대용 전화기 및 자동차 전화기의 시간표시장치 및 방법
KR970056709A (ko) 전화요금 연산장치와 방법
KR100493266B1 (ko) 이동통신에서의전화요금자동산출방법
KR960003031B1 (ko) 이탁스(e-tacs) 방식 휴대폰의 과금 표시 방법
KR940009776B1 (ko) 카드식 공중전화기의 온-훅크 다이얼 방법 및 장치
KR20060065303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최적의 요금제를 선택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JP2944171B2 (ja) 無線通信装置
KR1008493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시간 및 금액을 표시하는 방법
KR20000018602A (ko)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KR19990026722A (ko) 화상전화장치의 요금표시방법
KR19980082773A (ko) 전화기에서 통화요금 표시 방법
KR2002005260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시간 표시 장치 및 방법
KR19990011393A (ko) 일반 전화 단말장치에서 과금 표시 방법
JPH05300276A (ja) ボタン電話装置
KR2005007396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월별 특정기능 사용시간 관리 방법
JP2001274927A (ja) 料金通知方法及びその実施装置並びにその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10009666A (ko)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