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762A -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 Google Patents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762A
KR19990017762A KR1019970040787A KR19970040787A KR19990017762A KR 19990017762 A KR19990017762 A KR 19990017762A KR 1019970040787 A KR1019970040787 A KR 1019970040787A KR 19970040787 A KR19970040787 A KR 19970040787A KR 19990017762 A KR19990017762 A KR 199900177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ood waste
power transmission
water
suppor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장근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4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762A/ko
Publication of KR1999001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62A/ko

Link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부품의 이동 및 관리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이 간단해 지도록 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100)와, 이 본체의 안쪽하부에 설치된 제1지지수단(200)과, 이 제1지지수단(200)에 용접된 제2지지수단(300)과, 이 제2지지수단(300)을 매개로 본체(10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밀폐수단(400)과, 상기 제1지지수단(200)과 제2지지수단(300)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a)의 흡입력에 의해 후술하는 동력전달수단(600)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팬(500)과, 상기 제2지지수단(300)과 밀폐수단(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부에는 흡입팬(500)이 체결된 동력전달수단(600)과, 상기 밀폐수단(400)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에 적재시킨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수수단(700)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분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탈수수단(7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덮개수단(800)과, 상기 제2지지수단(300)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공기유입파이프(B0와 연통되도록 밀폐수단(400)의 측면끼워져 상기 제2지지수단(300)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파이프(B)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엘보우관(900)으로 이루어진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710)와 상부클러치부재(720)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본 발명은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와 상부클러치부재가 간단히 결합되도록 된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쓰레기의 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함은 물론, 이로인해 발생되는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고 있는 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되는 폐수는 지층의 수질을 크게 오염시켜 큰 문제로 대두 되었다.
이에 언론이나 공공기관에서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나 일반가정에서 손으로 수분을 제거함에 따르는 불쾌감과 번거로움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제거는 공동의 관심사가 되었다.
본 출원인이 동일자로 제안한 종래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 그 구성은,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안쪽하부에 설치된 제1지지수단(200)과, 이 제1지지수단(200)에 용접된 제2지지수단(300)과, 이 제2지지수단(300)을 매개로 본체(10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밀폐수단(400)과, 상기 제1지지수단(200)과 제2지지수단(300)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a)의 흡입력에 의해 동력전달수단(600)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팬(500)과, 상기 제2지지수단(300)과 밀폐수단(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부에는 흡입팬(500)이 체결된 동력전달수단(600)과, 상기 밀폐수단(400)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에 적재시킨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수수단(700)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분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탈수수단(700)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덮개수단(8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외관을 이루는 원통형의 용기(110)와, 이 용기(110)의 하부에 고정되어 바닥과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다리(1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용기(110)는,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입구(111)와, 상기 탈수수단(700)에서 탈수된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배출되는 물배출파이프(A)가 설치되는 결합부(112)와, 상기 흡입호스(b)가 끼워지는 공기유입파이프(B)가 설치되는 결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지지수단(200)은,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연통되는 공기유입구(211)가 형성됨과 더불어 용기(11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제2지지수단(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플랜지(212)가 구비된 소정형상의 제1지지브라켓트(210)와, 이 제1지지브라켓트(210)의 바닥을 지지하여 상기 용기(110)의 공기유입구(111)에서 연통되는 제1지지브라켓트(210)의 공기유입구(211)가 일정 간극을 갖도록 설치되는 스페이서(220)와, 상기 용기(110)의 하부에서 스페이서(220)로 끼워져 제1지지브라켓트(210)의 상부로 돌출되는 보울트(230)와, 이 보울트(230)에 체결되어 제1지지브라켓트(210)를 고정하는 너트(2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지지수단(300)은, 상기 제1지지수단(200)의 제1지지브라켓트(210)에 용접되는 제2지지브라켓트(310)와, 이 제2지지브라켓트(310)의 중앙에 수용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베어링(3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브라켓트(310)는, 상기 흡입팬(50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유입구(111,211)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공기유입파이프(B)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멍(311)과, 상기 제1베어링(320)이 수용되어 동력전달수단(600)이 회전가능하도록 된 베어링수용부(312)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밀폐수단(400)은, 상기 제2지지수단(300)에 의해 지지되어 고정된 하우징부재(410)와, 이 하우징부재(410)가 상기 본체(100)의 용기(110)에 밀폐되도록 설치된 오링(420)과, 상기 하우징부재(41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600)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된 제2베어링(430)과, 상기 하우징부재(410)의 중앙 하부에 설치되어 동력전달수단(600)의 회전이 자유롭도록 된 제3베어링(44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재(410)는, 상기 탈수수단(700)에 의해 낙하된 오수가 상기 물배출파이프(A)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부면에 형성된 경사부(411)와, 상기 제1지지수단(200)의 제1지지브라켓트(210)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안착부(412)와, 상기 오링(420)이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형성된 오링안착부(413)와, 상기 제2,3베어링(430,440)이 수용되어 동력전달수단(60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안착부(414)가 갖춰져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은, 상기 1,2,3베어링(320,430,44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610)과, 이 회전축(610)의 하부에 흡입팬(50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620)와, 상기 회전축(610)의 상부에 체결되는 너트(630)를 매개로 회전축(610)과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된 하부클러치부재(640)와, 상기 회전축(610)의 상단에 끼워져 일정 길이가 돌출되도록 압입설치된 센터맞춤핀(6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610)은, 상기 체결너트(620)가 결합되는 나사부(611)와, 이 나사부(611)와 연장되어 상기 제1베어링(320)에 횐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축(612)와, 이제1축(612)에 연장되어 상기 제1,3베어링(320,440)의 상하부에 지지되는 제2축(613)과, 이 제2축(613)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3베어링(440)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된 제3축(614)과, 이 제3축(613)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제2베어링(430)에 끼워져 회동가능하도록 된 제4축(615)과, 이 제4축(615)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클러치부재(640)의 축방향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너트(630)가 체결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센터맞춤핀(650)이 고정될 수 있도록 된 나사부(61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탈수수단(700)은, 음식쓰레기를 수용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구멍(711)이 원주면에 관통형성된 내조(710)와, 이 내조(710)의 바닥면 중앙에 고정되어 상기 하부클러치부재(640)와 센터맞춤핀(650)에 의해 상기 동력전달수단(600)과 흡입팬(50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된 상부클러치부재(7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내조(710)에 상부클러치부재(720)를 고정하기 위한 방법은 용접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덮개수단(800)은, 상기 본체(100)를 구성하는 용기(110)의 상부를 덮도록 된 용기덮개(810)와, 이 용기덮개(810)의 중앙에 끼워지는 멈춤링(820)를 매개로 축방향으로 이동됨이 없이 안착되도록 된 제4베어링(830)과, 이 제4베어링(830)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축(840)과, 이 지지축(840)이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제4베어링(830)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축(840)의 상부에 체결되는 너트(850)와, 상기 지지축(840)의 하부에 끼워져 너트(870)로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탈수수단(700)의 내조(710)가 흔들리지 않고 함께 회동될 수 있도록 끼워진 내조가이드덮게(8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미설명부호 900은 흡입효율을 향상시켜주기 위해 상기 구멍(311)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공기유입파이프(B)와 연통되도록 밀폐수단(400)의 하우징부재(410)에 끼워지는 엘보우관이다.
따라서 상기 덮개수단(800)을 본체(100)와 탈수수단(700)으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탈수수단(700)를 구성하는 내조(710)에 주방용 음식쓰레기를 넣은 후 덮개수단(800)의 용기덮개(810)는 용기(110)에 내조가이드덮게(860)는 내조(710)에 닫은 다음,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a)에 연결된 흡입호스(b)를 공기유입파이프(B)에 결합하고 진공청소기의 본체(a)를 작동시키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유입구(111,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구멍(311)에 설치된 엘보우관(900) 및 공기유입파이프(B)를 통해 본체(a)로 흡입되면서 공기의 흐름이 동력전달수단(600)에 설치된 흡입팬(5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수단(600)의 회전축(6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10)의 상부에 고정된 하부클러치부재(640)에 탈수수단(700)을 구성하는 상부클러치부재(720)가 맞물려 회전하게 되므로, 이 상부클러치부재(720)와 고정된 내조(710)가 회전하면서 음식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원심력에 의해 내조(710)의 미세구멍(711)으로 누출되어 상기 밀폐수단(400)을 구성하는 하우징부재(410)의 경사부(411)를 따라 상기 물배출파이프(A)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후 수분이 완전히 배출된 음식쓰레기는 상기 덮개수단(800)을 열고 탈수수단(700)을 용기(110)의 밖으로 분리하여 쓰레기 봉투에 쏟아부으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를 구성하는 탈수수단은 내조와 상부클러치부재가 별도로 구비되어 용접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부품의 이동 및 관리가 어렵고, 용접에 따른 제조공정이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의 하부에 상부클러치부재가 일체로 성형되어, 부품의 이동 및 관리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이 간단해지도록 된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 제거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물배출파이프 B : 공기유입파이프
a : 본체 b : 흡입호스
100 : 본체 110 : 용기
200 : 제1지지수단 210 : 제1지지브라켓트
220 : 스페이서 230 : 보울트
240 : 너트 300 : 제2지지수단
310 : 제2지지브라켓트 320 : 제1베어링
400 : 밀폐수단 410 : 하우징부재
420 : 오링 440 : 제3베어링
500 : 흡입팬 600 : 동력전달수단
610 : 회전축 620 : 체결너트
630 : 너트 640 : 하부클러치부재
700 : 탈수수단 710 : 내조
720 : 상부클러치부재 721 : 센터맞춤구멍
800 : 덮개수단 810 : 용기덮개
820 : 멈춤링 830 : 제4베어링
840 : 지지축 850 : 너트
860 : 내조가이드덮개 870 : 너트
900 : 엘보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이 본체의 안쪽하부에 설치된 제1지지수단과, 이 제1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제2지지수단과, 이 제2지지수단을 매개로 본체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밀폐수단과, 상기 제1지지수단과 제2지지수단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흡입력에 의해 동력전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팬과, 상기 제2지지수단과 밀폐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부에는 흡입팬이 체결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에 적재시킨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수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분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탈수수단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된 덮개수단과, 상기 제2지지수단에 일단이 끼워지고 타단이 공기유입파이프와 연통되도록 밀폐수단의 측면끼워져 상기 제2지지수단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기유입파이프로 흡입되도록 안내하는 엘보우관으로 이루어진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와 상부클러치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을 설명하는 도1과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안쪽 하부에 설치된 제1지지수단(200)과, 이 제1지지수단(200)에 용접된 제2지지수단(300)과, 이 제2지지수단(300)을 매개로 본체(100)의 내부에 일정 높이로 설치된 밀폐수단(400)과, 상기 제1지지수단(200)과 제2지지수단(300)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a)의 흡입력에 의해 동력전달수단(600)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팬(500)과, 상기 제2지지수단(300)과 밀폐수단(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부에는 흡입팬(500)이 체결된 동력전달수단(600)과, 상기 밀폐수단(400)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에 적재시킨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수수단(700)과,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분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탈수수단(700)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 덮개수단(800)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탈수수단(700)은, 음식쓰레기를 수용하여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구멍(711)이 원주면에 관통형성된 내조(710)와, 이 내조(710)의 바닥면 중앙에서 하부로 일체적으로 돌출성형됨과 더불어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센터맞춤핀(650)이 끼워지는 센터맞춤구멍(72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클러치부재(64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된 상부클러치부재(720)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수단(800)을 본체(100)와 탈수수단(700)으로 부터 분리하여 상기 탈수수단(700)를 구성하는 내조(710)에 주방용 음식쓰레기를 넣은 후 덮개수단(800)의 용기덮개(810)는 용기(110)에 내조가이드덮게(860)는 내조(710)에 닫은 다음,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a)에 연결된 흡입호스(b)를 공기유입파이프(B)에 결합하고 진공청소기의 본체(a)를 작동시키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수분이 함께 유입됨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상기 공기유입구(114)와 공기유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구멍(311)에 설치된 엘보우관(900) 및 공기유입파이프(B)를 통해 본체(a)로 흡입되면서 공기의 흐름이 동력전달수단(600)에 설치된 흡입팬(50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동력전달수단(600)의 회전축(610)을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수단(600)을 구성하는 회전축(610)의 제1축(612)은 제1베어링(32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더불어 제4축(615)은 제3베어링(440)에 지지되어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10)의 상부에 체결된 하부클러치부재(640)의 중앙으로 돌출된 센터맞춤핀(650)이 상기 상부클러치부재(720)의 센터맞춤구멍(721)에 끼워져 센터를 맞춘 상태로 하부클러치부재(640)의 회전력이 상부클러치부재(720)에 전달되도록 조립하게 되면, 이 상부클러치부재(740)와 고정된 내조(710)가 회전하면서 음식쓰레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분이 원심력에 의해 내조(710)의 미세구멍(711)으로 누출되어 상기 밀폐수단(400)을 구성하는 하우징부재(410)의 경사부(411)를 따라 상기 물배출파이프(A)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후 수분이 완전히 배출된 음식쓰레기는 상기 덮개수단(800)를 열고 탈수수단(700)을 용기(100)의 밖으로 분리하여 쓰레기 봉투에 쏟아부으면 수분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와 상부클러치부재가 일체로 성형됨에 따라, 부품의 이동 및 관리가 용이하여 조립공정이 간단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외관을 형성하는 원통형의 본체와, 이 본체의 안쪽하부에 설치된 제1지지수단과, 이 제1지지수단에 의해 지지된 제2지지수단과, 이 제2지지수단을 매개로 본체의 내부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밀폐수단과, 상기 제1지지수단과 제2지지수단의 사이에 배치됨과 더불어 청소기를 구성하는 본체의 흡입력에 의해 동력전달수단에 회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흡입팬과, 상기 제2지지수단과 밀폐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부에는 흡입팬이 체결된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밀폐수단의 상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어 내부에 적재시킨 음식쓰레기의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 탈수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고정되어 수분이 상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탈수수단과 함게 회전되도록 설치된 덮개수단으로 이루어진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을 구성하는 내조와 상부클러치부재가 일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수단은, 음식쓰레기를 수용하여 물기를 제거 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미세구멍이 원주면에 관통형성된 내조와, 이 내조의 바닥면 중앙에서 하부로 일체적으로 돌출성형됨과 더불어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센터맞춤핀이 끼워지는 센터맞춤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클러치부재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된 상부클러치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019970040787A 1997-08-25 1997-08-25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177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87A KR19990017762A (ko) 1997-08-25 1997-08-25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87A KR19990017762A (ko) 1997-08-25 1997-08-25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62A true KR19990017762A (ko) 1999-03-15

Family

ID=66046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87A KR19990017762A (ko) 1997-08-25 1997-08-25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7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97021B2 (ja) 生ゴミ粉砕処理装置
KR200161639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17762A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200161641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200161643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WO2018121717A1 (zh) 一种洗衣机
KR200161642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01482763B1 (ko) 음식물 쓰레기 분쇄 배출장치
KR200161640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09788U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09786U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09787U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09785U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200161645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09789U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17763A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19990017761A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200161644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수분제거기
KR20120035839A (ko) 나선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WO2018082203A1 (zh) 一种封水式离合器及其洗衣机
CN219355500U (zh) 一种凝结水精处理分离设备
CN215785624U (zh) 一种具有油脂回收功能的水洗制浆一体机
CN220083458U (zh) 回转式真空干燥设备
JP2561683Y2 (ja) 生ごみ脱水機
JP2001090140A (ja) 流し台のゴミ受け脱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