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757A -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757A
KR19990017757A KR1019970040782A KR19970040782A KR19990017757A KR 19990017757 A KR19990017757 A KR 19990017757A KR 1019970040782 A KR1019970040782 A KR 1019970040782A KR 19970040782 A KR19970040782 A KR 19970040782A KR 19990017757 A KR19990017757 A KR 1999001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food
time
storage
aging
ferm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용보
Original Assignee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19970040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757A/ko
Publication of KR1999001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57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저장고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고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내공기를 냉각시켜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를 통해 소망하는 숙성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상기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발효식품의 숙성중에 정전이 되면 보조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정전시간을 계수하는 스텝 및, 정전복귀시에 상기 설정된 숙성시간과 상기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상기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져, 발효식품의 숙성되는 중에 정전되더라도, 정전복귀후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다시 숙성시간을 설정할 필요없이 초기에 설정된 숙성도에 따라 발효식품을 충분히 숙성시켜 이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발효식품 저장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전복귀시에 발효식품의 설정된 숙성시간을 계속적으로 수행시켜 소망하는 숙성도를 유지함으로써, 발효식품을 최적으로 숙성시켜 저장할 수 있도록 한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식품과 냉장식품 또는 발효식품(예를 들면, 김치 등)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이를 저장하기 알맞은 온도에 각각 보관해야 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냉동실과 냉장실을 구비한 냉장고가 주로 사용된다.
한편, 냉장고의 냉장실 내에 냉장식품과 발효식품을 함께 저장하게 되는 경우, 발효식품의 발효로 인해 발생되는 냄새 때문에 냉장실 내에 악취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다른 냉장식품에 악취가 배기게 되어 냉장식품의 고유냄새를 헤칠 수 있으며, 냉장실에 보관되는 냉장식품 및 발효식품의 증가로 인해 부피가 큰 발효식품(김치)을 별도의 저장고에 보관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은 숙성을 위해 김치독을 땅속에 묻고, 그 안에 김치를 보관해야 알맞게 숙성되어 제맛을 낼 수 있지만, 아파트, 연립주택 등의 주거환경 등에 의한 제약 때문에 김치독을 땅속에 묻기는 커녕, 주거지 내에 보관하기 조차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애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효식품을 냉장고가 아닌 별도의 저장고에 보관할 수 있는 발효식품 저장고(예를 들면, 김치저장고)에 관한 연구가 이와 관련된 여러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발효식품 저장고는 통상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종래의 통상적인 발효식품 저장고는, 저장고본체(2)와, 상기 저장고본체(2) 내에 발효식품을 저장 또는 취출할 때 사용하는 도어(4)와, 상기 도어(4)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손잡이(6)와, 발효식품 저장고의 기능을 설정하고 이를 수행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키가 구비된 키입력부(8) 및, 발효식품 저장고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0)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 소정부분에는, 고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22)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적절한 온도로 보관시키기 위해서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를 냉각시켜야 하는데, 발효식품 냉장고의 냉각싸이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압축기(12)를 통해 고온고압의 기체로 압축된 냉매가 응축기(14)로 유입되면서 외부공기와 열교환되어 저온고압의 냉매로 액화되고, 응축기(14)를 통해 액화된 저온고압의 액상냉매가 모세관(16)을 통과하면서 증발하기 쉬운 저온저압의 무상냉매로 감압되어 증발기(18)로 유입된다.
그 다음, 모세관(16)을 통해 감압된 저온저압의 냉매가 증발기(18)를 통해 발효식품 냉장고의 내측에 설치된 증발파이프를 통과하면서 증발되어 기화하므로써 고내공기를 찬공기로 열교환시켜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때, 증발기(18)를 통해 기화된 저온저압의 기체냉매는 다시 압축기(12)로 유입되어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냉동싸이클을 형성함으로써,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를 계속적으로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도 4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숙성 후에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사용자가 발효식품의 숙성시간(T1)을 설정하여 발효식품 저장고를 운전시키면,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이 설정된 숙성시간(T1) 동안 숙성된 다음, 압축기(12)가 구동되어 고내가 냉각되므로써, 숙성된 발효식품이 저장된다(T2).
그러나,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서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저장고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되는 경우,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동작이 정지되고, 다시 발효식품 저장고로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정전복귀되면 이전의 숙성진행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잔여하는 숙성시간을 수행하지 못하고, 발효식품의 저장을 수행하여 정전시에 사용자가 숙성시간을 다시 설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효식품의 숙성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숙성시간(T3+T4+T5)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숙성도가 T3 정도 진행되었을 때, 발효식품 저장고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정전되면 숙성이 중단되고(T4), 다시 발효식품 저장고로 상용전원이 공급되어 정전복귀되는 경우, 이전의 숙성진행정도(T3)를 알 수 없기 때문에, 잔여하는 숙성시간(T5) 동안 발효식품을 숙성시키지 않고 바로 압축기(12)를 구동시켜 고내를 냉각시키므로써 발효식품이 저장되어(T5+T6), 정전시에 사용자가 숙성시간을 다시 설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발효식품의 숙성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서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발효식품 저장고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된 다음, 다시 정전복귀되면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을 숙성시켜 저장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숙성도를 만족시킬 수 있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저장고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고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내공기를 냉각시켜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 소정부분에 설치되며, 고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정전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와, 정전시에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정전시간을 계수하여 정전이 복귀되면, 상기 설정된 숙성시간과 상기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키고, 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저장고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고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내공기를 냉각시켜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를 통해 소망하는 숙성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상기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발효식품의 숙성중에 정전이 되면 보조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정전시간을 계수하는 스텝 및, 정전복귀시에 상기 설정된 숙성시간과 상기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상기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발효식품 저장고의 외부사시도,
도 2는 온도센서가 취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발효식품 저장고의 냉각싸이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숙성 후에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정전복귀시에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럭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발효식품을 숙성시키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후에 저장하는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저장고본체 4 : 도어
6 : 손잡이 8 : 키입력부
10 : 표시부 12 : 압축기
22 : 온도센서 24 : 보조전원공급부
40 : 제어부 52 : 압축기 구동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블럭구성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는, 키입력부(8), 온도센서(22), 제어부(40), 표시부(10), 압축기 구동부(52) 및 압축기(12)로 구성된다.
도 3에 있어서, 키입력부(8), 온도센서(22), 표시부(10) 및 압축기(12)는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여기에서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보조전원 공급부(24)는 정전시에 제어부(40)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부(40)는 키입력부(8)로부터 운전키신호가 입력되면 키입력부(8)를 통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온도센서(22)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고내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현재 발효식품 저장고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한편, 제어부(40)는 정전시에 보조전원공급부(2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정전시간을 계수하여 정전이 복귀되면, 설정된 숙성시간 중에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압축기 구동부(52)는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12)를 구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발효식품 저장고의 도어(4)를 개방하여 고내로 발효식품을 저장한 다음 도어(4)를 폐쇄시키고, 키입력부(8)를 통해 발효식품의 소망하는 숙성시간을 설정한 다음(스텝 712), 운전키를 조작하면 키입력부(8)로부터 그에 상응하는 키신호가 제어부(40)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어부(40)는 키입력부(8)로부터의 키신호에 의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온도센서(22)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고내온도를 유지시킴으로써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온도센서(22)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이 숙성된다(스텝 714).
그리고, 상기 스텝(714)에서 발효식품이 수행되는 중에 제어부(40)는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었는가를 체크하여(스텝 716),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었으면, 발효식품을 저장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압축기 구동부(52)를 통해 압축기(12)가 구동되므로써,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서 발효식품이 저장된다(스텝 728).
한편, 상기 스텝(714)에서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발효식품 저장고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정전되면, 보조전원공급부(24)로부터 보조전원이 제어부(40)로 입력되고(스텝 716, 718, 720), 보조전원공급부(24)로부터 입력되는 보조전원에 의해 제어부(40)가 구동된다.
이때, 제어부(40)는 정전시간을 계수하면서(스텝 722), 발효식품 저장고로 상용전원이 다시 공급되는가를 체크한다(스텝 724).
상기 스텝(724)에서의 체크결과, 발효식품 저장고로 상용전원이 다시 인가되면, 제어부(40)는 스텝(712)에서 설정된 숙성시간과 스텝(722)에서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을 연산하여 연산된 잔여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정전복귀된 다음,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온도센서(22)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이 숙성된 다음(스텝 726), 압축기 구동부(52)를 통해 압축기(12)가 구동되므로써,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서 발효식품이 저장된다(스텝 728).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숙성시간(T7+T8+T9)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숙성도가 T7 정도 진행되었을 때, 발효식품 저장고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이 정전되면 숙성이 중단된다(T8).
이때, 보조전원공급부(24)로부터 보조전원이 제어부(40)로 공급되어 제어부(40)는 정전시간을 계수하여 발효식품 저장고로 다시 상용전원이 공급되면, 설정된 숙성시간(T7+T8+T9)과 계수된 정전시간(T8)을 비교하여 나머지 숙성시간(T9) 동안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제어부(4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온도센서(22)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발효식품이 숙성된 다음, 압축기 구동부(52)를 통해 압축기(12)가 구동되어 고내가 냉각되므로써 발효식품이 저장된다(T10).
여기에서, 정전시간(T8) 동안 고내의 온도가 상승되어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이 숙성되므로, 잔여하는 숙성시간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발효식품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이 숙성되는 중에 정전되더라도, 정전복귀 후에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숙성된 다음, 발효식품이 저장되므로써,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을 숙성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발효식품의 숙성되는 중에 정전되더라도, 정전복귀후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발효식품이 숙성되어 저장되므로, 사용자가 다시 숙성시간을 설정할 필요없이 초기에 설정된 숙성도에 따라 발효식품을 충분히 숙성시켜 이를 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저장고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고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내공기를 냉각시켜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효식품 저장고의 고내 소정부분에 설치되며, 고내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와; 정전시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전원공급부와; 정전시에 상기 보조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정전시간을 계수하여 정전이 복귀되면, 상기 설정된 숙성시간과 상기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고내온도에 따라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키고, 이를 저장하기 위해 상기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압축기 구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2.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숙성시간 동안 저장고 내에 저장되는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압축기를 구동하여 냉매를 순환시켜 저장고 내측에 설치된 증발기를 통해 고내공기와 열교환시킴으로써 고내공기를 냉각시켜 발효식품을 저장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를 통해 소망하는 숙성시간을 설정하면 설정된 숙성시간 동안 상기 저장고 내에 저장된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과; 상기 발효식품의 숙성중에 정전이 되면 보조전원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되어 정전시간을 계수하는 스텝 및; 정전복귀시에 상기 설정된 숙성시간과 상기 계수된 정전시간을 비교하여 잔여하는 숙성시간 동안 상기 발효식품을 숙성시킨 다음, 이를 저장하는 스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방법.
KR1019970040782A 1997-08-25 1997-08-25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KR19990017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82A KR19990017757A (ko) 1997-08-25 1997-08-25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782A KR19990017757A (ko) 1997-08-25 1997-08-25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57A true KR19990017757A (ko) 1999-03-15

Family

ID=66047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782A KR19990017757A (ko) 1997-08-25 1997-08-25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75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236A (ko) * 2000-10-09 2002-04-17 구자홍 김치냉장고의 정전 보상회로
KR20020057093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김치냉장고의 정전복귀시 제어방법
KR20040024817A (ko) * 2002-09-16 2004-03-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제어방법
KR100476448B1 (ko) * 2001-12-26 2005-03-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 냉장고 시스템의 전원관리장치
KR100493427B1 (ko) * 2002-08-22 2005-06-13 주식회사 빌텍 김치냉장고의 이전동작 확인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8236A (ko) * 2000-10-09 2002-04-17 구자홍 김치냉장고의 정전 보상회로
KR20020057093A (ko) * 2000-12-30 2002-07-11 구자홍 김치냉장고의 정전복귀시 제어방법
KR100476448B1 (ko) * 2001-12-26 2005-03-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인터넷 냉장고 시스템의 전원관리장치
KR100493427B1 (ko) * 2002-08-22 2005-06-13 주식회사 빌텍 김치냉장고의 이전동작 확인방법
KR20040024817A (ko) * 2002-09-16 2004-03-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1341B2 (ja) 醗酵機能を有する冷蔵庫システム
KR19990017757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숙성장치 및 방법
KR100650746B1 (ko) 김치 냉장고의 냉각 제어 방법
KR100239570B1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운전방법
KR100239569B1 (ko) 발효식품 저장고 및 그 운전방법
KR100256407B1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운전방법
KR100244336B1 (ko) 발효식품저장고의구동제어방법
KR19990033987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저장 제어방법
KR100239571B1 (ko) 김치저장고의 고내온도 유지방법
KR100321245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19990017756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절전장치 및 방법
KR19990041830A (ko) 냉장고의 고장진단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39568B1 (ko) 발효식품 저장고
KR100269458B1 (ko) 김치저장고의 압축기 구동제어 방법
KR100244908B1 (ko) 냉장고의 냉장실 운전 제어방법
KR19990017741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절전장치
KR100231042B1 (ko) 냉동식품 저장고의 기압조절구 보호장치
KR20010018957A (ko) 김치저장고의 내기순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17740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절전장치
KR100231041B1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기압조절구 보호장치
KR100260449B1 (ko) 수면기능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9990047876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과도숙성 방지장치 및 방법
KR19990033990A (ko) 발효식품 저장고의 저장 제어장치
KR100484971B1 (ko) 김치저장고의 운전제어방법
KR20000034719A (ko) 냉동실 팬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