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289A -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289A
KR19990017289A KR1019970040184A KR19970040184A KR19990017289A KR 19990017289 A KR19990017289 A KR 19990017289A KR 1019970040184 A KR1019970040184 A KR 1019970040184A KR 19970040184 A KR19970040184 A KR 19970040184A KR 19990017289 A KR19990017289 A KR 19990017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aser
laser radar
obstacl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4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289A/ko
Publication of KR1999001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8Radar; Laser, e.g.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46Type of detector
    • G01J2001/446Photo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al Radar Systems And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 측후방의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게 하여 차량의 측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차량의 추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으로,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하는 송광수단과, 상기 송광수단에서 발사된 레이저 중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레이저를 검출하는 수광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상기 송광수단, 수광수단 및 차속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물의 근접 및 차량 추돌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장애물의 근접 및 추돌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져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켜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차량의 측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차량의 추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 측후방의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설계가 간단해진다.

Description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본 발명은 차량의 측후방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켜 스캔 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측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추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측후방 경보장치는 차량의 운행중 운전자의 시계에 장애가 있는 측후방의 장애물이나 근접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여 줌으로써 각종 추돌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종래에는 도 4 에서 같이 차량의 앞, 뒤 범퍼에 레이저 레이다 센서(1)를 장착한 뒤 레이저 다이오드(1a)를 통해 정해진 스캔 각도에 따라 레이저를 발사하여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에서 반사되는 레이저에 의해 포토 트랜지스터(1b)가 온, 오프되어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면 제어부에서 이 신호에 따라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까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연산하여 추돌 가능성이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때 운전자에게 경보하여 주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가 함께 장착되어 차량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설정된 스캔 각도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해서만 장애물이나 근접한 차량을 검출하였기 때문에 장애물 인식 범위가 좁아서 차량의 측후방의 모든 장애물을 검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많이 설치하여 장애물 인식 범위를 넓힘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도 있지만 제작 비용이 증가하고 그 설계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켜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게 하여 차량의 측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차량의 추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 측후방의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게 하므로써 비용을 절감하며 그 설계를 간단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하는 송광수단과, 상기 송광수단에서 발사된 레이저 중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레이저를 검출하는 수광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상기 송광수단, 수광수단 및 차속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물의 근접 및 차량 추돌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장애물의 근접 및 추돌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적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10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측후방 경보장치를 적용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송광부(10)와, 수광부(20), 차속센서(30), 제어부(40), 경보부(50)로 이루어진다.
송광부(10)는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2)로 이루어져 차량 뒤 범퍼의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소정의 제어신호에 의해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한다.
수광부(20)는 여러개의 렌즈와 레이저의 빛에 의해 온, 오프 되는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져 차량의 양 측방과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송광부(10)에 의해 발사되어 장애물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차속센서(30)는 차량의 차속을 검출한다.
제어부(40)는 상기 송광부(10)를 동작하기 위한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수광부(20)의 신호에 따라 장애물과의 거리를 연산하며, 상기 차속센서(30)에서 검출된 차속과 상기에서 연산된 장애물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상대속도를 연산하여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에 따라 장애물과의 추돌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소정의 신호를 출력한다.
경보부(50)는 상기 제어부(40)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장애물과의 추돌 가능성을 알 수 있도록 경보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그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운행시 제어부(40)가 소정의 제어신호를 송광부(10)에 출력하면 모터(11)는 일정한 회전수로 구동된다.
그러면 레이저 다이오드(12)도 상기 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을 함과 동시에 연속적으로 레이저를 발사한다.
상기에서 레이저는 상기 송광부(10)가 차량의 뒤 범퍼 좌우측에 설치되어 회전하므로 차량의 전방을 제외한 측후방 전체로 발사된다.
이때 차량의 측후방에 장애물이나 근접한 차량이 있어서 발사된 레이저가 반사되면 수광부(20)의 렌즈를 통해 들어온 레이저가 포토 다이오드를 도통시킨다.
상기에서 포토 다이오드는 연속해서 들어오는 레이저에 의해 도통 동작을 반복하여 펄스파의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40)는 상기 송광부(10)를 통해 레이저가 발사된 시간과 상기 수광부(20)를 통해 레이저가 반사되어 온 시간에 따라 장애물과의 거리를 연산함과 동시에 장애물이 어느쪽에 있는지를 수광부(20)의 신호에 의해 판단하여 설정된 거리내에 근접한 장애물이나 차량이 있을 경우에는 경보부(50)를 통해 운전자가 어느 방향에 근접한 장애물이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경보하여 준다.
또한, 상기에서 제어부(40)는 차속센서(30)에서 검출된 차속과 계속적으로 연산되는 장애물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장애물과의 상대속도를 연산하여 거리 및 상대속도에 따라 설정된 데이터에 의해 추돌 가능성을 판단함과 동시에 상기와 같이 수광부(20)의 신호에 따라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한다.
상기에서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과의 추돌 가능성이 있으면 제어부(40)는 경보부(50)를 통해 상기 장애물이나 차량이 근접한 상태일 때와는 다른 경보를 발하여 운전자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하는 장애물이나 다른 차량에 의해서 추돌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켜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게 함으로써 차량의 측후방에 있는 장애물을 인식하여 차량의 추돌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회전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레이저 레이다 센서를 추가하지 않고도 차량 측후방의 장애물 인식범위를 넓힐 수 있으므로 비용이 절감되고 설계가 간단해진다.

Claims (5)

  1. 차량의 측후방 경보장치에 있어서,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하는 송광수단과;
    상기 송광수단에서 발사된 레이저 중에서 반사되어 들어오는 레이저를 검출하는 수광수단과;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검출수단과;
    상기 송광수단, 수광수단 및 차속검출수단의 신호를 분석하여 장애물의 근접 및 차량 추돌 가능성을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신호에 따라 운전자가 장애물의 근접 및 추돌 가능성을 인식할 수 있는 경보를 발하는 경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송광수단은 일정한 회전수로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동하여 회전하며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3. 청구항 1 또는 2 에 있어서, 상기 송광수단은 차량의 뒤 범퍼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은 여러개의 렌즈와 레이저에 의해 도통되는 포토 다이오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5. 청구항 1 또는 4 에 있어서, 상기 수광수단은 차량의 양 측면과 후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KR1019970040184A 1997-08-22 1997-08-22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KR19990017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184A KR19990017289A (ko) 1997-08-22 1997-08-22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0184A KR19990017289A (ko) 1997-08-22 1997-08-22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289A true KR19990017289A (ko) 1999-03-15

Family

ID=6604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184A KR19990017289A (ko) 1997-08-22 1997-08-22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2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08B1 (ko) * 1999-11-06 2007-01-02 강신란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CN113552590A (zh) * 2020-04-24 2021-10-26 北醒(北京)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后方预警系统
KR20210158101A (ko) * 2020-06-23 2021-12-30 유인환 차량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308B1 (ko) * 1999-11-06 2007-01-02 강신란 프루브 카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장치
CN113552590A (zh) * 2020-04-24 2021-10-26 北醒(北京)光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激光雷达的车后方预警系统
KR20210158101A (ko) * 2020-06-23 2021-12-30 유인환 차량 2차 사고 방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1957B1 (en) Blind spot detector
US5808728A (en) Vehicle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JPH1010233A (ja) レーザ式障害物検知方法およびセンサ
US6208270B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on of aircraft wire hazard
JP2008514907A (ja) 駐車余地を測定する赤外線センサ及び車両に対する周囲の状況の監視
US6036209A (en) System for managing safe mobile run by scanning lane
JP4284652B2 (ja) レーダ装置
KR19990017289A (ko) 레이저 레이다를 이용한 측후방 경보장치
JPH1172562A (ja) 車間距離警報装置
JPH06289138A (ja) 障害物検出装置
JP3775191B2 (ja) 歩行者存在報知装置及び車載用歩行者検出装置
WO1998034131A1 (en) Signal warning device on vehicles to attract the driver's attention
JP2986567B2 (ja) 車間距離測定装置
KR200219803Y1 (ko) 자동차의 충돌 방지 경보 장치
JP4221663B2 (ja) レーダ装置
KR100193434B1 (ko) 자동차의 측방충돌방지 경보장치
KR19980052731A (ko) 자동차의 측방충돌방지경보장치
KR0143924B1 (ko) 광파이버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사이드미러 반사각 자동 조정장치
KR100240409B1 (ko) 열추적방식을 이용한 자동차의 사고발생 경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0555B1 (ko) 차선변경시 차량충돌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90032866A (ko) 스케닝 레이져 레이더
JPH09211129A (ja) 車両用レーダ装置
KR19980052729A (ko) 자동차의 전방장애물감지장치
JP2000338248A (ja) 自動車用レーザレーダ装置
JPS63163600A (ja) センサ取付位置規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