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7094U -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 Google Patents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7094U
KR19990017094U KR2019970030538U KR19970030538U KR19990017094U KR 19990017094 U KR19990017094 U KR 19990017094U KR 2019970030538 U KR2019970030538 U KR 2019970030538U KR 19970030538 U KR19970030538 U KR 19970030538U KR 19990017094 U KR19990017094 U KR 199900170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assette
mini
mini cassett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5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재봉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5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7094U/ko
Publication of KR199900170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094U/ko

Link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휴대가 간편하도록 그 형상이 슬림형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니 카세트를 세우는 경우, 미니 카세트가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미니 카세트(10)의 배면에 받침대 홈(40)이 형성되고, 이 받침대 홈(40)에는 받침대(50)가 힌지 결합되어 미니 카세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되는 등 안정적으로 음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본 고안은 미니 카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미니 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니 카세트는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거나, 또는 카세트 테이프에 정보를 녹음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외에 기종에 따라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튜너가 설치된다.
이러한 미니 카세트는 그 크기가 작게 만들어지므로 휴대가 간편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부분 이어폰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사운드를 청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미니 카세트는 그 크기가 작은 만큼 구조가 복잡하므로 작은 충격에서 부품이 쉽게 파손되거나 미니 카세트의 기능 일부가 동작되지 않는 등 세심한 주의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미니 카세트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고장은 자체적인 성능의 저하보다는 미니 카세트를 떨어뜨리거나 충격이 가해지는 것과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대부분의 미니 카세트가 고장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미니 카세트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슬림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휴대가 간편하고, 본체(20)의 전면에는 카세트 도어(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윗면과 측면에는 플레이, 이젝트, 등과 같은 데크 스위치(30)와 볼륨노브(31) 및 이어폰의 잭이 접속되는 접속단자(32)가 설치되며, 또한, 본체(20)의 배면에는 미니 카세트(10)의 종류에 따라 외장 스피커나 건전지 박스(33)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니 카세트(10)는 본체 안쪽에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플레이 버튼 등을 눌러주므로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된 정보, 예를 들면 어학이나 음악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되고, 또는 라디오 방송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미니 카세트는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가 간편하도록 그 형상이 슬림형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미니 카세트(10)를 세우는 경우, 미니 카세트(10)가 쉽게 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술하면, 슬림형 직육면체의 미니 카세트(10)는 세워 놓는 것이 가능하나, 그 두께가 얇으므로 조그마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넘어지고, 이 과정에서 미니 카세트(10)는 충격을 받게 된다. 따라서, 미니 카세트(10)는 넘어질 때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고장이 발생되거나, 음을 청취하고 있는 경우에는 충격으로 인해 음의 재생이 잠시 끊어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미니 카세트(10)를 눕혀 놓은 상태에서 음악 등을 청취하게 된다.
그러나, 눕혀 놓은 상태의 미니 카세트(10)는 카세트 테이프가 주행될 때, 자중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에 감겨진 테이프가 한쪽, 즉 아랫방향으로 치우쳐 감겨지므로 도시되지 않은 미니 카세트(10)의 헤드와 접촉되는 접촉성이 세워진 미니 카세트(10) 보다는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음의 재생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또한 중간에 음이 잠깐 끊어지는 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의 배면에 착탈이 이루어지는 받침대를 설치하여 미니 카세트를 보다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는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니 카세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미니 카세트를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미니 카세트 20; 본체
30; 데크 스위치 31; 볼륨노브
32; 접속단자 33; 건전지 박스
40; 받침대 홈 50; 받침대
60; 결합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는 배면에 양쪽 상단부가 예각의 받침대 홈이 형성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받침대 홈에 삽입 끼워지는 받침대와; 이러한 받침대를 받침대 홈 힌지와 결합시키는 결합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미니 카세트를 배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미니 카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니 카세트는 전체적인 형상이 슬림형의 직육면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0)의 전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카세트 도어가 구비되고, 본체(20)의 윗면과 측면에는 플레이, 이젝트, 등과 같은 데크 스위치(30)와 볼륨노브(31) 및 이어폰의 잭이 접속되는 접속단자(32)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20)의 배면 하부에는 미니 카세트(10)의 종류에 따라 외장 스피커나 건전지 박스(33)가 구비되고, 배면 중앙 하부에는 받침대 홈(40)이 형성된다. 이러한 받침대 홈(40)은 윗부분이 개방된 대략 ㄷ자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또한, 받침대 홈(40)에 삽입되는 받침대(50)는 상기한 받침대 홈(40)과 같은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받침대(50)의 양쪽 끝부분과 받침대 홈(40)의 양쪽 끝부분은 결합핀(6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한편, 상기한 받침대 홈(4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어느 정도 삽입되어 받침대(50)를 꺼내는 작업이 보다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상술한 받침대(50)보다 받침대 홈(40)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미니 카세트(10)를 휴대하다가 지면이나 책상 등에 세워 놓을 때에는 본체(20)의 배면에 힌지 결합된 받침대(50)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미니 카세트(10)를 세워 놓을 수 있게 된다.
상술하면, 미니 카세트(10)를 안정적으로 세우기 위해 사용자가 본체(20)의 배면에 설치된 받침대(50)를 꺼내면, 이 받침대(50)는 결합핀(6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본체(20)의 받침대 홈(40)에서 회전 이탈된다. 따라서, 받침대(50)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니 카세트(10)의 배면과 일정 각도로 벌어지게 되며, 미니 카세트(10)는 탁상용 액자와 같이 안정적으로 세워진다.
이때, 상술한 본체(20)의 받침대 홈(40)은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받침대(5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부분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볍게 손가락을 이용하여 받침대(50)를 받침대 홈(40)으로 꺼낼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본체(20)의 받침대 홈(40)은 도 3에서와 같이 양쪽 윗부분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받침대(50)가 그 이상 벌어지는 것을 자연히 방지하여 미니 카세트(10)가 보다 안정적으로 세워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세워진 미니 카세트(10)의 도어를 통해 카세트 테이프를 삽입한 후, 사용자가 플레이 버튼 등을 눌러주므로 카세트 테이프에 저장된 정보, 예를 들면 어학이나 음악 등을 청취하거나, 라디오 방송 등을 청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러한 미니 카세트(10)를 휴대할 때에는 단순히 사용자가 손으로 받침대(50)를 눌러주므로 받침대(50)는 받침대 홈(40)에 회전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받침대(50)가 노출되지 않은 작은 크기의 미니 카세트(10)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미니 카세트외에 카세트 테이프나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소형, 또는 미니 라디오 등의 전자제품에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미니 카세트의 배면에 받침대 홈이 형성되고, 이 받침대 홈에는 받침대가 힌지 결합되어 미니 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니 카세트는 기존의 미니 카세트의 문제점인 쉽게 넘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음의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카세트 테이프 등에 기록된 정보를 헤드에 의해 재생하거나 라디오 방송을 수신 출력하는 미니 카세트에 있어서,
    받침대 홈(40)이 배면에 형성되며, 이 받침대 홈(40)의 양쪽 상단부가 예각으로 형성되는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받침대 홈(40)에 삽입되는 대략 ㄷ자 형상의 받침대(50)와;
    상기 받침대(50)를 상기 본체(20)의 받침대 홈(40)에 힌지 결합시키는 결합핀(60);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KR2019970030538U 1997-10-31 1997-10-31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KR199900170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38U KR19990017094U (ko) 1997-10-31 1997-10-31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538U KR19990017094U (ko) 1997-10-31 1997-10-31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094U true KR19990017094U (ko) 1999-05-25

Family

ID=69690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538U KR19990017094U (ko) 1997-10-31 1997-10-31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709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7659A (en) Speaker apparatus
US5499465A (en) Pressure-sensitive switch for talking picture frame
JPH03165394A (ja) 折りたたみ可能な平面スクリーンを有するビデオ―オーディオ装置
US5016241A (en) Small disk adapter with storage case
JP3519988B2 (ja) 電池絶縁・表示面保護用シートおよび電池絶縁・表示面保護用シート付き携帯情報端末
US7043044B2 (en) Portable audio player
KR19990017094U (ko) 미니 카세트의 받침대 구조
EP0044678B1 (en) Magnetic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eiving radio broadcast programmes
JPH0294899A (ja) ヘッドホン再生装置
JP3776733B2 (ja) スピーカ一体型オーディオ装置
JP2517967Y2 (ja) 電話機
CN216772816U (zh) 一种具有电位保护器的cd机
CN220493114U (zh) 一种具有视频放大镜的音箱
CN211125022U (zh) 一种电唱机结构
JP2001332076A (ja) 携帯型音響機器
JPH0610498Y2 (ja) カセット式テーププレーヤ
KR19990018923U (ko) 미니 카세트 플레이어와 외부 스피커의 결합구조
JP3055558U (ja) スピーカ付き手提げカバン
JPH10199221A (ja) 携帯式音響装置
US5291353A (en) Reco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3533634A (en) Phonograph record player
JPS5810161Y2 (ja) 携帯用レコ−ドプレ−ヤ付音響機器
KR19990018924U (ko) 미니 카세트 플레이어와 외부 스피커의 결합구조
KR970005060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카세트 홀더장치
KR200324866Y1 (ko) 오디오 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