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017A -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017A
KR19990016017A KR1019970038433A KR19970038433A KR19990016017A KR 19990016017 A KR19990016017 A KR 19990016017A KR 1019970038433 A KR1019970038433 A KR 1019970038433A KR 19970038433 A KR19970038433 A KR 19970038433A KR 19990016017 A KR19990016017 A KR 1999001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voice message
call
servic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근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8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017A/ko
Publication of KR1999001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0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1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 H04M1/2472Configurable and interactive telephone terminals with subscriber controlled features modifications, e.g. with ADSI capability [Analog Display Services Interface] with programmable function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 H04M1/6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 H04M1/6505Recording arrangements for recording a message from the calling party storing speech in digital fo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04Establishing a communication with one of a facsimile and another telecommunication apparatus sharing a single line
    • H04N1/32739Generating signals
    • H04N1/32741Generating ringing or calling signals or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 모닝콜 서비스 수행 장치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모닝콜 서비스시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 예를 들어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음성 메시지를 녹음 가능하며, 모닝콜 서비스를 수행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하였다가 모닝콜 서비스시 이를 출력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모닝콜 서비스를 이용한 스케줄 관리에 중요히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고,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한 후 모닝콜 서비스시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며, 모닝콜 서비스가 가능한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자동 응답전화기나 팩시밀리 등을 들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한 자동 응답전화기는 음성 신호를 녹음하는 매체 종류에 따라 구분된다. 현재 통용되는 응답전화기는 테이프에 음성신호를 녹음하는 자동 응답전화기와 음성메모리(deckless)에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는 자동 응답전화기로 대별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 응답전화기는 녹음모드에서 실행된 순서대로 음성 정보를 녹음하며, 재생모드에서는 녹음된 순서대로 음성정보를 재생한다. 또한 상기한 자동 응답전화기에는 모닝콜이라 불리는 알람(alarm)기능을 가질 수 도 있는데, 모닝콜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각에 알람을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모닝콜 서비스는 벨소리나 혹은 현재 시각 음성 신호로 사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한편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현대인은 하루의 스케줄을 일일이 챙기기가 힘들어 종종 약속을 잊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여 낭패를 겪을 때가 있다. 따라서 스케줄을 잊어버리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확인하기 쉬운 위치에 메모하여 두고 자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닝콜 서비스시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닝콜 서비스시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를 녹음 가능하며, 모닝콜 서비스를 수행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하였다가 모닝콜 서비스시 이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적용되는 자동 응답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모닝콜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메시지 모닝콜 동작을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제어 과정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녹음 및 재생 기능을 수행하며 모닝콜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 응답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 10은 자동 응답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 10은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내부에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을 구비한다. 제어부 10의 내부 램에는 본 발명의 특징에 모닝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모닝콜 서비스 실시 시각 및 음성메모리 38에 저장된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영역이 할당되게 된다. 메모리 12는 자동 응답전화기에서 정전시에도 유지하여야 할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메모리 12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키입력부 14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상기 키입력부 14에는 모닝콜 설정을 위해 모닝콜설정키를 구비할 수도 있다. 표시부 16은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하에 응답전화기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 16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링검출부 18은 전화라인과 연결되며, 온-후크(on-hook) 상태에서 전화라인으로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 10에 착신 상태임을 통보한다. 릴레이 20은 후크스위치(hook switch)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하에 전화라인과 응답전화기의 통화로를 형성 및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화회로부 22는 상기 릴레이 20과 송화부 24 및 수화부 26 사이에 연결된다. 통화회로부 22는 음성회로(speech IC)로서 전화라인과 연결되어 송수신되는 각종 톤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여기서 상기 송화부 24 및 수화부 26은 마이크 및 스피커 또는 송수화기가 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자동 응답전화기인 경우, 상기 통화회로부 22에 RF신호를 처리하는 무선부가 상기 송화부 24 및 수화부 26과 병렬 연결된다. DTMF발생부 28은 상기 제어부 10과 통화회로부 22 사이에 연결되며, 제어부 10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DTMF(Dual Tone Multi-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통화회로부 22로 출력한다. DTMF수신부 30은 통화회로부 22와 제어부 10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통화회로부 22에서 출력되는 DTMF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 10으로 출력한다. 음성처리부 32는 통화회로부 22와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하에 통화회로부 22에서 수신되는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거나 녹음한 메시지를 음성신호로 재생하여 통화회로부 22에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음성처리부 32가 코덱 34, 음성제어부 36 및 음성메모리 38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덱(CODEC) 34는 통화회로부 22와 연결되며, 녹음모드시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재생모드시 출력되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회로부 22에 출력한다. 음성제어부 36은 상기 제어부 10의 제어하에 녹음모드시 상기 코덱 34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녹음할 수 있도록 압축 부호화하여 출력하며, 재생 모드시 출력할 음성 데이터를 액세스한 후 신장 복호화하여 사익 코덱 34에 출력한다. 상기 음성제어부 36은 디지털 신호처리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사용할 수 있다. 음성메모리 38은 녹음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 36의 제어하에 음성 메시지를 지정된 영역에 녹음하고, 재생모드시 상기 음성제어부 36의 제어하에 지정된 영역에 녹음된 음성메시지를 출력한다. 상기 음성메모리 38에는 모닝콜 서비스시 출력될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응답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콜 설정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 10은 40단계에서 키입력부 14를 통해 모닝콜설정키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모닝콜설정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이후 42단계에서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모닝콜 기능을 설정하게 된다. 모닝콜 기능의 설정은 사용자에 의한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할 시각이나 벨소리의 선택 등이 키입력부 14에 구비된 숫자키 등을 통해 입력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후 44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스케줄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표시부 16을 통해 문자 정보로 표시할 수도 있고, 상기 송화부 24를 통한 스피커 등으로 음성 신호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메시지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키입력부 14에 구비된 숫자키 등을 통해 스케줄 음성 메시지의 출력을 설정하게 되면, 이를 제어부 10은 46단계에서 감지하여 48단계로 진행한다. 48단계에서 제어부 10은 음성메모리 38에 스케줄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게 된다. 스케줄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과정은 일반적인 음성 메시지의 녹음과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후 49단계에서 제어부 10은 모닝콜 모드를 세트(set)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 설정 과정을 종료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동 응답전화기에서 모닝콜 서비스 시간을 체크하여 모닝콜 서비스를 실시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콜 동작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 10은 50단계에서 모닝콜 모드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단하여 세트되어 있으면 52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 10은 52단계에서 모닝콜 서비스 수행 시간을 체크하게 된다. 상기 모닝콜 서비스 수행시간의 체크는 상기 내부 램에 저장된 모닝콜 서비스 수행 시간을 내부 타이머에 의한 현재 시간과 비교함으로서 체크될 수 있다. 제어부 10은 54단계에서 모닝콜 수행시각이 되었다고 판단되면 56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모닝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후 58단계에서 스케줄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설정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출력하도록 설정되지 않았으면 그대로 종료하게 되고 출력하도록 설정되었으면 60단계로 진행하여 음성메모리 38에 저장되어 있는 스케줄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후 62단계에서는 제어부 10은 사용자에 의한 스케줄 음성 메시지의 재출력을 요구하는 신호가 키입력부 14를 통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여 입력되었으면 64단계로 진행하여 스케줄 음성 메시지를 재출력한 후 다시 상기 62단계로 진행하고, 스케줄 음성 메시지의 재출력이 요구되지 않았으면, 종료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닝콜 서비스를 수행도중 사용자에 의해서 후크-오프(hook off)상태가 발생하면 이를 판단하여 모닝콜 서비스를 그대로 종료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스케줄의 녹음을 위한 음성 메시지를 일반적인 음성메모리 38에 녹음하였으나, 소정 메모리를 더 제공하여 상기한 스케줄 음성 메시지만을 따로 녹음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자동 응답전화기에 적용된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뿐만 아니라 자동 응답 기능을 구비한 팩시밀리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 메시지를 녹음 가능하며, 모닝콜 서비스를 수행 가능한 장치에 있어서, 스케줄의 음성 메시지를 미리 녹음하였다가 모닝콜 서비스시 이를 출력하므로 모닝콜 서비스시 미리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0)

  1. 음성 메시지를 녹음 재생 가능한 단말 장치의 상기 음성 메시지를 모닝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 메시지를 모닝콜할 시각을 소정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할 시각에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할 시각에 상기 음성 메시지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단말 장치의 내부 타이머에 의해 계산되는 현재 시각과 상기 저장된 모닝콜할 시각을 비교하여 상기 모닝콜할 시각이 상기 현재 시각과 같을 때 실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자동 응답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자동 응답 기능이 제공되는 팩시밀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5. 음성 메시지의 녹음 재생이 가능하며, 모닝콜 서비스의 수행이 가능한 장치의 상기 음성 메시지를 모닝콜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성 메시지를 녹음하는 과정과,
    상기 모닝콜 서비스의 수행시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여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닝콜 서비스의 수행시 상기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는 상기 녹음되는 과정에서 별도의 소정 메모리에 녹음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전화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팩시밀리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 있어서,
    상기 모닝콜 서비스의 수행시 사용자에 의한 후크 오프의 발생시 상기 모닝콜 서비스를 그대로 종료하는 과정이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한 소정 키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모닝콜 서비스시 상기 녹음된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게 하는 과정이 더 첨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닝콜 방법.
KR1019970038433A 1997-08-12 1997-08-12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KR19990016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433A KR19990016017A (ko) 1997-08-12 1997-08-12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8433A KR19990016017A (ko) 1997-08-12 1997-08-12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017A true KR19990016017A (ko) 1999-03-05

Family

ID=66000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433A KR19990016017A (ko) 1997-08-12 1997-08-12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0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28835A (en) Remote access to telephone numbers stored in a telephone set
KR19990016017A (ko) 음성 메시지의 모닝콜 방법
GB2340338A (en) A telephone arranged to generate a waiting message
KR0124475B1 (ko) 디지탈 셀룰라폰의 수신메세지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191342B1 (ko) 전화기의 예약시각 자동 알람방법
KR19990016019A (ko) 음성 메시지 예약 송신 방법
KR100247052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통화중 음성메시지 전송방법
KR100296986B1 (ko) 단축다이얼링방법
KR20030040997A (ko) 수면 중 벨소리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이동전화기
KR100346108B1 (ko) 지정시간 다이알 경보방법
KR101166189B1 (ko) 음성 데이터를 이용한 알람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및 그 동작방법
KR20000001188A (ko) 모닝콜 원격 제어방법
JPS60240258A (ja) 自動始動式留守番電話装置
JPH0998213A (ja) 留守番電話機
KR0158313B1 (ko) 통화내용저장기능을 갖춘 확장메모리장치와 이를 운용하는 전화 시스템
JPH10271225A (ja) 通信装置
KR20030003832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에서의 자동응답을 제공하는 방법
KR20000007789A (ko) 전화벨 신호 출력 여부를 설정 가능한 전화기 및 그것의 동작방법
KR19990004537A (ko) 페이져 호출처 구별 자동응답전화기 및 그 방법
KR19990004538A (ko) 시간 예약 메시지 수신 및 전달 기능을 갖는 자동응답전화기 및 그 운용방법
KR20010025975A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메시지량 표시방법
JP2000092190A (ja) 無線電話装置の不在通知方式
JP2000059491A (ja) 電話装置
KR19990032252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수신된 메시지 유무 상태 안내 방법
KR20020090796A (ko) 통화가능시각이 설정된 자동응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