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5530U -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5530U
KR19990015530U KR2019970028836U KR19970028836U KR19990015530U KR 19990015530 U KR19990015530 U KR 19990015530U KR 2019970028836 U KR2019970028836 U KR 2019970028836U KR 19970028836 U KR19970028836 U KR 19970028836U KR 19990015530 U KR19990015530 U KR 199900155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transparent glass
glass sphere
triangular frame
tri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8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환선
Original Assignee
강환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환선 filed Critical 강환선
Priority to KR2019970028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5530U/ko
Publication of KR19990015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5530U/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러 하우징 내에 각각 다른 종류의 거울이 부착된 삼각틀 미러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삼각틀 미러 및 유리구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3면에 서로 다른 3개의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삼각틀 미러(60)와, 상기 삼각틀 미러(60)의 내측에 위치되어 삼각틀 미러(6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62)와, 상기 삼각틀 미러(60)가 내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후방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삼각틀 미러(62)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55)와, 상기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57)와, 상기 삼각틀 미러(60) 및 투명 유리구(55)가 내재되어 있고 상기 삼각틀 미러(60)를 통해 측후방을 볼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차체(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러 하우징(50)과, 상기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에 끼워져서 상기 투명 유리구(55)가 회전될 때 투명 유리구(55)의 표면을 닦아주는 크리너 링(70)과, 상기 제1모터(62) 및 제2모터(57)에 연결되어 상기 삼각틀 미러(60)와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키는 원격 조정 스위치(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본 고안은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러 하우징 내에 각각 다른 종류의 거울이 부착된 삼각틀 미러와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삼각틀 미러 및 유리구를 회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정차시나 주행중 차량의 측후방을 볼 수 있도록 차체 측면 쪽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 미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나 도어(1)에 고정된 미러 하우징(2)에 측후방을 주시할 수 있도록 거울(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미러는 운전자의 눈 높이에 따라 미러 하우징(2)을 일정 정도 회동시켜 측후방 시야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러 하우징(2)에는 일반적으로 평거울이 설치되나 운전자가 측후방 시야를 넓히기 위해 평거울 대신 볼록 거울을 설치하기도 하며, 또한 야간에 뒤쪽 차에서 비치는 빛의 반사를 줄이기 위해 브라운색 거울 등을 설치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미러 하우징(2)에 설치된 하나의 거울(3)로만 측후방을 볼 수 있기 때문에 거울의 선택이 하나로만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사이드 미러는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거울 전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기 쉽고, 특히 비나 눈이 올 때 주행하게 되면 거울에 물기가 묻어 측후방이 잘 보이지 않게 되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 유리구의 내측에 삼각틀 미러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선택에 따라 투명 유리구 및 삼각틀 미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보다 선명한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2a는 전체 분해 사시도,
도 2b는 결합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차체 50 : 미러 하우징
52 : 개구부 55 : 투명 유리구
57 : 제2모터 60 : 삼각틀 유리
62 : 제1모터 63 : 삼발 연결구
65 : 고정 부재 70 : 크리너 링
72 : 결합링 74 : 크린링
80 : 원격 조정 스위치 90 : 세척액 분사구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3면에 서로 다른 3개의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삼각틀 미러와, 상기 삼각틀 미러의 내측에 위치되어 삼각틀 미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삼각틀 미러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후방측이 개구되어 있고 삼각틀 미러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와, 상기 투명 유리구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명 유리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삼각틀 미러 및 투명 유리구가 내재되어 있고 상기 삼각틀 미러를 통해 측후방을 볼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차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러 하우징과, 상기 미러 하우징의 개구부에 끼워져서 상기 투명 유리구가 회전될 때 투명 유리구의 표면을 닦아주는 크리너 링과,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삼각틀 미러와 투명 유리구를 회전시키는 원격 조정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나 차체(40)의 측면에 미러 하우징(50)이 고정되고, 이 미러 하우징(50)의 내부에 투명 유리구(55)가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또한 투명 유리구(55) 내측에는 각기 다른 3종류의 거울이 부착된 삼각틀 미러(6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은 3면에 서로 다른 종류의 3개의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삼각틀 미러(60)와, 상기 삼각틀 미러(60)의 내측에 설치되어 삼각틀 미러(60)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62)와, 상기 삼각틀 미러(60)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후방측이 개구되어 있고 삼각틀 미러(62)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55)와, 상기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57)와, 상기 삼각틀 미러(60) 및 투명 유리구(55)가 내재되어 있고 상기 삼각틀 미러(60)를 통해 측후방을 볼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차체(4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러 하우징(50)과, 상기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에 끼워져서 상기 투명 유리구(55)가 회전될 때 투명 유리구(55)의 표면을 닦아주는 크리너 링(70)과, 상기 제1모터(62) 및 제2모터(57)에 연결되어 상기 삼각틀 미러(60)와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키는 원격 조정 스위치(8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 요소 중 주요부를 설명하면 먼저, 상기한 삼각틀 미러(60)는 삼각틀의 표면에 여러 종류의 거울을 설치할 수 있는 데, 그 일례로 후방 시야를 넓혀주는 볼록 거울과, 야간 주행시 뒤차에서 비치는 빛에 의한 눈부심을 줄여주는 브라운색 거울, 주간 운전시 보다 쾌적한 시야를 갖도록 하는 그린 컬러 거울 등을 삼각틀의 각면에 하나씩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삼각틀 미러(60)의 내측에는 제1모터(62)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모터(62)는 고정부재(65)를 통해 차체(40)나 상기 미러 하우징(50)에 고정되어 있고, 그 모터축이 삼발 연결구(63)를 통해 삼각틀 미러(60)의 내측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삼각틀 미러(6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투명 유리구(55)는 후방측이 개구되어 있는 동시에 미러 하우징(50)의 내면과 형합되게 형성되어 제2모터(57)가 작동됨으로써 미러 하우징(50)의 내측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제1,2모터(62,57)는 각각 별도의 스위치로 나누어진 상기 원격 조정 스위치(80)에 연결되어 온(ON) 작동시에만 저속으로 작동되면서 삼각틀 미러(60)와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크리너 링(70)은 상기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에 결합되는 환형상의 결합링(72)과, 상기 결합링(72)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투명 유리구(55)를 닦아주는 크린링(74)으로 이루어져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링(72)에 크린링(74)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52)에 체결함으로써 크린링(74)이 투명 유리구(55)에 접촉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미러 하우징(50)은 그 내부에 상기 투명 유리구(55) 및 삼각틀 미러(60)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2개로 나누어져 상호 조립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차체(40)에는 상기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측에 세척제 등을 분사할 수 있는 세척액 분사구(90)를 설치하여 상기 투명 유리구(55)가 회전할 때 분사함으로써 투명 유리구(55)를 보다 선명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삼각틀 미러(60)에 부착된 하나의 거울을 선택하고자 할 때에는 원격 조정 스위치(80)를 눌러 제1모터(62)를 회전시킴으로써 삼각틀 미러(60)가 투명 유리구(55) 내측에서 회전하게 되고 원하는 거울이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쪽에 위치될 때 원격 조정 스위치(80)를 오프 작동시키면 선택된 삼각틀 미러(60)의 거울을 통해 측후방을 주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삼각틀 미러(60)는 투명 유리구(55)가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를 막고 있으므로 삼각틀 미러(60)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묻지 않으나 투명 유리구(55)는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를 통해 노출되어 있으므로 눈,비나 먼지 등에 의해 더럽혀져 후방 시야를 방해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원격 조정 스위치(80)를 누르면 제2모터(57)가 작동되어 미러 하우징(50) 내에서 투명 유리구(55)가 회전하게 되고, 이 투명 유리구(55)는 개구부(52)에 결합된 크리너 링(70)에 접촉되어 닦이면서 깨끗해지게 된다.
그리고, 차체(40)에서 미러 하우징(50)의 개구부(52) 방향으로 설치된 세척액 분사구(90)를 통해 상기 투명 유리구(55)에 세척액을 뿌려주면 보다 선명하게 닦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주행 조건에 따라 삼각틀 미러(60)를 회전시켜 거울을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 주행중에도 투명 유리구(55)를 회전시켜 보다 깨끗한 측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는 삼각틀 미러에 각기 다른 3종류의 거울이 설치되고 투명 유리구에 상기 삼각틀 미러가 내재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가 간편하게 원하는 거울을 선택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사이드 미러의 투명 유리구에 이물질이 묻었을 때 원격 조정 스위치를 눌러 투명 유리구를 회전시킴으로써 크리너 링에 의해 깨끗이 닦이기 때문에 보다 편리한 방법으로 선명한 측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3면에 서로 다른 3개의 거울이 설치되어 있는 삼각틀 미러와, 상기 삼각틀 미러의 내측에 위치되어 삼각틀 미러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와, 상기 삼각틀 미러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후방측이 개구되어 있고 삼각틀 미러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투명 유리구와, 상기 투명 유리구의 일측에 연결되어 투명 유리구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와, 상기 삼각틀 미러 및 투명 유리구가 내재되어 있고 상기 삼각틀 미러를 통해 측후방을 볼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되어 차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는 미러 하우징과, 상기 미러 하우징의 개구부에 끼워져서 상기 투명 유리구가 회전될 때 투명 유리구의 표면을 닦아주는 크리너 링과,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삼각틀 미러와 투명 유리구를 회전시키는 원격 조정 스위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너 링은 상기 미러 하우징의 개구부에 결합되는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투명 유리구에 접촉되는 크린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2019970028836U 1997-10-17 1997-10-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99900155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36U KR19990015530U (ko) 1997-10-17 1997-10-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8836U KR19990015530U (ko) 1997-10-17 1997-10-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5530U true KR19990015530U (ko) 1999-05-15

Family

ID=69676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8836U KR19990015530U (ko) 1997-10-17 1997-10-17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5530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3402B1 (en) Mirror wiper assembly
US7322069B1 (en) Automobile side window wiper
KR19990015530U (ko) 자동차용 사이드 미러
KR100293790B1 (ko) 차량용 와이퍼 블레이드
KR100249131B1 (ko) 차량용 와이퍼 모터
KR0159334B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용 와이퍼 장치
WO2006012964A1 (fr) Agencement pour l’essuyage d’un pare-brise panoramique
KR940000013Y1 (ko) 자동차 백미러
KR19980039219U (ko) 자동차 와이퍼블레이드의 이중구조
KR0120691Y1 (ko) 자동차의 리어윈도용 와이퍼 어셈블리
KR0141358B1 (ko) 세척액노즐이 일체로 장착된 차량용 와이퍼아암
KR100482813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용 조인트 와셔
CN115195596A (zh) 一种外后视镜和车
JPS6035922Y2 (ja) ワイパ−付補助前照灯
KR19980022208A (ko) 자동차의 와이퍼 아암
KR19980016600U (ko) 자동차용 와이퍼 장착구조
KR19980074617A (ko) 자동차 백미러 오염방지장치
KR19980044701U (ko) 자동차의 사이드 미러용 와이퍼장치
KR19980062258A (ko) 차량용 사이드밀러구조
KR19980059445A (ko) 자동차용 헤드 램프 와이퍼
KR19980039992U (ko) 자동차의 멀티 윈드실드 와이퍼
KR19980058627A (ko) 와이퍼가 구비된 사이드 미러
KR19980018060U (ko) 자동차 와이퍼 암 헤드부 구조
JPH106934A (ja) リヤコンビネーションランプクリーナ
KR19990030393U (ko) 초음파 진동판 내장의 와이퍼블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