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643A -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643A
KR19990014643A KR1019980051631A KR19980051631A KR19990014643A KR 19990014643 A KR19990014643 A KR 19990014643A KR 1019980051631 A KR1019980051631 A KR 1019980051631A KR 19980051631 A KR19980051631 A KR 19980051631A KR 19990014643 A KR19990014643 A KR 1999001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udio
player
audio file
digital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19980051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643A/ko
Publication of KR1999001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643A/ko

Link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적인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나,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양질의 음질을 갖는 MPEG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 및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나, 일반 오디오 기기 및 차량용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 등에서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개인용 컴퓨터 관련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영화 및 음악 등을 디지털 신호(digital signal)로 파일(file)화하여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컴퓨터 통신을 이용한 정보의 송수신이 활성화됨에 따라, 소리나 음악 등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상용 정보 통신 서비스도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음악 등의 소리 정보를 수록한 디지털 파일(이하, 오디오 파일)은, 그 사이즈(size)와 포맷(format)이 기존에 컴퓨터에서 사용되던 파일들의 그것과 달라 이들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예컨대, 사운드 카드(sound card)) 또는 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며, 특히 기존의 오디오 기기(예컨대, 스테레오 방송이나 콤팩트디스크 등)에서 재생되는 수준의 음질을 보유하는 오디오 파일의 크기는 수십 내지 수백 메가바이트(Megabyte ; 이하, MB)에 달해 이를 개인용 컴퓨터에서 처리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그리하여, 동영상 전문가 그룹(Moving Picture Experts Group ; 이하, MPEG)에서는 동영상 및 오디오 파일에 대한 압축 표준(소위, MPEG1 또는 MPEG2 등)을 제안하여, 콤팩트디스크(Compact Disk ; 이하 CD) 수준의 음질을 보유하는 오디오 파일의 사이즈를 수 메가바이트(MB) 정도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되었다. 상기 MPEG1 또는 MPEG2의 오디오 부분을 MPEG Layer 1, 2 또는 3라 부르기도 하는 바, 이에 관한 상세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이미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MPEG 표준을 따른 오디오 파일(이하, MPEG 오디오 파일)을 청취하기 위하여는, 상기 파일을 컴퓨터의 기억 장치(하드디스크 또는 플로피디스크)에 저장하고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을 처리할 수 있는 별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야만 했다. 따라서, MPEG 오디오 파일을 청취하기 위하여는 최소한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개인용 컴퓨터가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을 컴퓨터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MPEG 표준에 따라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decoding)할 수 있는 별도의 반도체 칩을 구비한 휴대용 MPEG 재생기가 등장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휴대용 MPEG 재생기는 단지 MPEG 오디오 파일만을 재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자기 테이프 방식의 카세트(cassette)에 녹음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cassette player)와는 별도로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일반적인 오디오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는 별도의 연결 잭(jack)이나 연결 케이블(cable)이 요구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적인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나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양질의 음질을 갖는 MPEG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의 개념적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의 개념적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의 운영 소프트웨어의 실행 화면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의 오디오 출력 전달기의 구체 회로도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의 동작 센서의 한 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의 기호의 설명
110 :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112 : 메모리
114 : 동작 센서 116 : 사용자 인터페이스
118 : 주제어기 120 :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
122 : 신호 입출력 단자 150 : 컴퓨터
160 : 오디오 파일 입력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 및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가 감지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재생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보관하기 위한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보관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에 입력하여 저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 소프트웨어; 및 상기 컴퓨터와 상기 재생기 사이의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 입력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여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저장 및 삭제를 운영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설치되는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수단;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수단;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에 저장하기 위한 코드 수단; 및 상기 재생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중에서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도록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의 개념적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100)은, 통상적인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장착되어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할 수 있는 카세트 형상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이하, 간략히 재생기)(110)와,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거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 받아 보관하기 위한 컴퓨터(150) 및,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 소프트웨어로부터의 제어에 응답하여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110)에 입력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오디오 파일 입력기(이하, 간략히 입력기)(1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생기(110)는, 상기 오디오 파일 입력기(15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12)와,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play)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114)와, 사용자에 의한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와, 상기 동작 센서(114)로부터의 동작 신호 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로부터의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따라 상기 재생기(11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118)와, 상기 주제어기(118)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112)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digital audio data stream)이 출력됨에 따라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프로세싱(processing)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도시되지 않음)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와, 상기 입력기(160)와의 링크(156)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입출력 단자(signal I/O terminal)(12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는, 상기 메모리(112)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decoder)(124)와, 상기 오디오 디코더(124)에 의하여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이하, D/A 변환기)(126)와, 상기 D/A 변환기(126)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달기(128)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전달기(128)는, 상기 D/A 변환기(126)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의 출력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가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출력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구동기(130)와, 상기 오디오 출력 구동기(130)에 의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자기 헤드(132)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재생기(110)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및 그 일부분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생기(110)의 외형은 종래의 자기 테이프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와 그 형상 및 크기가 매우 유사하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재생기(110)가 종래의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나 휴대용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동작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재생기(110)의 하우징에는 종래의 자기 테이프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와는 달리, 상기 신호 입출력 단자(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204) 및 소정의 버튼(206a, 206b 내지 20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는 상기 재생기(110)의 동작 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다수의 MPEG 오디오 파일의 재생 순서를 지정하는 재생 순서 지정 모드, 특정의 곡을 특정 회수 반복하여 재생하도록 하기 위한 반복 재생 지정 모드 등과 같은 것이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상기한 동작 모드의 종류는 상기한 것 이외에도 통상의 창작성을 발휘하여 다양하게 개발할 수 있으며, 상기 주제어기(118)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116)를 프로그래밍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본질적인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재생기(110)는 그 구성 요소들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체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그 하우징에 배터리(134)를 설치할 수 있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전원을 공급받지 않아도 상기 재생기(110)가 동작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호 입출력 단자(122)와 유사한 외부 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 그에 대응되는 전원 공급 단자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배터리(134)를 제거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테이프 구동축이 삽입되는 구동홀(214a 또는 214b) 주위에 소형 발전기(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하여 필요한 전력을 생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입력기(50)에 상기 재생기(1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기(160)는 오디오 파일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110)에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150)의 직렬 포트(serial port)(도시되지 않음) 또는 병렬 포트(parallel port)(도시되지 않음)와의 링크(link)(15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링크(154)는 직렬 포트용 또는 병렬 포트용 케이블일 수도 있으나, 컴퓨터에 구비된 확장 슬롯(slot)에 삽입할 수 있는 카드 모듈(card module)에 포함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별도의 재생기 전용 드라이브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입력기(160)는 상기 재생기(110)와의 링크(도 1 참조(156))를 구비하는데, 이 링크(156)는 상기 재생기(110)의 하우징(housing)에 형성된 상기 신호 입출력 단자(122)를 통하여 상기 메모리(112)까지 연장된다(도 1 참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입력기(160)와 상기 재생기(110) 사이의 링크(156)는, 상기 입력기(160)에 상기 재생기(110)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재생기(110)의 상기 신호 입출력 단자(122)와 맞물려 전기적 링크를 형성할 수 있는 대응 단자(도시되지 않음)를 형성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링크(156)는 상기 컴퓨터(150)와 상기 입력기(160) 사이의 링크(154)와 유사하게 소정의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컴퓨터(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입력기(160)를 거쳐 상기 재생기(110)의 메모리(112)에 저장시키기 위한 운영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상기 입력기(160)에 상기 재생기(110)를 삽입하여 상기 입력기(160)의 단자(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재생기(110)의 신호 입출력 단자(122) 사이의 링크(156)를 완성한 다음, 상기 컴퓨터(150)에 설치된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400)를 실행시킨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4 개의 서브 윈도우(410, 412, 414 및 426)를 포함한다.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제 1 서브 윈도우(410)를 통해 컴퓨터(150)의 하드디스크 또는 플로피디스크와 같은 보조 기억 장치(도시되지 않음)를 검색하여 그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서브 윈도우(410)에 나열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으로부터 상기 재생기(110)에 다운로드 시킬 파일을 선택하고 선택 버튼(416)을 누른다.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은 제 2 서브 윈도우(412)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제 3 서브 윈도우(414)를 통해 상기 재생기(110)의 메모리(112)를 검색하여, 그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제 4 서브 윈도우(426)를 통해 상기 재생기(110)의 메모리(112)에 저장할 수 있는 파일의 최다수(최다곡수)와, 현재 저장되어 있는 파일의 개수(현재곡수)를 도표로 디스플레이한다. 물론, 이러한 최다곡수와 현재곡수는 간단히 숫자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선택을 마치고 선택된 파일을 상기 재생기(110)로 입력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송 버튼(420)을 누른다. 이때,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상기 전송 버튼(420)이 눌려졌음을 알리는 제어 신호를 상기 링크(154)를 통해 입력기(160)로 전송한다. 상기 입력기(160)는 상기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패킷(packet)으로 구성하여 상기 주제어기(118)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 패킷의 일례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동작명령 시작어드레스 곡명문자열 곡번호 직접메모리억세스코드
상기 제어 패킷의 동작 명령은 1 내지 2 바이트의 코드화된 명령어이며, 예를 들면 0AH는 저장, 0BH는 검색 등과 같다. 또한, 상기 시작어드레스는 25 비트(4 바이트) 이상의 참조용 정보이며, 상기 곡명문자열은 한글 20 글자까지 저장할 수 있는 크기(50 바이트)의 아스키코드 정보이다. 또한 곡번호는 1 내지 2 바이트의 가변 크기의 숫자코드 정보이다. 상기한 제어 패킷의 구성은 본 발명의 재생기(110)에 사용되는 주제어기(118)가 인식할 수 있는 제어 패킷의 한 예로써 개시한 것이며, 당업자라면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임의의 패킷을 사용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제어 패킷을 수신한 주제어기(118)는, 상기 동작명령 코드가 저장을 지시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112)를 제어하기 위하여, 어드레스 지정 신호, 칩 선택 신호 및 명령 신호 등의 전송을 준비한 다음,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400)에게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핸드셰이킹(handshaking)을 개시한다.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400)는 이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터(150)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전송을 개시한다.
만약 사용자가 상기 제 2 서브 윈도우에 나열된 파일들 중 일부의 선택을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취소 버튼(418)을 누르며, 상기 재생기(110)에 이미 저장된 파일을 상기 재생기(110)로부터 삭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삭제 버튼(424)을 누른다.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된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에도, 파일을 저장하는 프로세스에 관하여 상기한 바와 유사한 제어 패킷을 사용하여 주제어기(118)와 메모리(112)가 동작한다.
상기한 제어 패킷은 이를 상기 입력기(160)가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400)에 의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주제어기(118)는 상기 동작 센서(114)로부터의 동작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상기 주제어기(11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6)에 의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파일들을 출력시킨다. 상기 주제어기(118)는, 상기 메모리(112)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이 출력됨에 따라,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가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수신할 수 있도록 초기화 명령을 내리고, 수신된 오디오 파일의 처리를 개시하도록 한다.
상기 주제어기(118)는, 예를 들어 감축 명령 집합(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 RISC) 또는 복합 명령 집합(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 CISC)과 같은 명령 집합을 사용하는 통상적인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주제어기(118)는,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400)로부터 오디오 파일이 저장된다는 명령 신호가 공급됨에 따라, 상기 메모리(112)의 어드레스 지정 및 기록, 독출에 따르는 명령 신호들을 생성하는 동작을 할 수 있음은 이미 상기한 바와 같다.
다음으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112)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정보를 상실하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반복하여 정보를 기록하고 삭제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생기(110)는 자체 전원(134)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모리(11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은,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처리되어 최종적으로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출력된다. 상기 메모리(110)에 저장된 정보는 디지털 정보이며, 상기 재생기(110)가 장착되어 동작하는 카세트 플레이어는 자기 헤드(magnetic head)를 사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감지하므로, 상기 두 가지 신호 사이에 신호 형태의 변환과 출력 신호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음질과 사이즈를 고려할 때, 상기한 MPEG 표준을 따르는 오디오 파일(MPEG 오디오 파일)이 가장 적절하며, 그 중에서도 Layer 3의 표준 형식을 따르는 것이 가장 작은 사이즈를 가지므로, 이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은 원래의 소리 또는 음악을 소정의 주파수(예컨대, 44.1 Khz)로 샘플링(sampling)한 다음, 그 음질을 유지하면서도 파일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된 파일이다. 따라서,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청취하기 위하여는, 먼저 상기 MPEG Layer 3의 압축 표준에 따라 다시 압축을 해제(디코딩)하여야 하고, 이렇게 디코딩된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한 다음, 적절한 출력의 세기를 갖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120)는, 상기 메모리(112)로부터 출력되는 MPEG 오디오 파일의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124)로서, 예컨대 마이크로나스(MICRONAS)社의 MAS 3507D 오디오 디코더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MAS 3507D 오디오 디코더는 샘플링 주기를 설정하는 동기 유닛(synchronization unit)과 오디오 파일을 분석하는 디코더, 분석된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한 출력 제어기 및 내부 동작의 제어를 위한 신호 처리기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상기 MPEG 오디오 파일을 디코딩하기 위한 다양한 오디오 디코더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며, 상기 오디오 디코더의 기술 사양이나 명령 집합의 활용 등에 관한 상세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오디오 디코더(124)에 의하여 압축이 해제된 (즉, 디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은, 상기 D/A 변환기(126)에 의하여 다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상기 D/A 변환기(126)의 일례로서 상기 마이크로나스社의 DAC 3550A 스테레오 오디오 DAC를 들 수 있다. 상기 DAC 3550A 스테레오 오디오 DAC는, 콤팩트디스크 플레이어 또는 상기 MPEG 디코더와 같은 디지털 오디오 소스(source)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input interface)(도시되지 않음)와,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수신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의 샘플링 주기(sampling rate)를 조절(증가 또는 감소)하기 위한 보간 필터(interpolation filter)(도시되지 않음)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도시되지 않음)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상기 디지털 신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다양한 D/A 변환기가 이미 상용화되어 있으며, 상기 D/A 변환기의 기술 사양이나 명령 집합의 활용 등에 관한 상세가 이미 널리 알려져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D/A 변환기(126)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은, 상기 오디오 출력 전달기(128)에 의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수신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된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오디오 출력 전달기(128)의 구체 회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디오 출력 전달기(128)는, 상기 D/A 변환기(126)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의 출력(이 출력은 좌측 신호(L), 우측 신호(R) 및 접지 신호(GND)를 포함한다.)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도 6 참조(650))가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의 발생에 적절한 출력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구동기(130)와, 상기 오디오 출력 구동기(130)에 의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자기 헤드(1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오디오 출력 구동기(130)는 상기 D/A 변환기(126)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자기 헤드(132)로 전달하기 위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impedance matching circuit)이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예는 가장 간단한 임피던스 정합 회로의 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다양한 다른 임피던스 정합 회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기 헤드(132)는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기 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기 동작 센서(114)를 설명한다. 상기 동작 센서(114)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재생기(110)를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한 다음, 상기 재생기(110)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청취하기 위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play) 버튼을 눌렀는가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동작 센서(114)의 개념도가 도시되었다.
즉,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데크(deck)에 상기 재생기(110)가 장착된 다음, 아직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play) 버튼이 눌려지지 않은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play) 버튼이 눌려진 다음,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650)가 하향하여 상기 재생기(110)의 자기 헤드(132)와 기계적으로 접촉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동작 센서(114)는 상기 재생기(110)의 자기 헤드(132)의 위치에 따라 온(on)-오프(off)되는 리미터 스위치(limiter switch)(610)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을 중단하면,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헤드(65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상기 재생기의 자기 헤드(132)도 또한 그 하부의 스프링(612)에 의하여 원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리미터 스위치(610)는 오프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테이프 구동축이 삽입되는 구동홀(214a 또는 214b) 주위에 회전 감지기(도시되지 않음)를 부착하여 그 재생, 빠른 재생(FF) 및 되감기(REW) 등의 다양한 동작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빠른 재생(FF)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112)에 저장된 곡의 순서를 하나씩 건너뛰어 재생하며, 되감기(REW) 버튼이 눌려진 경우에는 현재 곡 이전의 곡에 해당하는 파일을 재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오디오 기기의 카세트 플레이어 또는 휴대용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를 사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음악의 음질보다 좋은 음질의 음악을 재생할 수 있으며, 카세트 테이프와 동일한 정도로 휴대가 간편하며, 반영구적으로 고품위의 음질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Claims (21)

  1.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사용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 및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달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전달기는,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의 출력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가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의 발생에 적절한 출력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구동기; 및 상기 오디오 출력 구동기에 의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
  7.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고,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에 장착되어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가 감지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재생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생성하여 보관하기 위한 컴퓨터; 상기 컴퓨터에 보관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에 입력하여 저장시키기 위하여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운영 소프트웨어; 및 상기 컴퓨터와 상기 재생기 사이의 링크를 형성하기 위한 오디오 파일 입력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 소프트웨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입력기를 거쳐 상기 재생기로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재생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도록 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통상적인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 사용자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주제어기; 및 상기 입력기로부터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수신하기 위한 링크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 입출력 단자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 재생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 및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기로부터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스트림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에서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 스트림으로 변환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달기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한 오디오 디코더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전달기는, 상기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기에 의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오디오 신호 스트림의 출력을,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자기 헤드가 수신할 수 있는 자기적 신호의 발생에 적절한 출력 범위로 조절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구동기; 및 상기 오디오 출력 구동기에 의한 오디오 출력 신호를 자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상기 카세트 플레이어의 재생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 센서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4. 제 10 항 있어서, 상기 재생기는, 사용자에 의한 선택 사항을 반영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전송 받아 저장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상기 컴퓨터의 신호 입출력 포트와의 링크 및 상기 재생기와의 링크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상기 컴퓨터의 확장 슬롯에 삽입될 수 있는 카드 모듈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기는, 상기 컴퓨터의 주변 기기 확장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것으로서 상기 재생기 전용 드라이브를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19.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저장하여 재생하기 위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저장 및 삭제를 운영하기 위하여 컴퓨터에 설치되는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수단;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수단;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중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을 상기 재생기에 저장하기 위한 코드 수단; 및 상기 재생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 중에서 선택된 파일을 삭제하도록 하는 코드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저장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중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파일의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코드 수단; 을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코드 수단은,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패킷을 생성하기 위한 코드 수단; 및 상기 제어 패킷을 상기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기로 전송하기 위한 코드 수단을 각각 포함하는 디지털 오디오 파일 운영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9980051631A 1998-11-28 1998-11-28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KR19990014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631A KR19990014643A (ko) 1998-11-28 1998-11-28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631A KR19990014643A (ko) 1998-11-28 1998-11-28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643A true KR19990014643A (ko) 1999-02-25

Family

ID=6594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631A KR19990014643A (ko) 1998-11-28 1998-11-28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6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3880A (ko) * 1999-05-08 2000-05-06 장은수 Mp3플레이어
KR20000067308A (ko) * 1999-04-27 2000-11-15 윤영석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장착형 엠피3 플레이어 장치
KR20000076612A (ko) * 1999-02-09 2000-12-26 포만 제프리 엘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010002803A (ko) * 1999-06-17 2001-01-15 함상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100353159B1 (ko) * 1999-03-03 2002-09-18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Mp3 파일 재생용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476750B1 (ko) * 2002-07-16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외부음향신호처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KR100753150B1 (ko) * 2001-01-09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웨어 엠피3 플레이어에 음악 파일을 자동으로다운로드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612A (ko) * 1999-02-09 2000-12-26 포만 제프리 엘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의 설치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100353159B1 (ko) * 1999-03-03 2002-09-18 주식회사 노바일렉트로닉 Mp3 파일 재생용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KR20000067308A (ko) * 1999-04-27 2000-11-15 윤영석 카세트테이프 플레이어 장착형 엠피3 플레이어 장치
KR20000023880A (ko) * 1999-05-08 2000-05-06 장은수 Mp3플레이어
KR20010002803A (ko) * 1999-06-17 2001-01-15 함상천 카세트 테이프형 오디오 기록/재생장치
KR100753150B1 (ko) * 2001-01-09 2007-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하드웨어 엠피3 플레이어에 음악 파일을 자동으로다운로드하는 기능을 갖는 컴퓨터
KR100476750B1 (ko) * 2002-07-16 2005-03-1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외부음향신호처리 기능을 갖는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87199A (ja) 半導体記憶媒体記録装置及び半導体記憶媒体再生装置
JP2000123463A (ja) マルチディスクプレーヤ
KR19990014643A (ko) 디지털 오디오 파일 재생 시스템
JPH06162674A (ja) 変換装置
US7457531B2 (en) Low bandwidth image system
KR200194358Y1 (ko) 공중파 방송의 음악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467575B1 (ko) 배경 화면/사운드의 변경 기능을 갖는 비디오 재생/기록시스템 및 배경 화면/사운드 변경 방법
US6885626B2 (e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10026163A (ko) 카 오디오 시스템의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 재생 장치
JP3324657B2 (ja) カラオケ再生装置
JP2003507836A (ja) オーディオ信号用のメモリを有するオートラジオ
KR20050041603A (ko) 비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오디오 컨텐츠 제작방법 및비디오 데이터가 포함된 오디오 컨텐츠 재생장치
JPS63279468A (ja) 画像ファイル装置
KR100641787B1 (ko) 카오디오 시스템의 오디오 신호 녹음/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01287B1 (ko) 영상 녹화 시스템의 데이터 녹화 재생 장치 및 방법
JP3632896B2 (ja) 半導体メモリ再生カセット及び再生装置
JPH05100060A (ja) 音響装置
KR20000034440A (ko) 외부 녹화장치 제어 기능을 갖춘 디브이디 플레이어
KR20030035377A (ko) 호스트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데이터 기록/재생 장치및 그 데이터 통신방법
KR20010057890A (ko) 카 오디오 플레이어
JPH10241342A (ja) ディスク選曲装置
JP2001083973A (ja)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
JP2001092473A (ja)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
JP2001094944A (ja) 再生システム及び再生方法
KR20010038168A (ko) 차량용 오디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