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144A -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144A
KR19990014144A KR1019980029838A KR19980029838A KR19990014144A KR 19990014144 A KR19990014144 A KR 19990014144A KR 1019980029838 A KR1019980029838 A KR 1019980029838A KR 19980029838 A KR19980029838 A KR 19980029838A KR 19990014144 A KR19990014144 A KR 199900141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isplay
string
predetermined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9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하토리
무네히사 도미오카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조,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조
Publication of KR19990014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9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other provisions not elsewher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탈신호로 문자코드(character code)를 수신하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있어서, 수신한 문자코드를 문자열로 변환하고, 이 변환한 문자열을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에, 그 문자열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소정의 문자(예컨대, 스페이스)를 포함하는가 아닌가를 검색하여 소정의 등록문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는 그 개소에서 표시행을 개행(改行)하고, 이어지는 문자는 다음 행의 선두로부터 표시시키는 무선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탈신호로 송신하는 문자코드(character co de)를 수신하여 문자표시하는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의 단어를 형성하는 문자열을 동일 행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탈신호로 송신된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무선전화시스템에 사용되는 무선전화장치는, 수신한 문자코드열을 순차적으로 문자로 변환하고, 그대로의 나열로 1행분의 소정의 문자수까지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이 때문에, 수신한 문자열이 예컨대 영문이고, 복수의 영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어떤 단어의 문자열이 도중에서 표시행의 종단(終端)에까지 오면, 그 영단어의 나머지 부분은 다음 행의 시단(始端)으로부터 표시되게 된다.
도 3의 예로 설명한다.
이 경우, 무선전화장치의 표시부는 1행분의 표시문자수를 10으로 한다. 여기에서,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도 3에 나타낸 「CALL-OFFICE-TOSHIBA」라 는 19자리의 문자코드열을 수신한 무선전화장치는, 수신코드를 순차적으로 문자로 변환하여 제1행째의 시단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해 간다.
표시부의 1행분의 표시문자수가 10이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어「OFFICE」의 문자열의 도중 「OFFIC」가 1행분의 종단에까지 문자표시되지만, 나머지 문자「E」만은 다음 행의 시단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영단어가 도중에 잘려 개행(改行)되면, 읽기 어려운 데다가, 오독의 원인으로도 된다. 따라서, 특히 영문표시에서는 구성문자열의 전부가 1행에서 연속하여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드(hard)면에서 이 표시제어를 행하면, 장치가 대형화되는 데다가, 가격도 비싸져 버려, 소형 경량화, 염가가 필수인 휴대전화 등의 소형 무선전화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의 표시방법의 문제점을 제거하고, 긴 단어문자의 영문 등의 문자코드열을 수신한 경우에도,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표시가 가능한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하드면에서의 개조를 하지 않고, 표시부가 좁은 무선전화장치에서도 읽기 쉬운 표시가 가능한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1실시형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1실시형태에서의 표시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3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도 3의 수신문자열을 표시했을 때의 화면표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1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도 3의 문자열을 표시했을 때의 화면표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9는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의 표시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기지국으로부터의 수신문자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상기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본 발명의 무선전화장치의 다른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도 9의 문자열을 나타냈을 때의 화면표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한 문자코드로부터 문자를 생성하여 문자열을 얻는 수단과, 이 문자생성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문자를 등록하는 수단과, 상기 문자생성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로부터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를 검색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검색되었을 때는, 그 검색된 소정의 등록문자의 개소에서 개행을 실시하고, 그 소정의 등록문자에 이어지는 문자열을 다음 행의 선두로부터 표시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소정의 등록문자 또는 소정의 등록문자에 끼워진 문자열이 동일 행에 표시되고, 문자열의 도중에 표시가 개행되어 2행에 걸쳐서 표시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운 표시의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소정의 등록문자를 스페이스(space)로 할 수도 있다. 특히, 영문의 경우, 소정의 등록문자로서 스페이스를 이용하면, 송신측에서 개행을 위한 특정의 문자코드를 새로 삽입하지 않고 단어와 단어 사이에 존재하는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성맞춤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장치의 구성의 1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전화장치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 무선신호의 송신·수신을 행하는 공중선(2), 무선신호의 변조·복조를 행하는 무선부(3), 음성신호와 제어신호를 합성·분리하는 베이스밴드(baseband)부(4), 음성신호의 입력·출력을 행하는 오디오부(5), 수신한 제어신호로부터 추출한 문자를 기억하는 기억부(6), 상기 기억부(6)에 기억된 문자의 호출조작을 행하는 조작부(7), 상기 조작부(7)의 조작으로 기억부(6)로부터 독출된 문자를 표시하는 표시부(8)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이 무선전화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기지국으로부터 디지탈신호로 송신된 문자코드를 공중선(2)을 통해 수신하면, 무선부(3)에서 복조하고, 베이스밴드부(4)에서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로 분리한다. 제어신호는 제어부(1)에서 해석되고, 제어신호로부터 문자열을 취출하여 기억부(6)에 기억한다.
수신문자열을 기억하면, 「수신표시」의 취지를 표시부(8)에 행한다.
사용자가 「수신표시」를 보고 수신한 것을 인식하면, 내용을 확인하기 위해 조작부(7)로부터 호출조작을 행한다.
제어부(1)에서 사용자의 호출조작을 인식하면, 기억부(6)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의 표시처리를 행한다.
문자열은, 소정의 대응표에 기초하여 문자코드로부터 대응하는 문자로 변환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미리 소정의 임의의 문자, 예컨대 '_'(스페이스)가 등록되어 있고, 이 문자표시처리에 있어서 문자열 중에 이 소정의 등록문자가 포함되어 있는가 없는가를 검색한다.
즉,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문자가 '_'이면, 수신문자열내를 검색하여 '_' 또는 이 '_'로 끼워진 문자열을 동일 행에 표시한다.
또, 이 등록문자로 시작되는 최후의 문자열을 다음 행의 선두로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도 2는 '_'로 끼워진 문자열을 동일 행에 표시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의 문자는 '_'(스페이스)이고, 문자열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억영역에는 'null'이 등록되어 있다. 여기에서, 「문자」란 문자 및 기호를 포함한다.
초기설정으로서,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카운터(S)를 '1'로 설정한다(스텝 S100). 다음에, 기억되어 있는 「문자」열의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카운터(E)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110).
다음에, 「문자」열의 선두로부터 (S+E)번째의 「문자」가 '_'인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스텝 S120).
'_'가 아니면, 'null'인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스텝 S130).
'null'이면, E=0인가 아닌가를 체크하고(스텝 S140), 0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S+E)번째의 문자가 '_'인가 아닌가를 체크하는 스텝(스텝 S120)에서, '_'이면 「문자」열의 S번째로부터 S+E-1번째를 표시하고(스텝 S160), 표시행을 개행한다(스텝 S170).
다음에, S=S+E+1로 한다(스텝 S180).
그후,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가 이어지는 문자를 체크한다. 이 문자를 체크하는 스텝 S120 및 스텝 S130이 '_'도 'null'도 아닌 경우는, E를 증가시키고(스텝 S190), 스텝 S120으로 되돌아가 이어지는 문자를 체크한다.
도 3에 나타낸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을, 도 2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표시시킨다.
스텝 S100에서 S=1로, 스텝 S110에서 E=0으로 설정된다.
스텝 S120 및 스텝 S130에서 1(S+E=1+0)번째의 문자가 체크된다. 1번째의 문자는 'C'로, 등록된 '_'도 'null'도 아니기 때문에, 스텝 S190에서 E를 증가시켜 E=1로 설정하고, 스텝 S12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120 및 스텝 S130에서, 2(S+E=1+1)번째의 문자가 체크된다. 2번째의 문자는 'A'로, 등록된 '_'도 'null'도 아니기 때문에, 스텝 S190에서 E를 증가시켜 E=2로 하고, 스텝 S120으로 되돌아간다.
이를 반복하여 E=4로 되어 스텝 S120으로 되돌아가면, 5(S+E=1+4)번째의 문자가 체크된다. 5번째의 문자는 등록된 '_'이므로, 스텝 S160으로 진행하여 1(S)번째로부터 4(S+E-1)번째의 문자 'CALL'을 표시한 후, 개행된다.
스텝 S180에서 S를 6(S+E+1)으로 설정하고,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간다.
이 스텝 S110에서 다시 E=0으로 설정하고, 6(S+E)번째의 문자를 스텝 S120 및 스텝 S130에서 체크하는데, 6번째의 문자는 'O'로 '_'도 'null'도 아니기 때문에, 스텝 S190에서 E를 증가시켜 E=1로 하고, 스텝 S120으로 되돌아간다.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되어 12(S+E=6+6)번째의 문자가 체크되었을 때, '_'이기 때문에 스텝 S160으로 진행하여 6(S)번째로부터 11(S+E-1)번째의 문자 'OFFICE'를 표시한다.
개행된 후, 스텝 S180에서 S를 13(S+E+1)으로 설정하고, 스텝 S110으로 되돌아간다.
더욱이, 마찬가지의 동작이 반복되어 20(S+E=13+7)번째의 문자가 체크되었을 때, 'null'이기 때문에 스텝 S130으로부터 스텝 S140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에서는 E=7로, E=0이 아니므로 스텝 S150에서 13(S)번째로부터 19(S+E-1)번째의 문자 'TOSHIBA'를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결과, 표시내용은 도 5와 같이 된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표시부는 3행×10자리이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특정의 임의 문자, 즉 개행가능 문자를 '_'(스페이스)로 했다.
「문자열」이 영문인 경우, 이와 같이 등록하는 특정의 임의 문자로서 '_'를 이용하면, 송신측에서 개행을 위한 특정의 문자를 새로 삽입하지 않고 단어와 단어의 사이에 존재하는 '_'를 이용하여 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안성맞춤이다.
물론, 미리 등록하는 특정의 임의 문자로서는, '_'(스페이스) 이외의 다른 문자를 이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 1행에 임의의 문자, 예컨대 '_'로 끼워진 문자열이 복수 표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이 '_'로 끼워진 「문자」열을 복수 표시하는 처리의 실시형태를 도 6 내지 도 8의 플로우차트로 설명한다. 이 경우, 미리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문자를 '_'로 끼워진 「문자」열로 한다. 「문자」열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기억영역에는 'null'이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도 1행의 표시자릿수는 10자리로 한다.
초기설정으로서, 「문자」열의 선두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카운터(S)를 '1', 「문자」표시수를 나타내는 카운터(C)를 '1', 「문자」종료플래그(END)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200). 다음에, 「문자」열의 종료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카운터(E)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 S210).
다음에, 「문자」열의 선두로부터 (S+E)번째의 문자가 '_'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220).
'_'가 아니면, 'null'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230).
'null'이면, E=0인가 아닌가를 조사하고(스텝 S240), 0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선두로부터 (S+E)번째의 문자가 'null'이 아니면, E=E+1, C=C+1로 한다(스텝 S250).
이어서,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가 이어지는 문자를 조사한다.
「문자」를 조사하는 스텝 S220이, '_'인 경우는, E가 자릿수 10보다 큰가 아닌가(E 〉10)를 조사한다(스텝 S260).
E 〉10 가 아니면(E가 10보다 작으면), C 〉11(C가 11보다 큰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270). C 〉11가 아니면(C가 11보다 작으면) 「문자」열의 S번째로부터 S+E-1번째를 표시한다(스텝 S280). 그리고, 스텝 S285로 천이하여 S=S+E+1로 한다.
다음에, END=1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290). END=1이면, 처리를 종료한다. END=0이면, C〈 11인가 아닌가를 조사하고(스텝 S300), C〈 11이면 '_'표시를 행하고(스텝 S310), C=C+1로 한다(스텝 S320).
C〈 11가 아니면, C=11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330).
C=11이면, '개행'표시를 행하고(스텝 S340), C=1로 한다(스텝 S350).
C=11이 아니면,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가 다음 문자를 조사한다.
E 〉10의 조사(스텝 S260)에서 E 〉10이면, 다음에 C≠1인가 아닌가를 조사한다(스텝 S360). C≠1이면, '개행'를 행하고(스텝 S370), C=1로 한다(스텝 S380). 그후, 스텝 S390으로 천이한다.
C=1이면, S번째로부터 S+E-1번째를 표시한다(스텝 S390). 다음에, C=E-11+1, S=S+E+1로 한다(스텝 S400). 그리고, 스텝 S290으로 천이한다.
C 〉11를 조사하는 스텝 S270에서 C 〉11이면, '개행'을 행하고, C=1로 한다(스텝 S420). 그후, 「문자」열의 S번째로부터 S+E-1번째를 표시한다(스텝 S280). 그리고, S=S+E+1을 설정하고(스텝 S285), 스텝 S290으로 천이한다.
E=0의 조사(스텝 S240)에서 E≠0이면, END=1(스텝 S430)로 하고 스텝 S260으로 천이한다.
도 9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의 예이다. 이 수신「문자」열을 도 6 내지 도 8의 플로우차트에 따라 표시시킨다.
우선, 스텝 S200에서 S=1, C=1, END=0으로 설정되고, 스텝 S210에서 E=0으로 설정된다.
스텝 S220 및 스텝 S230에서 1번째(∵S+E=1+0)의 문자가 조사된다. 이 예에서는, 1번째의 문자는 'T'로, '_'도 'null'도 아니다. 따라서, 스텝 S250에서 E와 C를 증가시키고, 스텝 S220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에, 스텝 S220 및 스텝 S230에서 2번째(∵S+E=1+1)의 문자가 조사된다. 2번째의 문자는 'H'이기 때문에, 스텝 S250에서 E와 C를 증가시키고, 스텝 S220으로 되돌아간다.
이 스텝을 반복하여 E=4로 되어 스텝 S220으로 되돌아가면, 5번째(∵S+E=1+4)의 문자가 조사되고, '_'이므로 스텝 S260으로 진행하여 E의 값과 C의 값이 조사된다. 그러나, 조건이 충족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80으로 진행하여 1(S)번째로부터 4(S+E-1)번째의 문자 'THIS'를 표시한다. 스텝 S285에서 S=S+E+1을 설정한다. 그후, 스텝 290으로 진행하고, END=1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S300으로 진행한다. 그래서, C=4면, 스텝 S310에서 '_'를 표시하고, C=C+1로 설정한다.
다음에, 스텝 S330으로 진행하지만,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므로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220에서 '_'체크를 반복하여 E=2로 되어 스텝 S220으로 되돌아가면, 8(S+E=6+2)번째의 문자가 체크되고, '_'이므로 스텝 S26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텝 S280에서 6(S)번째로부터 7(S+E-1)번째의 문자 'IS'가 표시된다. 스텝 S285에서 S=S+E+1을 설정한다.
그후, 스텝 S290으로 진행하고, END=1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S300으로 진행하며, C=8이므로 스텝 S310에서 '_'를 표시하고 C=C+1로 한다.
다음에, 스텝 S330으로 진행하고, 조건을 충족하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S220에서 '_'체크를 반복하여 E=1로 되어 스텝 S220으로 되돌아가면, 10(S+E=9+1)번째의 문자가 체크되고, '_'이므로 스텝 S260으로 진행하며, 스텝 S280에서 9(S)번째로부터 9(S+E-1)번째의 문자 'A'가 표시된다.
스텝 S285에서 S=S+E+1을 설정한다.
그후, 스텝 S290으로 진행하고, END=1이 아니기 때문에 스텝 S300으로 진행한다. 여기에서, C=10이기 때문에, 스텝 S310에서 '_'를 표시하고, C=C+1로 한다. 다음에, 스텝 S330에서 C=11이기 때문에, 스텝 S340에서 '개행'을 표시하고, 스텝 S350에서 C=1로 한 다음, 스텝 S210으로 되돌아간다.
그후, 스텝 S230에서 'null'체크를 반복하여 E=3으로 되어 스텝 S230으로 되돌아가면, 14(S+E=11+3)번째의 문자가 체크되어 'null'이므로 스텝 S240으로 진행한다.
E≠0이기 때문에, 스텝 S430에서 END=1로 한다. 그후, 스텝 S260으로 진행하고, E, C의 체크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스텝 S280에서 11(S)번째로부터 13(S+E-1)번째의 문자 'PEN'을 표시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내용표시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이 '_'로 끼워진 복수개의 「문자」열을 1행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문자」열(예컨대, 영문)이 몇 개의 문자마다 구분되는 경우에, 특정의 임의 단어(예컨대, 영단어)를 도중에서 자르지 않고 1행내에 표시시키도록 한 것으로, 표시문자열(예컨대, 영문)이 읽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하드면에서의 개조를 하지 않고, 표시부가 좁은 휴대 무선전화장치에서도 읽기 쉬운 표시가 가능한 무선전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수신한 문자코드로부터 문자를 생성하여 문자열을 얻는 수단과,
    이 문자생성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춘 무선전화장치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문자를 등록하는 수단과,
    상기 문자생성수단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로부터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를 검색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검색되었을 때는, 그 검색된 소정의 등록문자의 개소에서 개행을 실시하고, 그 소정의 등록문자에 이어지는 문자열을 다음 행의 선두로부터 표시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스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특정기호로 끼워져 있는 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특정기호로 끼워져 있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특정기호로 끼워져 있는 복수의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기호가 '_'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
  7.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문자코드를 수신하는 스텝과,
    수신한 문자코드로부터 문자를 생성하여 문자열을 얻는 스텝과,
    이 문자생성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을 표시하는 표시스텝을 갖춘 무선전화장치의 표시방법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문자를 등록하는 스텝과,
    상기 문자생성스텝에 의해 얻어진 문자열로부터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를 검색하는 스텝과,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검색되었을 때는, 그 검색된 소정의 등록문자의 개소에서 개행을 실시하고, 그 소정의 등록문자에 이어지는 문자열을 다음 행의 선두로부터 표시제어하는 스텝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표시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등록문자가 특정기호로 끼워져 있는 문자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장치의 표시방법.
KR1019980029838A 1997-07-24 1998-07-24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KR199900141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8144A JPH1141664A (ja) 1997-07-24 1997-07-24 無線電話装置
JP97-198144 1997-07-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44A true KR19990014144A (ko) 1999-02-25

Family

ID=1638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9838A KR19990014144A (ko) 1997-07-24 1998-07-24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08878B1 (ko)
EP (1) EP0893790B1 (ko)
JP (1) JPH1141664A (ko)
KR (1) KR19990014144A (ko)
CN (1) CN100385977C (ko)
DE (1) DE6982141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2955B1 (ko) * 1998-12-30 2001-03-02 윤종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US6902564B2 (en) * 2001-08-15 2005-06-07 Roy E. Morgan Methods and devices for electrosurgery
US6907253B2 (en) * 2001-03-08 2005-06-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density message coding
JP2004088305A (ja) * 2002-08-26 2004-03-18 Nec Corp 携帯端末装置
JP4960702B2 (ja) * 2003-09-18 2012-06-27 コモンウェルス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アンド インダストリアル リサーチ オーガニゼイション 高性能エネルギー蓄積装置
AR064292A1 (es) * 2006-12-12 2009-03-25 Commw Scient Ind Res Org Dispositivo mejorado para almacenamiento de energia
AR067238A1 (es) * 2007-03-20 2009-10-07 Commw Scient Ind Res Org Dispositivos optimizados para el almacenamiento de energia
CN102484245B (zh) 2009-04-23 2015-11-25 古河电池株式会社 铅蓄电池用负极板的制造方法以及铅蓄电池
JP5711483B2 (ja) 2009-08-27 2015-04-30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の製造法及び鉛蓄電池
EP2471129B1 (en) 2009-08-27 2016-11-16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electrode thereof
JP5797384B2 (ja) 2009-08-27 2015-10-21 古河電池株式会社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及び鉛蓄電池
JP2012133959A (ja) 2010-12-21 2012-07-12 Furukawa Battery Co Ltd:The 鉛蓄電池用複合キャパシタ負極板及び鉛蓄電池
CN103744636A (zh) * 2013-12-30 2014-04-23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适应窗口大小的文字排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6995A (en) * 1975-05-22 1976-08-24 Sanders Associates, Inc. Precessing display pager
GB1515309A (en) 1975-09-25 1978-06-21 Mullard Ltd Character display
JPH04289915A (ja) * 1991-03-19 1992-10-14 Hokuriku Nippon Denki Software Kk 言語処理プロセッサのリスト出力方式
ES2123032T3 (es) 1992-08-26 1999-01-01 Nec Corp Receptor de radiomensajeria con unidad de presentacion.
US5465401A (en) * 1992-12-15 1995-11-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enhanced information transfer
JP3012487B2 (ja) 1995-06-06 2000-02-21 日本電気株式会社 伝言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2937911B2 (ja) * 1996-12-10 1999-08-23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送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1664A (ja) 1999-02-12
EP0893790B1 (en) 2004-02-04
DE69821413D1 (de) 2004-03-11
CN100385977C (zh) 2008-04-30
CN1220561A (zh) 1999-06-23
DE69821413T2 (de) 2004-12-02
EP0893790A3 (en) 2000-07-19
US6208878B1 (en) 2001-03-27
EP0893790A2 (en) 1999-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4144A (ko) 무선전화장치 및 그 무선전화장치의 표시제어방법
KR970055789A (ko) 선택 호출 수신기
KR19990036989A (ko) 문자 입력의 최적화를 위한 통신 장치 및키패드
KR100446553B1 (ko) 기본자형의 조합을 이용한 문자 표시방법
US20050219232A1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
KR20000044417A (ko) 영문자 간편 입력방법
KR20030005546A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자 입력방법
KR100881000B1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51797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본어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270431B1 (ko) 전화기의숫자및기능버튼을이용한문자발생방법
CN1158546A (zh) 用移动无线通信设备的短消息实现表格中亚洲字符的传输
KR100631675B1 (ko) 휴대단말기의 중국어 폰북 실시간 검색방법
KR100663505B1 (ko) 휴대전화단말장치의 한글입력방법과 그 입력장치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100430922B1 (ko) 문자입력키패드
JP3001521B1 (ja) 表示機能付き無線受信装置
KR100650567B1 (ko) 휴대폰용 문자 배열방법 및 입력방법
KR20010039003A (ko) 전자 사전 겸용 단말기
KR100703403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KR20000044449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편집 방법
KR20010081143A (ko)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한글문자통신시스템
EP0971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chinese character and communication codes
JP4362340B2 (ja) 単語秘匿表示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単語登録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78490A (ko) 숫자키패드를 이용한 한글문자통신시스템
KR20080029144A (ko) 패턴인식을 이용한 메시지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AMENDMENT REQUESTED 20000830

Effective date: 20001128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