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3403B1 -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3403B1
KR100703403B1 KR1020000015456A KR20000015456A KR100703403B1 KR 100703403 B1 KR100703403 B1 KR 100703403B1 KR 1020000015456 A KR1020000015456 A KR 1020000015456A KR 20000015456 A KR20000015456 A KR 20000015456A KR 100703403 B1 KR100703403 B1 KR 10070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characters
wireless terminal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5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2824A (ko
Inventor
최도환
김순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15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34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06F40/109Font handling; Temporal or kinetic typograph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의 입력되는 문자에 대한 문자 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문자의 출력 크기에 따른 다수의 폰트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문자 출력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상기 폰트 중 출력 크기가 큰 폰트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되는 문자 외에 기 입력된 문자 또는 기 저장된 문자는 상기 출력 크기가 작은 폰트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시의 문자 표시에 이용된다.
무선 단말기, 문자, 폰트, 크기.

Description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INPUTTED CHARACTERS DISPLAYING METHOD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되는 문자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 단말기는 휴대 간편성을 위하여 크기가 소형화되어 있다. 따라서 단말기에서 각종 문자나 숫자 정보 등을 출력하는 표시부(DISPLAY UNIT)의 크기는 매우 작다. 그러므로 표시되는 문자의 크기 또한 매우 작아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의 출력 크기에 따른 다수의 폰트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문자 출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 중인 문자를 큰 폰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문자가 입력 중이었던 동일 위치에서 상기 문자를 표준크기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 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개략적인 제어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문자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100)는 무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40)는 다수의 숫자 및 알파벳 키와 기능키(FCN), 저장키(STO), 볼륨 다운/업(DOWN/UP)키, 네비게이션 키(상하좌우) 등을 구비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메모리(120)는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 및 상기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출력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폰트를 저장하고 있다. 표시부(130)는 상기 키입력부(140)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무선 단말기의 동작상태 등, 다수의 정보를 표시한다. 특히 표시부(130)는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입력되는 문자의 크기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RF부(150)는 안테나(ANT)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며 변복조 한다. 음성 처리부(160)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마이크로 입력되는 음성을 처리하여 디지털화하고 RF부(150)를 통해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복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20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화번호부 관리 또는 스케줄 관리를 위하여 한글이나 영문 또는 숫자를 입력하는 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었으면 220 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입력되는 글자 혹은 단어, 문장의 입력이 종료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글자 혹은 단어, 문장의 입력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240 단계로 진행하여 표시부(130)을 통해 크고 굵게하여 출력한다. 상기 글자 혹은 단어, 문장의 입력이 종료되었으면 230 단계로 진행하여 입력된 글자 혹은 단어, 문장의 크기를 표준 크기로하여 출력한다. 250 단계에서 문자 입력모드가 완료되었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210 단계로 진행하여 다음 문자를 입력받는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모드가 선택되면 입력되는 문자를 단말기에 기 저장된 폰트 중 출력 크기가 큰 폰트를 통해 상기 입력되는 문자를 출력하고, 입력되는 문자 외에 입력이 완료된 문자 또는 문장은 출력 크기가 작은 폰트를 통해 출력한다.
도 3은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표시됨과 같이 "준비"의 글자입력이 완료되기 전 "준??"의 글자는 크게 출력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입력되는 문자를 크게 표시함으로써, 무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Claims (5)

  1. 문자의 출력 크기에 따른 다수의 폰트를 가지는 무선 단말기의 문자 출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입력 중인 문자를 큰 폰트로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문자가 입력 중이었던 동일 위치에서 상기 문자를 표준크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가 입력 중이었던 위치와 다른 위치에서 소정의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의 입력완료를 판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서, 적어도 두개의 문자로 구성된 단어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단어가 입력 중이면, 상기 단어를 구성하는 입력된 문자 또는 입력 중인 문자를 큰 폰트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단어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이 완료된 단어를 표준 크기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입력 모드에서, 문자/단어로 구성된 문장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문장이 입력 중이면, 상기 문장을 구성하는 입력된 문자/단어 또는 입력 중인 문자/단어를 큰 폰트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과,
    상기 문장의 입력이 완료되면, 상기 입력이 완료된 문장을 표준 크기로 출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큰 폰트는,
    상기 표준 크기보다 더 굵고 크게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000015456A 2000-03-27 2000-03-27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KR10070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456A KR100703403B1 (ko) 2000-03-27 2000-03-27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5456A KR100703403B1 (ko) 2000-03-27 2000-03-27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824A KR20010092824A (ko) 2001-10-27
KR100703403B1 true KR100703403B1 (ko) 2007-04-03

Family

ID=19658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5456A KR100703403B1 (ko) 2000-03-27 2000-03-27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34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47A (ja) * 1992-06-26 1994-01-21 Saitama Nippon Denki Kk Lcd文字拡大表示方式
JPH1098518A (ja) * 1997-05-13 1998-04-14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JPH11298582A (ja) * 1998-04-16 1999-10-29 Sony Corp 携帯型通信装置
KR20000014994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정보 확대 표시 방법
KR100303300B1 (ko) * 1999-06-22 2001-11-01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기의 빅폰트 다이얼번호 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047A (ja) * 1992-06-26 1994-01-21 Saitama Nippon Denki Kk Lcd文字拡大表示方式
JPH1098518A (ja) * 1997-05-13 1998-04-14 Sony Corp 通信端末装置
JPH11298582A (ja) * 1998-04-16 1999-10-29 Sony Corp 携帯型通信装置
KR20000014994A (ko) * 1998-08-26 2000-03-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정보 확대 표시 방법
KR100303300B1 (ko) * 1999-06-22 2001-11-01 윤종용 이동무선 단말기의 빅폰트 다이얼번호 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824A (ko) 2001-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0000B1 (en) User interface, and associated method, permitting entry of Hangul sound symbols
JPH09160910A (ja) 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式
KR10028531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US20150103099A1 (en) Electronic device
KR1004983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특수문자 선택방법
US20040105714A1 (en) Arabic-persian alphabet input apparatus
KR100703403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입력된 문자의 표시 방법
JP3543931B2 (ja) 音声認識による文字編集手段を有する移動通信端末装置
KR100731617B1 (ko)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KR2006004704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상용구 등록방법
EP2894547B1 (en)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of character input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KR20010101599A (ko) 액센트 또는 확장자를 갖는 수문자를 전자 장치에입력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81000B1 (ko) 이동 무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6316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19990049835A (ko)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 사전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
JP2000276288A (ja) 携帯端末
KR100513007B1 (ko) 무선 단말기에서 이메일 어드레스 입력 방법
KR10055413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JP3843010B2 (ja) かな漢字変換装置
KR100665820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문자입력방법
KR10123023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그 이동 통신단말기
KR10025725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문자 표시방법
KR100598020B1 (ko) 전화기를이용한문자입력시스템
JP2001195175A (ja) キー入力装置および携帯電話端末
KR20000008890A (ko) 전자기기에서의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