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92U -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92U
KR19990014092U KR2019970027415U KR19970027415U KR19990014092U KR 19990014092 U KR19990014092 U KR 19990014092U KR 2019970027415 U KR2019970027415 U KR 2019970027415U KR 19970027415 U KR19970027415 U KR 19970027415U KR 19990014092 U KR19990014092 U KR 19990014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slurry
recovery cover
cathode ray
panel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희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70027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092U/ko
Publication of KR19990014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92U/ko

Links

Landscapes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Abstract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가 회수되는 회수커버를 포함하는 회수장치에 있어서, 회수커버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면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가이더에 고정되면서 조절나사로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행거와, 행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형광체슬러리 되튀김 흡착망과, 회수커버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캐리어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으로 형광체를 패널의 내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바, 이때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를 회수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본 고안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내면에 잔존하는 형광체슬러리를 회수하는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화상을 얻기 위한 음극선관의 제조 공정중에는 청, 녹, 적 3색의 형광체를 패널 내면에 순차적으로 도포, 건조하는 스크린 공정을 수행하게 되며,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블랙 스트라이프 완료 후 형광체를 도포하게 되는 데 이는 형광체 도포 -- 형광체 침적 -- 잔류 형광체 회수 및 막두께 조절 -- 회전건조 -- 노광 -- 현상 -- 건조 -- 형광체 도포의 순서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 과정에서, 패널 내면에 분사된 형광체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도시된 도 1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즉, 서포트(10)의 상부에 실린더(12)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실린더(12)의 로드(14)에는 캐리어헤드(22)에 장착되어 고회전되는 패널(P)을 감쌀 수 있는 회수커버(18)가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회수커버(18)의 하부에는 서포트(10)에 그 일측이 힌지 연결된 링크(16)의 타측 단부와 힌지 연결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회수커버(18)는 그 테두리단부가 내측으로 소정곡률을 갖도록 슬러리받이(30)가 절곡형성되며, 그 하부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회수탱트와 연결되는 회수호스(32)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는 패널(P) 내면에 분사된 형광체를 균일하게 도포하기 위하여 캐리어헤드(22)에 안착된 패널(P)이 캐리어(20)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으로 형광체를 패널(P) 내면에 균일하게 도포하는 바, 이때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가 회수커버(18) 내부로 비산되면서 슬러리받이(30)로 모여져 회수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는 패널의 고속회전시 잔여 형광체슬러리가 비산되면서 회수커버의 상부로 튀어 그 상면에 어느정도의 형광체슬러리가 부착되면 그 하중으로 인하여 다시 패널(P) 내면에 도포형성된 형광막에 떨어지거나 되튀거나하면서 이물이나 기포 등을 발생시키므로 이는 이미 균일하게 형성되어 있는 형광체를 손상시켜 형광막에 얼룩이 생기는 등의 불량을 초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회수커버 내면에 흡착망과 회수커버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설치하여 캐리어의 고속회전에 의하여 발생된 원심력으로 형광체를 패널 내면에 도포하는바, 이때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형광체슬러리 회수커버에 되튀김 흡착망 및 흡입덕트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8: 회수커버 66: 가이더
68: 조절나사 90: 흡착망
96: 행거 99: 가이드홈
100 : 흡입덕트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의 특징은,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가 회수되는 회수커버를 포함하는 회수장치에 있어서, 회수커버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면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가이더에 고정되면서 조절나사로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행거와, 행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형광체슬러리 흡착망과, 상기 회수커버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회수커버(18) 상부 내면에 흡착망(90)이 설치되고 상기 회수커버(18)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100)가 설치되어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가 동작되고 있는 모양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형광체슬러리를 흡착하는 흡착망(90)과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100)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흡입덕트(100)는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회수커버(18) 내에 그 상단으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광체슬러리가 되튀는 것을 방지토록 높이조절이 가능한 행거(96)에 고정된 흡착망(90)과 상기 회수커버(18)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100)가 설치된 구성이고, 그리고 그 일단에 흡착망(90)이 고정된 행거(96)는 가이드홈(99)이 형성된 가이더(66)에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절나사(68)에 의하여 고정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음극선관의 패널 내면에 형광체슬러리를 도포하기 위하여 캐리어헤드에 장착된 패널 내면에 형광체슬러리가 주입되면, 실린더의 구동과 동시에 실린더로드가 하강되면서 그 내면에 방지판(90)이 부착된 회수커버(18)가 내려와 패널과 소정간격을 이루며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패널이 고정된 케리어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형광체슬러리가 균일하게 도포될 때에 그 원심력에 의하여 도포되고 남은 잉여형광체중 일부는 비산되면서 회수커버(18) 좌우측으로 형성된 슬러리받이(30)로 흘러들어가 회수호스(32)를 타고 저장탱크로 모이게 된다.
또한, 나머지 일부는 흡착망(90)의 상부로 튀어들어 흡착망(90)의 상면에 모이게 됨과 동시에 회수커버(18)의 중앙부에 개구된 흡입덕트(100)로 흡입된다.
한편, 관종에 따라서는 흡착망(90)이 패널과 보다 근접설치되기도 하며, 혹은 더 많이 이격설치하여야 할 경우도 있는 바, 이때에는 가이더(66)의 가이드홈(99)을 통하여 가이더(66)와 행거(96)를 고정하여 주는 높이 조절나사(68)를 풀고 방지판(90)의 설치높이를 조정하고 나서 다시 조절나사(68)를 조여 고정한 후에 형광체슬러리를 도포하면서 잔여분은 회수토록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흡착망(90)은 약 4 ∼ 5 회정도 사용한 후에는 교체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흡착망(90)의 상면에 흡수력이 좋은 스폰지와 같은 것을 장탈착가능하게 구성하여 스폰지만 교체가능토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는, 고속회전되면서 캐리어의 상부에 고정되어 캐리어와 동시에 고회전되는 패널 내면에 주입된 형광체가 원심력에 의하여 비산될 때에 잔여 형광체의 일부는 슬러리받이에 유입되어 회수되고, 나머지 일부가 되튀거나하여 패널 내면에 균일하게 형성된 형광막에 이물 및 기포 등을 유발시켜 불랑처리되던 것을 높이조절이 가능한 흡착망을 회수커버 내면에 설치함과 동시에 회수커버의 중앙부을 개구시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잔여 형광체슬러리의 되튀는 현상을 방지하여 패널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의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 향상 및 형광막의 품위향상에 일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의 패널의 내면에 도포되고 남은 잔여 형광체슬러리가 회수되는 회수커버를 포함하는 회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수커버의 상부 내면에 설치되면서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더와, 상기 가이더에 고정되면서 조절나사로 그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행거와, 상기 행거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된 형광체슬러리 되튀김 흡착망과, 상기 회수커버의 중앙부를 개구시켜 외측으로 형광체슬러리를 흡입하는 흡입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KR2019970027415U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KR19990014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415U KR19990014092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415U KR19990014092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92U true KR19990014092U (ko) 1999-04-26

Family

ID=6969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415U KR19990014092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09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646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ating skirtless cathode ray tube panels
KR19990014092U (ko)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KR19980030916U (ko) 음극선관의 형광체슬러리 회수장치
EP08956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dust from shadow mask
JP3109093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200146741Y1 (ko) 판넬 이물질 제거장치
KR920004041Y1 (ko) 음극선관용 형광막 건조장치
JPH0785786A (ja) 導電液塗布装置
KR0139210Y1 (ko) 패널 이물질 제거장치
US5336575A (en) Method of producing CRT screens using meniscus coating
KR0145404B1 (ko) 새도우 마스크 공기송풍장치
US20050084781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hosphor screen of display tube
JPH09180632A (ja) カラー受像管の蛍光面形成方法
JP3032515B2 (ja) 陰極線管の製造方法
JPH09199026A (ja) 映像管パネルの過剰塗布液吸引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H10199415A (ja) ブラウン管前面パネルの内面膜形成方法および装置
KR20010007421A (ko) 컬러 음극선관 프런트 패널로서 사용되는 형광체층을 갖는유리기판의 제조방법과 컬러 음극선관 제조방법
JP2623582B2 (ja) 陰極線管蛍光面の形成方法
KR20020037893A (ko) 칼라음극선관의 패널코팅장치
KR940002757Y1 (ko) 음극선관의 슬러리 회수장치
KR200153782Y1 (ko) 패널의 연부 세정장치
KR100380205B1 (ko) 폐브라운관 건식 세정방법 및 장치
JPH0864130A (ja) カラー陰極線管のパネル内面の蛍光体の硬化方法
JPH09259759A (ja) 陰極線管の蛍光面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20005769Y1 (ko) 음극선관의 패널 제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