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717A - 방사권취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사권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717A
KR19990013717A KR1019980027588A KR19980027588A KR19990013717A KR 19990013717 A KR19990013717 A KR 19990013717A KR 1019980027588 A KR1019980027588 A KR 1019980027588A KR 19980027588 A KR19980027588 A KR 19980027588A KR 19990013717 A KR19990013717 A KR 199900137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logic controller
application software
se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세가와마사카쯔
하야시시게루
익카이토모유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쥰이치, 무라타키카이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쥰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1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17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3/00Other common constructional features, details or accessories
    • D01H13/32Counting, measuring, recording or regis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65H54/22Automatic winding machines, i.e. machines with servicing units for automatically performing end-finding, interconnecting of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controlling and fault-detecting of the running material and replacing or removing of full or empty co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24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 D01H1/244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twisting or spinning arrangements, e.g. spindles each spind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1/00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in which the product is wound-up continuously
    • D01H1/14Details
    • D01H1/20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 D01H1/32Driving or stopping arrangements for complete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으로 이루어진 방사권취기의 운전조건의 설정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사권취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제어장치(1)와, 통신제어장치(1)에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개의 통신단말(3)과, 통신단말(3)의 각각에 제2시리얼통신라인(4)을 통하여 접속되는 방사권취기의 복수개의 부분제어장치(5) 등을 구비하고, 상기한 통신단말(3)은 상기한 부분제어장치(5)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한 통신제어장치(1)는 상기한 부분제어장치(5)의 운전조건의 설정을 상기한 통신단말(3)을 통하여 실시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방사권취 시스템
본 발명은,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으로 이루어진 방사권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방사권취공장에는,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이 줄이어 설치되어 있고, 이들을 동시에 운전하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1개의 방사권취유닛은, 방사기로부터의 실을 걸어서 연신하기 위한 고데트로울러군, 고데트로울러군에서의 실을 권취하여 패키지되게 하는 스핀들(테이크업와인더)로 이루어진다. 고데트로울러군의 각 로울러는 인버터에서 제어되는 유도모우터로 구동된다.
또 고데트로울러군의 각 로울러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고, 이 히터는 히터제어기에서 제어된다. 스핀들은 인버터제어의 유도모우터로 회전구동되는 보빈홀더를 보유하며, 이들은 스핀들제어기에서 제어된다.
상술한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 히터제어기 및 스핀들제어기는 방사권취유닛 각각에 설치되고,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을 소정의 운전조건으로 운전하는 경우,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을 통합 관리하는 통신데이터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종래에는,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의 다수의 스핀들제어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제1설정기,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의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를 직렬로 접속하는 제2설정기,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의 다수의 히터제어기를 직렬로 접속하는 제3설정기를 설치하고, 이들 제1설정기, 제2설정기 및 제3설정기를 통하여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의 운전조건을 설정하는 시스템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1개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의 부분제어장치를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 히터제어기 및 스핀들제어기로 분단하여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하여, 스핀들의 운전조건과 관련하는 고데데트로울러의 운전조건, 고데트로울러의 운전조건과 관련하는 고데트로울러의 가열조건등과 같이 방사권취유닛내에서 서로 관련하는 운전조건의 설정을 할 수 없으며, 설정의 실수를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의 방사권취유닛으로 이루어진 방사권취기의 운전조건의 설정을 간단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사권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제1항 기재의 발명은, 통신제어장치와, 상기한 통신제어장치에 제1시리얼통신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개의 통신단말과, 상기한 통신단말의 각각에 제2시리얼통신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개의 부분제어장치 등을 구비하고, 상기한 통신단말이 상기한 부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한 통신제어장치가 상기한 부분제어장치의 운전조건의 설정을 상기한 통신단말을 통하여 실시하는 방사권취 시스템이다.
청구항 제2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부분제어장치가, 1개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 실의 흐름에 따라서 설치된 복수개의 기기, 즉, 1개의 방사유닛내에서 서로 관련하는 기기의 부분제어장치이다.
청구항 제3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2항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제어장치에 의한 운전조건의 설정이, 상기한 방사권취유닛의 운전조건을 일괄하여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청구항 제4항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제1항 내지 제3항의 발명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제어장치가, 상기한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응용소프트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설정용 응용소프트를 보유하고, 이들 설정용 응용소프트가 통신용 응용소프트를 통하여 상기한 통신단말과 통신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사권취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통신제어장치에 존재하는 응용소프트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통신용 응용소프트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4는, 통신용 응용소프트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표시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설정기(통신제어장치) 2 : 제1시리얼통신라인(통신단말)
3 : 논리제어기(통신단말) 4 : 제2시리얼통신라인
5 : 원유닛의 부분제어장치 11 : 스핀들제어기(부분제어장치)
121…12n: 고데트(goddet)로울러용 인버터(부분제어장치)
131…13n: 히터용 인버터(부분제어장치)
ap1-1∼5 : 설정용 응용소프트
ap6 : 통신용 응용소프트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방사권취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의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1은 통신제어장치로서의 설정기(퍼스컴)이고, 2는 제1시리얼통신라인이고, 3은 통신단말로서 논리제어기이고, 4는 제2시리얼통신라인이며, 5는 원유닛의 방사권취유닛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기기의 부분제어장치이다.
논리제어기(3)는, 설정기(1)와 원유닛분의 부분제어장치(5) 등을 제1, 제2시리얼통신라인(2),(4)을 통하여 접속하는 중계기능을 보유한다. 1개의 설정기(1)에 대하여 최대32개의 논리제어기(3)가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통하여 접속가능하다.
원유닛의 부분제어장치(5)는, 스핀들제어기(11), 제1번 고데트로울러용인버터(121),···,제n번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12n)(최대 8대), 제1번 히터제어기(131),···,제n번 히터제어기(13n)(최대 8대)와 같은 부부제어장치로 되어 있다. 이들 부분제어장치(5)는, 제2시리얼통신라인(4)을 통하여 논리제어기(3)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1개의 논리제어기(3)에 대하여 최대로 17대의 부분제어장치(5)가 제2시리얼통신라인(4)을 통하여 접속가능하다.
1개의 설정기(1)에 최대 32개의 논리제어기(3)가 접속가능하기 때문에, 1개의 설정기(1)에 대하여 32×17=544대의 부분제어장치가 접속가능한 것이다. 또한, 인버터 및 제어기가 최대 8대라는 것은, 설정기(1)의 소프트웨어상의 제한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제한이 없는 경우, 1개의 논리제어기(3)에는 최대32대의 부분제어장치가 접속가능하다. 따라서 물리적으로는 1개의 설정기(1)에 대하여 32×32=1024대의 부분제어장치가 접속가능한 것이다.
스핀들제어기(11)는, 2개의 보빈홀더(14),(15)를 회전구동하는 인버터(14a),(15a) 및 1개의 프리크션로울러(16)를 보조적으로 구동하는 인버터(16a)등을 제어한다. 이 스핀들의 구조와 기능의 개략은 아래와 같다. 터릿(17)에 2개의 보빈홀더(14),(15)를 돌출되게 설치하고, 터릿(17)의 선회(旋回)에 의하여 한쪽(14)을 권취위치로 다른쪽(15)을 대기위치로 변환시키면서, 권취보빈(P)을 연속적으로 형성함으로서, 권취위치에 있는 보빈홀더(15)는 프리크션로울러(16)에 전접하여 주속이 일정하게 되도록 회전수가 제어된다.
제1번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121),···,제n번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12n)는, 로울러 외주에 권회된 실을 가열하면서 연신하기 위한 고데트로울러(181…18n)를 소정 비율의 주속으로 되도록 회전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1번 히터제어기(131),···,제n번 히터제어기(13n)는, 고데트로울러(181,…,18n)에 내장된 히터로 로울러 표면을 소정 온도로 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되지 않은 방사기로부터 방출된 실은 고데트로울러(181…18n)에서 가열되면서 소정비율로 연신되고, 고데트로울러(181…18n)에서의 실은 스핀들에서 패키지로 된다.
상기한 설정기(1)는 상술한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의 다수열을 논리제어기(3)를 중계하여 제어한다. 그 때문에, 부분제어장치(5)에 대하여 각종 설정을 실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서 도2와 같은 응용소프트가 설정기(1)에 존재한다.
apl-1은 스핀들 시속이나 가감속 시간대와 같은 운전파라미터를 방사권취유닛마다 설정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이고, ap1-2는 고데트로울러용 인버터(121…12n)의 내부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이고, ap1-3은 논리제어기(통신단말)(3)가 부분제어장치(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전송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이고, apl-4는 스핀들제어기(11)의 파라미터를 설정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이고, apl-5는 설정기(1)의 상위에 있는 상위 호스트와 통신을 하기 위한 응용소프트이다.
이와 같은 설정용 응용소프트(apl-1∼5)는 직접 통신포트(6)로의 읽고 쓰기를 실시하지 않고, 설정용 응용소프트(apl-1∼5)와는 별도의 통신용 응용소프트(apl-6)를 작성하며, 각 설정용 응용소프트(apl-1∼5)는 이러한 통신용 응용소프트 (apl-6)하고만 테이터를 주고받도록 되어 있다.
또한,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만이 통신포트(6)로의 읽고 쓰기를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도3 및 도4는, 상술한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도3에 있어서, 통신용 응용소프트(ap-6)의 기동시에 설정용 응용소프트(ap1-1-5)의 통신으로 사용하기 위한 도시와 같은 공유메모리 및 통신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뮤우텍스를 작성한다. 이때에 우선순위는 통신의 순번을 결정하고, 예컨대 운전파라미터 설정용 응용소프트(ap-1)는 모니터로 우선하는 것 등의 순위가 결정되게 된다.
설정용 응용소프트(ap1-1∼5)는 기동시에 통신용 응용소프트(ap-6)와 데이터로 송수신을 실시하기 위하여, 도4와 같은 2개의 공유메모리(통신→설정, 설정→통신)를 작성한다.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가 작성된 통신용의 공통메모리(도3참조) 및 동기를 취하기 위한 뮤우텍스를 오픈으로 한다. 이때에, 도4(a)는, 설정용 응용소프트→통신용 응용소프트의 공유메모리의 데이터 내용 및 형틀을 예시하고, 도4(b)는, 통신용 응용소프트→설정용 응용소프트의 공유메모리의 테이타 내용 및 형틀을 예시한다.
도3 및 도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는 단지 받아들인 데이터를 읽고 쓰기 할 뿐이고, 금후 통신프로토콜이 변경하게 된 경우에도, 설정용 응용소프트(ap1-1∼5)만을 변경하면 되고,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는 변경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새로운 응용을 추가하는 경우에도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의 통신방법이 일치하면,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는 무엇이던 변경을 하지 않아도 좋다. 이 설정용 응용소프트(ap1-1∼5)를 사용하면, 논리제어기(통신단말)(2), 스핀들제어기(11), 고데트로울러용인버터(121…12n), 히터용제어기(131…13n)의 운전조건을 일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일괄설정을 하기 위하여, 각 운전조건을 연결하여 1개의 ID를 부여할 수 있고, 이 ID에 의해 일괄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용 응용소프트(ap1-6)를 사용하면, 목적하는대로 응용소프트의 관리가 쉽게 되고, 응용소프트마다 버전업(version up)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객선마다 설정내용이 변경하여도 응용소프트만 변경을 하면 된다.
상술한 설정기(1)에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통하여 접속되는 논리제어기(통신단말)(3)의 기능을 아래에 설명한다. 단순한 중계기능에 그치지 말고, 설정용 응용소프트(ap1-3)로 전송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제2시리얼통신라인(4)을 통하여 원유닛의 방사권취유닛을 제어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 제어프로그램의 저장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는 제어프로그램을 ROM(read only memory)에 저장할 수도 있지만, 통상, 제어프로그램은 외부의 설정기(1)에서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경유하여 수신한다. ROM상의 제어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이외에 설정기(1)로부터 수신된 제어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서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기기(5)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의 설정기(1)로부터 받아들인 제어프로그램의 유지방법을 아래에 설명한다. 설정기(1)에서 수신된 제어프로그램은 RAM(rondom access memory)상에 보존할 수 있다. RAM에 보존된 프로그램은 논리제어기(3)의 전원이 단전되어 있을 때도 배터리에 의하여 내용이 보호되고, 외부에서의 전력공급을 실시하지 않아도 유지할 수 있다.
논리제어기(3)가「논리제어기(3)의 ROM상에 기입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지」그렇지 않으면「설정기에서 수신된 제어프로그램에 의하여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는지」의 구별은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사용하여 설정기(1)에 통지할 수 있다.
설정기(1)에서 수신하여 논리제어기(3)의 RAM에 저장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은, 논리제어기(3)에 외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되어 있지 않는 기간이 장기간 지속될 경우, RAM의 내용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의 소모에 의하여 소멸하여 버리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논리제어기(3)의 전원을 투입했을 때에 설정기(1)에 대하여 제어프로그램의 송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논리제어기(3)의 RAM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이 소실하여 버린 것을 설정기(1)로 알 수 있으므로, 설정기(1)는 논리제어기(3)가 사용하는 제어프로그램을 논리제어기(3)에 송신한다. 논리제어기(3)는 설정기(1)에서 수신된 제어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논리제어기(3)의 읽고 쓰기가 자유로운 RAM에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는 것의 이점은 아래와 같다.
첫번째 이점을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의 ROM에 기입된 제어프로그램에서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를 제어하는 경우, 제어프로그램을 고쳐쓰기 위해서는 논리제어기(3)의 ROM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논리제어기(3)에서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프로그램을 RAM에 저장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어프로그램의 변경을 논리제어기(3)의 ROM을 교환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ROM의 교환에는 힘이 들지만, 통신으로 제어프로그램을 고쳐 쓸 수 있으면 제어프로그램의 고쳐쓰기에 필요한 작업수를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두번째 이점을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의 RAM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논리제어기(3)에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동안에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논리제어기(3)의 전원을 투입할 때마다 설정기에서 제어프로그램을 수신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논리제어기(3)의 전원을 투입하면 즉시 제어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방사권취유닛의 부분제어장치(5)의 제어를 개시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제어기(3)의 전원을 투입할 때마다 제어프로그램을 수신할 필요가 없으므로, 논리제어기(2)의 전원투입 직후에 제어프로그램을 송신하기 위하여 설정기(1)와 논리제어기(3)사이를 접속하는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논리제어기(3)의 전원투입 직후에, 논리제어기(3)의 상태의 모니터 때문에 설정기(1)와 논리제어기(3) 사이를 접속하는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논리제어기(3)의 전원투입직후에서 설정기(1)에 있어서 논리제어기(3)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다.
논리제어기(3)를 중계하는 시리얼통신기능을 더욱 설명하기로 한다. 논리제어기(3)는 그 채널의 시리얼통신포트(7),(8)를 지닌다. 제1시리얼통신라인(2)측의 채널(7)의 통신포트는, 설정기(1)와 접속되어 있다. 제2시리얼통신라인(4)측의 채널(8)의 통신포트는,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5)와 접속되어 있다. 이때에, 부분제어장치(5)는, 방사권취유닛의 전체 또는 부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나 방사권취유닛과 협조하여, 동작하는 장치의 전체 또는 부분을 제어하는 장치를 말하며, 그 대표적인 것을 도1에서 예시한다.
논리제어기(3)가 2개의 시리얼포트(7),(8)를 지니고 있으므로서, 논리제어기(3)는「설정기(1)와의 통신」과「부분제어장치(5)와의 통신」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논리제어기(3)가 부분제어장치(5)의 사이의 통신을 실시하고 있을 때에, 설정기(1)는 다른 논리제어기(3)의 통신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 채널의 시리얼통신라인(2),(4)을 동시에 평행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시리얼통신라인(2),(4)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고, 설정치나 장치의 가동데이터라고 하는 각종 데이터의 장치간의 송수신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량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시리얼통신라인(2),(4)은 하드웨어의 제한으로 1개의 라인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의 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1개의 시리얼통신라인과 접속하는 방사권취유닛의 수를 보다 많게 하기 위해서는, 1개의 방사권취유닛당 시리얼통신라인과 접속되는 부분제어장치의 수를 보다 적게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도1의 설정기(1)의 제1시리얼통신라인(2)과 접속되는 것은 논리제어기(3)뿐이다.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5)는 설정기(1)의 제1시리얼통신라인(2)에는 접속되지 않는다. 1개의 방사권취유닛당 1개의 논리제어기(통신단말)(3)만이 제1시리얼통신라인(2)과 접속되므로, 1개의 방사권취유닛의 다른 부분제어장치가 제1시리얼통신라인(2)과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설정기(1)의 1개의 제1시리얼통신라인(2)과 접속할 수 있는 방사권취유닛의 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다.
또, 제1, 제2시리얼통신라인(2), (4)의 사용에 의하여 설정기(1)로의 배선을 간단히 할 수도 있다.
설정기(1)와 부분제어장치(5)의 시리얼통신은 직접실시하는 것은 아니고, 메시지를 일단 논리제어기(3)를 경유하여 실시한다. 설정기(1)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논리제어기(3)뿐이므로, 설정기(1)와 접속하는 시리얼통신선의 배선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이런것에 의하여 배선에 대한 작업수도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방사권취유닛과 접속되는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의 수가 증감된 경우에도, 설정기(1)과 방사권취유닛 사이의 시리얼통신의 배선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시리얼통신의 배선의 변경은, 방사권취유닛과 부분제어장치(5)의 사이의 배선의 부분을 변경하는 것으로 끝난다. 결국,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5)의 수가 변경하였다고 하여도 배선의 변경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다음에, 설정기(1)가 논리제어기(3)의 운전조건, 운전모드의 변경이나 내부상태의 모니터를 실시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는 제어프로그램을 설정기(1)에서 받아들일 수 있는 외에, 제어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타임의 타임업 설정치나 현재치, 카운터의 카운터업 설정치나 현재치의 설정, 읽어냄을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프로그램의 내부상태를 유지하는 변수의 상태의 변경, 읽어냄도 제1시리얼통신라인(2)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런 것에 의하여, 설정기(1)에 의해서, 논리제어기(3)의 RAM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운전조건이나 운전모드의 변환을 제1시리얼통신회선(2)을 사용하여 간단히 또한 리얼타임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현재의 논리제어기(3)의 운전상황을 설정기로 간단히 또한 리얼타임으로 꺼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방사권취유닛에서 권취하는 패키지의 길이 등을 설정기(1)로 설정할 수 있다. 또, 방사권취유닛에서 권취된 패키지의 수나 방사권취유닛중의 스핀들(테이크업와인더)의 운전효율 등을 설정기(1)가 얻을 수 있다.
더욱이, 논리제어기(3)가 제2시리얼통신라인을 통하여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는 부분제어장치(5)와 통신을 실시하여, 부분제어장치(5)의 설정치의 읽기와 쓰기, 내부상태의 읽어냄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런것에 의하여, 부분제어장치(5)의 내부상태를 논리제어기(3)가 리얼타임으로 알 수 있다.
부분제어장치(5)로부터 얻어진 정보에 따라서 방사권취유닛의 운전조건이나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또, 논리제어기(3)의 제어프로그램(3)의 제어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서 부분제어장치(5)의 동작을 리얼타임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더욱이, 설정기(1), 논리제어기(3),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5)의 서로의 통신을 확실하게 실시하는 기능을 설명한다. 논리제어기(3)는 설정기(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메시지를 해석하고, 논리제어기(3) 앞으로의 메시지라면 논리제어기(3)에서 수용하여, 메시지의 내용에 따른 처리를 실시한다. 논리제어기(3) 이외의 부분제어장치(5) 앞으로의 메시지인 경우에는, 수신된 데이터를 부분제어장치(5)에 메시지로 전송한다. 부분제어장치(5)로부터 논리제어기(3)가 수신한 메시지가, 논리제어기(3)가 부분제어장치(5)에 대하여 송신한 부분제어장치(5)에 무엇인가의 처리를 요구하는 메시지에 대한 응답의 메시지인 경우에는, 논리제어기(3)에서 받아들이며, 메시지의 내용에 따른 처리를 실시한다.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된 메시지를 설정기(1)에 전송한다.
이 기능에 의하여,「설정지(1)와 논리제어기(3)와의 통신」,「설정기(1)와 부분제어장치(5)와의 통신」,「논리제어기(3)와 부분제어장치(5)와의 통신」을 메시지가 혼신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청구항 제1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1개의 통신제어장치로부터 운전조건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설정이 쉽고, 설정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시리얼통신라인과 제2시리얼통신라인의 2단구조로 되어 있어, 접속할 수 있는 방사권취유닛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제2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원유닛의 방사권취유닛내에 서로 관련하는 운전조건을 일괄설정할 수 있고, 예컨대, 방사권취유닛마다 달리하는 운전조건을 설정할 경우에도, 실수가 없는 설정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서로에 관련하는 운전조건을 1개의 식별번호 등에 의하여 일괄해서 관리할 수 있다.
청구항 제4항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설정용 응용소프트마다 관리를 쉽게 할 수 있고, 설정용 응용소프트를 변경하는 경우나, 새로운 설정용 응용소프트를 추가하는 경우, 통신용 응용소프트의 통신방법이 일치하게 되면, 통신용 응용소프트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Claims (6)

  1. 통신제어장치와, 상기한 통신제어장치에 제1통신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개의 통신단말과, 상기한 통신단말의 각각에 제2통신라인을 통하여 접속되는 복수개의 부분제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한 통신제어장치가 상기한 부분제어장치의 운전조건의 설정을 상기한 통신단말을 통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복수개의 부분제어장치가, 1개의 방사권취유닛에 있어서 실의 흐름에 따라서 설치된 복수개의 기기의 부분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제어장치에 의한 운전조건의 설정이, 상기한 1개의 방사권취유닛의 운전조건을 일괄하여 설정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제어장치가, 상기한 운전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응용소프트를 함유하는 복수개의 설정용 응용소프트를 보유하고, 이들 설정용 응용소프트는, 통신용 응용소프트를 통해 상기한 통신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단말이, 통신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부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랜덤엑세스메모리를 구비한 논리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통신단말이, 통신제어장치로부터 수신된 부분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랜덤엑세스메모리를 구비한 논리제어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권취 시스템.
KR1019980027588A 1997-07-16 1998-07-09 방사권취 시스템 KR199900137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91099A JPH1136144A (ja) 1997-07-16 1997-07-16 紡糸巻取システム
JP97-191099 1997-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17A true KR19990013717A (ko) 1999-02-25

Family

ID=16268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588A KR19990013717A (ko) 1997-07-16 1998-07-09 방사권취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892096A3 (ko)
JP (1) JPH1136144A (ko)
KR (1) KR19990013717A (ko)
TW (1) TW345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0934A (ja) 2000-07-12 2002-01-23 Murata Mach Ltd 単錘駆動型繊維機械のモータ制御システム
US6738684B2 (en) * 2001-03-23 2004-05-18 Fort Jam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verting rewinder lin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0181A1 (de) * 1989-03-29 1990-10-04 Rieter Ag Maschf Steuersystem fuer eine textilmaschine
DE4229234C2 (de) * 1991-09-02 1997-09-11 Murata Machinery Ltd Verfahren und Anlage zum Steuern und Planen von Betriebsabläufen in einem Textilwerk
JP2550811B2 (ja) * 1991-09-19 1996-11-06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
DE4319485C2 (de) * 1993-06-11 1996-05-23 Zinser Textilmaschinen Gmbh Steuervorrichtung für eine Spinnereimaschine
JP3257214B2 (ja) * 1993-12-27 2002-0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生産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2096A3 (en) 1999-06-09
TW345598B (en) 1998-11-21
JPH1136144A (ja) 1999-02-09
EP0892096A2 (en) 199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8593A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computer system with micro field processor and programmable bus interface unit
KR19990013717A (ko) 방사권취 시스템
CN110790086B (zh) 用于操作纺织机的方法及纺织机
JP2000247543A (ja) 作業位置にプロセッサを備えた繊維機械
US7080175B2 (en) Network system
US8327162B2 (en) Network communication system for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grouping controllers therein
US5867383A (e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JP2018065661A (ja) 繊維機械のメンテナンス順序調整システム
US11236445B2 (en) Textile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extile machine
CN109709904B (zh) 从机装置、主机装置以及工业用网络系统
JP6636882B2 (ja) 数値制御装置
US5804778A (en) Elevator control data intercommunication programmer
US9274993B2 (en)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consistently exchanging data
JP4492778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システム
JP4145258B2 (ja) 繊維機械の設定装置
JP2000112512A (ja) ロボット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EP1184493B1 (en) Motor controlling system for individual-spindle-drive type textile machine
KR101810196B1 (ko) 인버터의 통신모듈
JP2001282312A (ja) Plc用表示システムおよびplcと表示器とのデータ通信方法
CN100423025C (zh) 智能卡中字节传输的管理
JPH09235072A (ja) 巻取機の制御装置
KR0170266B1 (ko) 다중로보트 통신제어시스템
JPH0297100A (ja) 電子部品実装機におけるデータ管理方法
JPH0888640A (ja) データ通信方法
EP4303674A1 (en) Control system for a spinning fac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