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527A - 특정 채널이 있는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정 채널이 있는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527A
KR19990013527A KR1019980026525A KR19980026525A KR19990013527A KR 19990013527 A KR19990013527 A KR 19990013527A KR 1019980026525 A KR1019980026525 A KR 1019980026525A KR 19980026525 A KR19980026525 A KR 19980026525A KR 19990013527 A KR19990013527 A KR 19990013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oftware
communication system
event handling
switch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1482B1 (ko
Inventor
두퀘-안톤지저스-마뉴엘
귄터랄프
모이저토마스
바젤요제프
카라베크라쉬트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롤페즈
필립스일렉트로닉스코닌 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롤페즈, 필립스일렉트로닉스코닌 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롤페즈
Publication of KR19990013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14User Network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5Operations, 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OAM]
    • H04L2012/5626Network management, e.g. Intelligent 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54Store-and-forward switching systems 
    • H04L12/56Packet switching systems
    • H04L12/5601Transfer mode dependent, e.g. ATM
    • H04L2012/5629Admission control
    • H04L2012/563Signalling, e.g. protocols, reference mod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서로연결되고, 단자들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몇몇 노드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각각은 스위치 및 적어도 관련 커플링 필드를 제어하고 시그널링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제어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한 오브젝트는 몇몇 상태의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제어 소프트웨어의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는 검출 포인트가 도달될 때 다른 처리를 위해 제공된다.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는 적어도 하나의 터미널 또는 다른 노드로부터의 특정 채널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Description

특정 채널이 있는 통신 시스템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부분적으로는 서로 연결되고 부분적으로는 단자들에 연결되며,
-각각은 적어도 관련 스위치를 제어하고 시그널링하기 위해 스위치 및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몇몇 노드들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통신 시스템은 M.Hein and N. von der Lancken, Internat. Thomson Publ., 1997, Bonn, PP. 97-104에 의한 ATM, Konzepte-Trends-Migration(ATM, Concepts-Trends-Migration)이라는 저서로부터 공지된다. 이것은 몇몇 노드들 및 단자들, 즉 임의의 노드들에 접속된 최종 사용자들을 갖는 네트워크를 개시한다. 그러한 단자는 전화기, PC, 워크스테이션, 서버 등등이 될 수 있다. 노드는 연결 필드에서 경로들을 스위치하는 제어 소프트웨어가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또한 다른 목적지들 사이에서 시그널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오브젝트가 단자 또는 다른 노드의 정보로 액세스 가능하게 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한 오브젝트는 임의의 상태들에 있는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한 오브젝트는 검출 포인트가 도달할 때 다른 처리를 위해 제공되며,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는 특정 채널에 의해 적어도 한 단자 또는 다른 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는 점에서 서두 문단에서 언급한 종류의 통신 시스템에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노드들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가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에 의해 특정 채널에 액세스할 수 있게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특정 채널은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임의의 셀형 전송 정보를 셀(cell)한다는 점에서 구체화된다.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에 공급되고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로부터 비롯된 정보는 셀 내에 팩되거나 또는 제어 장치 내의 셀들로부터 언팩된다.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는 임의의 상태들에 있는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검출 포인트가 도달될 때, 다른 처리는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가 대신한다. 이 오브젝트는 특정 채널에 의해 단자들 또는 다른 커플링 소자들과 통신할 수 있다. 만약 응용할 수 있으면, 수신 정보가 검출 포인트의 도달이후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에 대한 제어를 포기한 오브젝트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접속이 이루어지는 동안 특정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 및 처리할 수 있다.
검출 포인트들은 상태 머신으로서 표현될 수 있거나 또는 상태 모드로 설명될 수 있는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시그널링을 위해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그러한 오브젝트들에 집적될 수 있다. 검출 포인트에 의해 제 1 오브젝트의 처리 실행이 전환된 이후에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는 제 1 또는 제 2 오브젝트에 스위칭 오버하거나 또는 특정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몇몇 노드들 및 몇몇 단자들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로써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
도 2는 노드에 포함된 제어 소프트웨어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오브젝트의 상태 모델 일부를 예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네트워크사용자 8, 9, 10, 12, 13 : 노드
도 1은 네트워크(1) 및 몇몇 단자들 또는 최종 사용자 스테이션(2 내지 7)이 있는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는 일부는 서로 접속되고, 일부는 단자들(2 내지 7)과 접속되는 몇몇 노드들(8 내지 13)을 포함한다. 예컨대 노드들(8)은 노드들(9, 10, 12, 13) 및 단자들(2, 3)에 접속된다.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는 통신 시스템은 예컨대 음성 전송, 비디오 신호들의 분배, 데이터 통신에 대한 모든 서비스들에 적합하다. ATM 에 의해 전송될 메시지들 또는 정보는 동일한 길이의 패킷들(셀들)로 인벨로프되어, 통신 시스템이 본 서비스 또는 장치에 무관하게 균일한 패킷들만 전송한다. 셀은 경로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5바이트의 헤더와, 데이터를 포함하는 48 바이트의 정보 필드를 구비한다. 메시지 또는 정보 전송 전에(데이터 전송), 시그널링에 의해 가상 링크가 이루어지며, 데이터 전송이 완성된 이후에 다시 분리된다. 원하는 전송 특성들, 예컨대 대역폭, 고장률, 실행 시간에 대한 일치는 사용자 측 및 네트워크 측의 단자들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어떻게 사용자측 단자 및 네트워크가 서로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지와 어떻게 이들이 처리되는 지가 인터페이스 규정에 의해 정해진다. 단자 및 네트워크 사이에서의 인터페이스는 'User to Network Interface'로 불린다. 간단히 약자는 UNI이다. ITU에 의해 표준화된 방법 Q.2931은 이것을 위해 사용된다. 두 커플링 소자들 사이 또는 두 네트워크들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Network to Network Interface'로 나타내며, 줄여서 NNI라 한다.
제어 셀들로 언급된 셀들은 시그널링 정보 전송을 위해 사용된다.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 가상 채널은 두 최종 사용자들 사이의 전송에 유효하게 만들어 졌으며, 유용한 데이터는 페이로드(payload) 셀들이 셀들에 의해 운송된다. 두 셀 형태들은 각각의 셀의 헤더의 임의의 정보 비트들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두 개의 다른 데이터, 한 쪽의 시그널링 데이터 다른 쪽의 유용한 데이터가 단자 및 노드 내에서 다른 방식들로 통과거나 또는 돌려진다. 따라서 ATM 페이로드 채널은 유용한 데이터 전송에 대해 규정될 수 있으며, ATM 시그널링 채널은 시그널링 데이터의 전송에 대해 규정될 수 있다.
노드(8 내지 13)는 셀 내에 포함된 경로 정보에 따라 스위치를 통한 경로를 전환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노드(8 내지 19)는 또한 경로 제어 및 시그널링을 위해, 예컨대 제어 소프트웨어가 있는 컴퓨터로 구성된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그러한 제어 장치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도 2에 도시된 소프트웨어 오브젝트들에 의해 묘사된다. 제 1 그룹(14)의 오브젝트들은 시그널링 데이터(스위치 시그널링)를 발생시키고 수신하기 위한 오브젝트(17)(SwSi),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오브젝트(18)(EH), 인터페이스 기능(콜 제어 인터페이스)이 있는 오브젝트(19)(CCI)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들의 제 2 그룹(16)은 접속을 제어(콜 제어)하기 위한 오브젝트(20)(CaCo), 리소스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21)(ReCo), 콜 전송 제어를 위한 오브젝트(22)(CaAd)를 구비한다. 오브젝트들의 제 1 그룹(14) 및 제 2 그룹 사이의 메시지들은 인터페이스 기능(스위치 제어 인터페이스)이 있는 다른 오브젝트(15)(SCI)를 통해 상호 교환된다.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두 개의 오브젝트들(15, 19)은 인컴잉 메시지들의 유효성을 테스트하고 이러한 것들을 임의의 규정된 메시지들 및 명령어들로 번역한다.
새로운 오브젝트들(17)(SwSi), (18)(EH), (20)(CaCo)는 접속이 이루어질 또는 접속이 이루어진 각각의 시간에 생성될 수 있다. 오브젝트들(15)(SCI), (19)(CCI), (21)(ReCo), (22)(CaAd)은 접속부들의 수에 무관하게 한 번만 존재하며, 다른 오브젝트들에 의해 콜업 될 수 있다.
오브젝트(17)(SwSi)는 UNI/NNI 프로토콜에 따라 시그널링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그널링 이후에 페이로드 채널이 유효하게 되며, VPI(가상 경로 식별자) 및 VCI(가상 회로 식별자) 마크들을 특징으로 한다. VCI는 셀의 목적지를 향한 간접적인 어드레싱을 제공하여, 가상 접속을 이룬다. VPI는 몇몇 가상 링크들의 한 세트를 나타낸다. 오브젝트(15)(SCI)는 SwSi(17)로 부터 수신한 시그널링 데이터를 변환시키고 그 변환된 시그널링 데이터를 제 2 그룹(16)의 오브젝트들에 전송한다.
오브젝트(20)(CaCo)는 대응하는 명령 이후에 연결을 이루거나 또는 연결을 끊는다. CaCo(20)는 오브젝트(21)(ReCo) 및 (22)(CaAd)를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어드레스한다. ReCo(21)는 네트워크 리소스의 현재 상태에 대한 정보를 공급한다. 따라서 그것은 ReCo(21)에 의해 예컨대 30Mbit/s의 대역폭을 갖는 링크가 여전히 가능한 지의 여부가 나타날 수 있다. CaAd(22)는 새로운 접속 요청을 수신한 이후 접속이 받아지는지 또는 거절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CaAd(22)는 네트워크가 충분한 리소스들 및 몇몇 QoS 필요조건(QoS = Quality of Service)이 실행될 때 접속을 받아들인다. 노드의 스위치에 대한 경로표는 또한 오브젝트(22)(CaAd)의 일부를 형성한다. 오브젝트(20)(CaCo)는 수반하는 정보(예컨대 VPI, VCI)로써 이루어지고 끊어지는 모든 링크들의 리스트를 특히 포함한다. CaCo(20), ReCo(21), CaAd(22) 사이의 정보 흐름은 보통 오브젝트들(20, 21, 22)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한다. 제 1 그룹(14) 및 제 2 그룹(16)은 SCI(15)에 의해 이루어진다.
오브젝트(17)(SwSi) 및 (20)(CaCo)는 상태 모델에 의해 묘사될 수 있는 몇몇 상태들(상태 머신)을 갖는다. 오브젝트(21)(ReCo)는 주로 표들을 구비하며, 오브젝트(22)(CaAd)는 테스트 알고리즘들을 구비한다. 오브젝트들(21)(ReCo) 및 (22)(CaAd)은 상태 머신들로서 나타내질 수 있다. 예컨대 오브젝트(CaCo)는 접속 요청을 수신하며, 다양한 액션들을 트리거하는 상태로 전환한다. 예컨대 메시지는 원하는 대역폭으로 접속이 가능한 지의 여부를 묻는 ReCo(21)로 보내진다. 검출 포인트들은 몇몇 상태들에 대해 삽입된다. 검출 포인트가 있는 상태가 도달될 때 메시지는 오브젝트(18)(EH)로 보내지며, 그것은 어떤 액션이 실행될 것인 지의 여부를 테스트한다. EH(18)는 오브젝트(19)(CCI)에 의해 다른 노드들의 오브젝트들 또는 이곳 단자들과 통신한다. 다른 셀형은 데이터 상호 교환을 위해 이곳에서 사용되며, 특정 셀로 불리며, 그것을 따라서 다른 채널을 형성하고, 특정 채널이라 불린다. 일반적 정보, 예컨대 어드레스 정보, 관리 정보와 같은 것은 특정 채널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다.
도 3은 상태 모델의 예시를 도시한다. 여기서 오브젝트는 한 상태 ST(n-1)로부터 상태 ST(n)을 통해 상태 ST(n+1)로 바뀐다. 검출 포인트 DP(n)는 상태 ST(n)에 속하며, 검출 포인트 DP(n+1)는 상태 ST(n+1)에 속한다. 상태 ST(n)가 이루어질 때 검출 포인트 DP(n)를 통해 오브젝트(18)(EH)가 바뀌며, 오브젝트(18)는 그 다음에 예컨대 정보가 특정 채널을 통해 얻어질 것인지 또는 다른 오브젝트가 다른 처리로써 지속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특정 채널을 통해 얻어진 정보는 예컨대 오브젝트에 공급되며, 명령은 처리를 지속시키기 위해 주어진다. 이것은 도 3에서 검출 포인트 DP(n) 또는 DP(n+1)로의 화상표에 의해 표시된다.
검출 포인트들 DP는 오브젝트들(17)(SwSi), (20)(CaCo), (21)(ReCo), (22)(CaAd)에서 나타날 수 있으며, 그것은 도 3에서 문자 DP로 표시된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SwSi(17) 또는 CaCo(20), ReCo(21), CaAd(22) 또는 제 2 그룹(16)의 몇몇 오브젝트들 중 하나에만 검출 포인트들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시스템의 다양한 장치들 예컨대, 단자들은 제어 장치들의 제어 소프트웨어의 일부로서 특정 채널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자들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오브젝트들은 제어 소프트웨어의 다른 오브젝트들과 통신할 수 있으며, 예컨대 그들로부터 데이터를 부를 수 있다.
도 2의 오브젝트(18)(EH)의 동작 방법은 예시를 참조함으로써 더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도 1의 단자들 (2 내지 7)은 이동가능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단자(7)의 사용자 X는 단자(2)의 사용자 Y와 접속하고자 한다. 단자들(2 내지 7)은 명백한 어드레스가 특징이다. 이동 가능한 단자(2)는 더이상 노드(8)에 접속되지 않고 그 대신에 노드(13)에 접속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위치에 있어서 이러한 변화는 서버에게 놓인다. 접속 요청이 단자(7)의 사용자 X로부터 수신된 이후에 노드(10)의 제어 소프트웨어의 대응하는 오브젝트들은 활성화된다. 만약 경로를 찾는데 있어서의 오브젝트(22)(CaAd)가, 사용자 Y가 어디에 있는지가 테스트되는 상태로 들어가면, 처리 태스크는 대응하는 오브젝트(18)(EH)로 넘겨진다. 오브젝트(18)(EH)는 예컨대 터미널(5)인 서버에게 특정 채널을 통해 요청을 보내고, 그것은 모든 장치들의 물리적 위치들 및 어드레스들을 제어한다. 오브젝트(18)(EH)가, 단자(2)가 노드(13)에 연결되는 단자(5)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 정보는 오브젝트(22)(CaAd)로 보내지고 CaAd(22)가 다시 제어된다. 관련 가상 링크 경로들은 이제 전환될 수 있다.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서로연결되고, 단자들에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몇몇 노드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그 각각은 스위치 및 적어도 관련 커플링 필드를 제어하고 시그널링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Claims (5)

  1.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고
    -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부분적으로는 서로 연결되고, 부분적으로는 단자들에 연결되며,
    - 각각은 적어도 관련 스위치를 제어하고 시그널링하기 위해 스위치 필드 및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몇몇 노드들을 갖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한 오브젝트는 임의의 상태들의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한 오브젝트는 검출 포인트가 도달될 때 다른 처리를 위해 제공되며,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상기 오브젝트는 적어도 한 단자로부터 또는 특정 채널을 통해 다른 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 오브젝트는 상기 시그널링을 초래하며, 상태 머신으로서 표현될 수 있거나 또는 상태 머신으로서 설명될 수 있으며, 임의의 상태들의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채널은 소정의 셀형을 통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검출 포인트를 통해 제 1 오브젝트의 상기 처리를 스위치 오버한 후에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상기 오브젝트는 상기 특정 채널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오브젝트로 스위칭 오버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비동기 전송 모드(ATM)로 동작하고
    - 몇몇 다른 노드들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적어도 다른 하나의 노드에 연결되며,
    - 적어도 상기 스위치 필드를 제어하고 상기 시그널링을 위해 스위치 및 제어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커플링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적어도 한 오브젝트는 임의의 상태들의 검출 포인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소프트웨어의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한 오브젝트는 검출 포인트가 도달될 때 다른 처리를 위해 제공되며,
    이벤트 핸들링을 위한 상기 오브젝트는 적어도 한 단자로부터 또는 특정 채널을 통해 다른 한 노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커플링 소자.
KR1019980026525A 1997-07-03 1998-07-02 특정채널을구비한통신시스템 KR100591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28505.8 1997-07-03
DE19728505A DE19728505A1 (de) 1997-07-03 1997-07-03 Kommunikationssystem mit Sonderka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527A true KR19990013527A (ko) 1999-02-25
KR100591482B1 KR100591482B1 (ko) 2006-09-13

Family

ID=783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525A KR100591482B1 (ko) 1997-07-03 1998-07-02 특정채널을구비한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88827B1 (ko)
EP (1) EP0889669B1 (ko)
JP (1) JP3926480B2 (ko)
KR (1) KR100591482B1 (ko)
DE (2) DE19728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66133B (en) * 2000-06-30 2003-01-08 Motorola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an internet si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7223B2 (ja) * 1990-03-20 1999-10-04 富士通株式会社 コールプロセッサの負荷分散制御方式
DE4408974C2 (de) * 1994-03-16 1996-07-11 Siemens Ag Modular strukturiertes ATM-Kommunikationssystem mit Kommunikationsmodulen
US5483527A (en) * 1994-12-21 1996-01-09 At&T Corp. Terminal adapter for interfacing an ATM network with a STM network
GB2308040A (en) * 1995-12-09 1997-06-11 Northern Telecom Ltd Telecommunications system
US5889782A (en) * 1996-05-28 1999-03-30 Mci Worldcom, Inc. Encapsulation of proprietary protocol information conforming to the ANSI SS7 ISUP stand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89669B1 (de) 2006-02-22
JP3926480B2 (ja) 2007-06-06
DE59813399D1 (de) 2006-04-27
EP0889669A2 (de) 1999-01-07
DE19728505A1 (de) 1999-01-07
US6888827B1 (en) 2005-05-03
EP0889669A3 (de) 2000-03-29
JPH1174907A (ja) 1999-03-16
KR100591482B1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8090B1 (en) Method and system for software updating
US6275494B1 (en) Packet switching system, packet switching network and packet switching method
US5777994A (en) ATM switch and intermediate system
US6304571B1 (en) Multiprocessor type exchange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for
KR100591482B1 (ko) 특정채널을구비한통신시스템
US6859457B1 (en) Substitution call control system in ATM communication network
US7353292B2 (en)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connection types between a fixed or variable state with an external switching unit
KR100233239B1 (ko) 비동기전달모드 교환기에서의 중계호 시험을 위한 루프백 신호점 구성 및 신호 메시지 처리 방법
US6055238A (en) Packet terminal and packet communication network
KR20010111258A (ko) Atm 노드내의 내부 제어 경로 설정
KR19990087607A (ko) Atm 네트워크를 통한 atm 셀의 전송 방법
US6519256B1 (en) Technique for constructing and controlling a private line using a switched virtual circuit in an ATM network
KR100284971B1 (ko) 비동기 모드 공중망에서 라인 루프백 기능을 이용한 착신단말전환방법
JP2000049799A (ja) Atm交換機及びatmコネクションの品質制御方法
KR100191836B1 (ko) 비동기전송모드 통신방식에서 브릿지 포맷 데이터전송방법
US6577629B1 (en) Switching network with complete transfer of the contents of a header field of a cell
US20030200312A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improved access network
KR100248414B1 (ko)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US6531953B1 (en) Method of controlling detouring in integrated network and communication device based on such method
KR100236949B1 (ko)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의 중계 장치에서 신호 처리 방법
KR100440580B1 (ko) 비동기전송모드 교환시스템에서의 프록시 시그널링 처리방법
US6952423B1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KR19990047513A (ko) 에이티엠 교환망의 소프트 피브이씨 구현 방법
KR20010012734A (ko) 통신 시스템, 스위치 장치, 소프트웨어 처리장치 및통신방법
KR20020049330A (ko) 피엔엔아이 망에서의 시그널링 경로 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