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414B1 -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 Google Patents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414B1
KR100248414B1 KR1019970070324A KR19970070324A KR100248414B1 KR 100248414 B1 KR100248414 B1 KR 100248414B1 KR 1019970070324 A KR1019970070324 A KR 1019970070324A KR 19970070324 A KR19970070324 A KR 19970070324A KR 100248414 B1 KR100248414 B1 KR 100248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information
network
user
match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1085A (ko
Inventor
박창민
윤경옥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70070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41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5/00Selecting arrangements wherein two or more subscriber stations are connected by the same line to the exchange
    • H04Q5/18Selecting arrangements wherein two or more subscriber stations are connected by the same line to the exchange with indirect connection, i.e. through subordinate switching centre
    • H04Q5/20Selecting arrangements wherein two or more subscriber stations are connected by the same line to the exchange with indirect connection, i.e. through subordinate switching centre the subordinate centre permitting interconnection of subscribers connected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기종 망상의 정보 제공자 접속을 위한 다단계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비스 이용자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으로의 1단 접속 후, 정보 정보 제공자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내부 고속 스위치상에서의 호 접속을 위한 과정 및 상기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 및 동적으로 변화가능한 망 접속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호 접속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부가 통신 사업자의 접속 수에 상관없이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와 정보 제공자 정합장치에서 이들 정보 제공자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기종 망상의 정보 제공자 접속을 위한 다단계 호 접속방법
본 발명은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다양한 이기종 망간의 서비스 제공을 위한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되는 이기종 망상의 부가통신 사업자(Value Added Network, 이하 VAN라 칭함)의 정보제공 서비스를 전화망 가입자와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이하 ISDN라 칭함) 가입자에게 제공하는 호 접속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중망 상에서 정보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통신처리시스템은 전화망 상의 서비스 이용자에게 패킷망 상의 정보제공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다.
그러나 인터넷 서비스가 급격히 활성화됨에 따라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는 서비스로 인한 전화망 상의 통신 폭주로 인하여 통신 정체 현상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정보 통신 서비스 접속뿐만 아니라 일반 전화를 이용한 음성 서비스도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급증하는 정보 통신 서비스 이용자를 수용함은 물론 고속의 정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화망 이외에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이하 ISDN라 칭함)을 통한 이용자 접속 기능을 제공하고, 인터넷. 프레임 릴레이(Frame Relay), 비동기 전송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 이하 ATM라 칭함) 등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제공자를 개방형으로 접속하기 위한 이기종 통신망 상의 복수 부가통신 사업자(Value Added Network, 이하 VAN라 칭함)를 수용하기 위하여 대용량화가 필요하였다.
기존의 고속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분야에서의 종래 기술은 아래에 기술한 바와 같다.
버스 방식을 이용하는 호의 연결은 목적지 주소를 저장한 프레임을 버스상에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수신한 해당 목적지 장치의 응답에 의해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런 버스 방식을 이용하는 내부 고속 스위치 상에서의 통신 방법은 각 VAN 사업자의 정보와 망 정합장치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이기종 망들에 접속되어 있는 VAN 사업자들의 정보 제공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접속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기존에 사용되었다.
첫째, 내부 고속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는 관리 장치에서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정보의 관리는 용이하나 서비스의 호 접속이 발생할 때마다 관리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요구함에 따른 관리 장치의 트래픽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각 정보 제공자 망 정합장치가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서비스 이용자 망 정합장치가 모든 정보 제공자 망 정합장치에게 해당 VAN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 가능한 망 정합장치로부터 고속 스위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 서비스 이용자 정합장치에게 서비스를 접속할 때마다 각 망 정합장치에게 상당한 트래픽 부하를 주게 되며, 스위치에서 브로드캐스팅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각 서비스 이용자 망 정합장치가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서비스 호의 정보 제공자 접속시, 가지고 있는 VAN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와의 접속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VAN 정보의 변경시 관리 장치로부터 변경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야 되는 부하는 있으나 다른 방법에 비하여 각 망 정합장치들의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호 처리 방법은 단일 망 혹은 이기종 망 사이에서 발생하는 호 처리 방법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러가지 망간의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고속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분야에서의 종래 기술은 아래와 기술한 바와 같다.
버스 방식을 이용하는 호의 연결은 목적지 주소를 저장한 프레임을 버스상에 브로드캐스팅 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이를 수신한 해당 목적지 장치의 응답에 의해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런 방식을 이용하는 내부 고속 스위치 상에서의 통신 방법은 각 VAN 사업자의 정보와 망 정합장치간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여러 이기종 망들에 접속되어 있는 VAN 사업자들의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들 접속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이 기존에 사용되었다.
첫째, 내부 고속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는 관리 장치에서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정보의 관리는 용이하나 서비스의 호 접속이 발생할 때마다 관리 장치에게 접속 정보를 요구하므로 관리 장치의 트래픽이 많이 발생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각 정보 제공자 망 정합장치가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이 기능은 서비스 이용자 망 정합장치가 모든 정보 제공자 망 정합장치에게 해당 VAN 정보를 전송하여 접속 가능한 망 정합장치로부터 고속 스위치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접속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각 서비스 이용자 정합장치에서 서비스를 접속할 때마다 각 망 정합장치에게 상당한 트래픽 부하를 주게 되며, 스위치에서 브로드캐스팅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각 서비스 이용자 망 정합장치가 VAN 정보의 유지 및 관리를 담당하게 하는 것이다.
서비스 호의 정보 제공자 접속시 가지고 있는 VAN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와의 접속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VAN 정보의 변경시 관리 장치로부터 변경 정보를 다운로드 받아야 되는 부하는 있으나 다른 방법에 비하여 각 망 정합장치들의 트래픽 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호 처리 방법은 단일 망 혹은 이기종 망 사이에서 발생하는 호 처리 방법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여러 가지 망간의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을 위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동적인 망 정합장치간의 상호 접속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급변하는 고속의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과 이기종 망상의 다양한 VAN 사업자 수용을 위하여 개발하고 있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자의 호를 특정 VAN에 있는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하여 다단계로 처리되는 호 접속방법으로써,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현존하는 서비스 망의 수용은 물론 앞으로 생성될 수도 있는 망의 수용과 서비스 품질 및 이용자 서비스 성향의 변경으로 인하여 서비스 망의 수용 용량 변경시 이용자 망 정합장치 내부의 라우팅 테이블의 내용 변경만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일 망에서 사용되어지는 통신 프로토콜은 물론 이기종 망간의 인터네트워킹(Intet-networking)을 위하여 인터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지는 프로토콜 변환 및 게이트웨이(Gateway) 기능을 위한 호 처리 절차만으로도 제공할 수 없는 여러 가지 망간의 인터네트워킹을 위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따른 동적인 망 정합장치간의 상호 접속을 위하여 내부 고속 스위치 상에서 이루어지는 호 접속방법과 이기종 망상의 정보 제공자 접속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 및 변화 가능한 망 접속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호 접속 방법으로서, 내부 스위치 상에서의 망 정합장치 접속을 위한 1단계 접속 절차와 특정 VAN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2단계 접속 절차를 구분함으로써 하나의 시스템인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여러 가지 이기종 망간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망 정합장치의 수용 용량 변경으로 인한 시스템 형상의 변경시와 새로운 서비스 망의 수용으로 인한 접속 망 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호 접속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용량 통신 처리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상의 정보 제공자 호 접속 처리흐름도,
제3도는 제2도의 서비스 호 접속을 위한 VAN 정보 테이블 구조도,
제4도는 제2도의 내부 고속망 접속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구조도,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도 3의 정보 제공자 접속을 위한 회선 구성 테이블 구조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화망 이용자 20 : ISDN 이용자
30 : 패킷망 이용자 40 : 전화망
50 : 종합정보통신망 60 : 패킷망
70 :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 71 : 전화망 정합장치
72 : ISDN 망 정합장치 73,75 : 패킷망 정합장치
74 : 스위칭 패브릭 76 : 웹망 정합장치
77 : 프레임 릴레이 정합장치 78 : ATM 망 정합장치
80 : 인터넷 90 : 프레임 릴레이 망
100 : ATM 망 110 : 정보 제공자
121, 141 : 테이블의 헤드정보 122,123,124,125 : IP 정합장치의 정보
131,134,135,136,137,138 : 스위치 접속 노드
132,133 : 버스 상태
142,143,144,145 : 패킷망 정합장치의 포트정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양한 이기종 망(전화망, 패 ISDN망)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을 다른 종류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또 다른 이기종 망(전화망, 패킷망, ISDN망, FR망, ATM망)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으로의 1단 접속 후, 정보 제공자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내부 고속 스위치상에서의 호 접속을 위한 제1과정, 상기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 및 동적으로 변화가능한 망 접속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호 접속의 제2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대용량 통신 처리 시스템 구성도로서, 전화망(40), ISDN망(50)과 패킷망(60), 인터넷(80), 프레임 릴레이 망(90), ATM 망(100)에 접속된 정보제공자(110)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70)의 전체 구성도이다.
상기 제1도와 같이 가입자 접속장치로는 전화망 가입자들의 서비스 접속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Telephone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TNAS라 칭함)(71), ISDN 망 가입자들의 서비스 접속을 위한 ISDN 망 정합장치(ISDN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INAS라 칭함)(72), 상기 패킷망에 접속된 전용선 가입자들의 서비스 접속을 위한 패킷망 정합장치(Packet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PNAS라 칭함)(73)로 구성된다.
이들 가입자 접속장치는 대용량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내부 고속 스위치인 스위칭 패브릭(High Speed Switching Fabric, 이하 HSSF라 칭함)(74)는 부하 분산을 위하여 이중화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패킷망 정합장치(73), 인터넷 정합장치인 웹망 정합장치(Web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WNAS라 칭함)(76), 프레임 릴레이 정합장치인 프레임 릴레이 망 정합장치(Frame Relay Network Access Subsystem, 이하 FNAS라 칭함)(77)와 이들 시스템의 운용 관리 장치인 롬(LOMS)(78)으로 연동되어진다.
상기 패킷망 정합장치는 동일 시스템으로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서 가입자 접속을 위한 접합장치와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정합장치로 구분되어 이용되어질 수 있다.
이 패킷망 정합장치는 상기 기술한 여러 종류의 망에 접속된 서비스 이용자에게 패킷망에 접속된 정보 제공업자의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여 준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호 접속 처리흐름도로서, 가입자 정합장치에서 서비스 이용자의 호 접속을 위한 부가통신 사업자인 VAN의 접속 정보를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은 50개까지의 복수 VAN을 수용할 수 있어야 하며, 가입자 정합장치에서는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고속 스위치상에서 이들 VAN과 식별자(Identifier, 이하 IP라 칭함) 정합장치와의 연결 정보를 알아야만 원하는 IP가 접속되어 있는 VAN이 접속되어 있는 IP 정합장치와 가입자 호를 연결할 수가 있다.
이 테이블 정보의 구성은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되어 VAN 구성이 변경될 때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테이블의 헤드정보(121)는 VAN 식별자 정보를 가지도록 되어 있으며, 각 식별자는 VAN이 접속되어 있는 IP 정합장치의 정보(122, 123, 124, 125)는 고속 스위치의 접속 노드 정보인 HSNA_Id(131)를 가진다.
그리고 *next_conn(121) 항목은 동일 VAN이 접속되어 있는 IP 정합 시스템간 부하를 분산하기 위하여 다음 접속 정합장치의 정보를 가진다.
제3도는 상기 제2도의 서비스 호 접속을 위한 VAN 정보 테이블 구조도로서,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이중화된 고속 스위치인 HSSF(74)을 경유하여 각 망 정합장치간 연결을 위한 고속 스위치상에서의 라우팅 정보 테이블이다.
이 테이블의 첫 번째 항목은 상기 도 2의 목적지 정합장치의 HSNA_Id 정보를 나타낸다.
이 스위치의 라우팅 테이블 정보는 32개의 스위치 접속 노드인 HSNA_Id(131, 134, 135, 136, 137, 138, ...)는 테이블에서와 같이 스위치 및 각 정합장치의 상태에 따라 4가지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도의 테이블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첫 번째 상태는 HSNA)Id가 0을 가지는 경우(134) 이중화된 고속 스위치의 A, B 버스 상태(132, 133)가 둘 다 "GOOD"이고 접속 정합장치의 상태 또한 "GOOD"이므로 스위치를 통하여 부하 분산이 접속 호마다 분리되어지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상태는 HSNA_Id가 1을 가지는 경우(135)는 이중화된 고속 스위치의 A, B 버스 상태(132, 133)가 둘 다 "GOOD"이나 접속 정합장치의 상태가 "BAD"이므로 스위치는 정상이나 접속 시스템이 다운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세 번째 상태인 HSNA_Id가 2와 3을 가지는 경우(136, 137)는 이중화된 고속 스위치의 A, B 버스 상태(132, 133)중 한쪽 버스의 상태만이 "GOOD"이고 접속 정합장치의 상태는 "GOOD"이므로 스위치의 "GOOD"인 상태의 버스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네 번째 상태인 HSNA_Id가 4를 가지는 정합장치의 상태(138)는 이중화된 고속 스위치의 A, B 버스 상태(132)가 둘 다 "BAD"이므로 접속 정합장치의 상태와 관계없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 제2도 및 제3도에서와 같이 고속 스위치의 접속 노드인 HSNA_Id에 의해서 VAN 정보와 고속 스위치의 상태 및 정합장치의 상태를 2단계로 분리된 테이블로 구성함으로써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VAN 구성 변경시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이용자의 서비스 접속 시 접속 절차가 간결하고 빠른 시간 내에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4도는 제2도의 내부 고속망 접속을 위한 라우팅 테이블 구조도로서,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인 패킷망 정합장치에서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회선 정보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패킷망 정합장치는 한 대당 최대 16개까지의 패킷 회선을 수용할 수 있다.
이 회선 정보 테이블에서는 패킷망 정합장치에서 접속되어 있는 VAN의 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포트정보와 각 회선별 LCN 개수와 현재 사용중인 LCN 개수를 나타내고 있다.
이 테이블 정보의 구성은 링크드 리스트로 구성되어 VAN의 회선 구성이 변경될 때 수정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테이블의 헤드정보(141)는 VAN 식별자 정보를 가지도록 되어 있으며, *next_conn(141) 항목은 동일 정합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패킷 회선간에 부하를 분산하기 위하여 다음 접속 정보를 가지며 아래의 연결 정보는 가 VAN이 접속되어 있는 패킷망 정합장치의 포트정보(142, 143, 144, 145)를 가지며, 이들 포트정보는 할당된 LCN 정보와 사용중인 LCN 정보룰 가진다.
제5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3도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회선 구성 테이블 구조도로서, 전화망, ISDN 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이용자는 정해진 서비스 접속 번호(014XY)를 이용하여(S1) 이용자 정합장치에 서비스 접속을 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서비스 안내를 위한 초기 화면을 전송한다(S2).
상기 초기화면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선택을 하고(S3), 전송된 전송화면에서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한다(S4).
이때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종료를 원하는지를 판단하여(S5) 서비스 종료를 원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서 서비스 호를 종료시키고(S6) 특정 서비스를 원하면 해당 IP 정보를 가지고 이 IP가 속한 VAN 정보를 이용하여 VAN 정보 테이블에서 이 VAN이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 접속 노드의 정보인 HSNA_Id를 알아낸다(S7).
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3도의 라우팅 테이블에서 스위치 상의 접속 경로의 상태를 확인하고(S8) 스위치 상의 접속 경로의 상태가 양호(GOOD)인가를 판단하여(S9)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다시 VAN 정보 테이블에서 다음 HSNA_Id를 알아와서(S10) 접속 노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S11) 더 이상의 접속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용자에게 접속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 초기 화면으로 돌아간다.
상기 판단 후 접속 모드 상태가 양호이면 스위치를 경유한 이용자 정합장치(TNAS, INAS)와 정보제공자 정합장치(PNAS)간의 호 접속 경로를 연결한 다음 호 접속 정보를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에게 제공하여 준다(S12).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에서는 회선 구성 테이블에서 원하는 VAN이 접속되어 있는 포트정보를 구하여 정보제공자 망을 통하여 IP와 호 접속을 시도한다(S13).
호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여(S14) 호 접속이 완료되면 상기 제4도의 해당 VAN 항목에 있는 사용중인 LCN 개수를 증가시키고(S15) 이용자에게 정보제공자의 서비스를 제공하고(S16) 종료한다(S17).
만약 호 접속이 실패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게 호 접속 실패를 알리고(S18) 스위치 상의 호 연결을 해제한다.
이용자 정합장치에서는 이용자에게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화망의 서비스 이용자와 패킷망상의 정보제공자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존의 통신처리시스템과는 달리 전화망과 패킷망뿐만 아니라 인터넷, ISDN, 프레임 릴레이 망, ATM 망 등 다양한 이기종 망으로 구성된 복수의 부가통신 사업자의 정보제공 서비스 수용은 물론 이들 서비스의 과금 회수 대행 서비스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은 전화망과 ISDN 망과 같은 서비스 이용자 엑세스 망을 수용하기 위한 망 정합장치와 패킷망, 인터넷, 프레임 릴레이 망, ATM 망 등 정보제공자 접속망을 수용하기 위한 정합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정합장치들을 상호 연결하여 주기 위하여 내부 고속 스위치를 둠으로써 이들 망 정합장치간의 고속 연결을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 접속되는 부가통신 사업자의 수가 현재 상태보다 앞으로 계속적인 증가가 예상되므로 부가통신 사업자의 접속 수에 상관없이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가입자 정합장치와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에서 이들 정보제공자 접속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급변하고 있는 망의 발전과 서비스 단말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단말과 망이 상존하고 있는 현 정보통신 시대에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처럼 망에서 이러한 변화를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서비스 이용자나 정보제공자가 이들 변화에 구속받지 아니하고 서비스의 이용 및 제공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다양한 이기종 망(전화망, 패킷망, ISDN망)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통신 서비스 이용자들을 다른 종류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이용하여 또 다른 이기종 망(전화망, 패킷망, ISDN망, FR망, ATM망)에 접속되어 있는 정보 제공자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다 단계 호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자의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으로의 1단 접속 후, 정보 정보 제공자 망으로의 접속을 위한 내부 고속 스위치상에서의 호접속을 위한 제 1 과정과;
    상기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서비스 이용자의 요구 및 동적으로 변화가능한 망 접속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호 접속의 제 2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다단계 호 접속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전화망, 종합정보통신망에 접속되어 있는 서비스 이용자가 정해진 서비스 접속 번호를 이용해 이용자 정합장치에 서비스 접속을 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서는 서비스 이용자에게 서비스 안내를 위한 초기 화면을 전송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초기화면에서 서비스 이용자는 서비스 선택을 한 후 전송된 전송화면에서 원하는 서비스 항목을 선택하는 제 2 단계와;
    서비스 이용자가 서비스 종료를 원하는지를 판단하여 서비스 종료를 원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서 서비스 호를 종료시키는 제 3 단계와;
    상기 판단 후 특정 서비스를 원하면 해당 식별자 정보를 가지고 이 식별자가 속한 VAN 정보를 이용하여 VAN 정보 테이블에서 이 VAN이 접속되어 있는 스위치 접속 노드의 정보인 HSNA_Id를 알아내는 제 4 단계와;
    상기 VAN 정보를 이용하여 스위치 상의 접속 경로의 상태를 확인하고 스위치 상의 접속 경로의 상태가 양호인가를 판단하여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다시 VAN 정보 테이블에서 다음 상태(HSNA_Id)를 알아오는 제 5 단계와;
    상기 다음 상태에서 접속 노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더 이상의 접속 노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이용자에게 접속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비스 초기 화면으로 돌아가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다단계 호 접속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과정은
    접속 모드 상태가 양호이면 스위치를 경유한 이용자 정합장치(TNAS, INAS)와 정보제공자 정합장치(PNAS)간의 호 접속 경로를 연결한 후 호 접속 정보를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에게 제공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정보제공자 정합장치에서 회선 구성 테이블에서 원하는 VAN이 접속되어 있는 포트정보를 구하여 정보제공자 망을 통하여 IP와 호 접속을 시도하는 제 2 단계와;
    호 접속이 성공했는지 판단하여 호 접속이 완료되면 해당 VAN 항목에 있는 사용중인 LCN 개수를 증가시키고 이용자에게 정보제공자의 서비스를 제공한 후 종료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판단 후 호 접속이 실패하면 이용자 정합장치에게 호 접속 실패를 알리고 스위치 상의 호 연결을 해제하고, 이용자 정합장치에서 이용자에게 오류 메시지를 전송한 후 서비스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는 제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기종 망상의 정보제공자 접속을 위한 다단계 호 접속방법.
KR1019970070324A 1997-12-19 1997-12-19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KR100248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324A KR100248414B1 (ko) 1997-12-19 1997-12-19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324A KR100248414B1 (ko) 1997-12-19 1997-12-19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85A KR19990051085A (ko) 1999-07-05
KR100248414B1 true KR100248414B1 (ko) 2000-03-15

Family

ID=19527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324A KR100248414B1 (ko) 1997-12-19 1997-12-19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4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A (en) * 1838-05-04 Force and suction pump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A (en) * 1838-05-04 Force and suction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08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9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route information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cell processing
US7493411B1 (en) Cal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routing of circuit switched data connections based upon stored communication link information
US595331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lternate routes in a network using a connection-oriented protocol
KR100293142B1 (ko) 호출및접속분리된네트워크에서자원분배방법
JPH10200929A (ja) ランダム経路を用いる網経路決定の自動学習
US6539029B1 (en) Network access server control
CA2286424C (en)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apparatus and management and signalling method therein
US6671253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eer redundancy to asynchronous transfer mode emulated local-area networks
KR100248414B1 (ko) 이기종망상의정보제공자접속을위한다단계호접속방법
US6816479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loading in an NBBS network the local directory database of network nodes with the location of the more frequently requested resources
Murakami et al. Control architecture for next-generation communication networks based on distributed databases
JP3435243B2 (ja) メタシグナリングチャネルを用いた呼制御方式
US682619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network node and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together and a network node
FI105747B (fi) Useamman kytkentäkeskuksen dataverkko
US671793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resource management
KR100591482B1 (ko) 특정채널을구비한통신시스템
KR100224318B1 (ko) 공중망 비동기 전달 모드(atm) 교환시스템에서의랜(lan) 트래픽 처리 방법
KR100231700B1 (ko) 다중-모듈 제어를 위한 루팅방법
KR100198444B1 (ko)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의 경로 설정방법
JP3255238B2 (ja) 通信制御処理装置
US6519256B1 (en) Technique for constructing and controlling a private line using a switched virtual circuit in an ATM network
WO2000031986A2 (en) Quick path survivability for meshed communications networks
KR20030020676A (ko) 패킷 교환기와 패킷 관문 교환기간의 링크 채널 관리 방법
KR100281423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서 각 망정합 장치간 브로드 캐스팅을이용한 경로 설정 방법
KR950006568B1 (ko) Isdn 교환기의 패킷교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