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320A - 워터크리닝 칠판 - Google Patents

워터크리닝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320A
KR19990013320A KR1019980006688A KR19980006688A KR19990013320A KR 19990013320 A KR19990013320 A KR 19990013320A KR 1019980006688 A KR1019980006688 A KR 1019980006688A KR 19980006688 A KR19980006688 A KR 19980006688A KR 19990013320 A KR19990013320 A KR 1999001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blackboard
cleaning liquid
writ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호
Original Assignee
장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창호 filed Critical 장창호
Priority to PCT/KR1998/000215 priority Critical patent/WO1999005939A1/en
Priority to AU84642/98A priority patent/AU8464298A/en
Priority to JP10210069A priority patent/JP3072079B2/ja
Priority to TW87115548A priority patent/TW403703B/zh
Publication of KR1999001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320A/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필로 판서된 칠판면을 지울 때 칠판면으로부터 분필가루가 바닥에 떨어지거나 분진이 실내에 비산하지 않도록 순환세정액 지움장치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크리닝칠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피면, 소정의 판서부재(11) 및 이를 동작시키는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칠판어셈블리(10)와, 이 칠판어셈블리(10)와 세정액 공급조건하에서 상대접촉하면서 지움작용을 실시하는 크리닝수단(50)과, 이 크리닝수단(50)에 소정의 여과된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150)과, 상기 칠판어셈블리(10), 크리닝수단(50) 및 세정액공급수단(15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70)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판서부재(11)를 형성하고 있는 사용면(11a)과 예비면(11b)이 자기위치를 서로 맞바꾸는 과정에서 크리닝수단(50)이 동작하여 소정의 지움작업을 수행하므로써 항상 예비면(11b)이 칠판 사용자를 위해서 대기(Stand-by)하고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세정액공급수단(150)은 상기 크리닝수단(50)에 세정액(159)을 공급하는 구성요부로서 세정액을 여과시켜서 순환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여과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리닝수단(50)을 칠판어셈블리(10)의 구동측부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설계하고 있으며, 이 크리닝수단(150)의 구성요부를 이루는 지움부재(51)로서는 부러시(brush)와 같이 세정액을 밖으로 잘 배출할 수 있는 쇄모부재(刷毛部材)를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성질의 지움부재는 자체회전에 의한 원심탈수기능이 뛰어나기 때문에 지움부재에 침투한 오염된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워터크리닝 칠판
본 발명은 크리닝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분필로 판서된 칠판면을 지울 때 분필가루가 실내에 날리지 않도록 하여 칠판 사용자의 건강을 보호하고, 지운흔적이 남지 않아서 언제나 깨끗한 판서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크리닝칠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본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세정액공급수단을 통하여 브러시 등의 지움부재에 세정액을 계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칠판의 판서면에 대하여 지움작용을 행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종래에는 이처럼 칠판에 사용자가 판서를 한 다음 또 다른 내용을 판서하기 위하여 이전의 판서내용을 지워버려야 할 때, 통상적으로 천을 주 재료로 한 봉제(縫製)의 분필지우개(Stuffed eraser)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처럼 분필지우개를 사용하여 칠판을 지우는 일은 칠판을 지울 때 분필가루가 비산하므로 칠판 사용자의 호흡기 계통의 건강을 크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옷 소매자락이나 분필지우개에 묻은 분필가루를 털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 까닭에 칠판을 항상 사용해야 하는 학교교사나 학원강사는 물론이거니와 피교육자인 학생이나 수강생들에게 커다란 유해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칠판의 스틸원판(Raw steel plate) 표면은 완전한 평활면이 아니라 분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보유하고 있는 까닭에 이러한 스틸원판(이하 판서부재라고 칭함) 위에 분필로 글씨를 쓰게되면 분필입자가 판서부재의 미세한 요철부분에 끼이게 되므로 천으로 된 분필지우개로서는 깨끗하게 지우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지워낸흔적이 뿌옇게 남게되어 좋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전의 폐단을 제거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서, 분필사용으로 더렵혀진 칠판면에 대하여 소정의 세정액을 공급받는 크리닝수단을 통하여 세정액이 분필가루를 씻어내리는 형태의 지움작용을 실시토록 하므로써 분필가루가 실내에 전혀 비산하지 않는 크리닝칠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판서부재에 소정의 사용면과 예비면을 일체로 설정하므로써 크리닝수단에 의하여 세척된 예비면이 사용자의 명령(스위치 조작)에 따라서 칠판 전면(前面)으로 이동배치될 수 있도록 항상 대기(Stand-b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목적은 상기의 크리닝수단을 판서부재에 대하여 착탈이 자유로운 구조를 채택하므로써 실제로 지움작업시에만 크리닝수단중의 지움부재를 판서부재에 접촉시켜 세정작용을 행하도록 하고, 비사용시에는 크리닝수단과 판서부재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두어 서로를 격리시킬 수 있는 크리닝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칠판을 사용하지 않을 때 브러시와 같은 지움부재 표면에 묻어있는 분필입자가 응고하여 판서부재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크리닝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각종 기계요소를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는데 요구되는 필요간격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크리닝수단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에 수처리기능을 보유하는 소정의 여과장치를 포함시키므로써 세정액이 이 여과장치를 거치는 동안 분필가루 등의 고형물이 휠터링되어 순수세정액만이 다시 세정액순환사이클을 통해서 재사용 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별도의 급배수시설을 배제하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외부형상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칠판어셈블리의 기본동작의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3A, 3B는 도 2의 구동부만을 별도로 보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평단면도
도 5는 도 4중에서 구동측의 구성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에서 승강수단을 생략하고 크리닝수단의 요부를 보인 정단면도
도 7은 도 4중에서 종동측의 구성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크리닝수단 중의 지움부재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세정액공급수단을 나타내는 계통도
도 10은 세정액공급수단 중의 여과수단의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도 11은 압착부재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있는 크리닝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절결하여 보인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평면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13A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A는 칠판보호틀체를 측면피보팅장치로 구성하고 구동로울러와 지움부재를 복동식으로 연계시킨 구동측 평단면도
도 13B는 도 13A에 따른 칠판보호틀체의 개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도 13A에 따른 정단면도
도 15는 엔드레스형태를 갖기 위한 판서부재의 연결부 구성을 보인 요부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 - 개방부 10 - 칠판어셈블리
11 - 판서부재 12 - 구동로울러
13 - 종동로울러 15 - 칠판보호틀체
20 - 제 1구동모터 50 - 크리닝수단
60 - 위치감지수단 70 - 제어부
80 - 승강수단 90 - 위치안내수단
100 - 지움부재 어셈블리 110 - 지움부재구동수단
120 - 진퇴구동수단 140 - 텐션장치
150 - 세정액공급수단 160 - 강제건조수단
200 - 여과수단
이러한 본 발명은, 칠판보호틀체(15)에 소정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부(9)가 트여져 판서용 판서부재(11)가 노출되는 칠판어셈블리(10)와;
상기 칠판어셈블리(10)의 판서부재(11)에 지움부재(51)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판서부재(11) 및/와 지움부재(51)가 슬라이딩되어 판서부재(11)의 사용면에 대하여 지움작용을 실시하는 크리닝수단(50)과;
이 크리닝수단(50)의 지움부재(51)가 판서부재(11)의 표면에 묻어 있는 판서입자를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액탱크(59)로부터 액상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150)과;
상기 크리닝수단(50) 및 세정액공급수단(15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7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러한 기본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판서부재(11)가, 엔드레스(Endless) 형태로 되어 일측면은 사용면(실제로 분필에 의한 판서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되도록 하고, 그 대칭면은 예비면(세정후 일시 대기상태로 놓이게 된 부분)이 되도록 하여 이 2면이 상호 연계동작되는 실시예를 채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판서부재의 사용면과 예비면의 역할교환이 즉시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사용자가 오래 기다림없이 깨끗하게 세정된 칠판면을 빠른 시간내에 다시 제공할수 있게 되어 강의자나 수강자들의 시간적 손실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칠판의 개략적인 외곽형상을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이를 대략 살펴보면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개방부(9)가 형성되어 있는 칠판보호틀체(15)내에 판서부재(11)가 상기 개방부(9)를 통하여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칠판보호틀체(15)상의 하단부 일측에는 제어부(70)의 전기적 신호를 단락시키는 조작스위치(5)가 위치하고 있고,
상기 칠판보호틀체(15)의 바로 아래쪽에는 세정액공급수단(150)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세정액탱크(59)가 칠판보호틀체(15)로부터 착탈자재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칠판보호틀체(15)의 양옆에는 칠판보호틀체(15)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가림판(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림판(4)의 뒤쪽에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크리닝수단(50), 세정액공급수단, 제어부(70)등이 모두 배치되도록 설계하고 있어 유사시 유지보수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크리닝칠판을 벽체에 고정시키는 붙박이식 칠판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는 달리 소정의 스탠드상부에 탑재시켜 이루어지는 이동식칠판으로 하여도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요부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미 설명부호 7은 수납함이다.
도 2는 칠판보호틀체(15)내에서 칠판어셈블리(10)가 어떤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떤 경로를 통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알 수 있도록 도시하고 있다.
즉, 칠판어셈블리(10)는 칠판보호틀체(15)의 내부에 연직선상에서 축지지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제 1구동로울러(12)와, 이 제 1 구동로울러(12)를 회전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구동모터(20)와, 상기 제 1 구동로울러(12)의 타측에서 제 1 구동로울러(12)와 소정의 축간거리를 두고 제 1 구동로울러(12)와 대략 동일직경을 보유하며, 제 1 구동로울러(12)와 마찬가지로 회전자유롭게 상하방향에 걸쳐서 기다랗게 설치되는 제 1 종동로울러(13)와, 상기 2개의 로울러(12)(13)를 외부에서 팽팽하게 감싸도록 설치함으로써 장타원형상을 이루면서 무한궤적을 엔드레스 형태로 순환구동하는 판서부재(11)를 포함한다.
부호 17은 판서지지부재로서 상기 판서부재(11)가 순환동작중이거나 또는 사용자가 판서부재(11)상에 분필로서 판서할 때, 박판(Thin steel plate)으로 이루어져 있는 판서부재(11)가 흔들리거나 뒤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판서지지부재(17)는 이 실시예에서 처럼 단일의 판재를 써도 좋고 판서부재(11)의 순환동작에 따라서 단순히 같이 따라 회전하는 세장(細長)의 아이들로울러(Idle roller) 등을 복수개 선택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판서부재(11)는 상기 제 1종동로울러(13)를 구속하도록 설치되는 텐션장치(140)에 의하여 축간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판서부재(11)는 재료의 특성에 따라 장타원형상의 엔드레스형태가 연결부 없이도 제작 가능하는 경우와, 불가피한 재질 특성에 따라 1곳 내지 2곳에서 연결부를 갖는 경우가 있다.
즉, 판서부재(11)가 예로서 백판의 용도와 같이 합성수지재의 시트로 이루어지는 경우 유연한 튜브형태로 직접 성형 가능하므로 연결부가 없이 하나의 튜브체로 제작하여 장타원형상의 엔드레스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예로서 스틸재의 시트로 판서부재(11)를 성형하는 경우 도 15에서와 같이 얇은 시트재로 장타원형상의 엔드레스형태를 갖기 위해 이음 연결부가 필수적이다.
이 이음부의 연결수단으로는 확대도에서와 같이 일측단에는 요홈(11c)을 이음면을 따라 다수개 파여지게 하고, 상대측 이음면에는 이 요홈(11c)에 대응되는 조립편(11d)을 돌출시켜 요홈(11c)과 조립편(11d)이 버클타입으로 서로 끼워져 걸어지는 방식에 의해 체결되는 것에 의해 이음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 요홈(11c)은 도 15에서와 같이 그 절취폭이 큰 부위와 이보다 좁은 절취폭을 갖도록 파여지고, 조립편(11d)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단되어 조립편(11d)의 헤드부가 요홈(11c)의 넓은 조립홀로 끼워진 후 조립편(11d)의 잘록한 허리부와 요홈(11c)의 좁은 조립홀에 대응되게 걸어지는 것에 의해 각각 다수개의 요홈(11c)과 조립편(11d)이 체결되어 견고한 연결상태를 갖는 것이다.
이때, 이러한 이음부의 연결과정은 시트부재(11)가 동일재로 이루어 지는 경우 어느 한곳에만 형성되는데, 시트부재(11)를 서로다른 2개의 부재를 이용할 경우 도 15에서와 같이 2곳의 연결부를 필요로 할 것이다.
즉, 예로서, 시트부재(11)를 양분하여 일측은 백판으로 이용토록 하고, 그 타측면은 흑판으로 용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경우가 해당될 것이다.
상기 기술구성에 따라 일정궤적을 순환동작하는 판서부재(11)를 다시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에 가깝게 인접한 위치에서 칠판보호틀체(15)의 전방 외부로 노출되어 판서가능하도록 된 사용면(11a)과, 이 사용면(11a)에 일체로 연장 성형되고, 사용면(11a)의 뒤쪽에서 일시 대기상태로 놓여지는 예비면(11b)으로 이루어진다.
이 사용면(11a)과 예비면(11b)으로 된 양면은 칠판 사용자의 스윗치조작에 따라 서로 상대 위치를 맞바꾸게 된다.
즉, 판서를 끝낸 사용면(11a)은 후술하는 크리닝수단(50)을 거치면서 세정된 후에 예비면의 위치로 돌아가서 예비면(11b)이 되고, 일시 대기상태로 있던 예비면(11b)은 다시 사용면의 위치로 돌아나와서 사용면(11a)으로서 역할변경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판서부재(11)로서는, 주로 박판의 스틸부재나 얇은 합성수지 시이트 등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칠판어셈블리(10)의 판서부재(11)가 사용면에서 예비면으로 교환되는 과정을 다시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마찬가지로 판서부재(11)의 사용면과 예비면은 항상 평탄면의 상태로 존재하며 칠판어셈블리(10)가 1 사이클에 걸쳐 순환동작 할 때마다 사용면(11a)과 예비면(11b)이 뒤바뀌면서 교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판서부재(11)의 사용면과 예비면의 위치를 찾아 정확한 위치로만 판서부재(11)가 구동될 수 있도록 위치감지수단(60)으로서 근접센서를 채택하고 있다.
위치감지수단(60)은 도 2에서와 같이 칠판보호틀체(15)의 내측하단부에 소정의 센서(61)를 설치하고 이 센서(61)와 서로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상기 판서부재(11) 상에는, 상기 판서부재(11)를 하나의 연장선 상에 놓고 보았을 때 대략 판서부재를 반분(半分)하는 위치에 이 센서(61)와 인접상태에서 서로 마주쳤을 때 전기적 신호를 발생토록 하는 센서감지부재를 2개소에 설치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센서감지부재의 해당개소에 소정의 관통부(62)를 두므로써 이 관통부(62)가 센서감지부재의 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동작시에는 상기 센서(61)가 판서부재(11)의 평활면을 감지하므로써 제어부(70)에 감지신호를 발령하지 않지만 상기 센서(61)가 판서부재(11)상의 관통부(62)를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70)에 감지신호를 발령하여 판서부재(11)의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위치감지수단(60)의 구성은 이 실시예에서 채택하고 있는 근접센서 외에도 광센서, 마이크로스위치 및 리미트스위치(각각 감지부 포함) 등을 실시예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칠판사용면에 대한 판서를 종료하고 제어부(70)의 조작스윗치를 온(ON)으로 하면 제 1 구동모터(20)에 대하여 동작신호가 발령되어 제 1 구동모터(20)가 가동하게 된다. 이 제 1 구동모터(20)는 상기 위치감지수단(60)이 동작할때까지 계속 구동하게 된다. 도 2 에 표시하고 있는 위치감지수단(60)이 동작하면 여기에서 출력되는 위치검출신호가 제어부(70)에 전달되어 제어부(70)에서 소정의 제어신호가 발령되어 제 1구동모터(20)의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하면 칠판어셈블리(10)의 동작이 멈추게되고, 판서부재(11)의 대략 1/2을 점유하고 있는 사용면(11a)은 크리닝수단(50)을 경유하여 원래 예비면이 대기중이던 위치로 위치변환된 상태에서 판서부재(11)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판서부재(11)의 위치안내수단(9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판서부재(11)는 사용면(11a)과 예비면(11b)으로 반분(半分)되어 있고, 이 2개의 면이 상기 위치감지수단(60)의 감지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사이클을 통해서 서로 상대위치를 정확하게 맞바꾸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기 위치안내수단(90)은 판서부재(11)를 구동로울러(12)와 종동로울러(13) 상에서 어느 특정방향으로 쏠림이 없이 정위치에서 정격순환구동 시키게 된다.
즉 상기 위치안내수단(90)은 제 1구동로울러(12)와 제 1종동로울러(13)의 상부쪽에 스프라켓(99),(99)을 각각 고정설치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판서부재(11)상에는 상기 스프라켓(99)과 맞물리는 소정의 물림부재(37)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림부재(37)는 도 3A에서 처럼 판서부재(11)상에 직접 안내홈을 형성할 수도 있고 도 3B에서와 같이 소정의 브라켓을 중간연결부재로 판서부재(11)상에 설치하고, 그 위에 로울러체인어셈블리를 부착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판서부재(11)로서는 스틸부재 내지는 합성수지 시이트부재 등을 포함한다.
한편 스틸부재를 판서부재(11)로 적용할 때는 상기 제 1구동로울러(12)의 외표면상에 합성고무나 고무자석시트를 피복하여 슬립을 방지하고 자력에 의한 밀착구동을 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크리닝수단(50)은 칠판어셈블리(10)의 작동에 맞추어 거의 동시에 동작을 개시하게 된다.
상기 크리닝수단(50)과, 지움부재(51)에 세정액탱크(59)로부터 액상의 세정액을 공급하여 세정액이 판서입자(예컨대 분필입자)를 세척하도록 하는 세정액공급수단(150)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8은 크리닝수단(50)을 포함하고 있는 구동부에 대한 보다 상세한 확대도면이다.
상기 크리닝수단(50)을 크게 구분할 때 지움부재(51)를 구동시키는 지움부재 구동수단(110)과, 제 1구동로울러(12)에 외접한 판서부재(11)의 라운딩(Rounding) 부분에 대하여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착탈시키는 진퇴구동수단(120)으로 나눌수가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볼 때 도면의 좌측단(左側端)의 상부에 도시한 것이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회전시키는 지움부재 구동수단(110)이며, 하부에 도시한 것이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제 1 구동로울러(12)상의 판서부재에 대하여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진퇴구동수단(120)이다.
도 5의 중앙에 도시한 부분은 후술하게 될 승강수단(80)으로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 중에서 지움부재 구동수단(110)의 요부를 먼저 살피면, 지움부재 구동모터(28)에 감속기(26)가 연결되고, 이 감속기(26)의 동일축에 기어(27)가 결합되며, 상기 기어(27)는 지움부재(51)상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피니온기어(24)와 맞물리도록 되어있다.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는 실제로 세척작업을 실시하는 브러시와 같은 지움부재(51)와, 이 지움부재(51)를 지지하는 지지축(56)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축(56)은 인너파이프(51a)와, 아우터파이프(51b)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상단에는 상부축(53a)이 베어링(B3)을 개재하여 피니온기어(24)과 결합되어 있고, 피니온기어(24)는 아우터파이프(51b)와 일체로 되어 아우터파이프(51b)를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피니온기어(24)는 상부 편심축(53a)의 편심부분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하단에는 하부 편심축(53b)이 아우터파이프(51b)와는 간섭하지 않고 베어링(B1)을 개재하여 인너파이프(51a)를 구속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편심축(53b)의 편심축 부분에 피니온기어(222)가 일체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움부재 구동모터(28)가 기동하게 되면 기어(27)와 피니온기어(24)를 거쳐서 아우터파이프(51b)에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아우터파이프(51b)의 외표면에 밀착설치되는 지움부재(51)가 함께 응동되므로써 지움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편심축(53b)는 아우터파이프(51b)와는 분리되어 있는 까닭에 동력이 전달되지 않으며 따라서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구동시에 상기 진퇴구동수단(120)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 지움부재구동모터(28)와, 감속기(26)와, 기어(27)를 포함하는 지움부재 구동수단(110)은 지지부라켓(29)에 일체로 고정지지 되는데, 이 지지부라켓(29)은 후술하는 진퇴구동수단(120)에 의하여 지움부재(51)가 도 4의 좌측으로 후퇴하거나 우측의 제 1구동풀리측으로 밀착될 때 함께 움직이게 된다.
즉, 칠판보호틀체(15)의 상판(170)의 소정개소에는 상기 지지부라켓(29)상에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핀(171)을 안내할 수 있도록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70)을 상하로 관통하는 세장(細長)의 안내홈(17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진퇴구동수단(120)의 작동에 의하여 지움부재(51)가 좌.우측으로 위치이동할 때 이 지움부재(51)의 위치이동거리에 상응한 거리만큼 지지부라켓(29)도 함께 동일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크리닝수단(50)의 진퇴구동수단(12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진퇴구동수단(120)은 진퇴모터(224)에 감속기(223)가 연결되고, 이 감속기(28)의 동일축에 진퇴기어(221)가 결합되며, 상기 진퇴기어(221)는 지움부재(51)중의 인너파이프(51a)에 일체로 형성되는 편심축(53b)의 하부에 축설치되어 있는 피니온기어(222)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하부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편심축(53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지움부재어셈블리(100)에 의한 지움작업이 종료되고 나서 진퇴모터(224)의 동력이 진퇴기어(221) 및 피니온기어(222)를 거쳐서 하부 편심축(53b)에 전달되면, 하부편심축(53b)의 편심부분에 피니온기어(22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까닭에 하부편심축(53b)은 제 6도에서 보아서 좌측으로 소정의 편심거리 만큼 후퇴하게 된다. 이때 인너파이프(51a)의 상부에는 하부 편심축(53b)과 상하방향으로 동축(同軸) 선상에 상부축(53a)이 물려 있으므로 상기 상부축(53a)과 일련(line-up)으로 결합구성된 지움부재 구동수단(110)도 구동부분도 상기 안내홈(173)을 따라서 동시에 판서부재(11)로부터 소정의 편심거리 만큼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판서부재(11)에 밀착시켜서 지움작업을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진퇴모터(224)가 역전하면서 후퇴시의 운행경로를 역행하면서 역시 편심거리 만큼 판서부재(11)쪽 (제 6도의 우측)으로 향하여 전진하여 판서부재(11)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크리닝수단(50)은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구동수단(110) 및 이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진퇴구동수단(120)으로 이루어지며 상호 연계동작하면서 효과적으로 지움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크리닝수단(50)에 진퇴구동수단(120)을 포함시키므로써 지움작업을 실시할 경우에는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판서부재(11)에 밀착시키고, 지움작업을 실시하지 않을때는 판서부재(11)로부터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격리시켜서 분필고형물이 칠판면에 말라붙어서 더러운 흔적을 남기거나 칠판(코팅)면을 오염훼손시켜서 수명을 단축시킬 염려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장기간 사용하므로써 지움부재(51)가 마모되어 이를 교체할 경우에도 상기 지움부재(51)와 판서부재(11)간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해야 원활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진퇴구동수단(120)은, 이 실시예와는 달리 전자석과 영구자석을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판서부재(11)상에 각각 대응되게 구비시키고 리이드스위치에 의해서 이들의 접점전환을 유도하여 자착력(磁着力)에 의한 진퇴동작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판서부재(11)의 회전방향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하고 있는 중심축선상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지움효과를 높힐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8 은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일실시예로서 브러시를 도시한 것으로서 다량으로 심어진 식모체(植毛體)를 지움부재(51)로 하고 이 지움부재(51)를 지지축(56)의 바깥쪽으로 감아 돌려서 그 양단을 지지축(56)상에 고정시켜 지움부재어셈블리(100)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지움부재(51)로서는 합성수지 계통의 부러시 외에도 천연 내지 화학섬유 계통의 직조물 내지 합성수지 계통의 스펀지 등을 포함한다.
참고로 기술하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제 1구동풀리(12)의 회전수를 대략 8 r.p.m 정도로 하고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회전수를 대략 107 r.p.m 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즉, 지움부재어셈블리의 회전수를 제 1구동풀리(12)의 회전수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므로써 지움효과를 극대화 하는 한편 고속회전에 의하여 지움부재(51)의 안으로 침입한 오염세정액이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탈수되는 2중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 부호 52는 판서부재(11)상에 남아있는 물기를 최종적으로 제거해 주는 와이퍼부재이며, 부호 B2 및 B4는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편심축(51c)을 지지하는 베어링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와이퍼부재(52)를 도시한 바와 같이 복렬식 와이퍼로 하여 세정액 제거효과를 높히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다.
이처럼 복렬식의 와이퍼부재(52)를 채택하고 제 2도에 도시한 강제건조수단(160)으로 세척작업이 끝난 판서부재(11)의 건조가 훨씬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강제건조수단(160)은 와이퍼부재(52)만으로 충분히 건조가 이루어지는 실내조건인 경우에는 반드시 동작시킬 필요가 없으며 실내습도가 필요이상으로 높거나 실내온도가 낮아 건조속도가 정상적이지 못할 경우에 한해서 선택적으로 가동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세정액 공급수단(1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세정액공급수단(150)의 순환계통은 도 9에 상세하게 나타나 있다.
이 세정액 공급수단(150)은 세정액 급송펌크(156)와, 이 세정액 급송펌프(156)의 흡입측에 연결되어 세정액탱크(59)내의 세정액(159)을 흡입하는 흡입파이프(152)와,
상기 세정액 급송펌프(156)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펌프압이 가해진 세정액(159)을 상부로 끌어올리는 배출파이프(156)와,
상기 배출파이프(154)의 배출단부에 이경관(異經管)을 개재하거나 배출파이프 보다 작은 지름으로 교축(絞縮) 시켜서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축방향으로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살수파이프(153)와,
상기 살수파이프(153)로부터의 방류세정액과 지움부재(51)로부터 자연낙하하는 세정액을 모아서 여과시키는 여과수단(200)을 포함하는 세정액탱크(59) 등으로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157은 상기 흡입파이프(152)의 일단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strainer)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세정액공급수단(150)에 있어서, 상기 살수파이프(153)에는 외부와 관통되어 있는 복수개의 살수공(54)이 소정의 간격으로 지움부재(51) 쪽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살수파이프(15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경관을 사용하거나 배출파이프(154)를 교축(絞縮) 시켜서 배출파이프(154)보다 작은 관지름을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량(Q)=단면적(A)×속도(V)의 법칙에 의하여 파이프의 단면적이 줄어든 만큼 살수공(54)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정액의 분사속도가 그만큼 빨라져서 살수파이프(153)의 하단으로 빠져나가는 유량(流量)을 억제하고 지움부재(51)에의 세정액공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칠판보호틀체(15)의 일측하부에 설치되는 세정액탱크(59)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여과수단(200)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여과수단(200)은 도 9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관통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메시(210)를 상기 세정액탱크(59)내를 횡단하도록 설치하고 그 위에 소정의 휠터(220)를 얹어서 조합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살수파이프(153)를 거쳐나온 세정액이나 세척작업을 종료하고 상부로부터 자연낙하하는 오염된 세정액은 모두 상기 휠터(220)를 거쳐 나오면서 여과처리되어 맑은 세정액만이 다시 세정액탱크(59)에 저류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휠터(220)는 세정액탱크(200)내에서 착탈자재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항시 편리하게 소제하여 재사용하게 되고 세정액은 장시간 순환시켜 계속사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급.배수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와같은 여과수단(200)의 실시예에 의해서 나타나듯이 본 발명의 크리닝칠판에서는 장기간 세정액을 교체하지 않고 손실세정액량 만큼만 보충해주는 것으로 충분하며, 상기 필터(220)를 간단히 교체하거나, 깨끗한 물로 세척하여 휠터에 남아있는 분필고형입자 등을 제거한 뒤 다시 설치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정액으로는 상수도물은 물론 증류수, 계면활성수 등의 화학처리수에 이르기까지 세척기능을 갖는 액체 모두가 포함된다.
도 10A, 도 10B, 도 10C는 상기 여과수단(200)의 각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A는 중공부를 갖는 통형상의 휠터(220)가 흡입파이프(152)와 살수파이프(153)를 내장하는 수거관(151)에 연결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흡입파이프(152)는 세정액(159)을 흡입할 수 있도록 휠터(220)를 바닥까지 관통하여 흡입구가 휠터 밖으로 노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살수파이프(153)는 휠터(220)의 바닥을 관통하지 아니하고 휠터(220)의 중공부 내에서 단절되어 있어서, 지움부재(51)에 대하여 공급되고 남은 세정액을 중공부에서 일단 수용하여 휠터(220)를 거쳐 여과되도록 하고, 세척후의 오염된 세정액은 수거관(151)을 통하여 휠터(220)의 중공부에 수거처리되게 된다.
도 10B는 세정액탱크(59)를 가로로 막는 휠터(220)를 착탈자재하게 설치하고 휠터(220)의 하부로는 수거관(151)을 통하여 오염세정액이 유입되도록 하고 필터(220)의 상측에는 흡입파이프(152)의 흡입구가 위치되도록하여 세정액(159)을 흡입할 수 있도록 한 여과수단을 도시하고 있다.
이 여과수단은 필터(220)가 세정액(159)의 내부에서 세정액탱크(59)의 상하를 분할구획하는 것에 의해서 휠터(220) 하부에 수거되는 세정액 속의 고형물질은 비중이 큰 까닭에 세정액탱크(59)의 바닥으로 침전되고 휠터(220)에 의하여 여과되어 휠터(220)의 상부로 부상해 올라온 순수 세정액만이 흡입파이프(152)를 통해서 지움부재(51)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0C에 도시한 여과수단은 도 10B의 구성에서 단지 상하방향으로 분리벽(231)을 형성하고, 이 분리벽(231)의 소정개소에 오버프로우 홀(232)를 설치하여서 휠터(220)에 의하여 1차 정수된 세정액이 상기 오버프로우 홀(232)를 통하여 별도로 분할 구획된 저류실로 옮겨가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11내지 도 12는 압축장치(90)를 포함하고 있는 크리닝수단(50)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지움부재(51)는 브러시로 되어 있어 소재 자체가 세정액을 내부에 함유하는 성질이 약하여 굳이 지움부재(51) 내의 오염액을 눌러 짜낼 압축장치가 필요하지 않았지만, 스펀지 등과 같이 다공체(多孔體)로 된 해면성부재(海綿性部材)는 액체를 흡수하는 성질이 크기 때문에 이와같은 스펀지 등을 지움부재로 선택하였을 때는 별도의 압착장치(90)를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압착장치(90)는 도 11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는 지움부재(51)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압착판(91)에 링크부재(92)를 연결하고, 이 링크부재(92)의 말단부에 솔레노이드(93)를 접속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솔레노이드(93)는 제어부(70)로부터 소정의 작동신호가 발령되면 순간적으로 동작하면서 상기 링크부재(92)를 끌어당김에 따라서 압착판(91)이 지움부재(51) 쪽으로 밀려나가면서 지움부재(51)를 양쪽에서 눌러서 압축하므로써 오염액을 지움부재(51)로부터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세정액공급수단은 급수펌프(156)가 임펠라(155)를 돌려서 흡입파이프(152)에 세정액을 공급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칠판보호틀체(15)를 포함하는 칠판어셈블리(10)를 상하로 높낮이 조절시키기 위한 승강수단(80)을 구비하고 있다.
도 4, 도 5 및 도 7은 이러한 승강수단(80)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승강수단(80)은 교실벽체와 고정설치되는 승강케이싱(81) 내에 칠판어셈블리(10)의 승강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하는 승강구동모터(84)와, 이 승강구동모터(84)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횡축(89)상에 전달하는 워웜(87) 및 워웜기어(88)와, 상기 횡축(89)에 일체로 설치되어 칠판보호틀체(15)의 상하틀체에 걸쳐서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랙기어축(85)과 맞물리는 피니온기어(86)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구동모터(84)로부터 발생한 동력은 워웜기어(88)와 워웜(87)을 거쳐서 워웜(87)과 동축상에 설치되는 피니온기어(86)에 전달되면 횡축(89)과 피니온기어(86)가 회전하면서 칠판보호틀체(15)상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랙기어축(85)을 끌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므로서 칠판본체의 승강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칠판보호틀체(15) 내에서 승강구동모터(84)가 다른 주변장치와 간섭되는 것을 막고 칠판보호틀체(15)의 두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승강구동모터(84)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워웜기어(88)와 워웜(87)을 써서 동력전달을 수직→수평으로 동력 전달방향을 변환시키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설계변경을 통하여 상기 승강구동모터(84)를 수평으로 설치하고 워웜기어(88)와 워웜(87)을 생략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크리닝칠판에 승강수단을 추가하므로써 사용자의 키높이에 맞추어 자유롭게 칠판의 높이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고, 칠판에 판서된 내용을 위로 올려서 교실뒤에 앉은 학생도 용이하게 판서내용을 식별할 수 있는 등의 다대한 교육적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도 13A, 도 13B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제 2실시예의 기술구성이 앞서 설명한 제 1실시예의 기술구성과 현저하게 구별되는 점은 제 1실시예에서 칠판보호틀체(15)의 전방에 칠판보호틀체(15)와는 별개의 가림판(4)을 착탈자재하게 설치하는 것과는 달리 제 2실시예에서는 칠판보호틀체(15)의 일부분으로서의 측부틀체(18)를 중앙틀체(14)와 분할하여 선회축(23a)으로 회동하면서 개폐되도록 구성한 것과, 제 1구동모터(20)로부터 발생한 동력이 기어(25)와 피니온기어(22) 및 중간기어(23)와 지움부재어셈블리(100)에 일체로 설치되는 피니온기어(24)에 이르기까지 중간에서 동력이 단절되지 않고 시종 일관되게 동력이 전달되므로써 제 1구동모터(20)만으로 제 1구동로울러(12)와, 지움어셈블리(100)를 한꺼번에 작동시킬 수 있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제 1구동로울러(12)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피니온기어(22)와 지움부재어셈블리(100)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는 피니온기어(24)는 그 사이에 중간기어(23)를 개입하고 있는 까닭에 도 13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방향이 동일방향으로 되고 따라서 판서부재(11)와 지움부재(51)가 서로 접촉하는 접촉면에서 양자가 서로 교차하면서 지움효과를 크게 형성하게 된다.
중간기어(23)는 중앙틀체(14)의 상판에 고정설치되는 브라켓(19)을 개재하여 그 축(23a)이 선회(pivot) 가능하도록 되어지며,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피니온기어(24)는 측부틀체(18) 상에 축설치되고, 상기 중간기어(23)와 맞물린 상태 그대로 측부틀체(18)의 개폐시에 함께 따라서 선회하게 되므로 측부틀체(18)를 개방한다고 해서 피니온기어(24)와 중간기어(23)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거나 하는 일은 없게 된다.
이러한 제 2실시예에서는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은 진퇴구동수단(120)을 크리닝수단(50) 가운데서 생략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는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지움부재구동수단(110)만으로도 세정작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필요조건은 갖추게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기어의 설계시에 있어서, 측부틀체(18)를 닫았을 때 지움부재어셈블리(100)상의 지움부재(51)가 지움로울러(12)상의 판서부재(11)에 적당한 밀착도로서 접촉하도록 중심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기어의 잇빨수를 적당하게 조정하여서 제 1실시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판서부재(11)의 순회속도는 느리게 하고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회전속도는 빠르게하여 지움효과를 높힘과 아울러 지움부재의 원심탈수기능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측면커버(18)를 개방시켰을 때 각각의 기어 맞물림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칠판어셈블리(10) 및 크리닝수단(50)의 각 부분에 대한 보수 및 부품교체작업 등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의 부수적 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요지로 하는 본 발명은
1.교실환경의 실질적인 내실이 점차 중요시되고 있는 현재 교육개혁의 움직임에 비추어 볼 때, 교실내에서 분필가루가 날리지 않는 본 발명의 매카니즘은 교실내에서 거의 매일 같이 생활해야 하는 일선교사나 성장기의 학생들을 분필가루의 해악으로부터 벗어나게 해 줄 수 있는 획기적인 교육매카니즘으로서 그 교육적인 가치 및 기여도 면에서의 대단히 의미가 큰 발명이다.
2.자동지움기능을 보유하는 크리닝칠판 가운데서 최초로 세정액 공급수단을 통하여 세정액을 순환동작시키고 이 세정액을 소정의 여과수단을 경유시켜서 분필 고형물질을 걸러내도록 하므로써 간단한 휠터의 소제 및 교체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세정액의 공급조건하에서 브러시 등의 지움부재로서 칠판면을 세척하므로 미세한 분필입자 까지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3.세척작용을 담당하는 지움부재로서는 브러시(brush)와 같은 쇄모부재(刷毛部材)를 채택하므로써 그 부재내부로 세정액을 빨아들이거나, 세정액을 잔류시키지 않도록 하고 자체 회전에 의한 원심탈수기능을 갖도록 하여 별도의 강제배출수단(예컨대 압착장치)없이 자정(自淨)이 가능하게 하였다.

Claims (13)

  1. 칠판보호틀체(15)에 소정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부(9)가 트여져 판서용 판서부재(11)가 노출되는 칠판어셈블리(10)와;
    상기 칠판어셈블리(10)의 판서부재(11)에 지움부재(51)가 맞닿은 상태로 상기 판서부재(11) 및/와 지움부재(51)가 슬라이딩되어 판서부재(11)의 사용면에 대하여 지움작용을 실시하는 크리닝수단(50)과;
    이 크리닝수단(50)의 지움부재(51)가 판서부재(11)의 표면에 묻어 있는 판서입자를 세정할 수 있도록 세정액탱크(59)로부터 액상의 세정액을 공급하는 세정액공급수단(150)과;
    상기 크리닝수단(50) 및 세정액공급수단(150)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7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칠판어셈블리(10)는 상기 칠판보호틀체(15)의 양측내부에 상기 판서부재(11)를 감아서 순환동작 시키도록 소정의 축간거리를 갖는 제 1구동로울러(12) 및 제 1종동로울러(13)와 상기 제 1구동로울러(12)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구동모터(20)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칠판보호틀체(15)의 어느 한 지점에는 스틸부재(11)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61)가 설치되고, 이와 대응하는 위치의 스틸부재(11)상에는 센서감지부재(62)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50)은 칠판보호틀체(15)의 상하단에 걸쳐서 축지지되는 지지축(56)과 지움부재(51)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상기 판서부재(11)와 접촉상태에서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10)과, 상기 구동수단(110)으로부터 발생되는 동력을 회피하고 진퇴모터(24)의 동력에 의하여 상기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제 1구동로울러(12)상의 판서부재(11)에 대하여 진퇴동작시키는 진퇴구동수단(12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공급수단(150)은 세정액 급송펌프(156)와, 이 상기 세정액 급송펌프(156)의 흡입측에 연결되는 흡입파이프(152)와, 상기 세정액 급송펌프(156)의 배출측에 연결되는 배출파이프(154)와, 이 배출파이프(154)의 배출단부에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따라서 인접되게 설치되는 살수파이프(153)와, 이 살수파이프(153)로부터 방류되는 세정액 이나 세척에 사용된 오염세정액을 여과시키는 소정의 여과수단(200)을 포함하는 세정액탱크(59)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칠판보호틀체(15)는 제 1구동로울러(12)와, 지움부재어셈블리(100)의 상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는 기어(22)와 피니온기어(24)의 중간에 중간기어(23)를 개입시켜서 이 중간기어(23)의 선회축(23a)을 브라켓(19)에 지지하여 중앙틀체(4)와 측부틀체(18)로 분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50)은 지움부재 구동축(56)과 지움부재(51)로 이루어지는 지움부재어셈블리(100)와, 이 지움부재어셈블리(10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1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서부재(11)의 일측단에는 요홈(11c)을 이음면을 따라 다수개 파여지게 하고, 상대측 이음면에는 이 요홈(11c)에 대응되는 조립편(11d)을 돌출시켜 요홈(11c)과 조립편(11d)이 서로 끼워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움부재(51)는 브러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50)은 와이퍼부재(5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56)은 상부축(53a)에 의하여 정회전하면서 지움부재구동수단(110)을 구속하는 아우터파이프(51b)와, 하부 편심축(53b)에 의하여 편심회전하면서 진퇴구동수단(120)을 구속하는 인너파이프(51a)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12. 청구항 4항 또는 청구항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수단(50)은 지움부재(51)를 눌러서 압축시키는 압착장치(90)를 더 포함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13.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칠판보호틀체(15)의 일측내면부에는 판서부재(11)상의 잔류액을 건조시키는 강제건조수단(16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KR1019980006688A 1997-07-29 1998-02-28 워터크리닝 칠판 KR19990013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1998/000215 WO1999005939A1 (en) 1997-07-29 1998-07-15 Cleaning board
AU84642/98A AU8464298A (en) 1997-07-29 1998-07-15 Cleaning board
JP10210069A JP3072079B2 (ja) 1997-07-29 1998-07-24 クリーニング黒板
TW87115548A TW403703B (en) 1997-07-29 1998-09-18 Cleaning 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35841 1997-07-29
KR35841 1997-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320A true KR19990013320A (ko) 1999-02-25

Family

ID=6595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688A KR19990013320A (ko) 1997-07-29 1998-02-28 워터크리닝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3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16B1 (ko) * 2002-05-08 2004-11-18 장창호 워터크린 칠판의 와이퍼부재
CN109334307A (zh) * 2018-11-22 2019-02-15 雷宏友 一种英语教学黑板干湿两用导流除尘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16B1 (ko) * 2002-05-08 2004-11-18 장창호 워터크린 칠판의 와이퍼부재
CN109334307A (zh) * 2018-11-22 2019-02-15 雷宏友 一种英语教学黑板干湿两用导流除尘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890B1 (ko) 코어드릴의 습식 분진 포집장치
CN113180553B (zh) 一种表面清洁装置的清洗方法
WO1999005939A1 (en) Cleaning board
KR101607930B1 (ko) 물세척 칠판의 물공급장치
EP0281976A1 (de) Fahrbarer Bodenreinigungsautomat
KR19990013320A (ko) 워터크리닝 칠판
CN108944191A (zh) 一种大学教学用黑板
CN210638164U (zh) 清扫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室内机
CN108159774A (zh) 一种可自动除污的智能净水器
CN204820778U (zh) 皮带旋转式自擦黑板
KR100298613B1 (ko) 크리닝칠판
CN114101131B (zh) 一种pu杠铃片内层板材清洁处理装置
JP2576825Y2 (ja) 水槽の清掃装置
CN114347700A (zh) 一种自带黑板擦的上下推拉式黑板
CN215295345U (zh) 一种暖通空调用过滤清洁装置
CN109173197B (zh) 一种基于网格送洗及翻转滤出的乒乓球清洗设备
KR20110065073A (ko) 물세척 칠판의 와이퍼 구동장치
CN210982140U (zh) 一种用于河流流量监测用泥沙颗粒粒径监测装置
KR20000001128A (ko) 크리닝 칠판
KR200220280Y1 (ko) 크리닝 칠판
CN105172434B (zh) 带水槽的黑板
KR20000060259A (ko) 워터크리닝칠판의 소거방법 및 그 장치
KR101144224B1 (ko) 물세척 칠판의 물공급장치
CN209139289U (zh) 一种化学研发实验器材用清洗消毒设备
CN112399741A (zh) 一种电气柜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