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280Y1 - 크리닝 칠판 - Google Patents

크리닝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280Y1
KR200220280Y1 KR2020000029962U KR20000029962U KR200220280Y1 KR 200220280 Y1 KR200220280 Y1 KR 200220280Y1 KR 2020000029962 U KR2020000029962 U KR 2020000029962U KR 20000029962 U KR20000029962 U KR 20000029962U KR 200220280 Y1 KR200220280 Y1 KR 2002202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leaning member
blackboard
writing surfa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문수
Original Assignee
신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수 filed Critical 신문수
Priority to KR2020000029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2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2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280Y1/ko

Link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리닝 칠판에 관한 것으로, 부직포(25)의 내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형상을 갖는 분필가루 등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2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필터(26)의 후측부에는 지지관(21)을 통해 흡착되어지는 분필가루와 동시에 필터(26)가 흡입홈(22)에 밀착되어 흡입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분필가루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여과망(27)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27)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지지관(21) 하측으로는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되는 연결관(28)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된 연결관(28)의 외측으로는 회전부(40)의 구동시 부직포(2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9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30)의 상부와 하부 일측면에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레크부(54)와 피니언 기어(53)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구동될 때 보다 원활히 판서면(13)에 접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80)가 설치되고, 크리닝 부재(20)가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왕복하면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30)의 하측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71)를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칠판보호틀체(11)의 양단부에는 접지편(72)을 형성하여, 칠판(10)의 일측부에 모터(42) 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10)에 분필로 판서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는 크리닝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크리닝 칠판{Cleaning board}
본 고안은 크리닝 칠판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칠판의 일측부에 모터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에 분필로 판서된 칠판면을 닦을 수 있는 크리닝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칠판면을 자동으로 세척할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칠판에 사용자가 판서를 한 다음 또 다른 내용을 판서하기 위하여 이전의 판서내용을 지워버려야 할 때, 통상적으로 천을 주 재료로 한 봉제(縫製)의 분필지우개(Stuffed eraser)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판서용으로 사용되는 칠판은 판서면에 작성된 글씨등을 지울 경우 작업자는 분필가루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분필지우개는 칠판을 지울 때 분필가루가 비산되어 칠판사용자의 호흡기 계통의 건강을 크게 위협할 뿐만 아니라, 옷, 소매 등에 분필 지우개에 묻은 분필가루를 털어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칠판을 항상 사용해야 하는 학교교사나 학원강사는 물론 피교육자인 학생이나 수강생들에게 피해가 큰 유해환경이 조성될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칠판의 스틸원판(Raw steel plate) 표면은 완전한 평활면이 아니라 분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표면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보유하고 있는 까닭에 이러한 스틸원판(판서부재) 위에 분필로 글씨를 쓰게되면 분필입자가 판서부재의 미세한 요철부분에 흡착되므로 천으로 된 분필지우개로서는 깨끗하게 지우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지워낸 흔적이 남게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칠판의 일측부에 모터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에 분필로 판서된 칠판면의 요철부에 밀착되어 있는 분필가루를 집진부에 연결되어 있는 지지관에 의하여 흡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칠판면을 닦을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크리닝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크리닝 칠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크리닝 칠판의 형상 및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크리닝 칠판의 일측부에 설치된 크리닝 롤러의 내부형상을 도시한 일부 절결 단면도.
도 3은 크리닝 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크리닝 부재를 구동시키며 이송되도록 하는 기어부의 형상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크리닝 부재가 칠판의 상부에서 기어부에 의해 횡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칠판 20 - 크리닝 부재
30 - 가이드부 40 - 회전부
50 - 이송부 60 - 집진부
70 - 스위치부 80 - 가이드 롤러
90 - 베어링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칠판보호틀체(11)에 소정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부(12)가 트여져 판서면(13)이 노출되는 칠판(10)과;
상기 칠판(10)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되며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는 몸체에 다수개의 흡입홈(22)이 형성된 지지관(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21)의 상부에는 고정축(23)에 의해 종동기어(24)가 축지되어지며, 상기 지지관(21)의 외측부로는 칠판(10)의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부직포(25)가 설치되는 크리닝 부재(2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일측부에 위치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칠판보호틀체(1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에 설치된 크리닝 부재(20)를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어,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상부에는 모터(42)가 위치되고, 상기 모터(42)의 하부에는 종동기어(24)와 치차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회전시키는 주동기어(41)가 모터축(43)에 축지되며, 상기 주동기어(41)의 하부에는 제 1 기어(44)가 설치된 회전부(40)와;
상기 회전부(40)에 의해 회전되는 크리닝 부재(20)가 회전되면서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주동기어(41)의 하측에 설치된 제 1 기어(44)의 일측에는 제 2 기어(5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기어(51)의 일측에는 상부에 제 3 기어(52)가 위치되며, 하부에는 피니언 기어(53)가 형성되어 상기 칠판보호틀체(11)의 후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레크부(54)에 피니언 기어(53)가 치차 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판서면(13)을 닦으면서 발생되는 분필가루를 흡입한 후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관(21)과 배출호스(62)로 고정되는 집진부(6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이송부(50) 및 회전부(4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전원공급 및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칠판(1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25)의 내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형상을 갖는 분필가루 등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2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필터(26)의 후측부에는 지지관(21)을 통해 흡착되어지는 분필가루와 동시에 필터(26)가 흡입홈(22)에 밀착되어 흡입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분필가루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여과망(27)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27)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지지관(21) 하측으로는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되는 연결관(28)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된 연결관(28)의 외측으로는 회전부(40)의 구동시 부직포(2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9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30)의 상부와 하부 일측면에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레크부(54)와 피니언 기어(53)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구동될 때 보다 원활히 판서면(13)에 접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80)가 설치되고, 크리닝 부재(20)가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왕복하면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30)의 하측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71)를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칠판보호틀체(11)의 양단부에는 접지편(72)을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칠판(10)의 일측부에 모터(42) 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10)에 분필로 판서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는 크리닝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크리닝 칠판의 형상 및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크리닝 칠판의 일측부에 설치된 크리닝 롤러의 내부형상을 일부 절결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칠판(10)의 일측부에는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되며,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형성된 크리닝 부재(20)가 위치된다.
상기 크리닝 부재(20)는 내측부 몸체에 다수개의 흡입홈(22)이 형성된 지지관(21)이 위치되고, 상기 지지관(21)의 상부에는 고정축(23)에 의해 종동기어(24)가 축지되어 진다.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내측부에 위치되는 지지관(21)의 몸체에 다수개의 흡입홈(22)이 형성되는 이유는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판서면(13)을 닦으면서 발생되는 먼지를 흡입하여 먼지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21)의 외측부에는 칠판(10)의 판서면(13)에 분필로 판서된 내용을 용이하게 지울 수 있고 분필가루가 쉽게 내부로 흡착되는 부직포(25)가 감싸지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부직포(25)의 내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형상을 갖는 분필가루 등을 걸러낼 수 있는 필터(26)를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필터(26)가 설치되는 크리닝 부재(20)의 필터(26) 후측에는 지지관(21)을 통해 흡착되어지는 분필가루와 동시에 필터(26)가 흡입홈(22)에 밀착되어 흡입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비교적 입자가 큰 분필가루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여과망(27)을 설치한다.
즉, 상기 필터(26)의 몸체 외측으로는 소정의 크기로 집진기(61)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분필가루를 내측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유입홈(26A)이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판서면(13)에 표기된 문구 등을 부직포(25)의 회전에 의해 닦으면서 발생되는 먼지는 부직포(25)를 통해 상기 부직포(25)의 내측에 위치된 필터(26)의 유입홈(26A)으로 유입된 후 여과망(27)을 거치면서 분필가루의 분진 등을 걸러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크리닝 부재(20)인 부직포(25)는 분필가루를 용이하게 내부로 흡수할 수 있도록, 직조입자가 비교적 넓게 형성되고, 상기 부직포(25)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필터(26) 역시 집진기(61)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유입된 분필가루의 분진을 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유입홈(26A)이 몸체 외측부에 형성되므로, 부직포(25)와 필터(26)의 유입홈(26A)을 통해 내측으로 이동된 분필가루의 분진등은 여과망(27)을 통해 걸려지면서, 분진등을 지지관(21)을 통해 집진부(60)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여과망(27)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필터(26)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비교적 입자가 큰 분필가루가 지지관(21)의 흡입홈(22)을 막아 전체적인 흡입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지지관(21) 상부에는 고정축(23)에 의해 종동기어(24)가 설치된다.
상기 종동기어(24)는 크리닝 부재(20)가 회전하며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24)는 상부에는 모터(42)가 위치되고, 상기 모터(42)의 하부에는 종동기어(24)와 치차 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회전시키는 주동기어(41)가 모터축(43)에 축지되며, 상기 주동기어(41)의 하부에는 제 1 기어(44)가 설치된 회전부(40)에 의해 구동된다.
즉, 상기 크리닝 부재(20)는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관(21)의 상부에 종동기어(24)가 축지 되어지고, 상기 종동기어(24)는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주동기어(41)에 치차결합 되어지므로, 판서면(13)을 회전하며 닦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칠판(10)의 판서면(13)에서 회전하면서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주동기어(41)의 하측부에는 제 1 기어(4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44)의 일측부에는 제 2 기어(5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기어(51)의 일측에는 상부에 제 3 기어(52)가 위치되며, 하부에는 피니언 기어(53)가 형성되어, 상기 칠판보호틀체(11)의 후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레크부(54)에 피니언 기어(53)가 치차 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가 위치된다.
즉, 상기 주동기어(41)의 하측부에 축지된 제 1 기어(44)의 일측부에는 제 2 기어(51)가 치차 결합되고, 상기 제 2 기어(51)의 또 다른 일측부에는 상부에는 제 3 기어(52)가 위치되고, 하부에는 피니언 기어(53)가 형성되어, 칠판(10)의 상부 칠판보호틀체(11)의 후측부에 형성된 레크부(54)에 피니언 기어(53)가 결합 되어지므로, 상기 크리닝 부재(20)는 칠판(10)의 판서면(13)에서 회전하면서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30)의 하측부와 칠판(10)의 하측부에 위치되는 칠판보호틀체(11)에는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레크부(54)와 피니언 기어(53)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구동될 때 보다 원활히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가이드 롤러(80)를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하측부에는 판서면(13)을 닦으면서 발생되는 먼지가 지지관(21)의 흡입홈(22)으로 흡입된 후 내부에서 비산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집진기(61)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부(60)는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지지관(21)에 연결관(28)을 통해 고정시킨 후 배출호스(62)를 통해 집진기(61)로 이동시켜, 분필가루가 실내에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판서면(13)을 회전에 의해 닦으면서 발생되는 분필가루는 집진기(61)의 흡입력에 의해 부직포(25)와 필터(26), 그리고, 여과망(27)을 통해 내부로 이동된 후 여과망(27)의 내측에 위치되는 지지관(21)의 흡입홈(22)을 통해 내측으로 이동되어 지지관(21) 내부에서 비산되지 않고 배출호스(62)를 통해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판서면(13)을 닦으면서 발생되는 먼지는 지지관(21)의 내측으로 이동된 후 집진부(60)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연결관(28)과 배출호스(62)를 통해 집진부(60)로 신속히 배출되므로, 쾌적한 주위 환경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배출호스(62)의 내측상부에는 연결관(28)이 끼워진 후 원활히 회전되도록 베어링(90)이 설치된다.상기 베어링(90)은 크리닝 부재(20)인 부직포(25)가 회전부(4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때, 보다 원활하게 회전되어 칠판(10)의 판서면(13)을 보다 용이하게 닦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칠판(10)의 일측부에는 크리닝 부재(20)가 구동되도록 모터(42)로 전원을 공급시키고,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하는 스위치부(70)가 설치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크리닝 부재(20)를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왕복해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선택적으로 판서면(13)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부(30)의 하부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71)를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칠판보호틀체(11)의 양단부에는 접지편(72)을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부(30)가 모터(42)의 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가이드부(30)의 리미트 스위치(71)가 접지편(72)에 접지되면 전기적 신호가 전환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부(30)가 자동으로 판서면(13)에서 왕복운동을 하며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칠판(10)의 일측부에 모터(42) 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10)에 분필로 판서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는 크리닝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칠판(10)의 일측부에 모터(42) 구동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며, 칠판(10)에 분필로 판서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는 크리닝 장치를 설치하여, 짧은 시간에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으며, 분필가루의 비산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품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정정) 칠판보호틀체(11)에 소정의 전방을 향하여 개방부(12)가 트여져 판서면(13)이 노출되는 칠판(10)과;
    상기 칠판(10)의 일측부에 위치되어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되며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내측으로는 몸체에 다수개의 흡입홈(22)이 형성된 지지관(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21)의 상부에는 고정축(23)에 의해 종동기어(24)가 축지되어지며, 상기 지지관(21)의 외측부로는 칠판(10)의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부직포(25)가 설치되는 크리닝 부재(2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일측부에 위치되도록,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칠판보호틀체(11)에 설치되는 가이드부(30)와;
    상기 가이드부(30)에 설치된 크리닝 부재(20)를 선택적으로 횡으로 이동되면서 회전되어,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상부에는 모터(42)가 위치되고, 상기 모터(42)의 하부에는 종동기어(24)와 치차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회전시키는 주동기어(41)가 모터축(43)에 축지되며, 상기 주동기어(41)의 하부에는 제 1 기어(44)가 설치된 회전부(40)와;
    상기 회전부(40)에 의해 회전되는 크리닝 부재(20)가 회전되면서 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주동기어(41)의 하측에 설치된 제 1 기어(44)의 일측에는 제 2 기어(51)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기어(51)의 일측에는 상부에 제 3 기어(52)가 위치되며, 하부에는 피니언 기어(53)가 형성되어 상기 칠판보호틀체(11)의 후측에 횡으로 설치되는 레크부(54)에 피니언 기어(53)가 치차 결합되어 크리닝 부재(20)를 이동시키는 이송부(5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칠판(10)의 판서면(13)을 닦으면서 발생되는 분필가루를 흡입한 후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크리닝 부재(20)의 내측에 형성된 지지관(21)과 배출호스(62)로 고정되는 집진부(60)와;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이송부(50) 및 회전부(40)의 구동에 의해 작동되도록 전원공급 및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할 수 있도록 칠판(10)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부(7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25)의 내측으로는 선택적으로 고형의 형상을 갖는 분필가루 등을 여과시킬 수 있는 필터(26)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필터(26)의 후측부에는 지지관(21)을 통해 흡착되어지는 분필가루와 동시에 필터(26)가 흡입홈(22)에 밀착되어 흡입량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분필가루 등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여과망(27)이 구비되며, 상기 여과망(27)의 내측으로 위치되는 지지관(21) 하측으로는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되는 연결관(28)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부(60)의 배출호스(62)와 고정된 연결관(28)의 외측으로는 회전부(40)의 구동시 부직포(25)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베어링(90)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30)의 상부와 하부 일측면에 상기 크리닝 부재(20)가 레크부(54)와 피니언 기어(53)에 의해 치차결합되어 구동될 때 보다 원활히 판서면(13)에 접지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 롤러(80)가 설치되고, 크리닝 부재(20)가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왕복하면서 판서면(13)을 닦을 수 있도록, 가이드부(30)의 하측 양측에 리미트 스위치(71)를 설치하고, 하부에 위치되는 칠판보호틀체(11)의 양단부에는 접지편(72)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크리닝 칠판.
KR2020000029962U 2000-10-26 2000-10-26 크리닝 칠판 KR2002202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962U KR200220280Y1 (ko) 2000-10-26 2000-10-26 크리닝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962U KR200220280Y1 (ko) 2000-10-26 2000-10-26 크리닝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280Y1 true KR200220280Y1 (ko) 2001-04-16

Family

ID=7309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962U KR200220280Y1 (ko) 2000-10-26 2000-10-26 크리닝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2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150A (zh) * 2019-05-24 2019-08-02 蚌埠学院 一种可移动式擦黑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7150A (zh) * 2019-05-24 2019-08-02 蚌埠学院 一种可移动式擦黑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499B1 (ko) 베이스 스테이션 및 청소 로봇 시스템
KR20070119127A (ko) 전동식 칠판 지우개
CN108437667A (zh) 一种多功能黑板擦除尘装置
CN111216475A (zh) 一种教学用可擦拭黑板
KR100298613B1 (ko) 크리닝칠판
JP3051306B2 (ja) 白板等の消字装置
KR200220280Y1 (ko) 크리닝 칠판
KR20000001128A (ko) 크리닝 칠판
TW403703B (en) Cleaning board
KR101168963B1 (ko) 물세척 칠판의 와이퍼 구동장치
CN213891954U (zh) 一种方便快速清洁的黑板
US20050091788A1 (en) Powered edge cleaning vacuum
KR20110138712A (ko) 전동식 칠판 지우개
CN211764567U (zh) 一种深度清洁自吸式黑板擦
KR100386941B1 (ko) 전동식 칠판지우개
CN214984498U (zh) 一种触控互动黑板的自动清洁装置
CN209423119U (zh) 一种切削液处理装置
CN201148081Y (zh) 自动除尘黑板擦装置
CN2834937Y (zh) 一种吸尘黑板擦
CN112497966A (zh) 一种小学数学教学用可移动式黑板
JP3066544B2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CN205322245U (zh) 吸气驱动的擦拭工具组件
KR200200479Y1 (ko) 오토크린 칠판
KR101144224B1 (ko) 물세척 칠판의 물공급장치
CN2883026Y (zh) 手持干式电动黑板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