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79U - 액 자 - Google Patents

액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79U
KR19990013279U KR2019970026524U KR19970026524U KR19990013279U KR 19990013279 U KR19990013279 U KR 19990013279U KR 2019970026524 U KR2019970026524 U KR 2019970026524U KR 19970026524 U KR19970026524 U KR 19970026524U KR 19990013279 U KR19990013279 U KR 19990013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support member
hole
picture frame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63507Y1 (ko
Inventor
이한중
이한흥
Original Assignee
이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중 filed Critical 이한중
Priority to KR2019970026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5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5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5Interconnected frames; Frame assemblies; Frames for two or more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2001/0694Picture frames comprising means allowing the frame to be supported on a horizontal surface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사진을 보관 및 관물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자에 있어서, 일면에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커버(13)가 그 외주연으로 일정폭을 갖는 접착부재(15)로 접착되면서 상기 관통공(12)과 접착부재(15) 사이에 공간부(14)가 형성되게 삽입부(18)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모서리로 체결공(22)이 형성되어 단턱진 체결돌기(24)와 그 측으로 걸림돌기(25)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보강턱(26)이 테두리지게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체결돌기(24)에는 이 체결돌기(24)와 상응되게 절곡홈(21)으로 나누어져 다수개의 결합공(23)이 형성된 체결편(20)이 고정스크류(28)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를 제공하므로서, 사진을 보관하거나 관물용으로 사용되는 액자를 간단하고 조립이 쉽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자(A picture fram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진을 보관하거나 관물용으로 사용되는 액자를 간단하고 조립이 쉽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한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을 보관하거나 관물용으로 사용되는 액자는 목재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틀을 제작한 후에 사진등을 넣고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제작된 틀에 사용자가 원하는 사진을 넣기에는 불편한 점 즉, 사진이 필요에 따라 가로로 찍거나 세로로 찍게 되는 데, 상기 종래 사진용 액자는 제작 당시에 세로나 가로로 확정되어 제작되므로서, 사용자에게 선택의 여건을 마련해 주지 못하였다.
또한, 시리즈물로 찍은 사진이나 여러개의 사진등을 같이 액자에 넣고자 할 때에는 종래 사진용 액자는 일정한 틀을 제작한 후에 제작된 틀과 틀을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여 형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변형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용상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사진을 보관하거나 관물용으로 사용되는 액자를 간단하고 조립이 쉽게 구성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형태로 손쉽게 변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사진을 보관 및 관물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자에 있어서, 일면에 중앙으로 관통공이 형성된 커버가 그 외주연으로 일정폭을 갖는 접착부재로 접착되면서 상기 관통공과 접착부재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게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모서리로 체결공이 형성되어 단턱진 체결돌기와 그 측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보강턱이 테두리지게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체결돌기에는 이 체결돌기와 상응되게 절곡홈으로 나누어져 다수개의 결합공이 형성된 체결편이 고정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배면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가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이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1다른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2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3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4다른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5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6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지지부재 12 : 관통공 13 : 커버
14 : 공간부 15 : 접착부재 18 : 삽입부
20 : 체결편 21 : 절곡홈 22 : 체결공
23 : 결합공 24 : 체결돌기 25 : 지지돌기
26 : 보강턱 28 : 고정스크류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배면 분해 사시도로서, 일면에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커버(13)가 그 외주연으로 일정폭을 갖는 접착부재(15)로 접착되면서 상기 관통공(12)과 접착부재(15) 사이에 공간부(14)가 형성되게 삽입부(18)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모서리로 체결공(22)이 형성되어 단턱진 체결돌기(24)와 그 측으로 걸림돌기(25)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보강턱(26)이 테두리지게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체결돌기(24)에는 이 체결돌기(24)와 상응되게 절곡홈(21)으로 나누어지는 다수개의 결합공(23)이 형성된 체결편(20)이 고정스크류(28)로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가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로서, 가로로 세워진 지지부재(10)의 일면으로 접착부재(15)에 의해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접착된 커버(13)의 삽입부(18)로 상기 공간부(14)를 이용하여 가로로 찍혀진 사진등을 삽입하여 끼워 넣고 타면 하측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4)에는 체결편(20)의 결합공(23)을 삽입하여 고정스크류(28)로 고정한 후, 체결편(20)으로 형성된 절곡홈(21)을 사용하여 체결편(20)을 절곡하여 전복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배면 사시도로서, 지지부재(10)를 세로로 세워 놓은 상태에서 세로로 찍어진 사진등을 일면으로 형성된 커버(13)의 삽입부(18)에 형성되는 공간부(14)을 이용하여 삽입한 후에 타면 하측으로는 상기와 같이 체결돌기(24)에 체결편(20)의 결합공(23)을 삽입하여 고정스크류(28)로 고정시킨 다음 체결편(20)의 절곡홈(21)을 이용하여 절곡시켜 지지부재(10)가 전복되지 않도록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1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0)를 가로로 종렬(縱列)시킨 후에 상호 지지부재(10)의 양측 하단과 상단으로 타면에 형성된 체결돌기(24)로 체결편(20)을 삽입하여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체결편(2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 간의 간격을 넓게 또는 좁게 하고자 할 때에는 체결편(20)에 형성된 결합공(23)의 간격을 넓게 하거나 좁게 고정시키면 된다.
상기 지지부재(10)는 사진에 따라 상호 세로로 종렬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2다른 실시예로서, 가운데에 체결되는 지지부재(10)를 세로로 세우고 그 상·하단으로 위치하는 지지부재(10)는 가로로 위치시킨 후에 체결편(20)을 경사지게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 필요에 따라 반대로 가운데에 위치한 지지부재(10)를 가로로 위치하고 그 상·하단으로 위치한 지지부재(10)를 세로로 위치시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3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0)를 가로로 횡렬시켜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단차지게 체결편(20)을 사용하여 고정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와 반대로 지지부재(10)가 가로로 횡렬된 것을 세로로 횡렬시켜 체결편(20)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4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세로로 세워서 체결편(20)을 사용하여 병풍형상으로 굴절되게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상기와 같이 굴절되게 할 수 있는 것은 체결편(20)의 절곡홈(21)으로 인해 체결편(20)의 절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세로로 세워진 지지부재(10)는 가로로 세워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5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를 가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상단 양측으로 체결편(20)을 절곡하여 고정시켜 지지부재(10)가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가 가로로 세워진 것을 세로로 세워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 사용상태의 제 6다른 실시예로서, 지지부재(10)를 가로로 세워서 그 내측면에 체결편(20)을 절곡하여 상호 연결시켜 지지부재(10)가 사각형상을 하도록 설치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에서 가로로 세워진 지지부재(10)는 사진에 따라 세로로 세워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진등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지지부재(10)의 일면으로 일정폭을 갖는 접착부재(15)로 인해 공간부(14)가 형성되도록 삽입부(18)를 형성하는 커버(13)가 부착되고, 지지부재(10)의 타면으로는 모서리에 체결공(22)이 형성되어 단턱진 체결돌기(24)와 걸림돌기(25)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24)에는 절곡홈(21)으로 나누어지고 상기 체결돌기(24)에 부합되도록 다수개의 결합공(23)이 형성된 체결편(20)이 고정스크류(28)에 의해 고정되게 형성되므로서, 사진이 가로로 찍혔을 때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를 가로로 세워서 사용하고 사진이 세로로 찍혔을 때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부재(10)를 세로로 세워서 사용한다.
상기에서 체결편(20)은 절곡홈(21)으로 인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체결된 상태에서 절곡홈(21)을 기준으로 절곡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지지부재(10)가 쉽게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체결돌기(24)의 측에 형성된 걸림돌기(25)는 체결돌기(24)의 중앙 내측의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 2나 도 3에서와 같이 체결편(20)을 고정한 후 바닥면으로 재치할 때, 체결편(20)이 더 이상 상측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지지부재(10)의 타면으로 중앙 부위에 테두리지게 형성된 보강턱(26)은 지지부재(10)가 사출성형된 상태에서 지지판(10)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재(10)의 일면으로 형성된 삽입부(18)로 원하는 사진등을 사용자의 편이대로 삽입한 다음 사진에 따라 세로 또는 가로로 상기 지지부재(10)의 타면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4)에 체결편(20)을 결합하여 설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여러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혹은 사진이 시리즈 별로 구성된 것은 얼마든지 원하는 형태로 다시말해서, 지지부재(10)의 타면으로 형성된 체결돌기(24)와 이 체결돌기(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편(20)에 의해 지지부재(10)의 형태를 손쉽게 바꿀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진등을 보관하거나 관물용으로 사용되는 액자를 사진에 따라 사용자가 세로 또는 가로로 얼마든지 사진을 삽입하여 보관 및 관물시킬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취향이나 사진이 연결된 시리즈물로 얼마든지 액작의 형태를 손쉽게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고안인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사진을 보관 및 관물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자에 있어서, 일면에 중앙으로 관통공(12)이 형성된 커버(13)가 그 외주연으로 일정폭을 갖는 접착부재(15)로 접착되면서 상기 관통공(12)과 접착부재(15) 사이에 공간부(14)가 형성되게 삽입부(18)가 형성되고 타면에는 모서리로 체결공(22)이 형성되어 단턱진 체결돌기(24)와 그 측으로 걸림돌기(25)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보강턱(26)이 테두리지게 형성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체결돌기(24)에는 이 체결돌기(24)와 상응되게 절곡홈(21)으로 나누어져 다수개의 결합공(23)이 형성된 체결편(20)이 고정스크류(28)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19970026524U 1997-09-24 1997-09-24 액자 KR200163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24U KR200163507Y1 (ko) 1997-09-24 1997-09-24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524U KR200163507Y1 (ko) 1997-09-24 1997-09-24 액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79U true KR19990013279U (ko) 1999-04-15
KR200163507Y1 KR200163507Y1 (ko) 2000-03-02

Family

ID=19510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524U KR200163507Y1 (ko) 1997-09-24 1997-09-24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5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507Y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8514A (en) Phonostand
US5607135A (en) Tablet stand
US4729183A (en) Modular frame structure
US4515280A (en) Coupling device
US3998509A (en) Case and corner fastener therefor
TW381151B (en) Component holder body
US5666582A (en) Camera casing structure
KR200163507Y1 (ko) 액자
US4790089A (en) Picture frame
US4669209A (en) Picture frame
US20040134393A1 (en) Structure of a working platform
KR200206234Y1 (ko) 병풍형 액자
KR200394541Y1 (ko) 광고물 거치대
US3850302A (en) Magazine display rack
KR200378921Y1 (ko)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액자
GB2084779A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020139028A1 (en) Picture frame with repositionable clock
KR200259370Y1 (ko) 액자
JPH07289363A (ja) 組立収納ケースにおける組立構造
JPS6118537Y2 (ko)
JPH0643526Y2 (ja) パイプ材で枠組を構成する組立式架台における枠組ジョイント部のストッパー
JP3011452U (ja) 写真立て
KR200259038Y1 (ko) 거울이 부설된 액자
KR200256505Y1 (ko) 탁상용 액자
KR200293884Y1 (ko) 사진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