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234Y1 - 병풍형 액자 - Google Patents

병풍형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234Y1
KR200206234Y1 KR2020000017606U KR20000017606U KR200206234Y1 KR 200206234 Y1 KR200206234 Y1 KR 200206234Y1 KR 2020000017606 U KR2020000017606 U KR 2020000017606U KR 20000017606 U KR20000017606 U KR 20000017606U KR 200206234 Y1 KR200206234 Y1 KR 2002062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ver
picture frame
folding screen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7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석현
Original Assignee
하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석현 filed Critical 하석현
Priority to KR2020000017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2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2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2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5/00Screens; Draught-deflectors
    • A47G5/02Roll-up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47G1/04Multi-part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병풍형 액자가 개시된다. 이 병풍형 액자는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경첩,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복수게 형성된 고정구,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삽입되면서 사진을 부착하는 밑판, 상기 밑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모서리부에 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의 커버; 및, 하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는 커버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된다.
이에따라, 병풍형 액자는 사진을 복수개 부착하여 진열할 수 있으며 보관과 이동이 용이한 잇점이 있고, 또한 산뜻한 디자인으로 시선을 주목시키며 복수개의 사진을 편리하게 부착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병풍형 액자{Screen Picture Frame}
본 고안은 병풍형 액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을 효과적이면서 편리하게 부착하고 보관과 이동이 용이하며 심미적 인상을 주는 병풍형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가정이나 사진관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원하는 사진을 효과적으로 전시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디자인으로 시중에 나와있다.
그러나, 여러장의 사진을 액자에 부착하기 위하여 큰 액자에 사진을 복수개 부착하거나 각각의 액자를 줄로 연결하여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고 있어 전체적인 느낌이 산만할 뿐아니라 설치공간과도 조화롭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개의 사진을 편리하게 부착하면서 산뜻하고 고급스런 분위기를 내는 병풍형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병풍형 액자 11: 우측플레이트
12: 좌측플레이트 13: 경첩
16: 고정구 18: 밑판
20: 사진 21: 커버
23: 결합구
본 고안의 목적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경첩,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복수게 형성된 고정구,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삽입되면서 사진을 부착하는 밑판, 상기 밑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모서리부에 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의 커버; 및, 하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는 커버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된 병풍형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플레이트는 상단이 볼록한 라운드형상이고 하단은 양끝단이 돌기가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는 상단이 상기 커버의 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으면 전단부가 쇄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병풍형 액자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병풍형 액자(10)는 우측플레이트(11)와 좌측플레이트(12)를 갖으며 중간에 경첩(13)을 장착하여 우측플레이트(11)와 좌측플레이트(12)가 접철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각각의 플레이트(11,12)는 상부(14)가 볼록한 라운드 형상을 갖으며, 하부는 양끝이 돌기(15)가 돌출되어 지지하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심미적인 디자인이 되도록 한다.
또한, 플레이트(11,12)의 전면에는 플레이트(11,12)에 고정되면서 돌출되고 중앙부에 나사홀(17)이 형성된 고정구(16)가 양측면에 형성되고 또한 수직으로 복수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된다.
상하 네개의 고정구(16) 사이에는 밑판(18)이 삽입되어 상하 좌우의 유동없이 삽입된다. 밑판(18)의 상면에는 약한 접착제(19)가 도포되어 사진(20)을 밑판(18)에 붙였다가 다시 띨수 있도록 한다. 밑판(18)의 두께는 고정구(16)의 돌출두께보다는 상대적으로 크게 한다.
밑판(18)에 사진(20)이 부착된 후 투명한 커버(21)가 고정된다. 커버(21)의 모서리부에는 홀(22)이 형성되고 이 고정홀에는 고정구(16)와 결합되는 결합구(23)가 형성된다.
결합구(23)는 하부(24)가 고정구(16)와 나사결합되기 위하여 나사가 형성되고 상부(25)는 커버(21)의 홀(22)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으면 쇄기형상이 형성된다. 이에따라, 커버(21)의 홀(22) 부위를 압착하면서 고정구(16)에 결합되어 커버(21)와 사진(20)이 부착된 밑판(18)을 눌러 고정후 사진(20)의 유동이 없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결합구(23)는 은빛광택이 나는 금속재질을 사용하여 플레이트(11,12)와 대비하여 디자인적으로 포인트를 주어 산뜻한 이미지를 주게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풍형 액자(10)는 사진(20)을 우측플레이트(11)와 좌측플레이트(12)에 수직으로 복수개 부착가능하고 접어서 보관하거나 이동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좌우측 플레이트 이외에 다른 플레이트를 경첩(13)으로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가능하여 설치장소나 부착할 사진(20)의 갯수에 따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병풍형 액자는 사진을 복수개 부착하여 진열할 수 있으며 보관과 이동이 용이한 잇점이 있다.
또한, 산뜻한 디자인으로 시선을 주목시키며 복수개의 사진을 편리하게 부착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3)

  1.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경첩;
    상기 플레이트의 전면에 고정되고 중앙부에 나사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수직으로 복수게 형성된 고정구;
    상기 복수개의 고정구 사이에 삽입되면서 사진을 부착하는 밑판;
    상기 밑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모서리부에 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재질의 커버; 및,
    하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구에 나사결합되고 상부는 커버를 압착하여 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풍형 액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단이 볼록한 라운드형상이고 하단은 양끝단이 돌기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풍형 액자.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는 상단이 상기 커버의 홀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으면 전단부가 쇄기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풍형 액자.
KR2020000017606U 2000-06-21 2000-06-21 병풍형 액자 KR2002062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06U KR200206234Y1 (ko) 2000-06-21 2000-06-21 병풍형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7606U KR200206234Y1 (ko) 2000-06-21 2000-06-21 병풍형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234Y1 true KR200206234Y1 (ko) 2000-12-01

Family

ID=19661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7606U KR200206234Y1 (ko) 2000-06-21 2000-06-21 병풍형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23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1789A (en) Childrens play structure
US7363739B2 (en) Display of pictures in decorative settings
US5167085A (en) Picture frame assembly
KR200206234Y1 (ko) 병풍형 액자
US4669209A (en) Picture frame
JP2000162709A5 (ko)
USD442321S1 (en) Fluorescent lamp and screen
US6282828B1 (en) Picture frame
JPS6125007Y2 (ko)
KR200245967Y1 (ko) 액자
KR960009617Y1 (ko) 유색거울사진 액자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CN215852394U (zh) 一种展示盒
JPS59138Y2 (ja) 写真立て類
USD355076S (en) Display board for sequentially arranged pictures
KR200337695Y1 (ko) 액자
JPH0414785Y2 (ko)
KR200220847Y1 (ko) 틀 없는 액자
JPH0114226Y2 (ko)
JPS6015490Y2 (ja) 写真、鏡等を装着する装飾板
JPH08256887A (ja) 展示具
KR200163507Y1 (ko) 액자
KR20030061065A (ko) 액자
JP2561553Y2 (ja) 額 縁
JPS5942944Y2 (ja) 写真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