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47Y1 - 틀 없는 액자 - Google Patents

틀 없는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47Y1
KR200220847Y1 KR2020000026569U KR20000026569U KR200220847Y1 KR 200220847 Y1 KR200220847 Y1 KR 200220847Y1 KR 2020000026569 U KR2020000026569 U KR 2020000026569U KR 20000026569 U KR20000026569 U KR 20000026569U KR 200220847 Y1 KR200220847 Y1 KR 200220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ameless
picture
frame
rea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주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퍼즐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퍼즐사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퍼즐사랑
Priority to KR2020000026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47Y1/ko

Links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수시로 볼 수 있도록 벽에 걸거나 책상 등에 세워둘 때 사용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틀이 없어 단순하면서 현대적 이미지의 틀 없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전면의 중앙에 사진(100)이나 그림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함몰 형성된 후판(1)과; 각 모서리에 스페이서(3)를 개재하여 상기 후판의 전면에 맞대어진 다음 상기 스페이서를 통하여 체결되는 탭 볼트(4)에 의해 상기 후판에 접합되어 상기 후판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간극을 두고 접합되는 투명판(2)과; 그리고, 상기 후판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명판이 접합된 상기 후판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5)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끼움홈(6b,6a)을 형성하는 고정판(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스페이서의 역할로 투명판과 후판이 전반적으로 균일한 간극을 두고 서로 접합됨에 따라 틀 없는 액자가 갖는 특유한 문제점인 중앙이 들뜨는 문제가 해소되어 외관미가 좋다.

Description

틀 없는 액자{Frame}
본 고안은 사진이나 그림 등을 수시로 볼 수 있도록 벽에 걸거나 책상 등에 세워둘 때 사용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틀이 없어 단순하면서 현대적 이미지의 틀 없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손상되지 않게 벽에 걸어 두거나 탁상 위에 세워 두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액자는 투명 유리판과 후판(後板), 이들 두 판을 서로 밀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후판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틀로 이루어져 투명 유리판과 후판 사이에 사진 등을 끼우고 그 틀 상부에 설치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 두거나 또는 후판에 설치된 지지대를 이용하여 탁상 위에 세워둘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합성수지제의 투명판과 후판이 사각틀 없이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사진이나 그림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게 되는 틀을 없앰으로써 단순하면서 현대적 이미지를 갖는 틀 없는 액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틀 없는 액자는 투명판과 후판이 각 모서리가 나사 혹은 볼트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사진이나 그림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경우 체결수단의 체결력에 의해 투명판과 후판이 모서리 부분에서는 서로 밀착되는 반면 중앙부분은 들뜨게 되어 즉 투명판과 후판 사이의 간극이 전체적으로 불균일하여 외관미가 저하되고 사진의 모서리가 손상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투명판과 후판에 대하여 사진 등을 눈 대중으로 정중앙에 배치한 다음 그 두 판을 접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눈대중의 착오에 의하거나 또는 투명판과 후판을 서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사진 등이 한 쪽으로 쏠리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사진 등을 정중앙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조립과정에서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는 등 조립성도 매우 나쁘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틀 없는 액자가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투명판과 후판이 그 두 판 사이의 간극을 전반적으로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개재하고 서로 접합되어 외관미 좋고, 사진 등을 투명판의 정중앙에 손쉽게 배치할 수 있어 사진 등을 넣기가 아주 수월하며, 아울러, 벽걸이용이나 탁상용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면서, 여러 개를 연결하여 벽에 걸 수도 있는 틀 없는 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가 탁자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가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어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의 후방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의 측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를 벽에 걸 때 사용하는 걸이끈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들을 서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결끈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후판 2 : 투명판
3 : 스페이서 4 : 탭 볼트
5 : 지지대 6 : 고정판
7 : 캡 8 : 걸이끈
9 : 연결끈 10 : 액자
100 : 사진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전면의 중앙에 사진이나 그림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함몰 형성된 후판과; 각 모서리에 스페이서(Spacer)를 개재하여 상기 후판의 전면에 맞대어진 다음 상기 스페이서를 통하여 체결되는 탭볼트에 의해 상기 후판에 접합되어 상기 후판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간극을 두고 접합되는 투명판과; 그리고, 상기 후판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명판이 접합된 상기 후판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바람직한 특징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스페이서들을 상호 연결하여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끈과;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들 중 최상부에 배치된 틀 없는 액자의 상부의 양쪽 스페이서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들을 벽에 걸 수 있게 하는 걸이끈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후판측으로 돌출된 상기 탭 볼트의 선단에 억지 끼워져 결합되는 캡을 더 포함하기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은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 1은 탁자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고, 도 2와 3은 벽걸이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이나 그림을 탁자나 책상 등의 위에 세워놓는 탁자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 도 2와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벽에 걸어두는 벽걸이용으로도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틀 없는 액자(10)는 도 4의 분해사시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후판(1)과; 상기 후판(1)의 전면에 접합되는 투명판(2)과; 상기 후판(1)의 뒷면에 부착되고 가로와 세로방향의 끼움홈(6b,6a)을 형성하는 고정판(6), 그리고, 그 액자를 탁상 위에 세워 놓을 때 사용되는 지지대(5)와, 벽에 걸어 둘 때 사용되는 걸이끈(8)과 연결끈(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후판(1)은 전면의 중앙에 안치부(1a)가 함몰 형성된 평판으로, 그 전면에 접합되는 투명판(2)과 협동하여 안치부(1a)에 안치된 사진(100) 등을 밀착 고정한다. 이 후판(1)은 함몰된 안치부(1a)에 안치된 사진(100)을 어느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으며 또한 그 안치부(1a)가 사진(100)이 액자(10)의 정중앙에 쉽게 배치되도록 그 위치를 접아주는 지그 역할도 하여 사진(100)을 손쉽게 액자에 끼울 수 있게 한다.
투명판(2)은 투명재질의 평판으로서, 상기 후판(1)의 전면에 접합되어 후판(1)의 안치부(1a)에 안치된 사진(100)을 고정함과 아울러 그 사진(100)이 외부에 보여질 수 있게 한다. 이 투명판(2)은 그 각 모서리 부분에 스페이서(3)를 개재하면서 상기 후판(1)의 전면에 맞대어지고 투명판(2) 전방에서 스페이서(3)를 통하여 후판(1)에 체결되는 탭 볼트(4)에 의해 상기 후판(1)에 접합된다. 투명판(2)이 스페이서(3)를 개재하고 후판(1)에 접합됨으로써 투명판(2)과 후판(1)은 스페이서(3)에 의해 전체적으로 고른 간극을 두고 서로 접합된다. 따라서 스페이서(3)는 투명판(2)과 후판(1)의 각 중앙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들뜸에 따라 발생되는 틀 없는 액자의 외관미 저하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또 후판(1)과 투명판(2)의 과도한 압박으로 생기는 사진(100) 모서리의 손상의 문제점도 해소할 수 있다.
고정판(6)은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가 탁상용으로 사용될 경우 후판(1)을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지지대(5)를 끼워 고정할 수 있게 후판(1)의 뒷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 고정판(6)은 가로와 세로방향으로 개방된 두 개의 끼움홈(6b,6a)을 형성하여 지지대(5)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상기 지지대(5)가 끼워지는 방향에 따라서 세로나 가로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세워질 수 있다.
걸이끈(8)은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를 도 2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도 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양단에 고리(8a)가 설치되어 그 각 고리(8a)가 틀 없는 액자의 양측 상부의 스페이서(3)에 결합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를 도 2나 3과 같이 벽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7b에 도시된 연결끈(9)은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 여러 개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짧은 줄로, 틀 없는 액자(10) 여러 개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 연결하여 여러 장의 사진(100) 또는 그림을 동시에 벽에 걸어 둘 수 있게 한다.
상기 걸이끈(8)과 연결끈(9)이 결속되는 스페이서(3) 둘레에는 각 끈이 스페이서(3)의 축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하면서 견고하게 결속되게 하기 위한 반구형 홈이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의 분해사시도에서 부호 7은 미관을 위하여 후판(1)의 뒤쪽으로 돌출된 탭 볼트(4)의 선단에 끼워지는 예컨대 고무와 같은 탄력 유연 재질의 캡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들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스페이서의 역할로 투명판과 후판이 전반적으로 균일한 간극을 두고 서로 접합됨에 따라 틀 없는 액자가 갖는 특유한 문제점인 중앙이 들뜨는 문제가 해소되어 외관미가 좋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틀 없는 액자는 그 후판에 사진 등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진 등을 정중앙에 위치하게 끼워 넣기가 아주 수월하고, 또, 그 안치부가 유동을 방지하여 사진 등이 조립과정이나 조립 후 특정한 방향으로 쏠리게 될 우려가 전혀 없다.

Claims (3)

  1. 전면의 중앙에 사진(100)이나 그림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함몰 형성된 후판(1)과;
    각 모서리에 스페이서(3)를 개재하여 상기 후판의 전면에 맞대어진 다음 상기 스페이서를 통하여 체결되는 탭 볼트(4)에 의해 상기 후판에 접합되어 상기 후판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간극을 두고 접합되는 투명판(2)과;
    그리고, 상기 후판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명판이 접합된 상기 후판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5)가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끼움홈(6b,6a)을 형성하는 고정판(6)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없는 액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들을 상호 연결하여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를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끈(9)과;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들 중 최상부에 배치된 틀 없는 액자의 상부의 양쪽 스페이서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연결끈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틀 없는 액자들을 벽에 걸 수 있게 하는 걸이끈(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없는 액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후판측으로 돌출된 상기 탭 볼트의 선단에 억지 끼워져 결합되는 캡(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 없는 액자.
KR2020000026569U 2000-09-21 2000-09-21 틀 없는 액자 KR200220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569U KR200220847Y1 (ko) 2000-09-21 2000-09-21 틀 없는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569U KR200220847Y1 (ko) 2000-09-21 2000-09-21 틀 없는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847Y1 true KR200220847Y1 (ko) 2001-04-16

Family

ID=73089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569U KR200220847Y1 (ko) 2000-09-21 2000-09-21 틀 없는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63B1 (ko) * 2011-02-21 2013-02-14 김향순 다보 액자용 벽걸이대
KR20170019135A (ko) 2015-08-11 2017-02-21 김기홍 사진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563B1 (ko) * 2011-02-21 2013-02-14 김향순 다보 액자용 벽걸이대
KR20170019135A (ko) 2015-08-11 2017-02-21 김기홍 사진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86292A (ja) 眼 鏡
KR200220847Y1 (ko) 틀 없는 액자
USD416820S (en) Clamp meter
USD410697S (en) Sign support structure
JP438671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185092Y1 (ko) 개폐식 액자
CN214580154U (zh) 一种支撑架
EP1031738B1 (en) Cover platelet for joints
USD516109S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USD433405S (en) Speaker mounting apparatus
CN213263299U (zh) 一种轻便易拆装的围板箱
KR900001139Y1 (ko) 액자
KR200206234Y1 (ko) 병풍형 액자
USD474798S1 (en) Liquid crystal projector
CH670365A5 (en) Two section photograph frame - consists of two transparent sheets with holes near edges for screws clamping photograph between sheets
KR200484085Y1 (ko) 조립식 기표대
KR200387169Y1 (ko) 액자
KR200278074Y1 (ko) 매듭공예결합 사진액자
KR200280538Y1 (ko) 액자
KR200176826Y1 (ko) 액자가 부착된 거울
JPH0998866A (ja) 前面開閉式額縁
KR900001141Y1 (ko) 액자
KR200245985Y1 (ko) 액자
USD489909S1 (en) Glider
USD298935S (en) Telephon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