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9135A - 사진액자 - Google Patents

사진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9135A
KR20170019135A KR1020150113124A KR20150113124A KR20170019135A KR 20170019135 A KR20170019135 A KR 20170019135A KR 1020150113124 A KR1020150113124 A KR 1020150113124A KR 20150113124 A KR20150113124 A KR 20150113124A KR 20170019135 A KR20170019135 A KR 20170019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magnet
frame
print
rubber
pri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3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150113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9135A/ko
Publication of KR20170019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9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7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using adhesives, suction or magnetism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한 고무자석인쇄물과,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사진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사진액자의 제작을 단순하게 하여 사용성을 좋게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액자에 관한 것으로,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한 고무자석인쇄물과,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는 사진액자를 벽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진액자{Picture Frames}
본 발명은 사진액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한 고무자석인쇄물과,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으로 사진액자를 구성함으로써 사진액자의 제작을 단순하게 하여 사용성을 좋게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손상되지 않게 벽에 걸어 두거나 탁상 위에 세워 두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사진액자는 사각형 틀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투명 유리판이 설치되고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는 후판이 유리판과 서로 밀착되게 고정하되 상기 후판을 프레임에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틀로 이루어져 투명 유리판과 후판 사이에 사진 등을 끼우고 프레임 또는 후판의 상부에 설치된 걸이수단을 이용하여 벽에 걸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합성수지재의 투명판과 후판이 사각틀 없이 서로 접합되도록 구성되어 사진이나 그림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게 되는 틀을 없앰으로써 단순하면서 현대적 이미지를 갖는 틀 없는 액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0847호의 '틀 없는 액자'는, 전면의 중앙에 사진이나 그림이 안치되는 안치부가 함몰 형성된 후판과; 각 모서리에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상기 후판의 전면에 맞대어진 다음 상기 스페이서를 통하여 체결되는 탭볼트에 의해 상기 후판에 접합되어 상기 후판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고른 간극을 두고 접합되는 투명판과; 그리고, 상기 후판의 뒷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명판이 접합된 상기 후판을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뒤쪽으로 경사지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가로와 세로방향의 끼움홈을 형성하는 고정판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액자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많고 사진을 설치하는데 간단하지 않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나아가사 새로운 사진이나 그림을 교체하는데 따른 번거로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2084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840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17007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에 사진을 인쇄하여 제작된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금속재의 판 형태로 제작한 단일(單一)의 프레임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사진액자의 제작을 단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사진의 부착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성을 좋게 하고,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진액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사진액자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사진액자는,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한 고무자석인쇄물과,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는 사진액자를 벽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은 자력의 세기에 따른 등방성 고무자석 또는 이방성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자석인쇄물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고무자석의 열에 의한 손상방지 및 사진의 인쇄를 위해 UV(Ultraviolet)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레임의 상,하,좌,우에는 프레임에 입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ㄷ"자로 굽힘하여 입체구조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체구조부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벽에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 또는 양면접착테이프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에는 고무자석인쇄물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요면(凹面)을 형성하여, 이 안착 요면의 테두리를 통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에는 고무자석인쇄물이 삐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자석인쇄물의 크기에 따른 복수의 부착표시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한 개 이상의 벽에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 또는 양면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무자석인쇄물이 자력에 의해 금속재의 판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사진액자의 제작을 단순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사진의 부착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와 함께 사진액자의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무자석의 양면에 다른 사진이나 그림을 각각 인쇄하여 고무자석인쇄물을 제작함으로써 하나의 사진액자에 두 개의 사진이나 그림을 소유하여 필요에 따라 고무자석인쇄물을 뒤집어서 프레임에 재부착함으로써 새로운 사진이나 그림을 감상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하,좌,우에 일체로 형성된 입체구조부에 의해 프레임이 두터운 감을 주게 됨으로써 고급스런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더 나아가 프레임의 전면에 고무자석인쇄물이 안착되는 안착 요면과 이 안착 요면의 테두리를 통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가 형성됨으로써 고급스런 사진액자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의 전면에 복수의 부착표시선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고무자석인쇄물을 부착할 때 부착표시선을 따라 부착하게 되어 삐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변형 예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진액자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또 다른 변형 예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진액자를 벽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이하의 기재사항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일 뿐 발명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서,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현장에서 구현할 때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이들 변형이 본 발명의 기술사상 내에 있다면 본 발명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해상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쉽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변형 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진액자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또 다른 변형 예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사진액자를 벽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진액자(10)는 크게 고무자석인쇄물(20)과 이 고무자석인쇄물(20)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는 프레임(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은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으로 이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무자석은 자성체 분말과 합성수지 또는 천연수지와 첨가제를 혼합하고 분말화 하여 일정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성형하고 자화(magnetization)시킨 것으로, 유연성에 의해 두루마리 형태로 감아서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이를 펼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은 자력의 세기에 따른 등방성 고무자석 또는 이방성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령 등방성 고무자석의 경우 한쪽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그 이면에만 사진 또는 그림을 인쇄하여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할 수 있고, 이방성 고무자석은 양쪽으로 자력이 발생하여 등방성 고무자석에 비해 자력의 세기가 커서 양면으로 사진 또는 그림을 인쇄하여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무자석인쇄물(20)의 가로 세로의 크기에 의한 무게에 따라 고무자석을 등방성 또는 이방성을 택일하여 프레임(4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예컨대 고무자석인쇄물(20)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지 않기 때문에 등방석 고무자석을 선택해 사용할 수 있고, 고무자석인쇄물(20)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기 때문에 프레임(40)에 부착시 처질 수 있어 이때에는 등방성 고무자석을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고무자석의 열에 의한 손상방지 및 사진의 인쇄를 위해 도막 형태로 UV코팅층(도시생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40)은 고무자석인쇄물(20)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40)의 상부에는 사진액자(10)를 벽(100)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42)를 형성할 수 있고,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이부(42) 대신에 양면접착테이프(41)를 프레임(40)의 상부 배면에 부착하여 이를 통해 벽에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사진액자(10)의 고정수단은 사진액자의 설치하는 방향에 따라 상부 또는 측면(좌 또는 우)에 형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변형 예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사진액자 프레임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의 사진액자의 변형 예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40)의 상,하,좌,우에는 프레임(40)에 입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ㄷ"자로 굽힘하여 입체구조부(44, 45, 46, 47)를 형성하고, 상기 입체구조부(44, 45, 46, 47)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벽에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42)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에서 걸이부(42)는 입체구조부(44, 45, 46, 47)에 일체로 형성할 수 있고, 도 1과 같이 양면접착테이프(41)로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40)에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고무자석인쇄물(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요면(凹面)(40a)을 형성하여, 이 안착 요면(40a)의 테두리를 통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안착 요면(40a)의 깊이는 고무자석인쇄물(20)의 두께와 동일한 깊이로 하여 고무자석인쇄물(20)이 안착 요면(40a)에 부착되면 고무자석인쇄물(20)의 표면과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 표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할 수 있고, 또는 고무자석인쇄물(20)의 두께보다 얇은 깊이로 하여 고무자석인쇄물(20)이 안착 요면(40a)에 부착되면 고무자석인쇄물(20)의 표면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 표면보다 돌출되게 하여 고무자석인쇄물(20)에 입체감을 줄 수도 있다.
본 발명자가 샘플을 제작하여 테스트한 결과, 후자와 같이 고무자석인쇄물(20)의 표면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 표면보다 돌출되게 함으로써 고무자석인쇄물(20)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로부터 겉으로 드러나게 됨으로써 입체감을 주는 것에 의해 프레임(40)에 부착된 고무자석인쇄물(20)을 감상하는데 좋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액자의 변형 예의 사시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40)에는 고무자석인쇄물(20)이 삐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자석인쇄물(20)의 크기에 따른 복수의 부착표시선(40c)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부착표시선(40c)을 따라 고무자석인쇄물(20)을 부착함으로서 사용자게 헤매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고 고무자석인쇄물(20)이 프레임(40)에 맞춰지게 되어 자연스레 상,하,좌,우의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의 여백이 맞춰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부착표시선(40c)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게 때문에 고무자석인쇄물(20)의 크기에 대응하여 쉽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프레임(40)은 판 형태로 제작된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안착 요면(40a)이나 부착표시선(40c)은 프레스로 제작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스 제작 후에는 페인트로 도색을 함으로써 프레임(40)의 제작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부착표시선(40c)은 얇은 선 형태(예컨대 얇은 요철 형태의 선)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부착표시선(40c)은 가까이에서는 보이지만 멀리서는 구별이 되지않아 프레임(40)의 미관을 해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도 1, 도 2, 도 4에 도시된 프레임(40)의 안착 요면(40a) 또는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에는 그림이나 사진의 작가프로필, 또는 제작자, 공급자의 프로필, 심지여 심볼마크 등의 표시를 안착 요면(40a) 또는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에 직접 인쇄하거나 종이로 인쇄하여 붙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프레임(40)의 안착 요면(40a)이나 도 4에 도시된 부착표시선(40c)이형성된 프레임(40)의 전면 또는 프레임(40)의 배면에는 고무자석인쇄물(20)과는 별도의 그림이나 사진을 직접 인쇄하여 프레임(40)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사진액자(10)를 걸이부(42)를 통해 벽(100)에 못(도시 생략) 등에 걸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4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고무자석인쇄물(20)로 구성된 사진액자(10)를 벽(100)에 걸어 감상하다가 싫증나거나 주기적으로 고무자석인쇄물(20)을 교체시에는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의 양면에 그림이나 사진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는 반대 면에 인쇄된 고무자석인쇄물(20)로 바로 프레임(40)에서 교체 부착하여 감상할 수 있고, 새로 구매한 고무자석인쇄물(20)을 프레임(40)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고무자석인쇄물(20)이 자력에 의해 금속재의 판 형태로 제작한 프레임(4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진의 부착 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줄 수 있고, 사진액자의 구성 및 제작이 단순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는 유용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고,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 예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 사진액자
20 : 고무사진인쇄물
40 : 프레임
40a : 안착 요면
40b : 고무사진인쇄물 여백부
40c : 부착표시선
41 : 양면접착테이프
42 : 걸이부
44, 45, 46, 47 : 입체구조부
100 : 벽

Claims (7)

  1. 시트 형태로 제조된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사진을 인쇄한 고무자석인쇄물(20)과,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이 자력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금속재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프레임(40)과 상기 프레임(40)에는 사진액자(10)를 벽에 부착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은 자력의 세기에 따른 등방성 고무자석 또는 이방성 고무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자석인쇄물(20)을 형성하는 고무자석의 적어도 어느 한 면에는 고무자석의 열에 의한 손상방지 및 사진의 인쇄를 위해 UV코팅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40)의 상,하,좌,우에는 프레임(40)에 입체감을 형성하기 위해 "ㄷ"자로 굽힘하여 입체구조부(44, 45, 46, 47)를 형성하고, 상기 입체구조부(44, 45, 46, 47)에는 한 개 이상의 벽(100)에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42) 또는 양면접착테이프(41)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40)에는 고무자석인쇄물(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 요면(凹面)(40a)을 형성하여, 이 안착 요면(40a)의 테두리를 통해 고무자석인쇄물 여백부(40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 형태의 프레임(40)에는 고무자석인쇄물(20)이 삐뚤어지지 않고 바르게 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자석인쇄물(20)의 크기에 따른 복수의 부착표시선(40c)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한 개 이상의 벽(100)에 걸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걸이부(42) 또는 양면접착테이프(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액자.
KR1020150113124A 2015-08-11 2015-08-11 사진액자 KR201700191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24A KR20170019135A (ko) 2015-08-11 2015-08-11 사진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3124A KR20170019135A (ko) 2015-08-11 2015-08-11 사진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9135A true KR20170019135A (ko) 2017-02-21

Family

ID=58314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3124A KR20170019135A (ko) 2015-08-11 2015-08-11 사진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913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158A (ko) 2021-09-09 2023-03-16 정준오 열전사 사진과 자성 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식 액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072Y1 (ko) 1999-04-21 2000-02-15 주식회사코리아마그네틱 자석 액자
KR200220847Y1 (ko) 2000-09-21 2001-04-16 주식회사퍼즐사랑 틀 없는 액자
KR200348404Y1 (ko) 2004-01-15 2004-04-29 이종근 부착형 액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0072Y1 (ko) 1999-04-21 2000-02-15 주식회사코리아마그네틱 자석 액자
KR200220847Y1 (ko) 2000-09-21 2001-04-16 주식회사퍼즐사랑 틀 없는 액자
KR200348404Y1 (ko) 2004-01-15 2004-04-29 이종근 부착형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7158A (ko) 2021-09-09 2023-03-16 정준오 열전사 사진과 자성 부재를 이용한 탈부착식 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72350A1 (en) Picture frame device with interchangeable trim and base section
US8397411B2 (en) Magnet-based mounting systems for frames
US20060143964A1 (en) Magnetic picture frames in framed display field
US9888791B2 (en) Platform and double frame display hanging system
CA2513085A1 (en) Photo mat with alignment grid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170019135A (ko) 사진액자
KR100314922B1 (ko) 표지시스템
KR20110005940U (ko) 자석 부착식 몰딩 및 보드를 이용한 인쇄물의 자유배치 가능 액자
JP2015223499A (ja) 額装フレーム
KR20160000721U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JP2006276772A (ja) 広告ボード
JP3218249U (ja) 額縁
CN210870824U (zh) 一种新型磁力相框
US20180014664A1 (en) Picture frame with descriptive borders
RU194616U1 (ru) Транспарант для шествий
US20230172374A1 (en) Picture frame and mat system
CH714745A2 (it) Espositore per supporti di immagine.
KR100491845B1 (ko) 점착물질의 정렬라인이 형성된 매트지
KR20150145494A (ko) 윈도우리스형 사진 액자 및 이에 착탈되는 사진판
US9854926B1 (en) Reconfiguring a picture frame
KR20160002536U (ko) 아크릴 액자
CN201761285U (zh) 一种照片装裱图板
JP3141431U (ja) 額縁
JP3193836U (ja) 写真立て付き兜置き
KR20150120644A (ko) 서로 다른 느낌을 부여하는 양면사용이 가능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