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169Y1 - 액자 - Google Patents

액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169Y1
KR200387169Y1 KR20-2005-0007079U KR20050007079U KR200387169Y1 KR 200387169 Y1 KR200387169 Y1 KR 200387169Y1 KR 20050007079 U KR20050007079 U KR 20050007079U KR 200387169 Y1 KR200387169 Y1 KR 20038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plate
fixing
slit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70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훈
Original Assignee
허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훈 filed Critical 허훈
Priority to KR20-2005-00070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1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1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05Picture frames made from extruded or moulded profiles, e.g. of plastic or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개된 상태의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을 적절한 형태로 재단하여 이를 예정된 선을 따라 절첩함과 동시에 상호 체결하여, 견고한 형태로 사진 또는 서화 등을 표구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 게시물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사변의 테두리부와 인접하여 각각 복수의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고정슬릿과 변부와의 거리보다 큰 폭을 갖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프레임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슬릿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일체로 이루어진 액자를 제공하여,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액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떨어질 경우에도 파손의 우려가 적어 안전성을 높이며, 절단공정 및 절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공정 및 조립이 단순하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받침구를 제공하여 액자를 손쉽게 세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자{Frame of a picture}
본 고안은 액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개된 상태의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을 적절한 형태로 재단하여 이를 예정된 선을 따라 절첩함과 동시에 상호 체결하여 견고한 형태로 사진 또는 서화 등을 표구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 또는 서화(이하, 게시물이라 약칭함) 등을 표구하여 손상 및 훼손을 방지하고 벽에 걸어 전시를 용이하게 하거나 또는 별도의 받침수단을 이용하여 테이블 등에 올려놓고 볼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액자는 주로 금속 또는 목재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주로 합판제로 구성되어 프레임의 후면을 지지하는 후면판과, 게시물의 의 전면을 커버하며 게시물을 보호하는 전면커버로 구성된다. 전면커버는 주로 유리 또는 투명 합성수지가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액자는 이하에 열거하는 몇 가지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프레임이 금속 또는 목재로 이루어져 있어 액자전체의 무게가 커져 벽 등에 걸었을 때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금속 또는 목재는 중량체이므로 벽에 걸었을 때 지지하기 위하여 보다 견고한 걸이구조를 가져야 하며 취급부주위로 떨어트렸을 경우에 프레임 자체의 손상을 물론 손상되는 프레임에 의해 게시물 자체가 손상을 입을 우려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유치원 또는 초등학교의 등과 같이 아이들의 소란이 심한장소에 전시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더욱 큰 위험요소로 작용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둘째, 구조가 복잡하며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프레임, 후면판, 전면버커 그리고, 후면판을 프레임에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수단과 액자를 벽 등에 걸기위한 걸이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여 하므로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조립작업이 지연되는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다.
셋째, 고가인 금속 또는 나무를 이용하고 있어 제조원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액자는 테이블 등에 세워서 전시하기 위하여는 복잡한 받침구조를 필요로 하는 번거로움을 주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로 액자를 테이블 등의 상면에 세워서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액자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면에 게시물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사변의 테두리부와 인접하여 각각 복수의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사변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고정슬릿과 테두리부와의 거리보다 큰 폭을 갖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프레임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슬릿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일체로 이루어진 액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에는 세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태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연장구성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테두리인접부에 상기 고정슬릿과 대응하며 상기 고정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게시물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커버가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부와 고정슬릿 사이에는 한 쌍의 체결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는 받침구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구는 역삼각형태의 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에 후면판과 절첩되며 각각 상기 체결슬릿에 끼워지는 체결편을 갖는 측면판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전개상태의 도면이 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전면커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의 구성은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장방형으로 구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사변에 일체로 연장되는 가로프레임(20) 및 세로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전면에 게시물(50)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며, 사변 인접부에 각각 복수의 고정슬릿(12)(14)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슬릿(12)(14)은 고정편(22)(32)의 통과를 허용하는 정도의 폭을 가지면 충분하다.
각각의 프레임(20)(30)들의 단부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상에 체결되는 복수의 고정편(22)(32)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각 프레임의 폭은 적어도 고정슬릿으로부터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까지의 거리보다 크게 구성되어 고정편(22)(32)을 고정슬릿(12)(14)에 끼웠을 때 프레임부가 곡선형으로 휘도록 구성된다.
가로프레임(20)은 양측에 세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태를 보강하는 보강부(24)가 각각 연장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방에 배치되어 게시물(50)을 보호하는 전면커버(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40)는 적어도 게시물(50)의 배치영역보다 큰 장방향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사변에 고정편(22)(32)의 통과를 허용하는 복수의 관통공(42)이 고정슬릿(22)(32)과 일대일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한편, 베이스플레이트(10)의 내부에는 테두리부와 고정슬릿(12)(14) 사이에 한 쌍의 체결슬릿(16)이 관통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중앙부에는 받침구(60)가 절취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구(60)는 역삼각형태의 후면판(62)과, 후면판(62)의 양측에 후면판(62)에 대해 절첩되며 각각 상기 체결슬릿(16)에 끼워지는 체결편(66)을 갖는 측면판(64)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다. 받침구(60)는 베이스플레이트(10)의 제조시 함께 제조되는 것으로 베이스플레이트(10)에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가 사용시 절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부분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공지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전면에 게시물(50)을 배치하고, 그 위에 전면커버(40)를 덮는다(도시되지 않음). 이때 전면커버(40)는 관통공(42)은 고정슬릿(22)(32)과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가로 프레임(20)을 접어 고정편(22)을 고정슬릿(12)에 끼운다. 가로프레임(20)은 고정편(22)이 고정슬릿(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손을 놓아도 가로 프레임(20)자체의 탄성력이 고정슬릿(12)의 끼움방향과 어긋나게 작용하므로 고정슬릿(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프레임(30)을 접어 고정편(32)을 고정슬릿(14)에 끼운다. 이때 세로프레임의 양측은 가로프레임(20)의 양측의 확장부(24)를 덮으며 끼워지게 된다. 세로프레임(30) 역시 탄성복원력의 방향이 고정슬릿(14)과 어긋나게 작용하므로 고정슬릿(12)(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고정편(22)(32)이 고정슬릿(12)(14)에 완전히 삽입되면 프레임(20(30)은 원호를 그리며 구조적으로 안정된다.
도 5에는 받침구의 사용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받침구는 베이스플레이트(1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도면에 파선으로 도시된(도1참조) 절첩선을 따라 절곡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판(62) 및 측면판(64)가 각을 이루며 스스로 서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편(66)을 체결슬릿(16)에 끼우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구(60)가 베이스플레이트(10)의 후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베이스플레이트(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구(60)의 지지력에 의해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테이블 등에 놓고 사진이나 그림을 용이하게 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실시예에 불과하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설계 변경 및 부가 등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의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위 실시예에서 받침구의 체결을 위한 체결슬릿(16)은 세로프레임측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네 방향 어디에라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측면판상의 체결편(66)의 개수를 상하 두 개로 구성하여 체결력을 더욱 크게 할 수 있는 구성도 예상될 수 있다.
또한, 벽걸이용으로의 시용하는 경우 편의를 위해 상기 체결슬릿의 중앙에 걸이공을 형성하여 못머리 등에 걸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그 체결슬릿 양측에 줄을 묶을 수 있는 고리를 형성하는 것도 예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자는 장방형의 베이스 플레이트 사변에 각각 가로프레임 및 가로 프레임을 일체로 구성하고, 고정편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베이스 플레이트상에 체결함으로써 종이 또는 얇은 플라스틱으로 액자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여 떨어질 경우에도 파손의 우려가 적어 안전성을 높이며, 절단공정 및 절첩공정에 의해 제조가 가능하므로 제조공정 및 조립이 단순하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의 받침구를 제공하여 액자를 손쉽게 세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전개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면커버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가로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액자의 세로프레임을 접은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받침구가 절첩되어 베이스프레임에 조립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받침구가 끼워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 플레이트 12, 14: 고정슬릿
16: 체결슬릿 20: 가로프레임
22, 32: 고정편 30: 세로프레임
40: 전면커버 42: 관통공
50: 게시물 60: 받침구
62: 후면판 64: 측면판
66: 체결편

Claims (5)

  1. 전면에 게시물이 배치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장방형으로 구성되며 사변의 테두리부와 인접하여 각각 복수의 고정슬릿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고정슬릿과 베이스플레이트의 테두리와의 거리보다 큰 폭을 갖는 가로프레임 및 세로프레임과, 프레임 단부에 일체로 연장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슬릿에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편이 일체로 이루어진 액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측에는 세로프레임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형태를 보강하는 보강부가 연장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전면에는 테두리인접부에 상기 고정슬릿과 대응하며 상기 고정편이 통과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게시물의 전면을 보호하는 전면커버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부와 고정슬릿 사이에는 한쌍의 체결슬릿이 관통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받침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구는 역삼각형태의 후면판과, 후면판의 양측에 후면판에 대해 절첩되며 각각 상기 체결슬릿에 끼워지는 체결편을 갖는 측면판이 각각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자.
KR20-2005-0007079U 2005-03-16 2005-03-16 액자 KR20038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79U KR200387169Y1 (ko) 2005-03-16 2005-03-16 액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7079U KR200387169Y1 (ko) 2005-03-16 2005-03-16 액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169Y1 true KR200387169Y1 (ko) 2005-06-17

Family

ID=43688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79U KR200387169Y1 (ko) 2005-03-16 2005-03-16 액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1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546A (ko) * 2019-07-25 2021-02-03 교육숲(주) 종이액자용 템플릿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종이액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2546A (ko) * 2019-07-25 2021-02-03 교육숲(주) 종이액자용 템플릿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종이액자
KR102276961B1 (ko) * 2019-07-25 2021-07-13 교육숲(주) 종이액자용 템플릿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종이액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8023B2 (en) Manually operable and self erecting foldable planar image board and easel composite display device
BRPI0716000A2 (pt) màdulo de exibiÇço dobrÁvel
SK15232003A3 (en) Support for information display unit with at least one display surface
WO2014174128A1 (es) Expositor plegable de cartón ondulado o similar
KR200462000Y1 (ko) 모빌형 입체카드
KR200387169Y1 (ko) 액자
US6163998A (en) Backing and support assembly for a decorative element
US6588590B1 (en) Combination storage box
WO1995010962A1 (es) Silla plegable
EP1518216B1 (en) Foldable display device and easel
KR200386404Y1 (ko) 액자
KR101367524B1 (ko) 액자프레임
KR101755007B1 (ko) 접이식 받침부가 구비된 액자
KR20210000094U (ko) 상판 분리형 테이블
KR101063430B1 (ko) 액자
KR200489871Y1 (ko) 종이 액자
CA2334084C (en) Manually operable and self erecting foldable planar image board and easel composite display device
JP7392979B2 (ja) 表示プレート支持具
JP4919626B2 (ja) 額縁
KR20210002833U (ko) 절곡 조립형 종이액자
KR200497205Y1 (ko) 분리 선반을 갖는 입간판
US8333027B1 (en) Interchangeable address signage system
JP5457583B1 (ja) 組立式物入れ
KR20130059856A (ko) 기표대
KR200224459Y1 (ko) 종이를 이용한 액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