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19A - 행거상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행거상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19A
KR19990013219A KR1019970044608A KR19970044608A KR19990013219A KR 19990013219 A KR19990013219 A KR 19990013219A KR 1019970044608 A KR1019970044608 A KR 1019970044608A KR 19970044608 A KR19970044608 A KR 19970044608A KR 19990013219 A KR19990013219 A KR 1999001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onveying
region
hook
spiral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4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123B1 (ko
Inventor
미쓰오 하시모토
시쓰 요
도루 히라오
도시오 간베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다카시, 가부시키가이샤 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다카시
Publication of KR1999001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1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0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 B65G47/6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to or from conveyors of the suspended, e.g. trolley, type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2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4Switching conveyors
    • B65G47/641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 B65G47/642Switching conveyors by a linear displacement of the switching conveyor in a horizont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29Clothes, clothes ha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상류측에서 연속하여 보내져 오는 행거상품을 일정간격으로 분리하여 하류측으로 송출하는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상류측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행거상품의 후크 겹침을 행거상품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도중에 제거하고, 행거상품을 하나씩 확실하게 분리하여 하류측으로 송출할 수 있는 행거상품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이 행거상품(W)의 후크(F) 내측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저류반송영역(a)과, 상기 저류반송영역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연설되고,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과 연속하는 1피치 마다 행거상품의 후크가 하나만 매달리기 가능한 깊은 나선홈이 형성된 분리반송영역(b)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하게 하여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4)로 구성되어 있다. 저류반송영역에서 행거상품끼리의 후크 겹침이 해소되고, 후속 분리 반송영역에서 행거상품끼리가 확실하게 분리되어 그 하류측으로 하나씩 송출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행거상품의 자동교체라인에 사용한다.

Description

행거상품 분리장치
본 발명은 상류측에서 연속하여 보내져 오는 행거상품을 일정간격으로 분리하여 하류측으로 송출하는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행거상품의 자동교체란에 있어서, 반송 트롤리에 다수개 매달아 반송되어 온 행거상품은, 탈하(脫荷)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탈하장치로 반송 트롤리에서 연속적으로 탈하된 후, 하나 하나로 분리하여 분류 트롤리의 짐싣기 위치까지 반송되고, 여기에서 짐싣기 장치에 의해 분류 트롤리로 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분류 트롤리에는 행거상품의 후크를 매달기 위한 개폐가 자유로운 매달음부재가 다수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매달음 부재는 외부에서의 조작에 의해 지정된 분류위치로 각각 행거상품이 개별적으로 탈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짐싣기장치는, 행거상품을 짐싣기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분류 트롤리 각각의 매달음부재 아래쪽 대향위치로 반송시키기 위한 무단상(無端狀)의 짐싣기 콘베이어와, 상기 짐싣기 콘베이어에 지지되어 있는 행거상품의 후크를 잡아 올려서 분류 트롤리의 매달음부재에 걸어맞춤시키는 옮겨싣는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짐싣기 콘베이어는, 분류 트롤리의 매달음부재의 부착간격에 대략 동등한 반송간격으로 행거상품을 공급할 필요가 있고, 종래에는 반송 트롤리에서 연속하여 탈하된 행거상품의 후크를 경사하여 회전하는 평활한 표면을 갖는 반송축의 상류 끝단쪽에 수납하고, 상기 반송축 회전에 따라 반송축에 걸려 있는 후크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그 하류끝단에 연속하여 설치되어 있는 스크류 홈에 후크를 하나씩 걸어맞춤시켜, 행거상품을 스크류의 반송피치 간격으로 분리하여 상기 스크류 하류끝단에서 짐싣기 콘베이어로 공급하고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에서는, 반송축에 걸려진 행거상품의 후크는 반송축의 회전에 따라 미끄러지면서 서서히 아래쪽으로 이동하지만, 후크의 반송축을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후크와 반송축과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 변동에 따라 변화하고, 상기 마찰력이 감소한 경우에는, 반송축상을 복수의 후크가 정리되어 아래쪽으로 미끌어지면서 떨어져 하류측에 있는 스크류 홈내로 전후의 후크가 접쳐져서 들어가, 짐싣기 콘베이어로 복수의 행거상품이 동시에 공급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행거상품을 반송축에 매달아 이동시키기 위하여 반송축의 상류끝단과 스크류의 하류끝단 사이에 반송축의 회전시에만 행거상품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최적의 높이차를 설정할 필요가 있고, 탈하장치와 짐싣기 콘베이어 사이의 거리나 레벨차 등의 레이아웃 상의 자유도가 제약되고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고, 상류측에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행거상품의 후크 겹침을 행거상품을 수평방향으로 반송하는 도중에 제거하여, 행거상품을 하나씩 확실하게 분리하여 하류측으로 송출할 수 있는 행거상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를 사용하고 있는 행거상품 교체라인의 평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의 측면도,
제 3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사용하는 반송 스크류의 부분도,
제 4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사용하는 커팅기구의 평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사용하는 커팅기구를 제 2도의 A-A선 위치의 화살표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행거상품 분리기구2 : 지지프레임
3 : 모터4 : 반송 스크류
5 : 축부6 : 스크류 받이
7, 8 : 나선홈9 : 커팅 기구
10A, 10B : 지지 브라켓11A, 11B : 축
12A, 12B : 게이트 부재13A, 13B : 에어 실린더
14 : 피검지판a : 저류반송영역
b : 분리반송영역
상기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 트롤리용 탈하장치의 첫번째 것은,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이 행거상품의 후크 내측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저류반송영역과, 상기 저류반송영역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연속 설치되고,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과 연속하는 1피치 마다 행거상품의 후크가 하나만 매달리기 가능한 깊은 나선홈이 형성된 분리반송영역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 트롤리용 탈하장치의 두번째 것은,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이 행거상품의 후크 내측의 곡률반경 보다도 작은 저류반송영역과, 상기 저류반송영역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연속 설치되고,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과 연속하는 1피치마다 행거상품의 후크가 하나만 매달리기 가능한 깊은 나선홈이 형성된 분리반송영역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와, 상기 반송 스크류의 저류반송영역 하류측 끝단부쪽에 설치되고, 상기 저류반송영역에 걸려서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행거상품의 후크측면에 돌출 위치에서 맞닿아 그 이동을 규제하는 진퇴가 자유로운 게이트 부재를 반송 스크류의 반송방향에 인접하여 2세트를 가지며, 각각의 게이트 부재가 반송 스크류의 회전에 동기하여 번갈아 진퇴동작하고, 저류반송영역에 걸려진 행거상품을 분리반송영역에 그 반송 피치간격으로 보내는 커팅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 트롤리용 탈하장치의 첫번째 것에 있어서는, 저로반송영역 하류측으로 행거상품이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이들 행거상품의 행거가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걸어맞춤하여 반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하류측으로 반송된다.
저류반송영역에 있어서의 나선홈은 얕기 때문에, 후크는 외력에 의해 용이하게 나선홈을 타고 넘어서 반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나선홈 후크끼리 겹쳐져 있을 경우에는, 저류반송영역을 이동하는 사이에 한쪽 후크 위에 겹쳐져 있는 후크는 반송방향의 전후 어딘가로 이동하여 후크끼리의 겹침이 해소된다.
그리고, 저류반송영역 하류끝단까지 도달한 후크는 분리반송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깊은 나선홈으로 들어가고, 분리반송영역을 하류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후속 후크는 분리반송영역의 깊은 나선홈 1피치분만 하류측으로 선두 흐크가 이동하기까지 저류반송영역의 하류끝단에 머물러 있으며, 상기 선두 후크가 깊은 나선홈을 1피치 전진했을 때, 다음의 후크가 분리반송영역의 나선홈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저류반송영역을 하류측에서 이동해 온 후크는 차례로 분리반송영역으로 이동하여 분리반송영역의 하류끝단까지 반송되고, 상기 하류끝단에서 행거상품이 하나씩 분리되어 송출된다.
본 발명의 행거상품 반송 트롤리용 탈하장치의 두번째 것에 있어서는, 저류반송영역에서는 상술한 첫번째 것과 마찬가지로 후크의 겹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저류반송영역의 하류측 끝단부까지 반송되어 온 선두 행거상품의 후크는, 커팅기구의 두개의 게이트 주재중 돌출해 있는 어느 한쪽에 맞닿아 정지된다.
이때, 반송 스크류는 회전을 계속하고 있지만, 전류반송영역의 나선홈은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얕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후크가 게이트 부재로 이동이 저지된 때는 용이하게 뒤쪽의 나선홈내로 이동하고, 반송 스크류는 지장없이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지금, 선두 후크가 반송방향 전방 게이트 부재에 의해 정지되었다고 하면, 이 게이트 부재가 퇴피함으로써 상기 선두 후크는 반송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곧바로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내로 이동하고, 한편 후속 후크는 전방 게이트 부재의 퇴피이동과 함께 돌출한 후방의 게이트 부재에 의해 정지된다.
그리고, 다음 타이밍에서 전방 게이트 부재가 돌출함과 동시에 후방 게이트 부재기 퇴피하여, 상기 후속 후크가 전방 게이트 부재까지 전진한다.
상술한 동작이 저류반송영역을 차례차례로 하류측으로 반송되어 오는 행거상품에 대하여 반송 스크류의 회전과 동기하여 되풀이함으로써, 분리반송영역의 하류측에서는 행거상품이 하나씩 분리되어 송출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는 행거상품 반송 트롤리(이하, 반송 트롤리라고 함)에서 행거상품 분류 트롤리(이하, 분류 트롤리라고 함)로 행거상품의 교체를 자동적으로 행하는 자동교체라인의 개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반송 트롤리는 다수의 행거상품을 매달아 주행 레일(A1)을 주행하여, 탈하위치(X)에서 탈하장치(A2)에 의해 상기 반송 트롤리로부터 행거상품이 탈하되고,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1)로 보내진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반송 트롤리는 행거상품을 다수 정리하여 매달기 위한 주행방향을 향한 지지바를 가지며, 주행 레일(A1)의 위쪽에 설치된 구동벨트(A3)에 의해 마찰구동되어, 상기 주행 레일(A1)을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것 역시 도시하지 않았지만, 분류 트롤리는 행거상품의 후크를 착탈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매달음부재를 다수 가지며, 주행 레일(A4)을 따라 그 위쪽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벨트(A5)에 의해 마찰구동되어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류 트롤리의 짐싣기 위치(Y)에는, 짐싣기 콘베이어(A6)와 옮겨싣는 기구(A7)로 구성되어 있는 짐싣기장치(A8)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1)는,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탈하장치(A2)로부터 송출되는 행거상품을 하나씩 분리하여 상기 짐싣기 콘베이어(A6)로 공급한다.
상기 짐싣기 콘베이어(A6)는, 짐싣기 위치(Y)에서 정지한 분류 트롤리의 매달음부재의 부차간격과 대략 동등한 간격으로 행거상품 분리장치(1)에서 반입된 행거상품을 상기 각각의 매달음부재와 대향하는 아래쪽 위치까지 간헐적으로 반송한다.
또, 상기 옮겨싣는기구(A7)는 다수의 파지부재(A9)를 가지고 있어, 짐싣기 콘베이어(A6)에 지지되어 있는 행거상품의 후크를 이들 파지부재(A9)로 파지하여 잡아올리고, 분류 트롤리의 각 매달음부재로 주고받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행거상품 분리장치(1)는 지지 프레임에 의해 수평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모터(3)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4)를 가지고 있다. 상기 반송 스크류(4)는 상기 모터(3)에 끝단쪽이 연결되어 있는 축부(5)의 앞끝단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저류반송영역(a)과, 상기 저류반송영역(a)의 반송방향 하류측에 연속하고 있는 분리반송영역(b)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저류반송영역(a)과 분리반송영역(b)은, 각각의 하반부분의 외주면이 상기 지지 프레임(2)에 부착된 통형상의 스크류 받이(6)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반송 스크류(4)의 교란이 방지되고 있으며, 탈하장치(A2)에서 반송 트롤리(T)에서 탈하된 행거상품(W)의 후크(F)가, 경사 레일(R)을 활강하여 분리반송영역(b)의 하류측의 스크류 받이(6)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반부분에 걸려지고, 모터(3)의 회전에 의해 분리반송영역(b) 측으로 송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 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스크류(4)의 저류반송영역(b)에는,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7)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은, 제 2도에 나타낸 행거상품(W)의 후크(F) 내측의 곡률반경 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분리반송영역(b)에는, 상기 나선홈(7)과 같은 방향의 꼬임을 가지고 연속하는 깊은 나선홈(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선홈(8)은 행거상품(W)의 후크(F)가 1피치마다 하나만 매달리기에 가능한 폭을 가지며, 후크(F)가 용이하게 탈출하지 않도록 각이진 나사 형상의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나선홈(8)은, 후크(F)가 1피치마다 하나씩 걸리기 가능한 형상이라면 좋고, U자형상이나 받침대형태의 단면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제 4도 및 제 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반송 스크류(4)의 저류반송영역(a)의 하류끝단 부근쪽에는, 전류반송영역(a)에서 분리반송영역(b)으로의 후크(F)의 반입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커팅기구(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커팅기구(9)는, 지지 프레임(2)에 고정된 2세트의 지지 브라켓(10A), (10B)에 각각 축(11A), (11B)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게이트 부재(12A), (12B)를 가지고 있다.
이들 게이트 부재(12A), (12B)는, 반송 스크류(4)이 반송방향에 인접해 있으며, 저류반송영역(a)에 걸려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행거상품(W)의 후크(F)의 진행방향 앞쪽의 측면으로 돌출위치에서 맞닿아 그 이동을 규제하도록, 에어 실린더(13A), (13B)에 의해 진퇴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게이트 부재(12A), (12B)는, 그 한쪽이 돌출위치에 있을 때에는, 다른쪽은 반송 스크류 상의 후크(F)의 이동을 자유롭게 후퇴하도록, 에어 실린더(13A), (13B)에 의해 번갈아 진퇴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그리고, 제 4도에서는 양쪽 게이트 부재(12A), (12B)가 돌출위치에 있도록 묘사되어 있지만, 실제는 양쪽 동시에 돌출위치로 전진하고 있는 것은 아님].
한편, 제 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스크류(4)의 축부(5)에는 이것과 일체로 회전하는 피검지판(14)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검지판(14)의 회전위치를 검지하는 도시되어 있지 않는 센서에서의 검지신호에 의해, 상기 각각의 에어 실린더(13A), (13B)가 반송 스크류(4)의 회전과 동기하도록 제어되고 있으며, 반송 스크류(4)의 1회전마다 2개의 게이트 부재(12A), (12B)가 번갈아 진퇴동작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커팅기구(9)에 축(11A), (11B) 주위로 요동하는 게이트 부재(12A), (12B)를 이용하고 있지만, 2개의 게이트 부재를 각각 에어 실린더 앞끝에 직접 연결하여 직선적으로 반송 스크류(4)에 대하여 진퇴동작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제 2개의 게이트 부재(12A), (12B)의 진퇴동작을, 에어 실린더(13A), (13B)를 대신해서 솔레노이드 등의 다른 형식의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행하도록 해도 좋고, 액추에이터를 이용하지 않고, 반송 스크류(4)의 회전에 캠기구 등을 기계적으로 연동시켜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행거상품 분리장치(1)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 2도에 있어서, 경사레일(R)에서 행거상품(W)이 모터(3)에서 연속적으로 회전구동되고 있는 반송 스크류(4)의 저류반송영역(a)으로 보내지면, 행거상품(W)의 후크(F)는 제 3도에 나타낸 형상의 나선홈(7)에 의해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이때, 상기 경사레일(R)에서 서로 인접하는 행거상품(W)의 후크(F) 끼리가 겹쳐진 상태로 반송 스크류(4) 위로 낙하하면, 겹쳐져 있는 후크(F) 위의 것은, 이에 가해져 있는 행거상품의 지중에 의해 저류반송영역(a)을 이동중에 나선홈(7) 표면으로 낙하한다.
그렇게 하면, 하나의 나선홈(7)내에 두개의 후크(F)가 들어가는 상태로 되지만, 저류반송영역(a)에서의 나선홈(7)은 얕게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저류반송영역(a) 외주면의 최대반경은, 후크(F) 내측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후크(F)는 인접하는 나선홈(7)내로 이동하여 후크(F)끼리의 겹침이 해소된다.
이렇게 하여, 저류반송영역(a)의 하류측 끝단부까지 반송되어 온 선두 행거상품(W)의 후크(F)는, 상술한 제 4도 및 제 5도에 나타낸 커팅기구(9)의 두개의 게이트 부재(12A), (12B) 중 돌출하고 있는 한 쪽에 맞닿아서 정지된다.
이 때, 반송 스크류(4)는 계속해서 회전하고 있지만, 저류반송영역(a)의 나선홈(7)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형상으로 얕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후크(F)가 어느 게이트 부재(12A), (12B)에서 이동을 저지당했을 때에는 용이하게 후방의 나선홈(7)으로 이동하고, 반송 스크류(4)는 지장없이 회전을 계속할 수 있다.
지금, 선두 후크(F)가 반송 스크류(4)의 반송방향 전방의 게이트 부재(12A)에 의해 정지했다고 하면, 이 게이트 부재(12A)의 퇴피에 의해 상기 선두 후크(F)는 반송 스크류(4)의 회전에 의해 곧바로 저류반송영역(b)의 나선홈(8)내로 보내진다.
한편, 후속 후크(F)는, 전방의 게이트 부재(12A)의 퇴피이동과 동시에 돌출한 후방의 게이트 부재(12B)에 의해 정지된다. 이 때 선행하는 후크(F)와 후속 후크(F)의 사이는 행거상품(W)에 두께가 있기 때문에, 두개의 게이트 부재(12A), (12B) 사이의 간격보다도 넓은 간격이 비어 있고, 후속 후크(F)가 후방의 게이트 부재(12B)가 돌출하기 전에 이것보다 하류측으로 침입해 버릴 일은 없다.
다음에, 전방의 게이트 부재(12A)가 돌출함과 동시에 후방의 게이트 부재(12B)가 퇴피하여, 상기 후속 후크(F)가 전방의 게이트 부재(12A)에서 정지되기 까지 전진한다.
이들 게이트 부재(12A), (12B)가 번갈아 퇴피하는 동작은, 반송 스크류(4)의 회전주기와 동기한 주기로 되풀이되고, 저류반송영역(a)에서 분리반송영역(b)으로 행거상품(W)이 차례로 보내진다.
이렇게 하여, 분리반송영역(b)을 이동하는 행거상품(W)의 후크(F)는, 인접하는 것 끼리 적어도 나선홈(8) 1피치 간격으로 이간되고, 분리반송영역(b)의 하류측에서는 행거상품이 하나씩 분리되어 송출된다.
반송 스크류(4)에서 송출된 행거상품(W)은, 제 2도에 나타낸 짧은 경사 레일(S)을 활강하여 짐싣기 콘베이어(A6)로 공급된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경사 레일(S)에는, 짐싣기 콘베이어(A6)으로 그 간헐적으로 보내는 타이밍에 맞추어 행거상품(W)을 송출하기 위해, 경사 레일(S)위에서 후크(F)를 돌출위치에 일시 정지시키는 출몰이 자유로운 스토퍼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를 짐싣기 콘베이어(A6)의 간헐적인 이송에 동기(同期)하여 출몰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는, 반송 스크류(4)의 저류반송영역(a)에서 분리반송영역(b)으로 행거상품(W)의 후크(F)를 확실하게 하나씩 분리하여 보내기 위해, 커팅기구(9)를 설치하고 있지만, 상기 커팅기구(9)를 이용하지 않은 상태로 행거상품 분리장치를 구성해도 좋고, 이 경우에도, 반송 스큐르(4)의 저류반송영역(a)과 분리반송영역(b)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상술한 형상의 나선홈(7), (8) 조합으로 행거상품(W) 상호의 후크(F) 겹침을 제거하고, 행거상품끼리를 하나씩 분리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저류반송영역(a)의 하류끝단까지 도달한 선두 후크(F)는 분리반송영역(b)에 형성되어 있는 깊은 나선홈(8)으로 직접 들어가, 분리반송영역을 하류측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후속 후크(F)는 분리반송영역(b)의 깊은 나선홈(8)의 1피치분만 하류측으로 상기 선두 후크(F)가 이동하기까지는, 분리반송영역(b)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8) 끝단이 상기 후속 후크(F)가 침입가능한 위치로 회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저류반송영역의 하류끝단에 머물러 있으며, 상기 선두 후크(F)가 상기 나선홈(8)을 1피치 전진했을 때, 다음 후크가 분리반송영역의 나선홈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저류반송영역을 상류측에서 이동해 오는 후크는 차례로 분리반송영역(b)으로 이동하여 상기 분리반송영역(b)의 하류끝단에서 행거상품(W)이 하나씩 분리되어 송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의하면, 저류반송영역에서 행거상품끼지의 후크 겹침이 해소되고, 후속의 분리반송영역에서 행거상품끼리가 확실하게 분리되어 그 하류측에서 하나씩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행거상품끼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아웃 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 점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행거상품 분리장치에 의하면, 반송 스크류의 저류반송영역에서 분리반송영역으로 행거상품의 후크 이동을 2세트의 게이트 부재를 반송 스크류의 회전에 동기하여 번갈아 퇴피시키는 커팅기구로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행거상품 커팅동작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2)

  1.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이 행거상품의 후크 내측의 곡률반경보다도 작은 저류반송영역과, 상기 저류반송영역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과 연속하는 1피치 마다 행거상품의 후크가 하나만 매달리기 가능한 깊은 나선홈이 형성된 분리반송영역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로 구성된 행거상품 분리장치.
  2. 단면이 원호형상인 얕은 나선홈이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외주면의 최대반경이 행거상품의 후크 내측의 곡률반경 보다도 작은 저류반송영역과, 상기 저류반송영역의 반송방향 하류측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저류반송영역의 나선홈과 연속하는 1피치마다 행거상품의 후크가 하나만 매달리기 가능한 깊은 나선홈이 형성된 분리반송영역을 가지며, 회전축선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회전구동되는 반송 스크류와,
    상기 반송 스크류의 저류반송영역의 하류측 끝단부쪽에 설치되고, 상기 저류반송영역에 걸려서 하류측으로 반송되는 행거상품의 후크측면에 돌출 위치에서 맞닿아 그 이동을 규제하는 퇴피가 자유로운 게이트 부재를 반송 스크류의 반송방향에 인접하여 2세트를 가지며, 각각의 게이트 부재가 반송 스크류의 회전에 동기하여 번갈아 퇴피동작을 하고, 저류반송영역에 걸려진 행거상품을 분리반송영역으로 그 반송 피치간격으로 보내는 커팅기구로 구성된 행거상품 분리장치.
KR1019970044608A 1997-07-31 1997-08-30 행거상품 분리장치 KR1002411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1860 1997-07-28
JP97-206242 1997-07-31
JP9206242A JPH1149328A (ja) 1997-07-31 1997-07-31 ハンガー商品分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19A true KR19990013219A (ko) 1999-02-25
KR100241123B1 KR100241123B1 (ko) 2000-03-02

Family

ID=1652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4608A KR100241123B1 (ko) 1997-07-31 1997-08-30 행거상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149328A (ko)
KR (1) KR100241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614B1 (ko) * 2001-05-10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2813B2 (ja) * 2012-10-15 2015-11-24 ホンダ太陽株式会社 ワーク送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017548U1 (ko) * 1990-12-28 1992-05-07 Gaertner, Franz, 8741 Oberelsbach, D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614B1 (ko) * 2001-05-10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기순환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49328A (ja) 1999-02-23
KR100241123B1 (ko) 200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2238C (en) Automated facility for the unscrambling of light, hollow, elongated articles and for the lined up delivery of said articles
US4903819A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garment hangers
US10358299B2 (en) Loading device
US567209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slaughtered poultry from a first suspension conveyer towards a second suspension conveyer
SU1739841A3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риентированной подачи контейнеров с горлышком
CA2259121A1 (en) Method for the suspended conveying of container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NL1028839C2 (nl)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een houder met een voedingsproduct zoals een daardoor gedragen worst.
RU2007133357A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чной линией, поточн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лбасообразных продуктов, клипсатор для поточной линии и разгрузочная машина для поточной линии
US5082107A (en) Storage conveyor
JPH05294415A (ja) 物品を貯蔵装置に導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241123B1 (ko) 행거상품 분리장치
US6415907B1 (en) Article transfer apparatus
KR100228652B1 (ko) 행거상품 반송트롤리용 탈하장치
US5533607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JPH07315322A (ja) 容器整列装置
US2328386A (en) Conveyer system
RU2767788C1 (ru) Способ для подвешивания птицы или её частей на подвесной конвейер,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KR100241122B1 (ko) 행거상품 반송장치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US2837199A (en) Bottle feed mechanism for washing machines
SU1298158A1 (ru) Способ съема штучных изделий с подвески непрерывно перемещающегос подвесного конвейера
JP2842807B2 (ja) ハンガー乗継装置
JPS59187837A (ja) タイヤ用ビ−ドワイヤの供給装置
JPH0318510A (ja) 生タイヤのセット掛け装置
US3324988A (en) Garment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