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107U -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107U
KR19990013107U KR2019970026669U KR19970026669U KR19990013107U KR 19990013107 U KR19990013107 U KR 19990013107U KR 2019970026669 U KR2019970026669 U KR 2019970026669U KR 19970026669 U KR19970026669 U KR 19970026669U KR 19990013107 U KR19990013107 U KR 199900131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haracter
display
language
outp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66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266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107U/ko
Publication of KR19990013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107U/ko

Links

Landscapes

  •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영상기기(VCR 등)의 OSD 표시기에 적용되는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동조하여 영상신호를 복조출력하는 동조기(10);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 구간 내의 지정된 수평라인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라인 선택기(21); 상기 선택된 수평라인의 신호를 일정레벨내의 신호로 정형화시키는 신호 정형화기(22); 상기 정형화된 신호를 일정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하는 데이타 복조기(23); 상기 복조된 디지탈 데이타에 근거하여 표시언어의 문자군 선택을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μ-computer)(30); 및 다양한 표시언어의 문자군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50)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지정된 임의의 문자군(501, 502, ···50N)내에서 독출하여 출력하는 OSD 표시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수동으로 표시언어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설정모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영상기기의 사용과 동시에 자동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동작에 필요한 문자가 선택되어, 필요시에 화면상에 그 문자로 표시할 수 있어서 영상기기의 사용 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유용하고 편리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본 고안은 영상기기(VCR 등)의 OSD 표시기에 적용되는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한 표시언어의 선택과정 없이 자동으로 해당 국가 또는 해당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로 영상표시화면 상에 문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 또는 TV 등의 장치에서는 문자표시장치(OSD : On Screen Display)를 구비하여, 이 문자표시장치를 통해 화면상에 표시된 메뉴방식의 작동안내에 따라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키입력부를 통해 원하는 동작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기타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안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재와 같이 각 나라간에 국제무역이 활발한 시대에서는 한 나라에서 생산한 장치들이 그 나라에서만 판매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여러 나라들로 수출되어 판매되는 것이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을 어느 나라에 수출할 것인지에 대하여 생산당시에 미리 알 수 있는 경우에는, 해당 국가에서 사용되는 언어를 이용하여 문자를 표시하도록 사전에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나, 주문자 상표(OEM) 부착방식으로 수출할 당시에는 어떤 언어를 사용하는 나라로 판매될 것인지를 사전에 알 수 없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기 문자표시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언어에 대하여 그 코드 및 폰트(font) 정보가 저장된 롬(ROM)을 다수개 구비하고, 장치구입자가 장치의 최초 셋팅(setting)시 언어선택 메뉴상에서 상기 롬(ROM)에 구비된 다양한 언어들 가운데에서, 표시언어로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언어를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장치제조시 언어선택을 위한 별도의 설정모드를 구비해야 하는 것은 물론, 사용자로 하여금 추가적인 동작을 요구하고 있어서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영상기기상의 표시언어를 사용자의 수동에 의한 선택과정없이 자동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2 는 복합영상신호의 수직귀선 구간을 중심으로 한 신호파형으로서,
(가)는 홀수필드의 신호파형도이고,
(나)는 짝수필드의 신호파형도이고,
도 3 은 수직귀선구간내의 데이타가 실려 있는 1H 신호의 형태도이고,
도 4 의 (가)는 도 1 의 신호 정형화기에 입력되는 데이타신호 구간과 신호가 정형화되는 부분을 비교하여 도시한 파형도이고,
(나)는 정형화된 신호와 그 신호로 부터 디지탈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파형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조기20 : 데이타 추출부
21 : 신호라인 선택기22 : 신호 정형화기
23 : 데이타 복조기30 : 마이콤(MICOM)
40 : OSD 표시기50 : 롬(ROM)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는,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동조하여 영상신호로 복조출력하는 동조수단; 상기 동조된 영상신호의 특정 구간을 분리하는 분리수단; 상기 분리된 특정 구간에 실려 있는 언어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언어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언어별 표시문자군이 다수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상기 추출된 언어정보에 근거하여 표시언어의 문자군을 선택지정하는 지정수단; 및 상기 지정된 문자군 내의 문자신호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하는 문자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에서는,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신호가 상기 동조수단에 의해 동조되어 영상신호로서 출력되면, 상기 분리수단은 동조된 영상신호 중에서 언어정보가 실려있는 기 지정된 특정 구간을 일단 분리하고, 상기 추출수단은 분리된 특정 구간의 영상신호에서 구체적인 언어정보 데이타를 추출하여 상기 지정수단으로 입력하게 된다. 상기 지정수단은, 상기 입력되는 언어정보 데이타에 근거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다양하게 저장되어 있는 사용언어별 문자군으로부터 이후 표시에 사용될 언어의 문자군을 선택지정하게 된다. 표시문자군이 선택지정되면, 상기 문자표시수단은 이후에 화면표시를 위해 입력되는 문자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신호를, 상기 저장수단내의 상기 선택지정된 문자군 내에서 독출하여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를 적용한 영상기기의 일부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동조하여 영상신호를 복조출력하는 동조기(10); 상기 영상신호의 수직귀선 구간 내의 지정된 수평라인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신호라인 선택기(21); 상기 선택된 수평라인의 신호를 일정레벨내의 신호로 정형화시키는 신호 정형화기(22); 상기 정형화된 신호르 일정간격으로 샘플링하여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하는 데이타 복조기(23); 상기 복조된 디지탈 데이타에 근거하여 표시언어의 문자군 선택을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콤(μ-computer)(30); 및 다양한 표시언어의 문자군이 저장되어 있는 롬(ROM)(50)으로부터, 입력되는 문자코드에 대응되는 문자신호를, 상기 선택신호에 따라 선택지정된 임의의 문자군(501, 502,···50N)내에서 독출하여 출력하는 OSD표시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의 일 실시예에서는, 먼저 당해 영상기기가 사용되는 국가에서 송신되는 방송채널중 어느 하나가 상기 동조기(10)에 의해 동조되게 되면 상기 동조기(10)는 복조된 영상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복조된 영상신호에는 시청이 가능한 영상신호 구간외에 도 2 에서와 같은 영상주사의 수직귀선을 위한 수직귀선 구간이 존재하는데, 그 수직귀선 구간내에 위치하는 수평라인 중에서 해당 국가에서의 사용언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 신호(예를 들어, 도 3 과 같은 형식의 신호)가 실려있는 기 지정된 라인이 상기 신호라인 선택기(21)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되게 된다.
상기 신호라인 선택기(2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신호 정형화기(22)에 의해서 도 4 (가)와 같이 일정레벨의 상하부분이 제거되어 데이타신호 부분(A)의 파형이 정형화되고, 정형화된 신호는 상기 데이타 복조기(23)에 입력되어 디지탈 데이타로 복조되게 된다. 도 4 (나)는 상기 데이타 복조기(23)에서 디지탈 신호가 복조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데이타 복조기(23)는 상기 신호 정형화기(22)에서 정형화되어 출력되는 신호를 일정 주기로 샘플링하고 그 값을 판독한 후 일정레벨 이상의 값들이 다수 판독되는 구간은 '논리 1'의 신호로 해석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논리 0'으로 해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도 4 (나)에 도시된 데이타 신호를 판독하면 그 데이타는 '1101...'의 데이타가 되는 것이다. 도 4 (나)에 도시된 방법과 달리 도 3 의 데이타 신호구간내의 '시작비트'에 동기시켜 데이타를 샘플링하는 경우에는, 샘플링 타이밍의 위상이 정확히 조정되므로 도 4 (나)에 도시된 것보다는 낮은 샘플링 주파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데이타 복조기(23)는 디지탈 신호를 복조한 데이타를 상기 마이콤(30)에 전송하게 되고, 상기 마이콤(30)은 수신된 데이타를 일정한 프로토콜(protocol)에 따라 해석하여 해당 국가에서의 사용언어(영어, 불어, 독일어, 스페인어 등)에 관한 정보를 얻은 후, 해당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언어의 문자군 선택을 위한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출력되는 선택신호는 해당 언어가 저장되어 있는 상기 롬(50)내의 시작주소로서, 예를 들어 영어인 경우 A0000(16)불어인 경우 A1000(16)독어인 경우 A2000(16)가 출력되어 상기 OSD 표시기(40)에 지정저장된다. 이와 같이, 해당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저장되어 있는 시작주소가 상기 OSD 표시기(40)에 지정된 후에, 채널변경 또는 메뉴 선택 등과 같은 사용자 요청이 있게 되면 상기 마이콤(30)은 상기 동작의 표시를 위해 필요한 문자코드를 상기 OSD 표시기(40)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OSD 표시기(40)는 입력되는 문자코드의 값 또는 그의 배수값을, 기 지정된 시작주소에 가산하여 상기 롬(50)내의 해당 주소를 결정한다.
이어서, 결정된 주소에서 표시문자를 위한 데이타(8의 배수 비트 크기를 가짐)를 독출하고, 인가되는 동기신호(V.sync, H.sync)로부터 영상신호 상의 위치를 확인한 뒤, 독출된 데이타의 비트값에 따라 해당위치의 영상신호를 특정 레벨(100% 백색신호)에 절환함으로써, 영상신호상에 표시될 문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력되는 문자영상신호는, 복조되는 영상신호와 후단에서 합성됨으로써, 영상기기의 화면상에 중첩되어 자동 선택된 언어의 문자열이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동작하는 본 고안에 따른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표시언어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설정모드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없이, 영상기기의 사용과 동시에 자동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동작에 필요한 문자가 선택되어, 필요시에 화면상에 그 문자로 표시할 수 있어서 영상기기의 사용편의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유용하고 편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택적으로 동조하여 영상신호로 복조출력하는 동조수단;
    상기 동조된 영상신호의 특정 구간을 분리하는 분리수단;
    상기 분리된 특정 구간에 실려있는 언어정보를 추출하는 추출수단;
    상기 언어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언어별 표시문자군이 다수 저장되어 있는 저장수단;
    상기 추출된 언어정보에 근거하여 표시언어의 문자군을 선택지정하는 지정수단; 및
    상기 지정된 문자군 내의 문자신호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출력하는 문자표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KR2019970026669U 1997-09-19 1997-09-19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KR199900131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669U KR19990013107U (ko) 1997-09-19 1997-09-19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6669U KR19990013107U (ko) 1997-09-19 1997-09-19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107U true KR19990013107U (ko) 1999-04-15

Family

ID=6969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6669U KR19990013107U (ko) 1997-09-19 1997-09-19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10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422B1 (ko) * 2001-02-20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osd 표시방법
KR100913079B1 (ko) * 2002-05-22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역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외장형 튜너 및 상기 외장형튜너를 이용하는 모니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422B1 (ko) * 2001-02-20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osd 표시방법
KR100913079B1 (ko) * 2002-05-22 2009-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역 정보를 설정할 수 있는 외장형 튜너 및 상기 외장형튜너를 이용하는 모니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20995T5 (es) Metodo y aparato para visualizar datos de texto o graficos en la pantalla de los receptores de television.
US6256072B1 (en) Closed-caption broadcasting and 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suitable for syllable characters
KR100264708B1 (ko) 텔레텍스트 디코더를 포함하는 텔레비전 수상기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9990013107U (ko) 표시언어 자동선택장치
US20040148641A1 (en) Television systems
KR100233529B1 (ko) Xds의 특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0157992B1 (ko) 클로우즈드 캡션 방송 수신 장치
JPH08331527A (ja) 文字情報信号受信装置
EP1798971B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47240B1 (ko) Kbps데이타를 이용한 g-코드예약방법 및 그 장치
KR0181894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의 부가정보 전송방법 및 아이콘 표시방법
JP2006157261A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における番組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0138910A (ja) 文字放送受信装置及び文字放送受信方法
KR100198537B1 (ko) 케이비피에스 신호를 이용한 프로그램 정보 자동안내방법
KR10057714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JPH1155633A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KR100287864B1 (ko)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KR930010646B1 (ko) 티브이의 채널라벨 표시방법 및 장치
KR100296929B1 (ko) 다중자막서비스기능을가지는영상방송시스템
KR100200131B1 (ko) 텔레비전의 osd일체화장치
KR100206115B1 (ko) 시청자 선택형 부가정보 화면 표시 일시정지 방법
GB2402289A (en) Teletext television with category establishing function to limit displayed pages
KR100219167B1 (ko) Xds/caption 데이터 수신감지장치
KR100206147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방송방법 및 수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