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864B1 -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864B1
KR100287864B1 KR1019980062831A KR19980062831A KR100287864B1 KR 100287864 B1 KR100287864 B1 KR 100287864B1 KR 1019980062831 A KR1019980062831 A KR 1019980062831A KR 19980062831 A KR19980062831 A KR 19980062831A KR 100287864 B1 KR100287864 B1 KR 100287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aption
data
subjec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154A (ko
Inventor
이상석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62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786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8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연상기억효과를 이용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캡션 티브이에 있어서, 주제별로 그룹핑되고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학습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와, 방송신호에 포함된 캡션데이터의 추출 및 디코딩동작과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해당 학습데이터 독출동작을 수행하는 캡션/학습 처리부와, 사용자의 학습기능 요구시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캡션데이터 추출/디코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캡션/학습 처리부로 전송하는 마이컴과, 캡션/학습 처리부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 또는 학습데이터를 화면디스플레이가능하도록 해당 폰트와 매칭시켜 OSD신호처리하는 OSD구동부와, OSD구동부의 출력 또는 방송신호를 마이컴의 절환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출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방송프로그램과 학습데이터의 연상기억효과를 증대시켜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티브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캡션 티브이는 방송국으로 부터 부가정보 또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음성과 동기되는 문자정보를 포함한 CVBS(Composite Video Blanking Signal) 즉, 복합영상신호를 일련의 신호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하는 티브이로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과 같이, CVBS로 부터 VBI(Vertical Blanking Internal)구간의 이븐필드(Even Field) 21번째 라인에 삽입된 캡션정보를 추출하여 2바이트단위로 출력하는 데이터추출부(1), 상기 데이터추출부(1)의 출력을 디코딩하여 그에 따른 제어코드 및 문자코드를 화면에 디스플레이가능하도록 VRAM(3)에 저장하는 캡션디코더(2), RGB형식의 문자체를 저장하고 있는 폰트롬(5), 상기 VRAM(3)의 출력에 해당하는 RGB형식의 문자체를 폰트롬(5)으로 부터 읽어들여 OSD 형태로 출력시키기 위한 OSD구동부(4), 마이컴(8)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OSD구동부(4)의 출력 또는 원방송신호 즉, CVBS를 선택출력하는 스위칭부(6), 상기 스위칭부(6)의 출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캡션티브이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캡션정보가 포함된 CVBS가 입력되면 데이터추출부(1)에서 상기 캡션정보를 추출하고 마이컴(8)의 제어에 의해 캡션디코더(2)가 상기 캡션정보를 문자코드와 제어코드로 디코딩한다.
이때 제어코드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지정코드, 연속, 순간, 올림, 내림 등의 자막모드, 문자색, 배경색, 문자속성 등을 정의한다.
이어서 캡션디코더(2)는 상기 자막정보를 나타내는 문자코드를 위치지정코드에 상응하도록 VRAM(3)에 저장한다.
그리고 VRAM(3)을 통해 출력된 데이터는 OSD구동부(4)에 의해 RGB형태의 문자로 변환되고 마이컴(8)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부(6)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부(7)를 통해 해당위치에 디스플레이된다.
상술한 캡션 티브이와 같이 특수목적의 티브이를 포함하여 일반적인 티브이는 현재 거의 모든 가정에 널리 보급되어 있으며 생활정보, 오락, 뉴스, 스포츠 등 각종 프로그램 방영을 주목적으로 하므로 유아에서 부터 노년층, 학생, 직장인, 주부에 이르기까지 연령 또는 계층에 상관없이 시청을 통해 각종 정보를 접할 수 있는, 급속도로 발전해가는 멀티미디어기기중 가장 대중적인 멀티미디어 매체로 티브이를 시청하는 구성원 전체를 하나의 매체에 집중시킬 수 있는 효과는 탁월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티브이에 대한 욕구도 멀티미디어화 되어가는 현대사회에 발맞추어 증대되고 있으므로 기본적인 티브이 시청 이외에 각종 부가적인 기능이 추가되는 다기능형 티브이 예를 들어, 학습기능이 내장된 티브이 등이 발전하고 있으며 그 응용가능성 또한 무궁무진하다.
상술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학습용(예를 들어, 영어학습용) 티브이는 단순하게 사용자가 선택한 레벨의 영어단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와 주기적으로 화면상에 출력하는 수준으로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및 학습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추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티브이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학습용 티브이는 단순히 방송프로그램과는 상관없는 사용자가 선택한 일정 레벨의 학습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수준이므로 티브이 시청시 디스플레이되는 학습데이터에 대한 집중효과를 만족시키지 못하여 학습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연상기억효과를 이용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캡션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주제별 단어인덱스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캡션/학습 처리부 11: 데이터 추출부
12: 캡션 디코더 13: VRAM
14: OSD구동부 15: 폰트롬
16: 스위칭부 17: 디스플레이부
18: 마이컴 19: 캡션/학습 제어부
20: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는 주제별로 그룹핑되고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학습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와, 방송신호에 포함된 캡션데이터의 추출 및 디코딩동작과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해당 학습데이터 독출동작을 수행하는 캡션/학습 처리부와, 사용자의 학습기능 요구시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캡션데이터 추출/디코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캡션/학습 처리부로 전송하는 마이컴과, 캡션/학습 처리부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 또는 학습데이터를 화면디스플레이가능하도록 해당 폰트와 매칭시켜 OSD신호처리하는 OSD구동부와, OSD구동부의 출력 또는 방송신호를 마이컴의 절환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출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제어방법은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에서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제2 단계에서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여 해당 주제별로 그룹핑된 학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의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주제별 단어인덱스 테이블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캡션 티브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제별로 그룹핑되고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학습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 복합영상신호(CVBS)에 포함된 캡션데이터의 추출 및 디코딩동작과 상기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의 해당 학습데이터 독출동작을 수행하는 캡션/학습 처리부(10), 사용자가 학습모드/주제별 학습모드를 '온'설정하면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캡션데이터 추출/디코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캡션/학습 처리부(10)로 전송하는 마이컴(18), 상기 캡션/학습 처리부(10)의 출력을 저장하기 위한 VRAM(13), 각종 폰트를 저장하고 있는 폰트롬(15), 상기 VRAM(13)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 또는 학습데이터를 화면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해당 폰트와 매칭시켜 OSD신호처리하는 OSD구동부(14), 상기 OSD구동부(14)의 출력 또는 복합영상신호를 상기 마이컴(18)의 절환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부(16), 상기 스위칭부(16)의 출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캡션/학습 처리부(10)는 방송신호로부터 캡션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11)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11)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캡션 디코더(12)와, 상기 마이컴(18)의 제어에 따라 캡션 디코더(12)의 동작을 제어하고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는 캡션/학습 제어부(19)로 구성된다.
또한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는 그 학습데이터가 영어단어인 경우의 예를 들어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번호를 할당한 주제별로 그룹핑된 단어의 시작어드레스 및 단어별 길이를 나타내어 데이터 독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주제별 단어 인덱스 테이블과, 각 주제번호의 시작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와,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단어와, 각 단어의 시작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이때 주제별 단어 인덱스 테이블은 도 4와 같이, 각 주제별로 예를 들어, 축구는 '1'번 야구는 '2'번 …… 코미디는 '12'번과 같이 방송프로그램의 주제에 대해 번호를 할당하고 주제번호에 관련된 단어를 그룹핑하여 각 단어의 시작어드레스를 나타내고 각 인덱스는 구분자 '/'를 사용하여 구분하고 주제별 영어단어의 끝은 'FF'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학습용 캡션 티브이의 학습기능 제어방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써 영어 학습기능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한다.
마이컴(18)은 캡션이 '온'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 캡션이 '온'상태이면 캡션/학습 제어부(19) 및 스위칭부(16)에 해당 캡션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캡션/학습 제어부(19)는 캡션 디코더(12)를 제어하여 데이터 추출부(11)에서 추출된 캡션 데이터를 디코딩하고 VRAM(13)으로 출력하여 OSD구동부(14)에 의해 스위칭부(16)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부(17)를 통해 디스플레이된다(S12).
한편, 상기 판단결과(S11), 캡션이 '오프'된 상태이면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판단하고(S13),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판단한다(S14).
이때 주제별 학습모드는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와 관련된 학습데이터 즉, 영어단어들을 상술한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학습모드로 사용자에 의해 온/오프설정된다.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4),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비상자막모드가 '온'되었는지 판단하고(S15), 비상자막모드가 '온'되었으면 주제데이터가 전송되는지를 판단한다(S16).
이때 비상자막모드는 캡션 온/오프에 상관없이 항상 캡션데이터를 수신가능하도록 하는 동작모드인데, 방송국에서 비상자막신호에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데이터를 첨가하여 전송하면 수신기측에서 항상 방송프로그램의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프로그램 관련정보인 KBPS(Korean Broadcasting Program System)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판단결과(S16), 주제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으면 비상자막신호에 해당하는 비상자막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S17).
이어서 상기 판단결과(S16), 주제데이터가 전송되면 마이컴(18)은 이전의 주제를 현단계에서 전송된 주제로 업데이트시키고(S18), 해당 주제에 상응하는 학습데이터 즉, 영어단어의 인덱스를 캡션/학습 제어부(19)로 전송한다. 따라서 캡션/학습 제어부(19)는 인덱스를 이용하여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영어단어를 독출하고(S21), 캡션 디코더(12)를 경유하여 해당 단어를 출력하면 OSD구동부(14)에 의해 해당 폰트가 매칭되어 디스플레이된다(S22).
한편, 상기 판단결과(S15), 비상자막모드가 '오프'되었으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이전의 주제에 해당하는 영어단어를 상술한 단계(S19 ~ S22)를 경유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학습모드는 '온'상태이지만 주제별 학습모드가 '오프'된 상태이면 마이컴(18)은 사용자가 설정한 사용빈도의 영어단어 인덱스를 캡션/학습 제어부(19)로 전송하고(S20), 그에 따라 캡션/학습 제어부(19)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20)에서 해당 영어단어부터 사용빈도순으로 영어단어를 독출하여(S21), 디스플레이한다(S22).
본 발명은 주제별로 그룹핑되고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와 관련된 학습데이터를 학습용 데이터베이스에서 독출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해당 방송프로그램과 학습데이터가 연관되어 사용자의 연상기억효과를 증대시키므로 학습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캡션 티브이에 있어서,
    주제별로 그룹핑되고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학습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학습용 데이터베이스;
    방송신호에 포함된 캡션데이터의 추출 및 디코딩동작과 상기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해당 학습데이터 독출동작을 수행하는 캡션/학습 처리부;
    사용자의 학습기능 요구시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캡션데이터 추출/디코딩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캡션/학습 처리부로 전송하는 마이컴;
    상기 캡션/학습 처리부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 또는 학습데이터를 화면디스플레이가능하도록 해당 폰트와 매칭시켜 OSD신호처리하는 OSD구동부;
    상기 OSD구동부의 출력 또는 방송신호를 상기 마이컴의 절환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출력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는 번호를 할당한 주제별로 그룹핑된 단어의 시작어드레스 및 단어별 길이를 나타내는 주제별 단어 인덱스 테이블과, 각 주제번호의 시작 어드레스와, 사용빈도순으로 정렬된 단어와, 각 단어의 시작어드레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션/학습 처리부는 방송신호로부터 캡션데이터를 추출하는 데이터 추출부와,
    상기 데이터 추출부에서 출력된 캡션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캡션 디코더와,
    상기 마이컴의 제어에 따라 캡션 디코더의 동작을 제어하고 학습용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학습데이터를 독출하는 캡션/학습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
  4. 캡션티브이에 있어서,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주제별 학습모드가 '온'되었으면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여 해당 주제별로 그룹핑된 학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에서 주제별 학습모드가 '오프'되었으면 학습데이터를 사용빈도순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의 제어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는 단계는
    방송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KBPS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의 제어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는 단계는
    현재 방송프로그램에 상응하도록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주제데이터가 첨가된 비상자막신호에 따라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의 제어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를 판별하는 단계에서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의 주제판별이 불가능한 경우 이전에 디스플레이된 주제의 학습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캡션티브이의 제어방법.
KR1019980062831A 1998-12-31 1998-12-31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KR100287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831A KR100287864B1 (ko) 1998-12-31 1998-12-31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831A KR100287864B1 (ko) 1998-12-31 1998-12-31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54A KR20000046154A (ko) 2000-07-25
KR100287864B1 true KR100287864B1 (ko) 2001-05-02

Family

ID=1956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831A KR100287864B1 (ko) 1998-12-31 1998-12-31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78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154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470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캡션 자동 선택 장치
JP2009088634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JP2001028717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受信装置並びにそれらの方法
KR20010001725A (ko) 자막 그래픽 신호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KR100287864B1 (ko) 학습용 캡션 티브이 및 그 제어방법
KR100242114B1 (ko) Osd기능을 이용한 자막방송 디지털 tv 수신 장치및 방법
KR19990042393A (ko) 텔레비젼에서의 문자 치환 방법
JP2006254023A (ja) 字幕用表示言語選択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977972B1 (ko) 캡션 정보를 이용한 스크립트 생성기능을 갖는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370028B1 (ko) 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1822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자막 처리장치 및 방법
KR100364714B1 (ko) 캡션티브이의 캡션정보 저장/재생장치 및 방법
KR100200205B1 (ko) 시청자 선택형 자막을 이용한 대화형 텔레비젼방송방법
JPH10191269A (ja) 文字放送受信装置
KR100292358B1 (ko) 자막 신호의 제한적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JP200235435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304896B1 (ko) 문자정보 전송방법과 그 문자정보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33529B1 (ko) Xds의 특정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KR100726439B1 (ko) 자막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100323680B1 (ko) 티브이의 문자표시장치 및 방법
KR0164958B1 (ko) 오에스디의 국가별 언어 선택장치
KR20000036293A (ko) 실시간 전자 사전을 갖는 자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09670A (ko) 네트워크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000037658A (ko) 텔레비젼에서의 키워드를 이용한 문자 다중 방송 고속 탐색 방법
JP3065128U (ja) 映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