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7145B1 -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77145B1
KR100577145B1 KR1019980040049A KR19980040049A KR100577145B1 KR 100577145 B1 KR100577145 B1 KR 100577145B1 KR 1019980040049 A KR1019980040049 A KR 1019980040049A KR 19980040049 A KR19980040049 A KR 19980040049A KR 100577145 B1 KR100577145 B1 KR 100577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digital
channel number
analo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1109A (ko
Inventor
이규헌
유용태
권일근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40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145B1/ko
Publication of KR20000021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5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graph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디지털 TV에 표시되는 채널 정보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 채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채널 번호에 디지털로 방송된 채널인지 또는 아날로그로 방송된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구분자를 덧붙여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는 시각적으로 이들의 식별이 가능하므로 수많은 채널들 중에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채널을 일일이 기억하지 않고서도 쉽게 채널에 대한 정보 즉, 각 채널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에서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마이너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도 기호와 같은 구분자를 각 채널 번호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의 식별이 시각적으로 가능하며, 방송사의 사정에 따라 매번 바뀌는 마이너 채널 번호도 쉽고 편리하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METHOD FOR CHANNEL INFORMATION EXPRESSING OF DIGITAL TV}
본 발명은 디지털 TV의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미리 정의된 구분자를 이용하여 디지털 TV에 표시되는 채널 정보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디지털 TV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비교할 때 화면의 해상도가 훨씬 높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는 디지털 TV에 있어서, 프로그램 안내 정보(또는 전자 프로그램 안내(Electronic Program Guide ; EPG))는 시청자가 TV를 시청하는데 좀더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해주는 정보로서, 방송국에서 그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시청자는 신문이나 다른 안내 매체없이 화면상에서 직접 현재의 방송 프로 및 미래의 방송 프로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디지털 방송의 초기에는 기존 아날로그 TV와의 호환성을 위해 일부의 채널에 대해서는 아날로그와 디지털로 동시에 방송하는 경우가 있다. 만일, 디지털 TV에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가 모두 구비되어 있다면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재된 많은 채널에서 시청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채널 번호만 보고서는 어느 채널이 디지털 방송 채널이며 어느 채널이 아날로그 방송 채널인가를 구별하기가 쉽지않다. 그런데, 시청자들은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보다 화질이 우수한 새로운 디지털 방송에 많은 관심을 갖을 것이다.
따라서, 시청자는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혼재된 많은 채널에서 어느 채널이 디지털 방송 채널이며 어느 채널이 아날로그 방송 채널인가를 구별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물리적 채널(아날로그 방송시의 채널과 동일함.)에 다수개의 프로그램 예컨대, 가상 채널을 다중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방송에서는 6㎒ 대역폭(=물리적 채널)에 한 개의 프로그램밖에 송출할 수 없으나 디지털 방송은 동일한 대역폭에 5∼6개 정도의 프로그램(=가상 채널)을 내보낼 수 있다. 디지털 방송이 이처럼 많은 채널을 보장할 수 있는 것은 영상과 음성을 고밀도로 압축하고 복원시킬 수 있는 엠펙(MPEG)2 기술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채널에 대응되어 시청자에게 보여주는 채널 이름을 메이저 채널(major channel)이라 하고, 상기 가상 채널들을 마이너 채널(minor channel)이라고도 한다. 따라서, 디지털 방송의 경우 채널 번호는 지역번호, 메이저 번호, 마이너 번호등의 규격으로 방송국에서 전송될 수 있다.
그런데,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다중되는 가상 채널들은 매일 또는 시간에 따라 예컨대, 방송사의 사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오늘은 하나의 물리적 채널에 4개의 가상 채널이 다중화되고, 내일은 2개 또는 1개의 가상 채널이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마이너 채널 번호가 변한다.
그러므로 디지털 방송의 경우, 화면상에는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를 모두 디스플레이할 필요가 있는데, 시청자는 숫자의 나열만으로는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를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시청자는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번호들중에서 어느 것이 지역번호이고, 메이저 채널 번호이며, 마이너 채널 번호인지를 구별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채널에 대해 문자 또는 아이콘 형태의 구분자를 덧붙여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채널이라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TV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역 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 사이에 이를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를 삽입하여 각 채널 번호를 시각적으로 식별 가능하게 하는 디지털 TV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은, 미리 정의된 아날로그/디지털 구분자를 각각의 채널 번호와 함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여 튜너로부터 수신되는 채널이 아날로그로 방송된 채널인지 디지털로 방송된 채널인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채널 정보를 프로그램 안내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전체 채널들을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로 각각 그루핑하여 표시하고, 상기 각 그룹은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방송의 채널 번호 정보 사이에는 미리 정의된 구분자를 삽입하여 지역번호, 메이저 채널 번호, 마이너 채널 번호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각 채널에 대해 문자 또는 아이콘으로 된 구분자를 덧붙여 채널의 종류 즉, 디지털 채널인지 아날로그 채널인지에 대한 정보를 시청자에게 시각적으로 표현해 줌과 동시에, 디지털 방송에서 지역번호와 메이저 번호, 마이너 번호를 모두 표시하는 경우에는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 사이에 특수 기호와 같은 구분자를 삽입하여 이들의 구분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로서,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원하는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는 튜너(11), 상기 튜닝된 채널 주파수를 복조하는 복조부(12), 상기 복조된 신호로부터 비디오/오디오 신호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13), 상기 분리된 프로그램 안내 정보 또는 채널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메모리(DRAM)(14), 특수 문자, 특수 기호등을 저장하는 시스템 메모리(15), 프로그램 안내 정보나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시 상기 시스템 메모리(15)의 해당 문자나 기호를 읽어 와 저장하는 비디오 메모리(SDRAM)(16), 상기 비디오 메모리(16)에 저장된 문자 또는 기호를 처리하여 상기 DRAM(14)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채널 정보와 함께 CPT로 출력하는 그래픽 처리부(17), 및 프로그램 안내 정보나 채널 번호등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 Unit ; CPU)(10)로 구성된다.
상기 튜너(11)는 아날로그 튜너와 디지털 튜너를 구비하여 아날로그 방송과 디지털 방송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메모리(15)는 플래시 롬(flash ROM), 재기록 가능 롬(예컨대, E2PROM)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 튜너(11)는 수신되는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이면 디지털 튜너를 이용하고, 아날로그 방송이면 아날로그 튜너를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 주파수만을 튜닝하여 복조부(12)로 출력한다. 상기 복조부(12)는 입력되는 신호가 잔류 측파대(VSB) 변조된 신호이면 VSB 복조를 수행하여 데이터 분리부(1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분리부(13)로 입력되는 신호는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및 채널 정보가 포함된 프로그램 안내 정보가 트랜스포트 패킷 형태로 다중화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분리부(13)는 역다중화에 의해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 그리고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분리한다. 그리고, 분리된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CPT로 출력하고, 프로그램 안내 정보는 메모리인 DRAM(14)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 안내 정보는 프로그램 시스템 정보 프로토콜(Program System Information Protocol ; PSIP) 신호로부터 다시 분리된 것이다.
또한, 디지털 채널 번호와 아날로그 채널 번호의 구분을 위한 구분자를 미리 정의하는데, 이 구분자는 문자 또는 아이콘의 형태를 갖을 수 있으며 시스템 메모리(15)에 비트 맵(bit map) 형태로 저장한다. 그리고, 디지털 방송에서 지역번호, 메이저 번호, 마이너 번호를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구분자(예컨대, 특수 기호)들도 상기 시스템 메모리(15)에 비트 맵 형태로 저장한다.
이때,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거나 프로그램 안내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면 시스템 메모리(15)에 저정된 해당 구분자는 CPU(10)의 제어에 의해 리드되어 비디오 메모리(16)에 다시 저장된다.
그리고, 그래픽 처리부(17)는 CPU(10)의 제어에 의해 상기 DRAM(14)에 데이터베이스화된 프로그램 안내 정보 또는 채널 정보와 비디오 메모리(16)에 저장된 구분자를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처리하여 CPT로 출력한다.
만일,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TV에서 프로그램 안내 정보의 디스플레이를 원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채널들을 디지털 채널과 아날로그 채널로 각각 그룹핑하여 표시한다. 예컨대, 디지털 채널 그룹에 속하는 채널들은 상부에, 아날로그 채널 그룹에 속하는 채널들은 그 하부에 표시한다.
이때, 각각의 채널 그룹은 그 색을 달리하여 구분을 보다 쉽게 하고, 또한 상기 채널 번호 옆에는 디지털/아날로그 구분자(예컨대, 아날로그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 디지털 채널 번호인 경우에는 ⓓ)를 덧붙여 보다 쉽게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을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세로축은 채널,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시간축의 단위는 통상 30분 단위이다. 그리고, 채널과 시간축으로 이루어진 격자내에는 프로그램 제목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격자 폭은 해당 프로그램의 방영 시간이 된다. 또한, 화면 상단에는 현재 선택된 채널 번호와 이때의 프로그램 제목을 보여주고 있고, 바로 아래에는 그 프로그램의 등급, 시작 시간, 종료 시간등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시청자가 TV의 전원을 온하거나 채널을 변경하였을 경우 CPU(10)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구분자는 시스템 메모리(15)와 비디오 메모리(16)를 통해 그래픽 처리부(17)로 입력되고, 상기 그래픽 처리부(17)는 상기 DRAM(14)에 데이터베이스화된 채널 정보중 선택된 채널 번호와 상기 입력된 구분자를 OSD 처리하여 CPT로 출력한다. 따라서, 선택된 채널이 아날로그 방송 채널인 경우에는 채널 번호 옆에 ⓐ가 덧붙여지고, 디지털 방송 채널인 경우에는 ⓓ가 덧붙여져 화면의 상단 또는 하단의 지정된 영역에 지정된 시간만큼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시청자가 변경한 채널이 디지털 채널인지 아날로그 채널인지는 선택된 채널에 대해 수신기가 갖고 있는 프로그램 안내 정보로부터 판단한다. 즉,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TV는 방송에 실려오는 프로그램의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DRAM(14)에 데이터베이스화한다. 따라서, 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DRAM(14)으로부터 알 수 있다. 만일, 디지털 TV가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라도 미리 정의된 채널들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또는 현재 선택된 채널이 디지털 튜너에 의한 것인지 아날로그 튜너에 의한 것인지에 따라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판단이 가능하다.
한편, 디지털 방송에서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가 규격으로 전송되는 상태에서 TV 온이나 채널 변경시에 화면상에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를 모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시스템 메모리(15)에 저장된 특수 기호(예컨대, -, #, *, /,...)중 하나를 읽어 와 CPU(10)의 제어에 의해 비디오 메모리(16)에 저장한다. 그리고, 비디오 메모리(16)에 저장된 특수 기호는 다시 그래픽 처리부(17)에 입력된다.
상기 그래픽 처리부(17)는 DRAM(14)으로부터 읽어 온 디지털 방송 채널 번호(즉,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와 상기 특수 기호를 OSD 처리하여 CPT로 출력한다. 따라서, 화면 상에는 도 3과 같이 지역 번호, 메이저 번호, 마이너 채널 번호가 특수 기호로 된 구분자에 의해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된다. 즉, 도 3의 우측 상단은 지역 번호, 메이저 채널 번호, 마이너 채널 번호를 '#'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좌측 상단은 '-'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우측 하단은 '/'을 이용하여 구분하고, 좌측 하단은 '*'을 이용하여 구분하는 경우를 실시예로 보여주고 있으며, 이중 어느 하나가 지정된 위치에 지정된 시간동안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에 의하면, 각 채널에 디지털 채널인지 또는 아날로그 채널인지를 나타내는 구분자를 덧붙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시청자는 시각적으로 이들의 식별이 가능하므로 수많은 채널들 중에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채널을 일일이 기억하지 않고서도 쉽게 채널에 대한 정보 즉, 각 채널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마이너 채널 번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에도 구분자를 각 채널 번호 사이에 삽입함으로써, 지역번호와 메이저 채널 번호 그리고, 마이너 채널 번호의 식별이 시각적으로 가능하며, 방송사의 사정에 따라 매번 바뀌는 마이너 채널 번호도 쉽고 편리하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도 1에서 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정보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화면상에 지역 번호와 메이저 번호 그리고, 마이너 번호가 특수 문자에 의해 구분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11 : 튜너
12 : 복조부 13 : 데이터 분리부
14 : DRAM 15 : 시스템 메모리
16 : 비디오 메모리 17 : 그래픽 처리부

Claims (4)

  1. (a) 수신한 방송 신호의 채널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b) 상기 채널 정보 분석결과 상기 수신 방송 신호의 채널이 아날로그 채널인지 또는 디지털 채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판단결과에 따라 아날로그 채널 정보와 디지털 채널 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표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아날로그 채널에 아날로그 채널 구분자로, 디지털 채널에 디지털 채널 구분자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널 정보 표시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자는 서로 다른 색으로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채널 정보는 미리 정의된 구분자를 삽입하여 각 채널 번호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19980040049A 1998-09-25 1998-09-25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0577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049A KR100577145B1 (ko) 1998-09-25 1998-09-25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049A KR100577145B1 (ko) 1998-09-25 1998-09-25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09A KR20000021109A (ko) 2000-04-15
KR100577145B1 true KR100577145B1 (ko) 2006-07-25

Family

ID=1955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049A KR100577145B1 (ko) 1998-09-25 1998-09-25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610B1 (ko) * 2002-02-23 2008-02-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544A (ko) * 1996-06-18 1998-03-30 구자홍 디지탈/아나로그 겸용 시스템의 오에스디(osd) 처리장치
KR19980015244A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영상 시스템의 부가 정보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544A (ko) * 1996-06-18 1998-03-30 구자홍 디지탈/아나로그 겸용 시스템의 오에스디(osd) 처리장치
KR19980015244A (ko) * 1996-08-20 1998-05-25 김광호 영상 시스템의 부가 정보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109A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84291B (zh) 执行时移功能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视接收机
KR101096973B1 (ko) 디지털 방송에서의 컨텐츠 검출 장치
US20100162310A1 (en) Digital broadcasting transmission system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KR100507808B1 (ko) 디지털 티브이용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화면에서이티티정보 존재여부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CN102204269B (zh) 处理多模式业务广播信号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数字电视接收机
CN1956521B (zh) 用于改变/管理频道的方法和广播接收器
KR10106111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그의 서브타이틀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57728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표시 방법
KR10057714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JP2000152114A (ja) まだら放送内容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KR100305320B1 (ko) 음성다중텔레비전에서의음성제어방법
JP3544165B2 (ja) 放送受信装置
KR100338216B1 (ko) 프로그램장르표시방법및장치
JP2001320644A (ja) 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
KR100760105B1 (ko)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JP200113645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329417B1 (ko) 디지털텔레비전수상기의프로그램정보표시방법
JP2002354355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00020451A (ko)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안내 정보 표시 방법
KR19990041788A (ko) Epg 정보를 이용한 채널선택 장치 및 방법
KR100737614B1 (ko) 디지털 방송의 자막 뉴스 제공 및 표시방법
JPH10285485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装置
KR10031738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데이터 깜박임처리방법
JP2003198976A (ja) テレビ放送受信機及び追加特殊文字ガイド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