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662A -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 Google Patents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662A
KR19990012662A KR1019970036138A KR19970036138A KR19990012662A KR 19990012662 A KR19990012662 A KR 19990012662A KR 1019970036138 A KR1019970036138 A KR 1019970036138A KR 19970036138 A KR19970036138 A KR 19970036138A KR 19990012662 A KR19990012662 A KR 199900126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asting
air
valve
supp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6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학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70036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662A/ko
Publication of KR19990012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662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The Air-Fuel Ratio Of Carbure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기화기의 추가 연료 공급 구조는 연료의 추가 공급 여부가 단순히 엔진의 부압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추가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공연비 변화에 따른 오염 물질의 배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뜨개실로부터 연료가 유입되어 계량되는 코스팅 제트(62)와, 벤투리(52) 앞쪽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계량되는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63) 및 제2 에어 브리드(64)와, 혼합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차단하는 코스팅 리처 밸브(65)와, 상기 코스팅 리처 밸브(65)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6)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6)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67)가 부가됨으로써, 감속과 동시에 연료가 추가 공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연료가 추가 공급되지 않아 공연비 제어가 용이하고 연료 추가 공급의 지연 시간이 단축되어 유해 배기 가스의 발생량이 저감되는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본 발명은 기화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속시 연료를 추가로 공급하여 공연비의 급변에 따른 배기 가스 증가를 방비할 수 있는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Coasting Richer System)에 관한 것이다.
기화기는 엔진의 흡기 부압을 이용하여 벤투리를 통해 분사되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엔진에서 발생되는 흡기 부압에 따라 적정한 연료량이 분사되어 최적의 공연비가 되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기화기를 사용하는 엔진은 감속시 그 초기를 제외하고는 공연비가 희박해지므로 점화 불량이 발생되고 연소가 지연되어 미연 가스로 인한 오염 물질의 발생량이 증가된다.
즉, 감속 초기에는 벤투리를 통해 이미 분사된 연료로 인해 공연비가 희박해지지는 않지만, 그 외에는 연료가 거의 분사되지 않기 때문에 공연비가 희박하게 된다. 따라서, 연소실 내에서는 착화에 필요한 혼합기가 얻어지지 않아 점화가 지연되거나 불완전 연소가 진행된다.
따라서, 감속시나 공전시에만 작동되는 보조 연료 통로를 설치하여 연소에 필요한 최소한의 혼합기가 공급함으로써 연소가 계속되도록 하고 있다. 이를 연료 추가 공급 구조(Coasting Richer System)라 한다.
종래 기화기의 연료 추가 공급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탱크와 연결되어 연료가 저장되는 뜨개실(11)과, 상기 뜨개실(11) 내부에 위치되고 연료의 양에 따라 뜨개 밸브(13)를 개폐시키는 뜨개(12)와, 스로틀 바디(21)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료 노즐(14)을 통해 분사되는 뜨개실(11)의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벤투리(22)와, 상기 스로틀 바디(21)의 내부에 위치되고 흡기 부압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23)와, 상기 스로틀 밸브(23)의 하측에 설치되어 저속 또는 공전시 소량의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저속 구멍(15) 및 공전 구멍(16)과, 상기 공전 구멍(16)의 크기를 조절하는 공전 조정 나사(17)와, 상기 저속 구멍(15) 및 공전 구멍(16)과 뜨개실(11)을 연결하는 연료 통로(18)와, 상기 벤투리(22) 앞쪽으로부터 연료 통로(18)로 연결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 브리드(1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화기의 연료 추가 공급 구조는 스로틀 밸브(23)의 개도에 따라 달라지는 흡기 부압에 의해 뜨개실(11)의 연료가 분사되어 공기와 혼합되도록 되어 있다.
고속시에는 스로틀 밸브(23)의 개도가 커서 흡기 부압이 벤투리(22)에 직접 작용하게 되므로 뜨개실(11)의 연료는 연료 노즐(14)을 통해 상기 벤투리(22)로 분사되어 유입되는 공기와 혼합된다. 이때, 상기 연료 노즐(14)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의 양은 스로틀 밸브(23)의 개도에 따라 달라지는 흡기 부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뜨개실(11)에의 연료 충전은 뜨개(12)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뜨개실(11) 내부의 연료가 줄어들면 뜨개(12)가 하강되어 뜨개 밸브(13)를 열게 되고, 뜨개 밸브(13)가 열림에 따라 연료 탱크의 연료가 뜨개실(11)로 공급된다, 연료의 양이 증가되어 뜨개(12)가 상승되면 뜨개 밸브(13)가 닫히면서 더 이상의 연료 유입을 방지한다.
공전시나 저속시에는 스로틀 밸브(23)가 닫히게 되므로 벤투리(22)에는 흡기 부압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고, 벤투리(22)에 흡기 부압이 작용하지 않으면 연료 노즐(14)이 연료를 분사하지 않게 된다. 이때, 엔진이 정지하지 않고 계속 작동되도록 연료가 연료 통로(18)를 통해 스로틀 밸브(23)의 앞쪽으로 분사되어 엔진의 동작이 계속 유지되도록 한다.
공전시에는 스로틀 밸브(23) 앞쪽의 공전 구멍(16)만이 열리게 되므로, 뜨개실(11)의 연료는 연료 통로(18)를 통해 이동되어 공전 구멍(16)을 통해 분사된다. 이때, 에어 브리드(19)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료 통로(18)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공전 구멍(16)으로 이동된다. 한편, 공전 구멍(16)의 크기는 공전 조정 나사(17)에 의해 조절되어 공전시의 연료량을 조절하게 된다.
저속시에는 스로틀 밸브(23) 앞쪽의 저속 구멍(15)과 공전 구멍(16)이 모두 열리게 된다. 이때에도 역시 에어 브리드(19)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료 통로(18)에서 연료와 혼합되어 분사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화기의 추가 연료 공급 구조는 연료의 추가 공급 여부가 단순히 엔진의 부압에 의해서만 결정되므로 추가 공급되는 연료의 양이 일정하지 않아 공연비 변화에 따른 오염 물질의 배출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의 추가 공급로가 감속시에만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연료 추가 공급의 제어도가 향상됨으로써, 작동 지연 시간이 감소되어 배기 가스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속시 추가 연료 공급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화기의 추가 연료 공급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스로틀 바디 52 : 벤투리
53 : 스로틀 밸브 54 : 연료 통로
61 : 저속 구멍 62 : 코스팅 제트
63 :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 64 : 코스팅 제2 에어 브리드
65 : 코스팅 리처 밸브 66 : 솔레노이드 밸브
67 : 스위치부 67a : 액셀 스위치
67b : 중립 스위치 67c : 클러치 스위치
본 발명은 스로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료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벤투리와, 상기 스로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고 흡기 부압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와, 저속 구멍과 뜨개실을 연결하는 연료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화기의 연료 추가 공급 구조에 있어서, 뜨개실로부터 연료가 유입되어 계량되는 코스팅 제트와, 벤투리 앞쪽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계량되는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 및 제2 에어 브리드와, 혼합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차단하는 코스팅 리처 밸브와, 상기 코스팅 리처 밸브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로틀 바디(51)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료 노즐(미 도시)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벤투리(52)와, 상기 스로틀 바디(51)의 내부에 위치되고 흡기 부압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53)와, 저속 구멍(61)과 뜨개실(미 도시)을 연결하는 연료 통로(54)와, 뜨개실(미 도시)로부터 연료가 유입되어 계량되는 코스팅 제트(62)와, 벤투리(52) 앞쪽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계량되는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63) 및 제2 에어 브리드(64)와, 혼합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차단하는 코스팅 리처 밸브(65)와, 상기 코스팅 리처 밸브(65)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66)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66)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67)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67)는 가속시 오프되는 액셀 스위치(67a)와, 중립 상태에서 오프되는 중립 스위치(67b)와, 클러치 페달을 밟을 경우 온 되는 클러치 스위치(67c)로 구성되어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감속시 추가 연료 공급 구조는 감속시 솔레노이드 밸브(66)가 작동되어 코스팅 리처 밸브(65)를 완전히 개방하여 연료가 추가 공급되도록 한다.
감속시에는 상기 스위치부(67)가 솔레노이드 밸브(66)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즉, 감속시에는 액셀 스위치(67a)와 중립 스위치(67b) 및 클러치 스위치(67c)가 모두 온 상태가 되므로 솔레노이드 밸브(66)에 전원이 인가된다. 솔레노이드 밸브(66)에 전원이 인가되면 솔레노이드 밸브(66)가 작동되어 코스팅 리처 밸브(65)를 완전히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뜨개실(미 도시)에 흡기 부압이 걸리게 되고, 흡기 부압에 의해 연료는 코스팅 제트(62)를 통해 계량된 후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63) 및 코스팅 제2 에어 브리드(64)에서 계량되어 흡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미세화된다. 이후, 코스팅 리처 밸브(65)와 연료 통로(54)를 통해 스로틀 밸브(53) 하측으로 이동되어 연소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는 감속과 동시에 연료가 추가 공급되고 그렇지 않는 경우에는 연료가 추가 공급되지 않아 공연비 제어가 용이하고 연료 추가 공급의 지연 시간이 단축되어 유해 배기 가스의 발생량이 저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스로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고 연료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연료와 공기가 혼합되는 벤투리와, 상기 스로틀 바디의 내부에 위치되고 흡기 부압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와, 저속 구멍과 뜨개실을 연결하는 연료 통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기화기의 연료 추가 공급 구조에 있어서,
    뜨개실로부터 연료가 유입되어 계량되는 코스팅 제트와, 벤투리 앞쪽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계량되는 코스팅 제1 에어 브리드 및 제2 에어 브리드와, 혼합 기체가 공급되는 통로를 차단하는 코스팅 리처 밸브와, 상기 코스팅 리처 밸브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스위치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가속시 오프되는 액셀 스위치와, 중립 상태에서 오프되는 중립 스위치와, 클러치 페달을 밟을 경우 온 되는 클러치 스위치가 서로 직렬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KR1019970036138A 1997-07-30 1997-07-30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KR199900126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138A KR19990012662A (ko) 1997-07-30 1997-07-30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6138A KR19990012662A (ko) 1997-07-30 1997-07-30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662A true KR19990012662A (ko) 1999-02-25

Family

ID=6599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6138A KR19990012662A (ko) 1997-07-30 1997-07-30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66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147150A (ja) 可変ベンチユリ気化器
JPS61192826A (ja) 内燃機関の燃料カツト復帰時の燃料供給制御方法
GB153413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945231B2 (en) Fuel gas mixer
EP0510585A2 (en) Gas engine
KR19990012662A (ko) 감속시 연료 추가 공급 구조
JPS6053653A (ja) 内燃エンジンの吸気2次空気供給装置
JPH0614045Y2 (ja) 気化器のスロ−系燃料供給装置
KR0140563B1 (ko) 엔진연료 분사장치
KR100297842B1 (ko) 와류컨트롤시스템의보조공기제어방법
KR820001570B1 (ko) 내연기관의 흡기 제어장치
KR820001569B1 (ko) 흡기 제어장치
JPS5840284Y2 (ja) 空燃比制御装置付気化器
JP2516764B2 (ja) 摺動絞弁式気化器
JPH0996260A (ja) 内燃機関の燃料拡散防止機構
KR200152689Y1 (ko) 저속 및 중속에서의 엔진 토크 향상 구조
KR100232474B1 (ko) 희박연소 엔진의 감속쇼크감쇄장치
JPS58206858A (ja) 燃料先行形lpg機関燃料システム
JPS61226559A (ja) 内燃機関の混合気制御装置
JPS581265B2 (ja) エンジンの排気ガス還流制御装置
JP2000110668A (ja) 気体燃料エンジン
JPH0642408A (ja) ベーパライザの調圧装置
JPS63100252A (ja) 車両用エンジンのアフタ−バ−ン防止装置
JPS63124855A (ja) Lpg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S632517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