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144U -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 Google Patents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144U
KR19990012144U KR2019970025099U KR19970025099U KR19990012144U KR 19990012144 U KR19990012144 U KR 19990012144U KR 2019970025099 U KR2019970025099 U KR 2019970025099U KR 19970025099 U KR19970025099 U KR 19970025099U KR 19990012144 U KR19990012144 U KR 199900121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amper
air
radiant tub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5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태
류영원
박진철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25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144U/ko
Publication of KR199900121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44U/ko

Links

Landscapes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라디안트튜브의 연소가스배출시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희석하도록 외부공기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도록 된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지지봉(16)을 고정하고, 다수개로 형성된 공기흡입구(20)의 개도는 외표면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개도조절통(22)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이루어져 일단부가 배가스덕트(160)의 희석공기인입구(164)측에 고정되는 본체(10)와, 일단부는 개방되고 일단부는 폐쇄된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부가 상기 본체(10)의 타단부측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개방부측의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32)는 상기 미끄럼지지봉(16)을 미끄럼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미끄럼구멍(3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봉수용부재(32)의 단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6)의 타단부가 본체(10)의 덕트장착플랜지(12)부에 고정되도록 된 덮개(30)로 이루어짐으로서, 연소가스의 희석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고, 폭발발생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며, 따라서 설비의 안정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설비수명의 연장이 가능한다.

Description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본 고안은 라디안트튜브의 연소가스배출시 외부공기를 혼합하여 희석하도록 외부공기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도록 된 라디안트튜브의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가스 덕트의 희석공기 인입구측에 장착되는 본체의 공기흡입구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는 개도조절통에 의하여 개폐하고, 폭발발생시 본체를 덮고 있도록 된 덮개가 탄성부재의 힘을 극복하면서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하고 다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함으로서, 연소가스의 희석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고, 폭발발생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며, 따라서 설비의 안정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설비수명의 연장이 가능한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설비중 소둔로는 냉간압연강판을 복사열을 이용하여 열처리함으로서 금속 재질을 결정하는 핵심설비이다. 이러한 소둔로(Annealing Furnace)는 강을 가열하여 압연조직을 재결정, 성장시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적절한 인성을 가진 조직으로 만드는 역할을 한다, 즉 로는 강의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연화시키기 위하여 탄소성분 및 첨가원소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진 온도에 따라 가열 시간을 충분히 유지한 다음 냉각하여 수요가가 원하는 금속의 재질을 만드는 것이다.
통상 소둔로의 구성 즉 열처리 순서는, 스트립 표면의 압연유 및 이물을 제거시키는 예열부와, 스트립의 온도를 급상승시키는 무산화로(Direct Fired Furnace), 스트립을 가열시키는 가열대, 가열된 스트립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키는 균열대, 스트립을 서서히 냉각시키는 서냉대, 스트립의 시효방지를 위한 과시효대, 및 급냉대로 이루어져 있다.
가열대와 균열대를 합하여 RTS(Radiant Tube Section)라고 한다.
이러한 RTS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용에 적절한 온도로 예열하여주는 열교환기(140)를 거쳐 300∼400℃ 정도로 예열된 공기와 연료가스(COG)를 연소하도록 된 주버너(120)와 그 주 버너(120)의 점화를 위한 파일롯트 버너(130)와에 의해서 가열된 분위기 가스의 대류 복사열에 의한 열전달으로 로를 가열하기 위한 라디안트튜브(110)와, 상기 라디안트튜브(110) 내에서 연소된 배가스를 대기로 방출시켜주는 배가스송풍기(미도시)와, 상기 배가스의 이동통로인 덕트(160)로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라디안트튜브(110)내에서 연소된 배가스는 희석공기인입구(164)를 통하여 인입되는 희석용 공기와 혼합 및 냉각되어 배가스배출구(1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는바, 이는 희석공기인입구(164)측에 설치되는 댐퍼를 미리 설정된 개도로 개방하고 이러한 댐퍼의 개도는 미리 설정된 흡입 유량에 부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배가스와 공기와의 희석은 배가스 성분중의 불순물 생성 억제와, 고부하상태에서 지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폐가스 온도상승 억제효과를 얻어 덕트의 부식을 방지하고 또한 라디안트튜브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불완전 연소되어 그에 의해 배가스 덕트내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RTS는 다수개의 구역으로 이루어지며 각 구역별로 주 버너와 파일롯트버너가 상당수씩 각각 설치되며, 희석용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된 흡입 공기 댐퍼도 라디안트튜브 후단부위에 각각 설치되어진다.
대개 라디안트식 가열장치에 대한 연소제어는 배가스팬의 석션압력인 송풍기의 회전수와 설정된 부(-)압에 의해 결정되어지며, 통입되는 공기량은 송풍기에 의하여 결정되어져 각 구역마다 미리 설정된 압력 즉 유량으로 대기의 20∼30℃ 정도의 공기가 열교환기를 거치면서 300∼400℃ 정도로 예열되어 연락관을 통하여 라디안트튜브내에 설치된 주 버너에 공급됨으로써 연료와 혼합 착화되어 연소된 폐열이 라디안트튜브를 통과하면서 복사열에 의하여 스트립을 소정의 목표온도로 가열한 후 통과한 연소가스는 배가스 덕트를 통하여 대기로 방출하게 된다.
이때 연소열의 열량 100%중 노내 복사열로 55%정도 사용되어지고, 배가스 덕트로 45%정도가 배출되어지며, 배가스덕트로 배출되는 열량의 15% 정도가 주 공기의 예열량으로 작용한다.
상기 희석공기 흡입댐퍼는 그 개도에 따라 희석공기의 흡입량이 변화되어지고, 흡입댐퍼의 개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는바, 우선 댐퍼의 개도가 적정수준보다 크게 설정되어 과도하게 개방됨으로서 흡입공기량이 증가한 경우, 배가스 송풍기의 석션(Suction)압의 상당한 정도가 흡입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사용되는 반면 적정한 수준보다 낮은 정도만이 연소된 배가스의 배출에 이용되는 관계로 라디안트튜브내의 연소된 배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라디안트튜브내에서 지체되어짐에 의하여, 과다한 열량으로 라디안트튜브의 산화를 유발하고, 주 버너에 사용되는 공기의 열교환온도를 증가시켜 배가스 중의 불순물 생성을 유발하며, 주버너에 역화발생을 유발하여 연소부에서의 그을음을 발생시켜 라디안트튜브내부에 퇴적물 생성을 유발하고, 폐가스 연소열의 정체는 또한 주 버너 착화버너인 파일롯트 버너의 역화발생으로 이어져 주 버너 소화에 따른 열량부족을 유발하며,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계속적인 고부하작업시 폐열의 뜨거운 온도와 주 버너 공급 공기의 접촉부위인 열교환기에서 응축수가 발생하여 열교환기 조기 부식의 원인이 되고, 연소열이 연소용 공기라인으로 역화되어 공기배관 적열 및 제어밸브 소손 등의 문제를 유발시키며, 또한 배가스 이동배관인 덕트가 적열되는 경우 차가운 외부 공기의 다량 유입으로 덕트 내부를 조기부식시키는 원인 제공을 하는 것이고,
다음에 댐퍼의 개도가 적정수준보다 작게 설정되어 너무 적게 개방됨으로서 흡입공기량이 감소한 경우, 배가스 송풍기의 석션압의 상당한 정도가 연소된 배가스의 배출에 사용되는 반면 적정한 수준보다 낮은 정도만이 흡입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사용되는 관계로 배가스 송풍기의 석션압력에 의하여 라디안트튜브 내부의 연소열이 과다하게 방출되어짐에 의하여, 진행강판을 적정하게 소둔하기 위한 온도범위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열량 부족이 발생되어지고, 배가스 이동배관의 적열발생으로 덕트연결관인 주름관의 조기부식 및 파공을 발생시키는 것이며, 불완전연소 발생시나 라디안트튜브 내부에 잔존 연료가 존재하였을 때 발생하는 폭발에 대한 완충역할을 제대로 해주지 못하여 라디안트튜브 찌그러짐, 덕트주름관과 배관의 변형, 열교환기의 크랙 발생 및 댐퍼밴딩(Banding)등 설비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제공을 하는 것이고, 고부하의 지속적인 작업시 배가스 이동관인 덕트의 과다적열을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배가스에 불순물 생성을 유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종래의 기술이 개시되고 있는바, 도 2a에 도시된 흡입공기 댐퍼는 대략의 원판형 댐퍼(170)의 상단부가 그 댐퍼(170)의 회전지지점 역할을 하는 고정보울트(172)에 의하여 그 개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어(미설명 부호 (171)은 댐퍼(170)의 개도 조절용 손잡이이다), 배가스 송풍기의 석션압에 의하여 대기 공기가 댐퍼의 궤도에 따라 양이 결정되어 많은 양과 소량 공기가 적정하게 흡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댐퍼궤도를 적정한 정도 개방한 후에 댐퍼(170)를 덕트(160)에 보울트(172)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하는 관계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 진동에 의하여 보울트(172)가 풀어져 댐퍼(170)가 중량에 의하여 개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적정한 양의 공기 흡입이 불가능하여 제반 문제점 등을 유발시키고, 라디안트튜브 내부에서의 공연비 불량으로 불완전연소 발생시나 연료가스의 잔존으로 주 버너 착화시 소형, 대형 폭발이 발생되는 경우 폭발압을 극복하지 못하여 댐퍼의 고정 보울트 부위에 굽힘변형등이 발생하거나 라디안트튜브의 찌그러짐, 배가스 덕트의 주름관 파공등 설비손상의 문제점을 유발시켜 댐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은 흡입공기 댐퍼(180)는 일측에 개도조절용 손잡이(181)를 갖추고 상하단부의 각각에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직선의 슬릿형 홈(182)을 형성하여 그 홈(182)을 통해 보울트부재(184)가 체결됨으로서 보울트부재(184)를 풀어 손잡이(181)를 이용하여 개도를 조절한 후 다시 보울트부재(184)를 조여 그 개도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는 석션압에 의해 댐퍼 궤도 수정시 미세조정이 불가능하고 라디안트튜브내 폭발 발생시에도 댐퍼 완충역할을 담당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수직상태에서 약간을 경사를 형성하도록 설치되어 중량에 의하여 덕트와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조리개 형식으로 개도를 조절하도록 되어 있는 또다른 흡입공기 댐퍼가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공기의 흡입유량 제어가 용이하나 너트부재의 고정이 항상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문제점과 좁은 설비의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라디안트튜브 내부 폭발시 댐퍼가 개방되면서 회전하여 주변의 다른 설비와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에 의해 손상되는 것은 물론 단지 중량만에 의하여 공기흡입부를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하고 안정적인 폐쇄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디안트튜브의 연소가스를 희석하여 배출하기 위한 공기의 흡입량 조절이 용이하고 폭발발생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설비의 안정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설비수명의 연장을 이룰 수 있도록 된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소둔로 가열설비인 라디안트튜브와 그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비개략도
도 2a 및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흡입공기용 댐퍼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가 라디안트튜브설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6 ... 미끄럼지지봉
19 ... 패킹부재
20 ... 공기흡입구
22 ... 개도조절통
30 ... 덮개
32 ... 지지봉수용부재
36,38 ... 탄성부재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라디안트튜브의 배가스덕트에 설치되어 연소가스 희석용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내부폭발발생에 의한 고압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된 댐퍼에 있어서, 내부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지지봉을 고정하고, 다수개로 형성된 공기흡입구의 개도는 외표면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개도조절통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이루어져 일단부가 배가스덕트의 희석공기인입구측에 고정되는 본체와, 일단부는 개방되고 일단부는 폐쇄된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부가 상기 본체의 타단부측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개방부측의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는 상기 미끄럼지지봉을 미끄럼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미끄럼구멍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봉수용부재의 단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의 타단부가 본체의 덕트장착플랜지부에 고정되도록 된 덮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소둔로의 가열대와 균열대(RTS)에서 배가스 덕트로 흡입되어지는 대기 공기의 유량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불완전연소로 라디안트튜브 내부 폭발시 충분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도록 된 흡입공기댐퍼로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1)를 도시한 단면구성도이다.
이는 라디안트튜브의 연소가스가 배출하는 배가스 덕트의 댐퍼장착부에 장착되어질 수 있도록 덕트장착플랜지(12)를 형성한 대략의 중공파이프형상으로 된 본체(10)를 갖추며, 이러한 본체(10)의 덕트장착플랜지(12)측에는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된 지지대(14)를 설치하여 그 중앙부, 즉 본체(10)의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된 관통구멍(15)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멍(15)에는 미끄럼지지봉(16)이 고정되어 타단부측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미끄럼 지지봉(16)에는 본체(10)의 타단부측 플랜지(18)부의 외측으로 장착되도록 된 덮개(30)가 연결되는바, 상기 덮개(30)는 그 단면이 대략의 U자형으로 형성된 일단이 폐쇄된 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져 개방된 부분의 내표면이 플랜지(18)의 외표면과 접촉하는 상태로 미끄럼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부분에서의 기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플랜지(18)의 외표면 원주방향에 연속하여 패킹부재(19)를 장착함으로서 그 플랜지(18)와 덮개(30)의 결합부위에서의 기체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30)의 내측 바닥의 중앙부에 일체로 고정되어 본체(10)의 지지대(14)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도록 된 지지봉 수용부재(32)는 그 중앙부를 길이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미끄럼지지봉(16)을 수용하는 미끄럼구멍(34)을 형성함으로서 덮개(30)가 미끄럼지지봉(16)을 따라 미끄럼가능하도록 하고, 이러한 덮개(30)와 상기 본체(10)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 후술하는 바와같이 폭발에 의하여 튕겨져 나간후 복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된 코일스프링형 탄성부재(36)가 갖추어져 일단부는 지지대(14)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봉수용부재(32)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8)측 단부와 덮개(30)와의 사이에도 코일스프링형 탄성부재(38)가 다수개 설치됨으로서 상기 덮개(30)가 폭발시 본체(10)로부터 튕겨져나가 복귀하는 경우에 충격력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외부 공기를 덕트측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인 공기흡입구(20)를 다수개 갖추는바, 이러한 공기흡입구(20)는 본체(10)의 외표면에 일정길이 형성된 나사형성부(11)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됨으로서 그 나사형성부(11)를 길이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개도조절통(22)에 의하여 개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당연하지만 상기 개도조절통(22)은 본체(1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의 내경크기를 갖도록 된 중공원통형 부재로 이루어지고 그 내표면에는 상기 나사형성부(1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암나사산(23)을 형성하고 그 길이는 상기 공기흡입구(20)를 모두 폐쇄할 수 있는 정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본체(10)의 외표면에는 개도조절통(22)의 회전이동에 의하여 공기흡입구(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경우에 그 개도정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눈금을 새겨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댐퍼(1)를 배가스덕트(160)에 장착한 상태를 도 4에 도시하며, 이는 덕트장착플랜지(12)부가 배가스덕트(160)의 희석공기인입구(164)측으로 장착되어짐을 보이고, 이러한 댐퍼(1)의 기능은 희석공기흡입제어와 방폭밸브로서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즉, 개도조절통(22)을 회전하여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고 또한 그러한 이동시에 공기흡입구(20)의 개도를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각 구역의 라디안트튜브 후단부에 부여된 공기 유입량 조절이 용이하고, 따라서 해당 구역의 모든 버너에 대한 개도율을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서 어느 하나의 배가스 덕트가 적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각 버너에 걸리는 배가스 석션압력편차에 따라 버너 개개에 대한 개도율을 용이하게 설정하여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주 버너 착화시나 라디안트튜브 내부에 연료가 잔존하는 경우 또는 불완전연소 발생시 폭발이 발생하게 되면, 그러한 폭발에 의하여 덮개(30)가 힘(정(+)압)을 받게 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덮개(30)는 미리 적정한 정도로 설정된 탄성계수를 가지도록 된 탄성부재(36)를 인장시키면서 본체(1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본체(10)의 플랜지(18)측 단부를 개방하여 압력을 외부로 일시에 방출하도록 하고, 그러한 압력의 방출이 완료되어지면 인장되어 있던 탄성부재(36)의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덮개(30)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본체(10)의 플랜지(18)측 단부를 폐쇄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복원작동시 덮개(30)와 본체(10)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탄성부재(38)가 충격력을 완화함으로서 덮개(30)가 본체(10)에 강한 타격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에 의하면, 배가스 덕트의 희석공기 인입구측에 장착되는 본체의 공기흡입구를 나사결합에 의하여 체결되는 개도조절통에 의하여 개폐하고, 폭발발생시 본체를 덮고 있도록 된 덮개가 탄성부재의 힘을 극복하면서 개방되어 압력을 배출하고 다시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함으로서, 연소가스의 희석을 위하여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고, 폭발발생시 설비의 파손을 방지하며, 따라서 설비의 안정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과 설비수명의 연장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Claims (4)

  1. 라디안트튜브(110)의 배가스덕트(160)에 설치되어 연소가스 희석용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내부폭발발생에 의한 고압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된 댐퍼에 있어서,
    내부중앙에 길이방향으로 미끄럼지지봉(16)을 고정하고, 다수개로 형성된 공기흡입구(20)의 개도는 외표면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개도조절통(22)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이루어져 일단부가 배가스덕트(160)의 희석공기인입구(164)측에 고정되는 본체(10)와,
    일단부는 개방되고 일단부는 폐쇄된 중공원통형으로 이루어져 개방부가 상기 본체(10)의 타단부측을 감싸도록 장착되고, 내부 중앙에 고정되어 개방부측의 외부로 일정길이 연장형성된 지지봉수용부재(32)는 상기 미끄럼지지봉(16)을 미끄럼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미끄럼구멍(34)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봉수용부재(32)의 단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36)의 타단부가 본체(10)의 덕트장착플랜지(12)부에 고정되도록 된 덮개(3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8)측 단부와 덮개(38)와의 사이에는 덮개(30)의 복귀동작시 본체(10)와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부재(3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플랜지(18)측 외표면에는 패킹부재(19)를 장착하여 본체(10)와 덮개(30)의 장착부위에서의 기체누설을 방지함으로서 흡입공기의 유량조절의 정확도를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외표면에는 개도조절통(22)의 이동에 따른 공기흡입구(20)의 개도를 나타내는 눈금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KR2019970025099U 1997-09-03 1997-09-03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KR199900121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99U KR19990012144U (ko) 1997-09-03 1997-09-03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5099U KR19990012144U (ko) 1997-09-03 1997-09-03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44U true KR19990012144U (ko) 1999-04-06

Family

ID=69689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5099U KR19990012144U (ko) 1997-09-03 1997-09-03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14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76B1 (ko) * 2001-12-22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냉각장의 에어 공급량 조절장치
KR200476303Y1 (ko) * 2013-07-31 2015-02-16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076B1 (ko) * 2001-12-22 2008-01-28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냉각장의 에어 공급량 조절장치
KR200476303Y1 (ko) * 2013-07-31 2015-02-16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91830A1 (en) Flameless oxidation burner
US4062343A (en) Tube firing burner
KR970011046B1 (ko) 가스조리기의 온도상승방지 구조
KR19990012144U (ko) 라디안트튜브의 흡입공기 제어용 댐퍼
KR100426046B1 (ko) 화목보일러의 버너부 구조
KR100380732B1 (ko) 선회기를갖는소둔로용주버너
JP3823403B2 (ja) ラジアントチューブバーナ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910003268B1 (ko) 증기발생장치가 부착된 가스오븐
KR200260897Y1 (ko) 공기조절변을 갖춘 화염직진형 3단 연소버너
KR100470653B1 (ko) 소둔로의 버너 점화장치
KR100376526B1 (ko) 소둔로용2단연소형주버너
KR200332914Y1 (ko) 소둔로의 메인버너 점화용 파이롯트 버너
KR100321026B1 (ko) 소둔로 가열용 2단 연소버너
KR100334581B1 (ko) 소둔로연소배가스의냉각장치
JPH0526408A (ja) ラジアントチユ−ブバ−ナ−及びその燃焼法
KR100321027B1 (ko) 라디안트튜브의 3단 연소버너
JPH0745549Y2 (ja) 画付窯用水蒸気吹込装置
JPS6238410B2 (ko)
EP1094275A1 (en) Valve for recirculating combustion gas ducts
SU10149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ушки и разогрева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ей
KR950003880Y1 (ko) 라디안트 튜브(Radiant Tube) 버너용 가스연료 분사노즐
KR100882115B1 (ko) 출력조절이 자유로운 2중관형 열처리버너
US1632143A (en) Oil-meed kiln
US2491704A (en) Cover-type furnace with open-flame burner and depending baffle for directing and spreading flame
KR19990040394U (ko) 소둔로용 점화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