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076A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12076A KR19990012076A KR1019970035351A KR19970035351A KR19990012076A KR 19990012076 A KR19990012076 A KR 19990012076A KR 1019970035351 A KR1019970035351 A KR 1019970035351A KR 19970035351 A KR19970035351 A KR 19970035351A KR 19990012076 A KR19990012076 A KR 1999001207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stick
- cosmetic composition
- cake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고융점의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수소화(hydrogenation)하여 얻은, 요오드가가 0.0~3.0이고, 융점이 55~100℃인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로 대체하여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경도유지를 위하여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을 사용함으로써, 실온에서 결정 형태로 유지되어 계의 열안정도가 증가하여 지용성 영양성분의 함유량을 극대화하여 안정화시킬 수 있으며, 피부 도포시 체온과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결정구조가 일시적으로 깨지거나 유동성을 나타내어 지용성 영양성분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고융점의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수소화(hydrogenation)하여 얻은, 요오드가가 0.0~3.0이고, 융점이 55~100℃인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로 대체하여 사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의 경도 유지를 위하여, 종래 고융점을 지닌 모노에스테르계나 포화탄화수소계(파라핀계) 왁스류를 사용하여 왔다. 구체적인 예로는 칸데릴라 왁스, 카나우바 왁스, 오조케라이트, 파라핀계 왁스, 밀납 등을 들 수 있다. 칸데릴라 왁스나 카나우바 왁스의 경우, 그 주성분으로는 장쇄형의 알킬 사슬을 갖는 모노에스테르가 60~80%를 차지하며, 그외 지방산, 락톤, 트리글리세라이드, 검(gums) 등의 다성분이 혼재해 있어 경시변화에 의해 불균일한 왁스구조의 변형을 수반함으로써 계의 안정성이 결여된다. 또한, 파라핀계 왁스나 밀납의 경우 피부에 대한 밀착력 보다는 이형성이 강하여 사용성이 불량하다.
정리하면, 경도유지를 위하여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를 처방한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는, (1) 왁시함이 강하게 나타나 사용성이 뻑뻑하고, 따라서 색상표현이 약하고 고르지 못하며; (2) 경시변화에 따라 내용물 표면에 하얗게 가루짐(백탁현상)이 강하게 나타나며; (3) 제품 표면에 오일이 땀과 같이 유출되는 발한현상이 나타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사용성 불량이나 계의 불안정성은 모노에스테르계나 파라핀계 왁스가 비결정구조의 계를 형성하기 때문이며, 따라서 상용성이 불량하고, 경시변화에 따라 구성성분들이 내용물 전체에 비편재화되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왁스를 처방한 화장료의 계(system)의 불안정성은, 사용성의 불량이나 백탁현상 또는 발한현상을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의 경도유지를 위하여 사용되어 온 종래의 고융점의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를 대체할 수 있으며, 경시변화에 따른 계의 안정성이 우수하여 사용성이 우수하고,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이 없이 견고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하여 왔다. 종래 경도유지용 왁스의 경우 성분이 균일치 못한 다성분계이므로, 이에 반하여 거의 단일 성분계(95±3%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을 경도유지용으로 처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사용성이나 경시변화에 따른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의 발생유무를 검증하게 되었다. 그 결과, 천연 동,식물성 유래의 지방이나 오일을 수소첨가시켜 요오드가가 0.0~3.0이고, 융점이 55~100℃로 되도록 결정화하여 얻은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을 경도유지용으로 처방하는 경우, 목적한 바와 같이 사용성이 우수하고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이 없이 견고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용성 영양성분들의 함유량을 극대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성이 우수하고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이 없이 견고한 경도를 유지할 수 있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은, 경도 유지를 위하여 천연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을 완전 수소첨가시켜 얻은 요오드가가 0.0~3.0이고, 융점이 55~100℃인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동, 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은, 대부분 트리글리세라이드가 95±3%를 차지하고 있으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부분의 대부분은 상당히 불포화도가 높다. 불포화도는 식물성 오일의 경우가 더 심하다. 구체적인 예로는, 천연 면실유의 경우 그의 요오드가가 130~134이며, 대두유의 경우 125~135이다. 이러한 요오드가가 높은 불포화 결합물질은 구조적으로 무질서한 형태로 나타난다.
또한, 일반 화장료에 사용되고 있는 부분 경화유는 그의 요오드가가 3.0~150의 범위로 대단히 넓고, 융점이 28~45℃로 체온근방으로 낮아, 체온 근방에서 녹음에 의해 사용성 개선을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경도유지용으로는 사용될 수 없다.
즉, 천연의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 또는 이들의 부분 포화된 경화유의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의 지방산 부분의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이 존재하여 선형성(linear) 구조가 되지 못하고 굽어서 많은 공간을 구조 내부에 갖게 된다. 그러나 완전 수소첨가된(즉, 요오드가 0.0~3.0)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경우 거의 모든 이중결합이 수소원자로 포화됨으로써 3가지의 지방산 부분이 거의 모두 균일하게 선형성 구조를 이루어 그의 스택킹(stacking)이 현저하게 좋아진다. 이로 인하여 그 결정성이 현저히 강화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완전 수소첨가된 트리글리세라이드는 요오드가의 변화, 스택킹의 증가, 결정성의 증가에 따라 부분 포화된 경화물과는 전혀 다른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 :
(1) 입체 이성질체적인 화학적으로 전혀 다른 구조의 물질로 변화한다,
(2) 특이취가 상당히 감소한다,
(3) 그 융점이 55~100℃로 대폭 상승하여 왁스를 대체하여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에서 경도 유지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해진다,
(4) 이중결합이 거의 소멸함으로써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대폭 강화되었다.
(5) 색상이 탁하지 않고 투명성이 증가된다,
(6) 지방의 결정구조가 안정되고, 지용성 영양성분과의 상용성이 양호하여 지용성 영양성분의 함유량을 안정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증가된 결정성에 의해 열안정도가 증가된다. 트리글리세라이드의 결정구조는 요오드가가 0.0~3.0 범위에서 그 결정화 에너지가 크게 증가되기 때문에, 이러한 결정구조를 파괴하기 위해서는 결정화 에너지 만큼의 에너지를 가해주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열안정도가 증가되는 반면, 피부도포시에는 체온과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결정구조가 일시적으로 깨지거나 유동성을 나타내어 지용성 영양성분의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의 경도 유지를 위하여, 완전 수소첨가시킨, 즉 요오드가가 0.0~3.0인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50중량%의 양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의 천연의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의 구체적인 예로는, 동물성으로 탈로우(tallow), 버터(butter), 라드(lard) 등이 있으며, 식물성으로는 마카다미아(macadamia), 아마씨유(linseed oil), 피마자유(castor oil), 대두유(soybean oil), 팜유(palm oil), 해바라기씨유(sunflowerseed oil), 평지씨유(rapeseed oil), 야자유(coconut oil), 팜인유(palm kernel oil), 땅콩유(ground nut oil), 면실유(cottonseed oil)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처방에서와 같이 체온 근방에서의 피부 도포시 우수한 피부 친화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요오드가가 3.0~150인 부분 포화된 경화유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0~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피부밀착과 친화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라놀린계 유도체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10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그외, 영양물질로서의 지용성 비타민류, 구체적으로는 비타민 A, D, E 및 K군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20중량% 및 안료를 10~65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며, 기타 수지류, 영양성분, 방부제, 향료 등의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립스틱, 아이브라우펜슬, 립라이너펜슬, 아이라이너펜슬, 섀도펜슬, 스킨커버, 커버스틱, 아이섀도, 마스카라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성 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1 | 2 | 3 | |
1. 칸데릴라 납2. 카나우바 납3. 오조케라이트4. 면실경화유(요오드가=1.5)5. 대두경화유(요오드가=1.5)6. 마카다미아 경화유(요오드가=1.0)7. 수소첨가된 탈로우(요오드가=1.0)8. 천연 면실유(요오드가=130)9. 천연 대두유(요오드가=131)10. 천연 마카다미아유(요오드가=129)11. 팜 부분경화유(요오드가=30.0)12.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13. 메틸폴리실록산14. 안료15. 비타민 A(레티놀)16. 비타민 D(스테로이드류)17. 비타민 E(토코페롤류)18. 비타민 K(메나키논)19.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20. 향료 | ---8.0-2.0----45.05.0-35.00.20.20.20.2적량적량 | 5.05.02.5-8.0-----35.04.5-35.00.20.20.20.2적량적량 | ------15.0---40.05.0-35.00.20.20.20.2적량적량 | 5.010.05.0-------35.04.01.035.00.20.20.20.2적량적량 | 5.05.0-----8.0-2.035.05.0-35.00.20.20.20.2적량적량 | 5.05.02.5-----8.0-35.04.5-35.00.20.20.20.2적량적량 |
제조공정
(1) 성분 1~13을 85℃로 용융한 후, 여기에 성분 15~20을 넣어 아지믹싱(azi-mixing)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용융된 액을 85℃ 온도에서 호모믹싱을 실시하면서, 성분 11의 안료를 서서히 투입한 후, 30분 동안 호모믹싱하였다.
(3) 가열된 3단 롤밀을 이용하여 3회 이상 내용물을 롤밀한 후, 몰드에 부어 스틱 및/또는 케익형 화장료를 각각 50개씩 제조하였다.
시험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각각의 제품을 항온조(37℃, 45℃) 및 실온에 방치하여 그 경시변화를 관찰, 기록하였고, 화장을 매일하는 20~30대의 직장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피부 및 입술에 아침 저녁으로 도포하도록 하여, 하기 표 1에서와 같이 품평결과를 얻었다.
평가항목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백탁현상방지효과 | ◎ | ○ | ◎ | × | △ | △ |
발한현상 방지효과 | ◎ | ○ | ◎ | △ | △ | △ |
열안정성 | ◎ | ◎ | ◎ | × | △ | △ |
사용성 | ◎ | ○ | ◎ | △ | × | × |
지속력 | ○ | ◎ | ○ | ○ | × | × |
색감표현 | ◎ | ○ | ◎ | ○ | × | × |
평가기준 | 열안정성(백탁현상, 발한현상) | 관능검사(사용성, 지속력, 색감표현) | ||||
◎○△× | 우수양호보통불량 | 발생율 : 3/50 이하10/50 이하18/50 이하25/50 이상 | 시험자의 95% 이상이 좋다라고 평가시험자의 80% 이상이 좋다라고 평가시험자의 65% 이상이 좋다라고 평가시험자의 50% 이상이 좋지않다라고 평가 |
분석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 제품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고융점의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의 일부(실시예 2의 경우) 또는 전부(실시예 1, 3의 경우)를, 완전 수소첨가된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요오드가 : 0.0~3.0)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면에서 탁월하며, 사용성 등에 있어서도 뻑뻑함(waxy)이 없어 색상표현이 고르며, 오일의 유출이 없어 지속성이 우수하다.
이에 반하여, 천연 오일의 경우 열안정성 면에서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이는 천연 오일이 거의 단일성분으로 구성되었지만, 불포화도가 높아 구조적으로 무질서한 형태를 나타내며, 그 만큼 스택킹 및 결정성이 불량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제품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온 고융점의 모노에스테르계 또는 파라핀계 왁스의 일부 또는 전부를, 완전 수소첨가된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요오드가 : 0.0~3.0)로 대체하여 사용함으로써, 백탁현상이나 발한현상이 발생하지 않고 열안정성 면에서 탁월하며, 사용성 등에 있어서도 뻑뻑함(waxy)이 없어 색상표현이 고르며, 오일의 유출이 없어 지속성이 우수한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경도 유지를 위하여 천연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을 완전 수소첨가시켜 얻은 요오드가가 0.0~3.0이고, 융점이 55~100℃인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천연의 동,식물성 지방이나 오일은, 탈로우(tallow), 버터, 라드(lard), 마카다미아(macadamia), 아마씨유, 피마자유, 대두유, 팜유, 해바라기씨유, 평지씨유, 야자유, 팜인유, 땅콩유 및 면실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트리글리세라이드 경화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5~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비타민 A, 비타민 D, 비타민 E 및 비타민 K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지용성 비타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20중량%의 양으로 더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제 1항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아이브라우펜슬, 립라이너펜슬, 아이라이너펜슬, 섀도펜슬, 스킨커버, 커버스틱, 아이섀도 또는 마스카라의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351A KR19990012076A (ko) | 1997-07-26 | 1997-07-26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35351A KR19990012076A (ko) | 1997-07-26 | 1997-07-26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12076A true KR19990012076A (ko) | 1999-02-25 |
Family
ID=6604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35351A KR19990012076A (ko) | 1997-07-26 | 1997-07-26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9001207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8595B2 (en) | 2010-12-30 | 2019-01-29 | Mary Kay Inc. |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
-
1997
- 1997-07-26 KR KR1019970035351A patent/KR1999001207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88595B2 (en) | 2010-12-30 | 2019-01-29 | Mary Kay Inc. |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
US10842733B2 (en) | 2010-12-30 | 2020-11-24 | Mary Kay Inc. |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
US11857667B2 (en) | 2010-12-30 | 2024-01-02 | Mary Kay Inc. | Multi-purpose cosmetic composition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782997B2 (en) | Fat compositions | |
US5011680A (en) | Solid cosmetic preparation | |
JPH08501454A (ja) | 表面処理組成物 | |
CA2071365A1 (en) | Cosmetic composition | |
CN103735431A (zh) | 棒状唇膏 | |
CN110087631A (zh) | 矿脂替代品制剂 | |
EP0046723A1 (en) | Isomerization of jojoba oil, products thereof and resultant compositions | |
EP0547897A2 (en) | Cosmetic composition | |
CN102014855A (zh) | 棒状化妆材料、棒状化妆品及它们的制造方法 | |
US7150784B2 (en) | Pigment-containing gel mass vased on lipids | |
KR101740980B1 (ko) | 초콜릿 립스틱 | |
KR19990012076A (ko) | 스틱형 또는 케익형 화장료 조성물 | |
CN108721146A (zh) | 抑制乳木果脂在唇膏中结晶析出的组合物及含有该组合物的润唇膏 | |
KR101684676B1 (ko) | 입술 화장료 조성물 | |
JP7251768B2 (ja) | 油性固形毛髪化粧料 | |
US20050118212A1 (en) | Lipid-bearing cosmetic preparation | |
FR3122333A1 (fr) | Composition solide comprenant au moins deux cires polaires hydrocarbonées, une huile polaire non volatile hydrocarbonée et son utilisation | |
KR20220119632A (ko) | 유성 고형 화장료 | |
JPS61210017A (ja) | 固型化粧料 | |
JPH0672087B2 (ja) | 固型化粧料 | |
JP2005247776A (ja) | 液状口唇化粧料 | |
JPH04117317A (ja) | 唇用組成物 | |
JP6913748B2 (ja) | 皮膚温度感応型油脂組成物及び化粧料組成物 | |
JPH0533923B2 (ko) | ||
JP2008222673A (ja) | 油性化粧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