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630U -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630U
KR19990011630U KR2019970033933U KR19970033933U KR19990011630U KR 19990011630 U KR19990011630 U KR 19990011630U KR 2019970033933 U KR2019970033933 U KR 2019970033933U KR 19970033933 U KR19970033933 U KR 19970033933U KR 19990011630 U KR19990011630 U KR 199900116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audio
unit
output
micro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3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동준
Original Assignee
노동준
주식회사 엘콤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동준, 주식회사 엘콤통신 filed Critical 노동준
Publication of KR19990011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630U/ko

Links

Abstract

개시된 무선 송수신장치는 오디오 기기에 송신장치를 연결하여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송신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송수신장치는 오디어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송신장치에서 변조되어 송신된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출력단자에 연결된 헤드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청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본 고안은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디오 기기에 송신장치를 연결하여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송신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 등의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기기내의 스피커 또는 오디오 기기에 접속된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통해 청취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오디오 기기에서 재생되는 음악 등의 오디오신호를 유선의헤드폰이나 이어폰이 미치지 않는 비교적 근거리에서 청취하기 위해서 적외선을 이용한 무선헤드폰이 개발되어 코드선 없이 자유롭게 외부소음 및 전기적 잡음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음질의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수m∼수십m의 무선헤드폰의 가용범위 내에서 자유로이 움직이면서 오디오기기를 통해 출력되는 음악 등을 청취하면서 다른 일도 함께 병행하여 작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 등의 오디오신호를 근거리에서 청취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헤드폰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기존의 유선헤드폰이나 유선이어폰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악 등의 오디오신호를 먼 거리에서 청취하기 위해서는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높여야 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에게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 기기에 송신장치를 연결하여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송신장치와 근거리에 위치한 수신장치로 수신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의 결합상태와 분리 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신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송신장치101 : 제 1 레벨조정부
102, 103 : 프리 엠퍼시스부104 : 밸런스 조정부
105 : 마이크 증폭부106 : 제 2 레벨조정부
107 : 발진부108 : 송신용 제어부
109 :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110 : 키입력부
200 : 수신장치201 :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
202 : 국부 발진부203 : 대역필터부
204 : 수신용 제어부205 : FM 검파부
206 : 고역 보상부207 : 스위칭부
208 : 오디오신호 뮤트부209, 210 : 디 엠퍼시스부
211 : 음량조절부212 : 전력증폭부
213 : 출력단자300A : 스피커
300B : 헤드폰300C : 이어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는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장치와, 송신장치에서 변조되어 송신된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출력단자에 연결된 헤드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와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의 결합상태와 분리상태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장치(100)는 오디오 기기(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연결되어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한다.
수신장치(200)는 송신장치(100)로부터 변조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이를 수신장치(200)에 연결된 헤드폰 또는 이어폰(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통해 출력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송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레벨조장부(101)는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며, 스테레오 모드인 경우 좌우 채널로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한다.
프리 엠퍼시스부(102)(103)는 제 1 레벨조정부(101)에서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출력된 오디오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부분의 신호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높은 주파수에 변조가 강하게 걸리도록 한다.
밸런스 조정부(104)는 프리 엠퍼시스부(102)(103)를 통해 고역 부분이 강조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의 좌우 밸런스를 조정하여 출력한다.
마이크 증폭부(105)는 송신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될 때 이 음성입력신호의 레벨을 증폭한다.
제 2 레벨조정부(106)는 후술되는 송신용 제어부(108)의 제어신호에 따라 마이크 증폭부(105)를 통해 증폭된 음성입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발진부(107)는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 등의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발진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송신용 제어부(108)에 인가시킨다.
송신용 제어부(108)는 발진부(107)에서 인가된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한다.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201)는 송신용 제어부(108)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주파수 동조 및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한 후 이를 수신장치(200)로 출력한다.
키입력부(110)는 송신장치(1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마이크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 키를 입력시키면, 송신용 제어부(108)에서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를 차단하고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수신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201)는 송신장치(100)에서 변조되어 송신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동조 및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여 후술되는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시킨다.
국부 발진부(202)는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여 후술되는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시킨다.
대역필터부(203)는 후술되는 수신용 제어부(204)의 FM 믹서(도시되어 있지 않음)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중간주파수(Intermediate Frequency)를 필터링하여 수신용 제어부(204)에 다시 인가시킨다.
수신용 제어부(204)는 상술한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201)로부터 입력된 고주파수 신호를 증폭하고, 이 증폭된 고주파 신호와 국부 발진부(202)에서 인가된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하여 10.7KHz의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며, 대역필터부(203)를 통해 필터링된 중간주파수를 FM 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증폭시킨다.
또한 수신용 제어부(204)는 후술되는 FM 검파부(205)에서 검파된 오디오신호를 복조·증폭시키고, 스테레오 모드인 경우 내부의 디코더(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좌우 채널로 분리시켜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FM 검파부(205)는 주파수 변별회로(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상술한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증폭된 중간주파수의 오디오신호를 검파하여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시킨다.
고역 보상부(206)는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의 증폭도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높은 주파수대 까지 고른 증폭 특성을 얻도록 하여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시킨다.
스위칭부(207)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원의 온/오프 및 모노/스테레오 모드변경 신호를 수신용 제어부(204)에 제공한다.
오디오신호 뮤트부(208)는 송신장치(100)에서 송신된 고주파 신호의 레벨이 아주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에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킨다.
디 엠퍼시스부(209)(210)는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고역 부분을 낮추어 잡음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디 엠퍼시스부(209)(210)를 통해 오디오신호의 고역 부분을 낮추는 이유는 송신장치(100)에서 신호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고역 부분은 강조하여 송신하였기 때문이다.
전력증폭부(212)는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단자(213)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을 통해 출력시킨다.
도 3의 도면부호 설명중 미설명 부호 211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는 음량조절부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송수신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장치(200)의 출력단자에 유선의 스피커(300A), 헤드폰(300B) 미 이어폰(300C)이 각각 연결되어 사용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100)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가 송신장치(100)의 송신용 제어부(108)를 통해 주파수 변조되어 출력된다.
이렇게 송신장치(100)에서 변조되어 송신된 고주파 신호를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201)에서 입력받아 주파수 동조 및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여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시킨다.
그리고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해서 국부 발진부(202)에서 국부발진신호가 발생되어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201)로부터 입력된 고주파 신호는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증폭되고, 수신용 제어부(204)에서는 이 증폭된 고주파 신호와 국부 발진부(202)에서 인가된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하여 10.7KHz의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킨다.
이제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변환되어 출력된 중간주파수는 대역필터부(203)에서 필터링된 후 수신용 제어부(204)에 다시 인가된다.
수신용 제어부(204)에서는 대역필터부(203)를 통해 필터링된 중간주파수를 FM 복조를 수행할 수 있도록 증폭시킨다.
이렇게 증폭된 중간주파수는 FM 검파부(205)의 주파수 변별회로를 통해 검파되어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되며, 수신용 제어부(204)에서는 검파된 오디오신호를 증폭시킨다.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증폭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고역 보상부(206)에 인가되어 증폭도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주파수대 까지 고른 증폭 특성을 얻도록 보상되어 수신용 제어부(204)에 인가된다.
고역 보상부(206)를 통해 수신용 제어부(204)에 입력된 오디오신호는 내부의 디코더를 통해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출력된다.
수신용 제어부(204)에서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디 엠퍼시스부(209)(210)에 각각 인가되어 고역 부분을 감쇄하여 잡음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처럼 디 엠퍼시스부(209)(210)를 통해 좌우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의 고역 부분을 낮추는 이유는 송신장치(100)에서 신호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고역 부분을 강조하여 송신하였기 때문이다.
디 엠퍼시스부(209)(210)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전력증폭부(212)에 인가되고, 전력증폭부(212)에서 전력 증폭되어 출력단자(213)에 연결된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을 통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신동작중 송신장치(100)에서 송신된 고주파 신호의 레벨이 아주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에는 오디오신호 뮤트부(208)에서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다른 무선 송신장치 및 수신장치를 오디오 기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개인용 컴퓨터 등 오디오/비디오(A/V) 시스템이 구비된 모든 기기에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에 의하면, 오디오 기기 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 등의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수신받음으로써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면서 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유선의 헤드폰, 이어폰 및 스피커 등을 수신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무선의 헤드폰, 이어폰 및 스피커로 전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오디어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에서 변조되어 송신된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를 수신받아 복조한 후 출력단자에 연결된 헤드폰, 이어폰으로 출력하는 수신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재생출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하고, 좌우 채널로 오디오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제 1 레벨조정부;
    상기 제 1 레벨조정부에서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의 주파수가 높은 부분의 신호잡음비를 개선하기 위해 높은 주파수에 변조가 강하게 걸리도록 하는 프리 엠퍼시스부;
    상기 프리 엠퍼시스부를 통해 고역 부분이 강조되어 출력된 오디오신호의 좌우 밸런스를 조정하는 밸런스 조정부;
    송신장치에 구비된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마이크 증폭부;
    상기 마이크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음성입력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제 2 레벨조정부;
    상기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발진신호를 생성하는 발진부;
    상기 발진부에서 인가된 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 출력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한 음성입력신호의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송신용 제어부;
    상기 송신용 제어부에서 변조된 오디오신호의 주파수 동조 및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 및
    송신장치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마이크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 키를 입력시키면, 상기 송신용 제어부에서 오디오 기기를 통한 재생출력신호를 차단하고 마이크를 통한 사용자의 음성입력신호를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키입력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주파수 동조 및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
    주파수 변환을 하기 위한 국부발진신호를 생성하는 국부 발진부;
    상기 주파수 동조 및 매칭부와 상기 국부 발진부에서 각각 인가된 고주파 신호와 국부발진신호를 이용하여 중간주파수로 변환시키며, 좌우 채널로 분리시켜 오디오신호를 츨력하는 수신용 제어부;
    주파수 변별회로를 통해 상기 수신용 제어부에서 증폭된 중간주파수의 오디오신호를 검파하는 FM 검파부;
    상기 수신용 제어부에서 증폭된 오디오신호의 증폭도 저하를 방지하고, 높은 주파수대 까지 고른 증폭 특성을 얻도록 하는 고역 보상부;
    사용자에 의해 전원의 온/오프 및 모노/스테레오 모드변경을 조작하는 스위칭부;
    상기 송신장치에서 송신된 고주파 신호의 레벨이 아주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 오디오신호를 뮤트시키는 오디오신호 뮤트부;
    상기 수신용 제어부에서 좌우 채널로 분리되어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고역부분을 낮추어 잡음을 감소시키는 디엠퍼시스부; 및
    상기 디엠퍼시스부에서 출력된 오디오신호를 전력 증폭하여 출력단자에 연결된 스피커나 이어폰을 통해 출력시키는 전력증폭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KR2019970033933U 1997-08-20 1997-11-26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KR1999001163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22548 1997-08-20
KR201997022548 1997-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630U true KR19990011630U (ko) 1999-03-25

Family

ID=6967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3933U KR19990011630U (ko) 1997-08-20 1997-11-26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63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814A (ko) * 1999-12-29 2000-03-06 최동수 디지털 음원 재생기를 내장한 헤드폰 세트및 그 구동 방법
KR20000074135A (ko) * 1999-05-18 2000-12-05 조재영 전자제품을 이용한 음향 전달 방법
WO2001050630A1 (en) * 1999-12-31 2001-07-12 Forus Co., Ltd. Close range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4135A (ko) * 1999-05-18 2000-12-05 조재영 전자제품을 이용한 음향 전달 방법
KR20000012814A (ko) * 1999-12-29 2000-03-06 최동수 디지털 음원 재생기를 내장한 헤드폰 세트및 그 구동 방법
WO2001050630A1 (en) * 1999-12-31 2001-07-12 Forus Co., Ltd. Close range wireless transceiv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282222A (ja) 時間遅延補聴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751409B1 (ko) 무선 헤드폰을 이용한 음향제어장치 및 그 무선 헤드폰
JPH04296197A (ja) 無線ヘッドフォーン送受信装置
US2261628A (en) Stereophonic reproduction by carrier wave transmission
US4750206A (en) Adapter for TV stereo, SAP and auxiliary signals
KR19990011630U (ko) 다목적 무선 송수신장치
MXPA00012847A (es) Metodo y aparato para la operacion monofonica y estereofonica de un receptor de radio.
JP2002078037A (ja) ワイヤレス拡声装置
US5596649A (en) Sound concentrator for selectively collecting sound and concentrating and transmitting the collected sound
US6246772B1 (en) Wireless headphone/speakers sound field control circuit
JPH09200100A (ja) 無線送信方法及び装置
JP2008514046A (ja) 無線方式で送信された音声信号を受信するための装置
KR0183639B1 (ko) 2선식 비디오 도어폰장치
JPH05122789A (ja) ワイヤレスヘツドフオン/サラウンドシステム
KR20020063937A (ko) 무선 텔레비젼 방송 청취기
KR100469846B1 (ko)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KR101108809B1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에프엠 송신 시스템
KR20010008949A (ko) 휴대용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KR200255751Y1 (ko) 휴대및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JP2602691Y2 (ja) ワイヤレススピーカー装置
KR200196564Y1 (ko) Fm 방송 주파수대를 이용한 mp3 플레이어 및 pc사운드카드용 무선 송수신 장치
KR200391084Y1 (ko) 스테레오 무선 헤드폰의 채널 세팅장치
WO1998057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ssion of audio signals to remote locations using a power line carrier
JP3012112U (ja) 集音器
KR19990046346A (ko) 적외선을이용한스피커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