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1269U -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1269U
KR19990011269U KR2019970024622U KR19970024622U KR19990011269U KR 19990011269 U KR19990011269 U KR 19990011269U KR 2019970024622 U KR2019970024622 U KR 2019970024622U KR 19970024622 U KR19970024622 U KR 19970024622U KR 19990011269 U KR19990011269 U KR 199900112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pring
compressor
stator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4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섭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4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1269U/ko
Publication of KR199900112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1269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임(16)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38)와 이 고정자(38)와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40)로 구성되는 전기모터와 상기 프레임()을 하부 케이스(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고정구(13) 및 스프링(15)을 갖는 압축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50)의 하부는 지지대(119)와 체결되며 상부는 내측으로 일체로 폭이 좁은 걸림부(151)를 형성하여 이 걸림부(151)에 상기 스프링(1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프레임(116)에 고정되는 고정구(130)의 볼트부(130a)가 체결되어지므로서,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에 따라 프레임이 스프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An apparatus for fixing the frame of a comprosser)
본 고안은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내지는 판스프링을 고정자가 관통하여 프레임에 체결되며, 그 일단에 형성된 볼트에 의해 프레임이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하여 이 스프링으로 부터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압축성 유체의 압축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저압의 증발기에서 냉매가스를 흡입하고, 이 압력을 응축압력 까지 높이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왕복압축기. 회전압축기. 터보압축기형이 있다.
도3은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왕복동형 압축기(이하 압축기라함)(10)가 상.하부 케이스(14)(12)의 내부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있다.
또한 상.하부 케이스(14)(12)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압축스프링 내지는 판스프링(15)의 하측은 하부 케이스(12)에 형성된 지지대(19)에 체결되어 있으며, 상부로는 상기 프레임(16)에 삽입.고정되는 고정구(13)의 볼트부(13a)가 안착되어 하부에서 프레임(16)을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의 압축기(10)는 횡형으로 프레임(16)의 상부에 고정되는 실린더블럭(18)과 그 내부의 실린더(20)에 왕복 운동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피스톤(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22)의 왕복운동에 의해 실린더블럭(18)의 좌측단부에 설치된 흡입 및 토출밸브(26)를 구성하여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되고,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를 토출시키는 것이며, 상기의 흡입 및 토출밸브(26)는 양면에 작용하는 압력차에 의해 피동적으로 개폐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왕복동형 압축기는 피스톤(22)의 후진운동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는 상부 내지는 하부 케이싱(14)(12)에 밀폐되게 고정된 흡입파이프 및 흡입머플러(미도시됨)를 통하여 외부의 증발기로 부터 흡입 및 토출밸브(26)의 흡입밸브로 유입되고, 피스톤(22)의 전진 운동시에 상기 압축기(10)에서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흡입 및 토출밸브(26)로 부터 토출파이프 및 상부 내지 하부 케이싱(14)(12)에 밀폐되게 고정된 토출파이프 연결관을 거쳐 외부로 송출되어 진다.
한편, 전기모터는 프레임(16)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38)와 이 고정자(38)와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40)로 구성되어 지고, 상기 회전자(40)는 회전축(42)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프레임(16)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진다.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42)은 단부에 프레임(16)의 상부로 편심축(44)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피스톤(22)을 연결봉과 축수에 의해 편심축(44)에 연결함으로서 편심축(44)의 편심회전량 만큼 피스톤(22)이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피스톤(22)의 왕복운동에 따른 압축기(10)의 구동시 전기모터부를 프레임(16)에 조립후 하부 케이스(12)에 형성된 지지대(19)에 스프링(15)을 체결하고, 이 스프링(15)의 상부로 고정구(13)의 볼트부(13a)가 안착되어 프레임(16)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나, 고정구(13)의 볼트부(13a)에 설계된 스프링(15) 안착부위 길이가 작아 구동중 프레임(16)이 스프링(15)에서 이탈되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을 지지하는 압축스프링 내지는 판스프링을 고정자가 관통하여 프레임에 체결되며, 그 일단에 형성된 볼트에 의해 프레임이 스프링에 지지되도록 하여 압축기 구동시 스프링으로 부터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프레임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와 이 고정자와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로 구성되는 전기모터와 상기 프레임을 하부 케이스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고정자 및 스프링을 갖는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하부는 지지대와 체결되며 상부는 내측으로 일체로 폭이 좁은 걸림부를 형성하여 이 걸림부에 상기 스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자의 볼트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가 구비된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
도 3 은 일반적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압축기 112 : 하부 케이스
114 : 상부 케이스 130 : 고정구
130a : 볼트부 150 : 스프링
151 : 걸림부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 고정장치가 구비된 압축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프링(150)의 상부가 내측으로 감겨 폭이 좁은 걸림부(15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프레임(116)을 고정하는 고정구(130)의 볼트부(130a)가 종래보다 작게 형성되어 이 고정구(130)를 상기 스프링(150)의 내측으로 삽입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구(130)를 프레임(116)에 체결시 상기 스프링(150)의 하부에서 상부로 고정구(130)를 삽입시켜 그 일단을 프레임(116)에 체결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고정구(130) 하부의 볼트부(130a)가 스프링(150) 상부의 걸림부(151)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150)의 하부를 하부 케이스(112)에 형성된 지지대(119)에 체결하므로서, 프레임(116)의 고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프레임(116)의 고정작업이 완료된 압축기(100)는 도2에 도시된 상태를 보이며, 프레임(116)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138)와 이 고정자(138)와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140)로 구성된 전기모터로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회전자(140)는 회전축(142)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모터의 회전축(142)은 단부에 프레임(116)의 상부로 편심축(144)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피스톤(122)을 연결봉과 축수에 의해 편심축(144)에 연결함으로서 편심축(144)의 편심회전량 만큼 피스톤(122)이 왕복운동을 하므로서, 압축기(100)가 구동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압축기(100)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고정구(130)에 의해 적당한 방진 및 방음수단인 스프링(150)로 전달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의 프레임(116) 고정장치는 고정구(130)가 스프링(150) 내측으로 삽입.고정되고, 볼트부(130a)가 스프링(150)의 상부 내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압축기(10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 과다하게 전달되어도 프레임(116)이 스프링(150)에서 이탈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프레임 고정장치는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자가 스프링 내측으로 삽입.고정되고, 볼트부가 스프링의 상부 내측에 걸리도록 되어 있어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진동에 따라 프레임이 스프링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프레임(16)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38)와 이 고정자(38)와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40)로 구성되는 전기모터와 상기 프레임(16)을 하부 케이스(1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지지하는 고정구(13) 및 스프링(15)을 갖는 압축기(10)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50)의 하부는 지지대(119)와 체결되며 상부는 내측으로 일체로 폭이 좁은 걸림부(151)를 형성하여 이 걸림부(151)에 상기 스프링(15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프레임(116)에 고정되는 고정구(130)의 볼트부(130a)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KR2019970024622U 1997-08-30 1997-08-30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KR199900112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22U KR19990011269U (ko) 1997-08-30 1997-08-30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4622U KR19990011269U (ko) 1997-08-30 1997-08-30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1269U true KR19990011269U (ko) 1999-03-25

Family

ID=69672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4622U KR19990011269U (ko) 1997-08-30 1997-08-30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1269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927B1 (ko) 왕복동식 압축기
JP3917527B2 (ja) 往復動式圧縮機
KR19990011269U (ko)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JP2004515694A (ja) 密閉型圧縮機のピストンピン取付構造
KR19990038673A (ko) 왕복동식 압축기
JP2004324635A (ja) 密閉型圧縮機
KR100308269B1 (ko) 스크롤압축기의냉매누설방지장치
KR200177806Y1 (ko) 결합이 용이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10018641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헤드밸브장치
KR19990024165U (ko)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65730Y1 (ko) 압축기용 흡입머플러의 냉매흡입관 결합구조
KR20017274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KR19990016821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밸런스 웨이트
KR101990398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장치
KR100527580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완충장치
KR19990001262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커버 고정장치
KR19990009393U (ko) 압축기 변위 구속장치
KR19990016822U (ko) 밀폐형 압축기의 분리형 스토퍼
KR19980077161A (ko) 고정밴드 일체형 밸브카버를 지니는 압축기
KR19990020682U (ko) 압축기 윤활급유량 증대장치
KR19990009394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19990031441U (ko) 전동압축기의 프레임 지지장치
KR19990015501U (ko) 밀폐형 압축기 케이스
KR19980064888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고정장치
KR20000046857A (ko) 밀폐형 회전식 압축기의 열변형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