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4165U -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 Google Patents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4165U
KR19990024165U KR2019970036604U KR19970036604U KR19990024165U KR 19990024165 U KR19990024165 U KR 19990024165U KR 2019970036604 U KR2019970036604 U KR 2019970036604U KR 19970036604 U KR19970036604 U KR 19970036604U KR 19990024165 U KR19990024165 U KR 199900241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uction muffler
cylinder block
reciprocating compressor
refrigera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6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연식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6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4165U/ko
Publication of KR199900241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165U/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흡입머플러의 결합부 단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흡입머플러의 결합돌기를 결합공의 결합홈에 록킹시키면 흡입머플러를 실린더블럭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흡입머플러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아울러 흡입머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A suction muffler of the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실린더블럭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응축·액화하기 용이하도록 응축온도에 상당하는 포화압력까지 압력과 온도를 상승시켜 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왕복동 압축기와, 실린더내의 회전자가 회전하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와,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터보 압축기 등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왕복동 압축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기(110)를 구성하는 압축기구(120)와 구동모터(130)가 상부케이스(141)와 하부케이스(142)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있는데, 상기 압축기구(120)와 구동모터(130)는 프레임(16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방음 및 방진을 위하여 압축스프링(150) 또는 판스프링을 통해 상기 케이스(141,142)에 현수 또는 지지되어 있다.
즉, 프레임(160)의 상부에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피스톤(122)이 왕복가능하게 내장된 실린더블럭(1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블럭(121)의 일측에는 흡입머플러(123)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121)내로 공급하고 실린더블럭(12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토출머플러(124)로 공급하는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1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125)는 소형화를 위하여 통상 탄성을 지니는 플랩퍼(flapper) 또는 리드(read)형 박판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에 따라 피동적으로 개폐되어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121) 내로 흡입하거나 실린더블럭(121)으로 부터 토출한다.
한편, 구동모터(130)는 프레임(16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131)와, 이 고정자(131)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1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자(132)는 프레임(1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회전자(132)의 중앙에는 회전축(133)이 결합되어 있는데, 이 회전축(133)에는 압축기구(120)와 구동모터(130)의 원활한 운전을 위하여 케이스(142)의 하부에 저장된 윤활유를 윤활부위로 공급하는 윤활유 공급홈(136)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133)의 단부에는 프레임(160)의 상부로 돌출되게 편심축(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심축(134)은 로드(135)와 축수를 통해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축(134)의 회전량 만큼 피스톤(122)이 왕복운동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된다.
즉, 프레임(160)의 하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축(133)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편심축(134)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축(134)의 편심회전량 만큼 피스톤(122)은 왕복운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실린더블럭(121)내의 피스톤(122)이 후진하면 외부의 증발기로 부터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머플러(123)를 통해 실린더블럭(121)내로 흡입된다.
한편, 피스톤(122)이 전진하면 실린더블럭(121)의 내부로 부터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토출머플러(124)를 통해 응축기로 토출된다. 이때, 흡입머플러(123)와 토출머플러(124)는 냉매가스를 내부에 충전하여 냉매가스의 흡입 및 토출시 발생하는 압력의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킨다.
상기와 같이 냉매가스 흡입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흡입머플러(123)의 결합부(126) 단부에는 단턱(12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126)에 밀패부재인 고무패킹(126a)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126)를 실린더블럭(121)의 결합공(127)에 삽입한 후, 고정구(126)를 이용하여 흡입머플러(123)를 실린더블럭(121)에 고정시키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고정구와 같은 별도의 부품이 요구됨에 따라 조립작업이 어렵고, 아울러 부품수의 증가로 인해 제품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실린더블럭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왕복동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결합되는 흡입머플러의 결합부 단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머플러가 장착된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왕복동 압축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축기 20 : 실린더블럭
21 :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 22: 결합공
23 : 결합홈 30 : 흡입머플러
31 : 결합부 32 : 결합돌기
33 : 밀폐부재 40 : 토출머플러
50 : 프레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흡입머플러가 장착된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평면도로, 압축기구와 구동모터를 지지하는 프레임(50)의 상부에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피스톤이 왕복가능하게 내장된 실린더블럭(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블럭(20)의 일측에는 흡입머플러(30)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20)내로 공급하고 실린더블럭(20)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토출머플러(40)로 공급하는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21)가 장착되어 있다.
한편, 실린더블럭(20)에는 흡입머플러(30)의 결합부(31)가 삽입되는 결합공(2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결합공(22)의 내측면에는 결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머플러(30)의 결합부(31) 단부에는 상기 결합홈(23)에 대응하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머플러(30) 체결시 결합부(31)에 밀패부재인 고무패킹(33)을 삽입하고, 상기 결합부(31)를 실린더블럭(20)의 결합공(22)에 삽입하면 결합부(31)의 결합돌기(32)가 결합홈(23)에 록킹되어 흡입머플러(30)를 실린더블럭(20)에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실린더블럭에 형성된 결합공에 삽입되는 흡입머플러의 결합부 단부에 결합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는 결합공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을 형성함에 따라 흡입머플러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고, 아울러 흡입머플러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사용되지 않음에 따라 부품수를 절감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왕복동 압축기에 있어서, 실린더블럭(20)에 형성된 결합공(22)에 삽입·결합되는 흡입머플러(30)의 결합부(31) 단부에 결합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31)가 삽입되는 결합공(22)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돌기(32)에 대응하는 결합홈(2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19970036604U 1997-12-11 1997-12-11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99900241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04U KR19990024165U (ko) 1997-12-11 1997-12-11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6604U KR19990024165U (ko) 1997-12-11 1997-12-11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165U true KR19990024165U (ko) 1999-07-05

Family

ID=6969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6604U KR19990024165U (ko) 1997-12-11 1997-12-11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416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24165U (ko)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0022885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밸브 시스템
KR20017057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손실 보상장치
KR200177806Y1 (ko) 결합이 용이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100202889B1 (ko) 압축기의 플랩퍼형 토출밸브의 고정구조
KR0136065Y1 (ko) 편심축을 갖춘 회전압축기
KR19990015501U (ko) 밀폐형 압축기 케이스
KR19990015504U (ko) 밀폐형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0153998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고정장치
KR19990003389U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파이프 밀봉장치
KR20015399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각장치
KR19990016823U (ko) 밀폐형 압축기 케이스
KR20017274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KR19980064889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KR10022402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밸브 고정장치
KR19990001262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커버 고정장치
KR19990015503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가스 배출장치
KR19990020681U (ko) 진동 저감형 압축기 로터
KR19990009394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200172747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 편심축의 분사공
KR19980068453U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9990011276U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파이프 밀봉캡
KR20000014053U (ko) 밀폐형 압축기용 고효율 밸브 어셈브리의 체결구조
KR20000008910U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머플러 고정구조
KR19990011269U (ko) 압축기용 프레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