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2749Y1 -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 Google Patents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2749Y1
KR200172749Y1 KR2019970030291U KR19970030291U KR200172749Y1 KR 200172749 Y1 KR200172749 Y1 KR 200172749Y1 KR 2019970030291 U KR2019970030291 U KR 2019970030291U KR 19970030291 U KR19970030291 U KR 19970030291U KR 200172749 Y1 KR200172749 Y1 KR 200172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refrigerant gas
cover
discharge chamber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6817U (ko
Inventor
안치영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30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2749Y1/ko
Publication of KR19990016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2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27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F04B39/0055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 F04B39/0061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with a special shape of fluid passage, e.g. bends, throttles, diameter changes, pipes using muffler vol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맥동을 완화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출머플러 커버(30)의 내측에 토출실을 양분하는 격벽(31,32)을 설치하되, 상기 격벽(31,32)은 커버(30)와 본체(40)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따라서, 격벽(31,32)에 의해 형성된 제1 토출실(33)과 제2 토출실(34)에서 냉매가스의 맥동이 2차에 걸쳐 완화되고, 아울러 상기 격벽(31,32)의 설치에 따른 토출실의 체적변화로 인해 발생된 음향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해 소음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Description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A noise reducing discharge muffler of an enclosed reciprocating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토출머플러의 내부를 제1 토출실과 제2 토출실로 분리하여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맥동을 2차에 걸쳐 완화시킴에 따라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는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증발기에서 증발한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응축기에서 응축·액화하기 용이하도록 응축온도에 상당하는 포화압력까지 압력과 온도를 상승시켜 주는 기기이다.
이러한 압축기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왕복동 압축기와, 실린더내의 회전자가 회전하며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회전식 압축기와, 임펠러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속도에너지를 압력에너지로 변환시켜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터보 압축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압축기는 일반적으로 냉동장치에 장착되어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와 함께 냉동작용, 즉 냉매가스의 증발잠열을 이용하여 증발기 주위의 열을 빼앗는 작용을 수행한다.
다시말해, 압축기가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포화압력까지 냉매가스의 압력과 온도를 상승시켜 주면 응축기가 물이나 공기를 이용하여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갖고 있는 열을 흡수하여 냉매가스를 응축·액화시킨다. 이와같이 응축·액화된 냉매가스는 팽창밸브의 교축작용에 의해 온도와 압력이 낮아지고, 이 냉매가스가 증발기에서 증발하면서 피냉각 물체로 부터 열을 흡수하여 냉동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가정용 냉장고 압축기는 주로 1단의 왕복동형으로 방음 및 방진을 위하여 케이스내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냉장고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 3은 일반적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축기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압축기(110)를 구성하는 압축기구(120)와 구동모터(130)가 상부케이스(141)와 하부케이스(142)로 이루어진 케이스 내부에 밀폐되게 수납되어 있는데, 상기 압축기구(120)와 구동모터(130)는 프레임(160)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며 방음 및 방진을 위하여 압축스프링(150) 또는 판스프링을 통해 상기 케이스(141,142)에 현수 또는 지지되어 있다.
즉, 프레임(160)의 상부에는 냉매가스를 압축하는 피스톤(122)이 왕복가능하게 내장된 실린더블럭(12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블럭(121)의 일측에는 흡입머플러(123)를 통해 흡입된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121)내로 공급하고 실린더블럭(121) 내부에서 압축된 냉매가스를 토출머플러(124)로 공급하는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125)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흡입 및 토출밸브 조립체(125)는 소형화를 위하여 통상 탄성을 지니는 플랩퍼(flapper) 또는 리드(read)형 박판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스톤(122)의 왕복운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압력차에 따라 피동적으로 개폐되어 냉매가스를 실린더블럭(121) 내로 흡입하거나 실린더블럭(121)으로 부터 토출한다.
한편, 구동모터(130)는 프레임(16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자(131)와, 이 고정자(131)와 소정의 간극을 두고 회전하는 회전자(13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회전자(132)는 프레임(16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회전자(132)에는 회전축(133)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33)의 단부에는 프레임(160)의 상부로 돌출되게 편심축(1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편심축(134)은 로드(135)와 축수를 통해 피스톤(122)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편심축(134)의 회전량 만큼 피스톤(122)이 왕복운동하여 냉매가스를 압축하게 된다.
즉, 프레임(160)의 하부에 장착된 구동모터(130)에 의해 회전축(133)이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편심축(134)이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편심축(134)의 편심회전량 만큼 피스톤(122)은 왕복운동하게 된다. 다시말해, 실린더블럭(121)내의 피스톤(122)이 후진하면 외부의 증발기로 부터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흡입파이프(171)와 흡입머플러(123)를 통해 실린더블럭(121)내로 흡입된다.
한편, 피스톤(122)이 전진하면 실린더블럭(121)의 내부로 부터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토출머플러(124)와 토출파이프(172)를 통해 응축기로 토출된다. 이때, 흡입머플러(123)와 토출머플러(124)는 냉매가스를 내부에 충전하여 냉매가스의 흡입 및 토출시 발생하는 압력의 맥동에 의한 소음을 저감시킨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출머플러의 측단면도로, 본체(211)의 내주연에는 토출머플러(124)의 커버(201)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2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201)의 일측에는 냉매가스를 토출시키는 토출공(203)이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고정볼트(181)를 위한 삽입공(20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211)의 내측 중앙부에도 상기 고정볼트(181)의 체결부(182)에 대응하는 결합부(2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벽에는 실린더블럭(121)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흡입되는 흡입공(21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11)의 흡입공(214)과 커버(201)의 토출공(203)에 냉매공급파이프(221)와 토출파이프(172)를 각각 결합한 후, 와셔(191)가 삽입된 고정볼트(181)를 상기 커버(201)의 삽입공(202)에 삽입하여 고정볼트(181)의 체결부(182)를 본체(211)의 결합부(213)와 결합하면 토출머플러(124)의 조립은 완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토출머플러에는 냉매가스를 충전하는 토출실이 하나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맥동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토출머플러내에 두개의 토출실을 형성하여 냉매가스의 맥동을 2차에 걸쳐 완화시키고, 아울러 토출실의 체적변화에 따른 음향임피던스의 변화를 이용하여 소음저감효과를 향상시킨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맥동을 완화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토출실을 형성하는 토출머플러 커버와 본체로 이루어진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측에 토출실을 양분하는 격벽을 설치하되, 상기 격벽은 커버와 본체를 결합하는 고정볼트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머플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출머플러의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볼트 11 : 체결부
20 : 와셔 30 : 커버
31,32 : 격벽 33 : 제1 토출실
34 : 제2 토출실 35 : 삽입공
40 : 본체 41 : 단턱
42 : 결합부 43 : 흡입공
50 : 냉매공급파이프 60 : 토출파이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출머플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토출머플러는 커버(30)와 본체(40)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체(40)의 내주연에는 상기 커버(3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턱(4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40)의 측벽에는 실린더블럭에서 압축된 냉매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공(43)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 중앙부에는 커버(30)와 본체(40)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0)의 체결부(11)에 대응하는 결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30)의 중앙부에는 상기 고정볼트(10)를 위한 삽입공(35)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에는 냉매가스가 충전되는 토출실을 양분하는 격벽(31,32)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격벽(31,32)은 커버(30)와 본체(40)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다.
또한, 커버(30)의 일측에는 맥동이 완화된 냉매가스가 토출되는 토출공(도시안됨)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흡입공(43)에 결합되어 있는 냉매공급파이프(50)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스는 상기 격벽(31,32)에 의해 구획된 제1 토출실(33)에 충전되어 맥동이 완화된 후, 제2 토출실(34)로 공급되어 2차적으로 맥동이 완화된다.
상기와 같이 2차에 걸쳐 맥동이 완화된 냉매가스는 제2 토출실(34)의 커버(30)에 형성된 토출공(도시안됨)에 결합되어 있는 토출파이프(6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토출머플러내에 두개의 토출실을 형성하여 냉매가스의 맥동을 2차에 걸쳐 완화시키고, 아울러 격벽의 설치에 따른 토출실의 체적변화로 인해 발생된 음향임피던스의 변화에 의해 소음은 효과적으로 저감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

  1. 토출되는 냉매가스의 맥동을 완화시켜 소음을 저감시키는 토출실을 형성하는 토출머플러 커버(30)와 본체(40)로 이루어진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내측에 토출실을 양분하는 격벽(31,32)을 설치하되, 상기 격벽(31,32)은 커버(30)와 본체(40)를 결합하는 고정볼트(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KR2019970030291U 1997-10-30 1997-10-30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KR200172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91U KR200172749Y1 (ko) 1997-10-30 1997-10-30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291U KR200172749Y1 (ko) 1997-10-30 1997-10-30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17U KR19990016817U (ko) 1999-05-25
KR200172749Y1 true KR200172749Y1 (ko) 2000-04-01

Family

ID=1951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291U KR200172749Y1 (ko) 1997-10-30 1997-10-30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27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817U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274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저감형 토출머플러
KR200177806Y1 (ko) 결합이 용이한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20017057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손실 보상장치
KR100245386B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보조 흡입장치
KR19990015501U (ko) 밀폐형 압축기 케이스
KR10040746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2단 팽창 토출머플러_
KR100508294B1 (ko) 냉장고 압축기의 저소음형 토출밸브
KR19990015503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가스 배출장치
KR19990011276U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파이프 밀봉캡
KR0159607B1 (ko) 토출머플러를 갖춘 왕복동형 압축기
KR19990016823U (ko) 밀폐형 압축기 케이스
KR100216191B1 (ko) 압축기의 일체형 토출머플러
KR10022402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밸브 고정장치
KR200153999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각장치
KR19990016822U (ko) 밀폐형 압축기의 분리형 스토퍼
KR100341420B1 (ko) 저소음형 실린더
KR19990009394U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KR20000013435U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머플러 일체형 밸브 어셈브리 구조
KR19990016825U (ko) 밀폐형 압축기의 토출파이프 결합장치
KR19980068453U (ko) 밀폐형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200154001Y1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냉매충진파이프
KR0118809Y1 (ko) 밀폐형압축기의 소음감쇠장치
KR19990003389U (ko) 밀폐형 압축기의 냉매파이프 밀봉장치
KR19980086223A (ko)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머플러
KR19990015504U (ko) 밀폐형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