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930U -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930U
KR19990009930U KR2019970023186U KR19970023186U KR19990009930U KR 19990009930 U KR19990009930 U KR 19990009930U KR 2019970023186 U KR2019970023186 U KR 2019970023186U KR 19970023186 U KR19970023186 U KR 19970023186U KR 19990009930 U KR19990009930 U KR 199900099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ke
elevator
solenoid
magnetic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23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930U/ko
Publication of KR199900099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3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는 엘리베이터의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항상 상기 브레이크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브레이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전류를 가하여 자기코어를 하부로 작동시켜 링크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많은 전력이 소모될뿐만 아니라, 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약화시케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는 아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링크(28a,28b)를 구동하는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를 하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자기코어(29a)의 단부에 제 1 링크(30)를 연결하고, 그 제 1 링크(30)의 다른 단부에는 제 2 링크(31)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링크(30)와 제 2 링크(33)를 회절구동시킬 수 있는 제 2 솔레노이드(33)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삽입설치된 브레이크 드럼(22)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코일(29b)에는 작은 전류를 가하여도 그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가 상기 제동링크(28a,28b)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열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효과와 아울러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를 상.하로 구동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있는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력을 가하는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하는 레버를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의 일단부에 링크를 설치하고, 그 링크에 전자기적인 힘을 가할 수 있는 다른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전력소모량를 줄임과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항상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나 화물을 상.하로 운반하는 엘리베이터는 상기 사람과 화물이 위치하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케이지(미도시)가 형성설치되어 있고, 그 케이지에 와이어(미도시)를 연결하여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동하는 권상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그 권상기를 회전구동할 수 있는 구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모터에는 상기 권상기의 구동을 제동할 수 있는 권상기 브레이크(1)가 설치되어 있고, 그 권상기 브레이크(1)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2)에 7삽입설치되는 브레이크 드럼(3)이 있으며, 그 브레이크 드럼(3)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4a,4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4a,4b)는 그 브레이크 패드(4a,4b)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3)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레임(5)에 소정의 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6a,6b)가 설치되어 있고, 그 레버(6a,6b)의 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7a,7b)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로드(7a,7b)에는 상기 레버(6a,6b)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4a,4b)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3)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8a,8b)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프레임(5)에는 상기 레버(6a,6b)를 밀어 상기 스프링(8a,8b)을 압축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 패드(4a,4b)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3)에 가한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는 링크(9a,9b)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프레임(5)에는 상기 링크(9a,9b)의 단부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시키는 자기코어(10)와 전류를 가하여 상기 자기코어(10)를 상.하로 구동할 수 있는 코일(11)로 구성된 솔레노이드(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1)는, 먼저 상기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3)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해야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드럼(3)에 가해진 마찰력은 상기 솔레노이드(12)의 코일(11)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자기코어(10)를 하부로 구동시키고, 그 자기코어(10)가 상기 링크(9a,9b)의 단부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그 링크(9a,9b)는 상기 스프링(8a,8b)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복귀된 상기 레버(6a,6b)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키므로써, 그 레버(6a,6b)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4a,4b)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3)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하게 되어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항상 상기 브레이크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이때 상기 브레이크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코일에 전류를 가하여 상기 자기코어를 하부로 작동시켜 상기 링크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많은 전력이 소모될뿐만 아니라, 열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약화시케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전력소모량을 절감함과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켜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브레이크 29,33 : 솔레노이드
29a,33a : 자기코어 29b,33b : 코일
30 : 제 1 링크 31 : 제 2 링크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과, 그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와, 그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와, 그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동링크와, 그 제동링크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를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그 자기코어의 단부에 회절가능하도록 연결한 제 1 링크와, 그 제 1 링크의 일단부에 회절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연결된 연결부에 힘을 가하여 그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회절시켜 상기 자기코어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의하여 달성된다.
다음은,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21)는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S)에 삽입설치되는 브레이크 드럼(22)이 있으며, 그 브레이크 드럼(22)에는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23a,23b)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 패드(23a,23b)는, 그 브레이크 패드(23a,23b)를 고정하고 상기 드럼(23)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프레임(24)에 소정의 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25a,25b)가 설치되어 있고, 그 레버(25a,25b)의 단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로드(26a,26b)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로드(26a,26b)에는 상기 레버(25a,25b)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23a,23b)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23)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27a,27b)이 삽입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4)에는 상기 레버(25a,25b)를 밀어 상기 스프링(27a,27b)을 압축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 패드(23a,23b)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23)에 가한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는 제동링크(28a,28b)가 설치되어 있고, 그리고 또 상기 프레임(24)에는 상기 제동링크(28a,28b)의 단부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시키는 자기코어(29a)와 전류를 가하여 상기 자기코어(29a)를 상.하로 구동할 수 있는 코일(29b)로 구성된 제 1 솔레노이드(29)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의 단부에는 회절가능한 제 1 링크(30)가 설치되어 있고, 그 제 1 링크(30)의 단부는 회전축(30a)으로 연결된 연결부를 갖는 제 2 링크(31)가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그 제 2 링크(31)의 다른 하나의 단부는 상기 프레임(24')에 회절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에는 제 1 링크(30)와 제 2 링크(31)를 회절시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인 제 2 솔레노이드(33)의 자기코어(33a)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33b는 제 2 솔레노이드의 코일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21)는 먼저,상기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때 상기 구동모터를 회전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22)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해야 한다.
위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 드럼(22)에 가해진 마찰력의 해제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2 솔레노이드의 코일(33b)에 작은 전력을 가하게 되면 그 제 2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33a)가 좌측으로 구동하게 되고, 그 자기코어(33a)의 구동으로 상기 제 1 링크(30)와 제 2 링크(31)의 연결부가 연동회절함과 아울러 그 제 1 링크(30)의 단부에 연결된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가 하부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1 솔레노이드의 코일(29b)에는 전류의 공급이 중단상태가 되는 상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초기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코일(29b)에 전류를 가하게 되면 그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29a)가 하부로 구동되고, 이때 상기 제 2 솔레노이드의 코일(33b)에 가해진 전류를 중단한다.
이와 같이 하부로 구동된 상기 자기코어(29b)로 인하여 상기 제동링크(28a,28b)의 단부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그 제동링크(28a,28b)는 상기 스프링(27a,27b)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복귀된 상기 레버(25a,25b)를 소정의 각으로 회전시키게 되어 그 레버(15a,25b)에 설치된 브레이크 패드(23a,23b)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22)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하게 됨과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를 구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동링크를 구동하는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를 하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그 자기코어의 단부에 제 1 링크를 연결하고, 그 제 1 링크의 다른 단부에는 제 2 링크를 연결하여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회절구동할 수 있는 제 2 솔레노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삽입설치된 브레이크 드럼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상기 제 1 솔레노이드의 코일에는 작은 전류를 가하여도 그 제 1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가 상기 제동링크를 구동시킬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열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내구성 약화를 방지하는 효과와 아울러 전력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엘리베이터의 권상기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모터와, 그 구동모터를 제동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된 브레이크 드럼과, 그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브레이크 패드와, 그 브레이크 패드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레버와, 그 레버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브레이크 패드가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그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브레이크 드럼에 가해진 마찰력을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레버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제동링크와, 그 제동링크를 소정의 각으로 구동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기코어를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그 자기코어의 단부에 회절가능하도록 연결한 제 1 링크와, 그 제 1 링크의 일단부에 회절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된 제 2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제 2 링크가 연결된 연결부에 힘을 가하여 그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를 회절시켜 상기 자기코어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KR2019970023186U 1997-08-26 1997-08-26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KR199900099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86U KR19990009930U (ko) 1997-08-26 1997-08-26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186U KR19990009930U (ko) 1997-08-26 1997-08-26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30U true KR19990009930U (ko) 1999-03-15

Family

ID=6968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186U KR19990009930U (ko) 1997-08-26 1997-08-26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9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65B1 (ko) * 1999-10-29 2007-02-01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권상기의 브레이크 수동해제장치
KR100851566B1 (ko) * 2006-09-11 2008-08-18 조길희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5665B1 (ko) * 1999-10-29 2007-02-01 오티스엘리베이터 유한회사 권상기의 브레이크 수동해제장치
KR100851566B1 (ko) * 2006-09-11 2008-08-18 조길희 엘리베이터용 로프 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6034E (en) Disk brake for elevator
EP0641950B1 (en) Disc brake for elevator
JP6789389B2 (ja) エレベータ用ブレーキ開放装置
US5443132A (en) Magnetic latch mechanism and method particularly for brakes
KR19990009930U (ko) 엘리베이터용 권상기 브레이크
JP4513176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1949419B (zh) 行驻一体叉车制动器
US4828077A (en) Solenoid and spring operated brake
US5988327A (en) Industrial disk brake for cranes
JP3715333B2 (ja) 織機の停止装置
JP2001124116A (ja) エレベーター巻上機用電磁ディスクブレーキの手動解放装置
JP2645638B2 (ja) 電気式巻上・牽引装置
JP4316995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その制動方法
JP4482196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KR101122614B1 (ko) 밴드 브레이크가 구비된 윈치
JP2010173776A (ja) エレベータ巻上機の制動力設定装置
JP7024898B1 (ja) ブレーキ開放装置
JP2004224531A (ja) エレベータの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200424453Y1 (ko) 드럼방식의 직접형 전자 브레이크를 구비한 권양기
CN218408264U (zh) 电磁铁装置及电梯
US3665232A (en) Electrohydraulic caliper disc brake
JP3404496B2 (ja) インバータクレーン用電磁ブレーキ
CN114988312B (zh) 制动器释放装置
RU1991U1 (ru) Привод лифта
JP2008213991A (ja) エレベータ用制動装置の摺り合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