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906A -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906A
KR19990009906A KR1019970032479A KR19970032479A KR19990009906A KR 19990009906 A KR19990009906 A KR 19990009906A KR 1019970032479 A KR1019970032479 A KR 1019970032479A KR 19970032479 A KR19970032479 A KR 19970032479A KR 19990009906 A KR19990009906 A KR 199900099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s
auxiliary
track
signal
optical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ublication of KR19990009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906A/ko

Links

Landscapes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억세스를 안내하기 위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는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기록영역상의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들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는 동기신호들과 상기 동기신호들의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보조 피트 영역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는 기록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랜덤 억세스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억세스 가능한 광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억세스를 안내하기 위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를 구동하는 광디스크 구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는 미리 정해진 규격(Rule)에 따라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되어 있다. 이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광디스크를 랜덤하게 억세스하도록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광디스크의 트랙을 일정한 크기의 단위 기록 구간들(즉, 프레임들 또는 섹터들)로 구분하는 구간 표시 정보와 단위 기록 구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광디스크에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들 방법들은 크게 두가지로 집약될 수 있다. 두가지의 프리포맷 방법중 하나는 광디스크에 사용자 데이타가 기록되는 트랙에 별도의 워블드 피트를 마련하고 이 워블드 피트에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하는 것이다. 다른 프리포맷 방법은 광디스크 트랙상의 일부영역을 프리포맷 영역을 할당하고 그 할당된 프리포맷 영역에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하는 것이다. 후자의 방법에 의해 광디스크에 프리포맷된 보조신호는 랜덤 억세스(Random Access) 속도면에서는 전자의 방법에 의해 프리포맷된 보조신호 보다 유리하나 광디스크의 기록용량에 있어서는 전자의 방법에 의해 프리포맷된 보조신호 보다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보조신호는 그 형태에 따라 광디스크의 기록용량을 떨어뜨리거나 또는 랜덤 억세스 속도를 느리게 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광디스크의 문제점들을 첨부한 도1 내지 도3 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도1 은 보조신호가 워블링 방식에 의해 프리포맷된 일명 “CD-R”이라 하는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를 도시한다. 이 재기록 가능한 컴팩트 디스크는 산(Land)과 골(Groove)의 트랙들(10, 12)을 구비한다. 이들 트랙들(10, 12)의 양쪽 경계변에는 워블링 피트(1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워블드 피트들(14)은 보조신호가 실린 반송파 신호에 따라 골의 트랙(12)을 기준으로 동일한 위상으로 워블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신호는 이중 위상 방식에 따라 디지탈 변조된 다음 다시 주파수 변조됨에 의해 반송파 신호에 실리게 된다. 그리고 보조신호는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골의 트랙을 일정한 크기의 단위 기록 구간들(이하 “프레임”이라 함)로 구분하는 구간 표시 정보로 사용되는 동기신호와 프레임들 각각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워블드 피트(14)에는 동기 신호 및 어드레스와 함께 디지탈 변조시에 사용된 이중 위상 클럭이 프리포맷된다. 동기신호는 프레임 어드레스와 함께 프레임들 각각에 배열되어 프레임의 경계부를 지시함과 아울러 광디스크의 회전속도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이중 위상 클럭도 일정한 주기를 가지므로 회전속도를 지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골의 트랙(12)의 양측변에 동일한 위상으로 형성된 위블드 피트들은 컴팩트 디스크상의 골의 트랙에만 데이타가 기록되도록 한다.
도2 는 산의 트랙과 골의 트랙 모두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도록 보조신호가 워블링 방식에 의해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를 도시한다. 도2 에 있어서, 광디스크는 산의 트랙(10)과 골의 트랙(12)가 인접하는 양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에만 형성된 하나의 워블드 피트(14)만을 구비한다. 이 워블드 피트(14)에 프리포맷된 보조신호는 산의 트랙(10)과 골의 트랙(12) 모두를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들로 구분하고 그 프레임들 각각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게 된다. 이를 간략히 하면, 산의 트랙(10)과 골의 트랙(12)는 보조신호를 공유함으로써 모두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나의 워블드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는 두개의 워블드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에 비하여 2배에 해당하는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워블드 방식으로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를 구동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디스크에 프리포맷된 동기신호와 어드레스를 독취한다. 그리고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독취된 어드레스에 의해 억세스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위치를 탐색하고 동기신호에 맞추어 탐색된 프레임을 억게스하게 된다. 또한, 데이타의 기록시에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광디스크로부터 독취한 동기신호와 어드레스를 사용자 데이타에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을 구성하고 이 사용자 데이타 블럭을 독취된 동기 신호에 맞추어 광디스크의 트랙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광디스크는 데이타가 기록될 트랙과는 별도로 마련된 워블드 피트에 보조신호가 위치함으로서 데이타의 기록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광디스크에 프리포맷된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는 반송파 신호에 의해 트랙을 일정한 크기의 프레임들로 구분하므로 트랙별 프레임의 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의 중심 부근의 내주의 트랙으로부터 외곽쪽의 트랙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하나의 트랙에 포함되는 프레임의 수가 증가하게 된다. 즉,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는 트랙당 프레임 수가 불균일하여 억세스하고자 하는 프레임의 위치를 예측하기 곤란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광디스크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랜덤 억세스 속도를 떨어뜨린다.
한편, 광디스크의 트랙의 일부영역에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하는 방법에는 등각속도(Constant Angular Velocity; 이하 “CAV”라 함) 방식과, 죤드 CAV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첫번째로, CLV 방식은 광디스크상의 내주 트랙으로부터 외주 트랙들 모두를 일정한 회전각도를 가진 다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즉, 섹터들)로 분할하고 그 섹터들 각각에 동기신호와 어드레스를 프리포맷한다. 이 방식으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의 트랙들은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을 포함함은 물론 모두 동일한 각속도로 구동된다. 이런 이유로, CLV 방식의 보조신호를 갖는 광디스크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랜덤 억세스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으나 기록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다. 이는 광디스크의 외주 트랙에서의 트랙의 길이에 대한 기록밀도(즉, 프레임의 수)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두번째로, 죤드(Zoned) CLV 방식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디스크를 일정 갯수의 트랙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ZN1내지 ZNi) 로 구분하고, 각 죤(ZN1내지 ZNi)의 위치에 따라 트랙을 상이한 크기의 단위 기록 구간들(일명, “섹터”라 함)(ST)로 구분하는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한다. 여기서, 동일한 죤내의 트랙들은 동일한 수의 섹터들(ST)을 구비하나, 다른 죤내의 트랙들 보다는 작거나 또는 많은 섹터들(ST)을 구비한다. 보조신호는 섹터들(ST)간의 경계부의 일정영역(즉, 프리포맷 영역)에 위치한 섹터헤더(Sector Header)들을 포함하며, 이 섹터 헤더는 섹터의 크기와 시작위치를 지시하는 동기신호와, 그 섹터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섹터식별 코드로 구성된다. 그리고 섹터 식별코드는 어드레스와 에러 정정 코드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억세스하고자 하는 광디스크상의 죤(ZN)에 따라 광디스크를 다른 회전속도로 구동하게 된다. 즉, 광디스크 기록장치는 억세스하고자 하는 죤(ZN)이 광디스크의 중심에 가까운 것인 경우에는 비교적 느리게 광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반면에 억세스하고자 하는 죤(ZN)이 광디스크상의 외곽쪽에 위치한 것인 경우에는 광디스크를 비교적 빠르게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죤드 CLV 방식으로 프리포맷된 보조신호를 가진 디스크는 죤에 따라 트랙별 섹터의 수를 다르게 하여 CLV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디스크 보다는 많은 양의 데이타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러나, 죤드 CLV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디스크는 CLV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디스크와 마찬가지로 데이타가 기록될 트랙의 일부영역(즉, 섹터들간의 경계부)을 보조신호에 할당하여야 하기 때문에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디스크 만큼 충분할 기록용량을 확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하면서 랜덤 억세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랜덤 억세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랜덤 억세스 속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일측 워블드 방식의 보조신호를 가진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더블 사이드 워블링 방식으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원 사이드 워블링 방식으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광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죤드 CLV 방식으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디스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들에 포함된 프레임 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리드-인 영역에 기록된 죤 해더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억세스 위치를 탐색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는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상기 기록영역상의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들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는 동기신호들과, 상기 동기신호들의 사이에 각각 배열되어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들을 포함하는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보조 피트 영역을 구비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에 있어서, 보조 피트 영역은 보조신호가 실린 일정한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에 따라 워블된 워블링 피트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에 있어서 기록영역상의 트랙들이 산과 골의 형태로 형성되고, 워블링 피트가 산과 골의 트랙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는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의 수와 트랙당 포함된 단위 기록 구간의 수가 기록된 특정영역을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도록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된 동기신호들과 이들 동기신호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보조 어드레스들로 구성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프리 피트 영역을 가진 광디스크로부터 동기신호와 보조 어드레스를 복원하는 복원하는 수단과, 복원된 동기신호와 상기 보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수단으르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방법은 억세스 모드의 개시시,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들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도록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된 동기신호들과 이들 동기신호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보조 어드레스들을 가진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프리 피트 영역과,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의 수와 트랙당 포함된 단위 기록 구간의 수가 기록된 특정영역을 구비한 광디스크로부터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의 수와 트랙당 포함된 단위 기록 구간의 수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단계와; 광디스크를 억세스에서 타 트랙으로의 트랙점프명령이 있는가를 검출하는 단계와; 트랙점프명령이 있는 경우에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트랙점프제어를 수행한 다음 억세스 모드를 재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4 를 참조하면, 나선형의 산 및 골의 트랙(20,22)와, 보조신호가 실린 두개의 워블링 피트(24)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26)가 도시되어 있다. 워블링 피트들(24)은 산과 골의 트랙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이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워블됨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워블링 피트들(24)는 산과 골의 트랙(20,22) 중 골의 트랙(22)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는 반면에 산의 트랙(20)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다. 이와는 달리, 워블링 피트들(24)는 산과 골의 트랙(20,22) 중 산의 트랙(20)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을 유지하고 골의 트랙(22)에 대해서는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 워블링 피트들(2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골의 트랙(22) 또는 산의 트랙(20)을 억세스하도록 안내한다.
워블링 피트들(2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26)상의 산과 골의 트랙(20,22)를 일정한 회전수의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골의 트랙(22)는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됨과 아울러 동일한 죤내서는 회전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각속도로 억세스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26)의 중심에 가까운 제1 죤(ZN1)내의 골의 트랙(22)이 억세스될 경우에 광디스크(26)은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억세스될 트랙이 제1 죤(ZN1)내의 트랙으로부터 최외곽의 제i 번째 죤(ZNi)내의 트랙쪽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될 경우에 광디스크(26)은 점진적으로 느리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워블링 피트들(24)에 프리포맷된 다수의 보조 프레임 정보(FI)를 구비한다. 이 보조 프레임 정보(FI)들 각각은 골의 트랙(22)을 단위 기록 구간(이하 “프레임”이라 함)들로 구분하는 보조 동기신호(PYre)와 보조 동기신호에 의해 구분된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별코드(PID)로 구성된다. 보조 동기신호들(PYre)는 워블링 피트들(24)의 일정한 회전수 마다 다른 회전각도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골의 트랙(22)는 일정한 회전수를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됨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조 동기신호들(PYre)는 일정한 회전수의 워블링 피트들(24)에서는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열되고 더불어 동일한 회전각도의 워블링 피트(24)의 구간을 점유한다. 한편, 보조 식별코드들(PID)은 각각 보조 동기신호들(PYre) 사이의 워블링 피트(24)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식별코드들(PID) 각각은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구분된 골의 트랙(22)상의 프레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도시하지 않음)와 에러 정정용의 에러정정코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골의 트랙(22)에는 워블링 피트(2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골의 트랙(22)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여기서, n번째 사용자 식별코드(UIDn)는 n-1번째 보조 식별코드(PIDn-1)를 포함하게 된다.
도5 에는, 나선형의 산 및 골의 트랙(30,32)와, 보조신호가 실린 하나의 워블링 피트(34,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36)가 도시되어 있다. 워블링 피트들(34)은 산과 골의 트랙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이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위블됨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워블링 피트(3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에 산과 골의 트랙(30,32)을 억세스하도록 안내한다.
이 워블링 피트(3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36)상의 산과 골의 트랙(30,32)를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산과 골의 트랙(30,32)은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됨과 아울러 동일한 죤내서는 회전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각속도로 억세스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26)의 중심에 가까운 제1 죤(ZN1)내의 산과 골의 트랙(30,32)이 억세스될 경우에 광디스크(36)은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억세스될 트랙이 제1 죤(ZN1)내의 트랙으로부터 최외곽의 제i 번째 죤(ZNi)내의 트랙쪽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광디스크(26)은 점진적으로 느리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워블링 피트들(34)에 프리포맷된 다수의 보조 프레임 정보(FI)를 구비한다. 이 보조 프레임 정보(FI)들 각각은 산과 골의 트랙(22)을 단위 기록 구간(이하 “프레임”이라 함)들로 구분하는 보조 동기신호(PYre)와 보조 동기신호(PYre)에 의해 구분된 산과 골의 트랙들(30,32)상의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별코드(PID)로 구성된다. 보조 동기신호들(PYre)은 워블링 피트(34)의 일정한 회전수 마다 다른 회전각도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산과 골의 트랙(30,32)일정한 회전수를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됨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조 동기신호들(PYre)는 일정한 회전수의 워블링 피트(34)에서는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열되고 더불어 동일한 회전각도의 워블링 피트(24)의 구간을 점유한다. 한편, 보조 식별코드들(PID)은 각각 보조 동기신호들(PYre) 사이의 워블링 피트(34)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식별코드들(PID) 각각은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구분된 골의 트랙(30,32)상의 프레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도시하지 않음)와 에러 정정용의 에러정정코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워블링 피드(3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산의 트랙(30)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워블링 피트(3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골의 트랙(32)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여기서, 산과 골의 트랙(30,32)에 각각 기록된 n번째 사용자 식별코드들(UIDn)는 n-1번째 보조 식별코드(PIDn-1)를 포함하며, 더불어 산과 골의 트랙(30,32)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6 을 참조하면, 나선형을 이루도록 1회전 마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산 및 골의 트랙들(40,42)와, 1회전 단위로 분리된 워블링 피트들(44)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46)가 도시되어 있다. 산의 트랙들(40)은 각각 광디스크(46)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주쪽으로 이르는 산/골 교차라인에서 두개의 골의 트랙들(42)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골의 트랙들(42)도 각각 산/골 교차 라인(LG)에서 두개의 산의 트랙들(40)과 연결된다. 그리고 워블링 피트들(44)은 산과 골의 트랙(40,42)이 인접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이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워블됨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한다. 이에 따라, 이 워블링 피트들(4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산과 골의 트랙(40,42)을 억세스하도록 안내한다.
이들 워블링 피트들(4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26)상의 산과 골의 트랙(40,42)를 일정한 회전수의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골의 트랙(42)는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됨과 아울러 동일한 죤내서는 회전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각속도로 억세스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46)의 중심에 가까운 제1 죤(ZN1)내의 산과 골의 트랙(40, 42)이 억세스될 경우에 광디스크(46)은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억세스될 트랙이 제1 죤(ZN1)내의 트랙으로부터 최외곽의 제i 번째 죤(ZNi)내의 트랙쪽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광디스크(46)은 점진적으로 느리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워블링 피트들(44)에 프리포맷된 다수의 보조 프레임 정보(FI)를 구비한다. 이 보조 프레임 정보(FI)들 각각은 산과 골의 트랙(40,42)을 단위 기록 구간(이하 “프레임”이라 함)들로 구분하는 보조 동기신호(PYre)와 보조 동기신호(PYre)에 의해 구분된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별코드(PID)로 구성된다. 보조 동기신호들(PYre)은 워블링 피트들(44)의 일정한 회전수 마다 다른 회전각도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산과 골의 트랙(40,42)은 일정한 회전수를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됨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조 동기신호들(PYre)은 일정한 회전수의 워블링 피트(44)에서는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열되고 더불어 동일한 회전각도의 워블링 피트(44)의 구간을 점유한다. 한편, 보조 식별코드들(PID)은 각각 보조 동기신호들(PYre) 사이의 워블링 피트(44)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식별코드들(PID) 각각은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구분된 산과 골의 트랙(40,42)상의 프레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도시하지 않음)와 에러 정정용의 에러정정코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워블링 피드(4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산의 트랙(40)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워블링 피트(4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골의 트랙(42)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여기서, 산과 골의 트랙(40,42)에 각각 기록된 n번째 사용자 식별코드들(UIDn)는 n번째 보조 식별코드(PIDn)를 포함하며, 더불어 산과 골의 트랙(40,42)을 지시하는 어드레스 비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 데이타 블럭은 산/골 교차 라인(LG) 부근의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FR)은 산의 트랙(42)의 끝부분으로부터 골의 트랙(42)의 시작부분에 이르는, 예를 들면 i-1번째 산의 트랙(40n-1)의 끝부분에서 부터 i번째 골의 트랙(42i)의 시작부분에 이르는 구간에 기록된다. 또는, 사용자 데이타 블럭은 산/골 교차 라인(LG) 부근의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FR)은 골의 트랙(42)의 끝부분에서부터 산의 트랙(40)의 시작부분에 이르는 구간, 예를 들면 i번째 골의 트랙(40n)의 끝부분에서부터 i번째 산의 트랙(40i)의 시작부분에 이르는 구간에 기록된다.
도7 에는, 나선형을 이루도록 1회전 마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산 및 골의 트랙들(50,52)와, 1회전 단위로 분리된 워블링 피트들(54)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56)가 도시되어 있다. 산의 트랙들(50)은 각각 광디스크(56)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주쪽에 이르는 산/골 교차 라인(LG)에서 두개의 골의 트랙들(52)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골의 트랙들(52)도 각각 산/골 교차 라인(LG)에서 두개의 산의 트랙들(50)과 연결된다. 그리고 워블링 피트들(54)은 산과 골의 트랙(50,52)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이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워블됨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한다. 이에 따라, 이 워블링 피트들(5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산과 골의 트랙(50,52)을 억세스하도록 안내한다.
이들 워블링 피트들(54)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56)상의 산과 골의 트랙(50,52)를 일정한 회전수의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한다. 그리고 보조신호는 각 죤들(ZN1내지 ZNi) 각각을 정속규역(CR1내지 CRi)과 변속구역(VR1내지 VRi)으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산과 골의 트랙(50,52)는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됨과 아울러 동일한 죤(ZN)내서도 정속구역과 변속구역(VR)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 된다. 그리고 변속구역의 산과 골의 트랙(50,52)은 인접한 정속구역들(CA)의 트랙들(50,52)이 억세스되는 각속도의 중간 각속도로 억세스 된다. 또한, 산과 골의 트랙들(50,52)은 동일한 정속구역(CA)내에서와 동일한 변속구역(VR)내에서는 동일한 각속도로 억세스 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56)의 중심에 가까운 제1 죤(ZN1)내의 산과 골의 트랙(50,52)이 억세스될 경우에 광디스크(56)은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억세스될 트랙이 제1 죤(ZN1)내의 트랙으로부터 최외곽의 제i 번째 죤(ZNi)내의 트랙쪽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광디스크(56)은 점진적으로 느리게 회전된다. 또한, 제1 죤(ZN1)의 변속구역(VR1)내의 산과 골의 트랙(50,52)이 억세스될 경우의 광디스크의 회전속도는 제1 죤(ZN1)의 정속구역(CA1)내의 산과 골의 트랙(50,52)가 억세스될 경우와 제2 죤(ZN2)의 정속구역(CA2)내의 산과 골의 트랙(50,52)가 억세스될 경우의 회전속도들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회전속도로 회전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워블링 피트들(54)에 프리포맷된 다수의 보조 프레임 정보(FI)를 구비한다. 이 보조 프레임 정보(FI)들 각각은 산과 골의 트랙(50,52)을 단위 기록 구간(이하 “프레임”이라 함)들로 구분하는 보조 동기신호(PYre)와 보조 동기신호(PYre)에 의해 구분된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별코드(PID)로 구성된다. 보조 동기신호들(PYre)은 워블링 피트들(54)의 일정한 회전수 (예를 들면, 2회전) 마다 다른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구간을 점유함으로써, 산과 골의 트랙(50,52)을 제1 소정 회전수(4회전)의 트랙들을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함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들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조 동기신호들(PYre)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 각각에 포함된 제1 소정 회전수의 워블링 피트들 중 광디스크(56)의 중심쪽에 위치한 제2 소정 회전수(예를 들면, 1 회전)의 워블링 피트와 제1 소정 회전수(2회전)에서 제2 소정 회전수(1회전)을 제외한 나머지의 제3 소정 회전수(예를 들면, 1회전)의 워블링 피트에서 다른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구간을 점유함으로써,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 각각에 포함된 산과 골의 트랙들(50,52)을 광디스크(56)의 중심쪽에 위치한 제1 소정 회전수의 트랙들을 포함하는 정속구역(CA1내지 CAi)과 그 정속구역으로부터 다음 죤(ZN)의 정속구역(CA) 사이에 위치한 제3 소정 회전수의 트랙들(50,52)를 포함하는 변속구역(VR1내지 VRi)으로 구분한다. 또한, 변속구역(VR)의 워블링 피트(54)에 프리포맷된 동기신호들(PYre)은 인접한 두개의 정속구역(CA)의 워블링 피트(54)에 프리포맷된 동기신호들(PYre)이 배열된 회전각도들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됨과 아울러 인접한 두개의 정속구역(CA)의 워블링 피트(54)에 프리포맷된 동기신호들(PYre)이 점유하는 회전각도의 구간들의 중간값에 해당하는 회전각도의 구간을 점유한다.
한편, 보조 식별코드들(PID)은 각각 보조 동기신호들(PYre) 사이의 워블링 피트(54)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식별코드들(PID) 각각은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구분된 산과 골의 트랙(50,52)상의 프레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도시하지 않음)와 에러 정정용의 에러정정코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56)상의 산과 골의 트랙들(50,52)은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죤들(ZN1내지 ZNi)과 각 죤들(ZN1내지 ZNi)내의 정속구역(CA1내지 CAi) 및 변속구역(VR1내지 VRi)에 따라 상이한 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1 죤(ZN1)에서 정속구역(CA1)내의 산과 골의 트랙(50,52)들은 각각 6개의 프레임을 그리고 변속 구역(VR1)내의 산과 골의 트랙들(50,52)은 각각 7개의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수의 죤들 각각을 정속구역과 변속구역으로 구분하는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억세스중인 죤의 트랙에서 다른 죤의 트랙을 연속적으로 억세스할 경우에 광디스크의 회전속도의 과도현상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보조신호은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죤들의 경계부분에 있는 트랙들을 안정되게 억세스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죤들 각각을 정속구역과 변속구역으로 구분하는 보조신호는 나선형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산과 골의 트랙중 어느 한쪽 트랙에 대하여 동일한 위상으로 워블된 두개의 워블링 피트를 구비하는 광디스크에 프리포맷될 수 있으며, 아울러 나선형으로 나란하게 형성된 산과 골의 트랙과 이들 트랙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에 형성된 하나의 워블링 피트를 구비하는 광디스크에 프리포맷될 수도 있다.
도9 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재기록 가능한 광디스크를 도시한다. 제9도에 있어서, 광디스크(60)는 데이타 영역(62)와 리드 인 영역(64)를 구분된다. 데이타 영역(62)은 나선형을 이루도록 1회전 마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다수의 산 및 골의 트랙들(66,68)와, 1회전 단위로 분리된 워블링 피트들(70)를 구비한다. 산의 트랙들(66)은 각각 광디스크(60)의 중심으로부터 최외주쪽에 이르는 산/골 교차 라인(LG)에서 두개의 골의 트랙들(68)과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골의 트랙들(68)도 각각 산/골 교차 라인(LG)에서 두개의 산의 트랙들(66)과 연결된다. 그리고 워블링 피트들(70)은 산과 골의 트랙(66,68)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 경계변이 일정한 주파수 신호에 따라 워블됨에 의해 형성되어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한다. 이에 따라, 이 워블링 피트들(70)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산과 골의 트랙(66,68)을 억세스하도록 안내한다. 이들 워블링 피트들(70)에 실린 보조신호는 광디스크(26)상의 산과 골의 트랙(66,68)를 일정한 회전수의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한다. 이에 따라, 산과 골의 트랙(66,68)는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다른 각속도로 억세스됨과 아울러 동일한 죤내서는 회전수와 무관하게 동일한 각속도로 억세스된다. 이를 상세히 하면, 광디스크(60)의 중심에 가까운 제1 죤(ZN1)내의 산과 골의 트랙(66,68)이 억세스될 경우에 광디스크(60)은 가장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억세스될 트랙이 제1 죤(ZN1)내의 트랙으로부터 최외곽의 제i 번째 죤(ZNi)내의 트랙쪽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광디스크(60)은 점진적으로 느리게 회전된다. 이를 위하여, 보조신호는 워블링 피트들(70)에 프리포맷된 다수의 보조 프레임 정보(FI)를 구비한다. 이 보조 프레임 정보(FI)들 각각은 산과 골의 트랙(66,68)을 단위 기록 구간(이하 “프레임”이라 함)들로 구분하는 보조 동기신호(PYre)와 보조 동기신호(PYre)에 의해 구분된 프레임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식별코드(PID)로 구성된다. 보조 동기신호들(PYre)는 워블링 피트들(70)의 일정한 회전수 마다 다른 회전각도로 배열됨과 아울러 다른 회전각도의 크기를 가진다. 이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산과 골의 트랙(66,68)은 일정한 회전수를 가지는 다수의 죤들(ZN1내지 ZNi)로 구분됨과 아울러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보조 동기신호들(PYre)은 일정한 회전수의 워블링 피트들(44)에서는 동일한 회전각도로 배열되고 더불어 동일한 회전각도의 워블링 피트(44)의 구간을 점유한다. 한편, 보조 식별코드들(PID)은 각각 보조 동기신호들(PYre) 사이의 워블링 피트(70)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식별코드들(PID) 각각은 보조 동기신호들(PYre)에 의해 구분된 산과 골의 트랙(66,68)상의 프레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보조 어드레스(도시하지 않음)와 에러 정정용의 에러정정코드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워블링 피드(4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산의 트랙(40)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마찬가지로, 워블링 피트(44)상의 보조 동기신호(PYren)의 종료지점으로 부터 다음 보조 동기신호(PYren+1)의 종료지점까지의 프레임에 해당하는 골의 트랙(42)에는 기준 동기신호(SYref)와 사용자 식별코드(UIDn)와 사용자 데이타 블럭(UID)을 포함하는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이 기록된다.
데이타 해더 영역(64)은 데이타 영역상의 죤들(ZN1내지 ZNi)에 대한 죤 해더들로 구성된 죤 해더 테이블이 포함되어 있다. 이 죤 해더 테이블은 도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 영역(62)상의 각 죤별로 시작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시작 프레임 어드레스(SFA), 마지막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종료 프레임 어드레스(EFA), 죤에 포함된 트랙의 수(AT) 및 죤에 포함된 프레임의 수(AF)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죤 해더 테이블은 워블링 피트(70)상에만 프리포맷될 수 있고 또는 산과 골의 트랙(66,68)에만 프리포맷될 수 있고 또는 산과 골의 트랙(66,68)에만 프리포맷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워블링 피트(70)과 산과 골의 트랙(66,68) 모두에 프리포맷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죤 해더 데이블은 본 발명에서 광디스크(60)의 중심부와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편의에 따라 그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 죤 해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억세스 하고자 하는 트랙의 위치와 프레임을 산출하게 된다.
도11 은 도4 에 도시된 광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도시한다. 제12도에 있어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스핀들 모터(82)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광디스크(80)와, 광픽업(84)에 접속된 서보부(86)와, 스핀들 모터(82)에 접속된 모터 구동부(88)를 구비한다. 광픽업(84)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디스크의 골의 트랙(12)에 하나의 메인 광빔(MB)과 두개의 보조광빔(SB1, SB2)을 조사하여 메인광빔(MB)에 의해서는 정보를 기록하고 아울러 보조광빔들(SB1, SB2)에 의해서는 프리포맷된 보조신호를 독취한다. 이를 위하여, 광픽업(84)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 및 광검출기(PD) 사이에 위치하여 레이저 광빔을 분산시키는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 ; BS)와, 광디스크(80) 및 빔 스프리터(BS) 사이에 설치된 대물렌즈(OL)를 구비한다. 대물렌즈(OL)는 빔 스프리터(BS)로부터 광디스크(80)쪽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광빔을 집광한다. 빔 스프리터(BS)는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의 레이저 광빔이 대물렌즈(OL)를 경유하여 광디스크(80)의 표면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광디스크(80)에 의해 반사된 반사 광빔이 센서렌즈(Sensor Lens ; SL)를 경유하여 광검출기(PD)쪽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센서렌즈(SL)은 빔 스프리터(BS)로부터 광검출기(PD)쪽으로 진행되는 광빔을 집속하여 비점수차법에 의해 포커스(Focus)를 조절한다. 레이저다이오드(LD)에서 발생된 광빔은 회절격자(GT)에 의해 세개의 광빔들(MB, SB1, SB2)로 분리된다. 그리고 회절격자(GT)에 의해 분리된 광빔들(MB, SB1, SB2)은 빔 스프리터(BS)를 경유하여 대물렌즈(OL)에 의해서 제1도에서와 같이 광디스크의 골의 트랙(12)의 위에 놓이도록 집광된다. 광디스크(80)의 골의 트랙(12)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들(MB, SB1, SB2)은 대물렌즈(OL) 및 빔 스프리터(BS)를 경유하여 센서렌즈(SL)에 의하여 광검출기(PD)의 표면에 집광된다. 광검출기(PD)는 보조 광빔들(SB1, SB2)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t2)를 발생함과 아울러 메인 광빔(MB)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발생한다. 서보부(86)는 광검출기(PD)로부터의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2)에 의해 광픽업(84)내의 액츄에이터(ACT)를 구동하여 광빔들(MB, SB1, SB2)의 사이즈와 트랙상의 위치 등을 조절한다. 한편, 모터 구동부(88)는 서보부(8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핀들 모터(82)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픽업(84)의 광검출기(PD)에 직렬 접속된 보조 신호 검출기(90) 및 보조신호 디코더(92)를 구비한다. 보조신호 검출기(90)는 광검출기(PD)로부터의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t2)를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t2)를 각각 필터링하고 그 필터링된 신호들을 가산함에 의해 광디스크(80)의 골의 트랙에 프리포맷된 보조신호(Pc)를 검출한다. 보조신호 디코더(92)는 보조신호 검출기(90)로부터의 보조신호(Pc)로부터 보조 클럭으로 사용된 이중 위상클럭(PCLK)과, 골의 트랙(12)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와,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구간의 시작지점을 지시하는 보조 동기 신호(PYre)를 복원한다.
또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 보조 동기 신호(PYre)와 이중 위상 클럭(PCLK)를 입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94)와, 기록정보 처리부(96)와 광픽업(84)의 레이저 다이오드(LD) 사이에 접속된 광 제어부(98)를 구비한다. 기준 신호 발생기(94)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와 동일한 위상과 동일한 폭의 펄스를 가진 기준 동기 신호(SYref)를 발생한다. 그리고 기준 신호 발생기(94)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이중 위상 클럭(PCLK)와 동일한 위상과 이중 위상 클럭(PCLK) 보다 소정 배수 만큼 큰 주파수를 가진 기준 클럭(SCLK)를 발생한다. 이 기준 클럭(SCLK)은 기준 동기 신호(SYref)와 함께 기록정보 처리부(96)에 공급된다.
그러면, 기록정보 처리부(96)는 기준 신호 발생기(94)로부터의 기준 동기 신호(SYref)에 보조신호 디코더(92)으로부터의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를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타를 지시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부(UID)를 형성함과 아울러 기록 데이타를 일정한 크기(즉,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규정된 프레임)를 가진 사용자 데이타 블록(UDB)으로 블록화한다. 그리고 기록신호 처리부(96)는 사용자 데이타 블록(UDB)의 앞에 사용자 식별코드부(UID)를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를 구성한다. 이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는 기준 신호 발생기(94)에서 발생된 기준 클럭에 맞추어 광제어기(98)에 공급된다. 그러면, 광 제어기(98)는 기록정보 처리부(96)로부터의 출력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LD)를 단속하여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이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구분된 광디스크(80)의 골의 트랙(12)상의 프레임 구간에 기록된다.
더 나아가,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픽업(84)의 광 검출기(PD)로부터의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입력하는 재생신호 처리부(100)와, 서보부(86)와 모터 구동부(88)와 광 제어기(98)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어기(102)를 추가로 구비한다. 재생신호 처리부(100)는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채널 디코딩하여 데이타 비트 스트림을 검출하고, 그 데이타 비트 스트림으로 기준 동기 신호(SYref), 사용자 식별 코드(UID) 및 사용자 데이타 블럭(UDB)를 복원한다. 그리고 재생신호 처리부(100)는 복원된 사용자 식별 코드(UID)와 기준 동기 신호(SYref)를 제어부(102)에 공급한다.
제어기(102)는 서보부(86)와 모터 구동부(88)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광제어기(98)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기(102)는 기록/재생 모드에 따라 기록정보 처리부(96)과 재생신호 처리부(100)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제어기(102)는 재생 및 기록 모드시에 광픽업(84)을 트랙점프시켜 억세스하고자 하는 광디스크(80)상의 골의 트랙(12)에 위치시킨다. 이 때, 제어기(102)는 억세스하고자 하는 골의 트랙(12)으로의 점프할 트랙의 수를 보조 식별 코드(PID) 또는 사용자 식별 코드(UID)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제어기(102)는 재생시에는 재생신호 처리부(100)로부터의 사용자 식별 코드(UID)에 의해 현재의 광빔이 조사되는 죤, 트랙 및 프레임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리고 규정된 죤별 트랙수와 프레임의 수를 이용하여 광빔이 점프할 트랙 수를 산출한다. 기록시에 제어기(102)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식별 코드(PID)에 의해 현재의 광빔이 조사되는 죤, 트랙 및 프레임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리고 규정된 죤별 트랙 수와 프레임의 수를 이용하여 광빔이 점프할 트랙 수를 산출한다. 더 나아가, 제어기(102)는 재생신호 처리부(100)으로부터의 기준 동기 신호(SYref) 또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에 의해 모터 구동부(88)를 제어하여 억세스 하고자 하는 트랙의 위치(즉, 광디스크(80)상의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광디스크(80)를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를 상세히 하면, 제어기(102)는 재생시에는 재생신호 처리부(100)로부터의 기준 동기 신호(SYref)에 의해 광디스크(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기록시에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에 의해 광디스크(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도12 는 도4 내지 도9 에 도시된 광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를 도시한다. 도12 에 있어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스핀들 모터(82)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된 광디스크(80)와, 광픽업(84)에 접속된 서보부(86)와, 스핀들 모터(82)에 접속된 모터 구동부(88)를 구비한다. 광픽업(84)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광디스크의 골의 트랙(12)에 하나의 메인 광빔(MB)과 두개의 보조광빔(SB1, SB2)을 조사하여 메인광빔(MB)에 의해서는 정보를 기록하고 아울러 보조광빔들(SB1, SB2)에 의해서는 프리포맷된 보조신호를 독취한다. 이를 위하여, 광픽업(84)은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 ; LD) 및 광검출기(PD) 사이에 위치하여 레이저 광빔을 분산시키는 빔 스프리터(Beam Splitter ; BS)와, 광디스크(80) 및 빔 스프리터(BS) 사이에 설치된 대물렌즈(OL)를 구비한다. 대물렌즈(OL)는 빔 스프리터(BS)로부터 광디스크(80)쪽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광빔을 집광한다. 빔 스프리터(BS)는 레이저 다이오드(LD)로부터의 레이저 광빔이 대물렌즈(OL)를 경유하여 광디스크(80)의 표면에 조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광디스크(80)에 의해 반사된 반사 광빔이 센서렌즈(Sensor Lens ; SL)를 경유하여 광검출기(PD)쪽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센서렌즈(SL)은 빔 스프리터(BS)로부터 광검출기(PD)쪽으로 진행되는 광빔을 집속하여 비점수차법에 의해 포커스(Focus)를 조절한다. 레이저다이오드(LD)에서 발생된 광빔은 회절격자(GT)에 의해 세개의 광빔들(MB, SB1, SB2)로 분리된다. 그리고 회절격자(GT)에 의해 분리된 광빔들(MB, SB1, SB2)은 빔 스프리터(BS)를 경유하여 대물렌즈(OL)에 의해서 제1도에서와 같이 광디스크의 골의 트랙(12)의 위에 놓이도록 집광된다. 광디스크(80)의 골의 트랙(12)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들(MB, SB1, SB2)은 대물렌즈(OL) 및 빔 스프리터(BS)를 경유하여 센서렌즈(SL)에 의하여 광검출기(PD)의 표면에 집광된다. 광검출기(PD)는 보조 광빔들(SB1, SB2)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t2)를 발생함과 아울러 메인 광빔(MB)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발생한다. 서보부(86)는 광검출기(PD)로부터의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2)에 의해 광픽업(84)내의 액츄에이터(ACT)를 구동하여 광빔들(MB, SB1, SB2)의 사이즈와 트랙상의 위치 등을 조절한다. 한편, 모터 구동부(88)는 서보부(86)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핀들 모터(82)의 회전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그리고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픽업(84)의 광검출기(PD)에 직렬 접속된 적응형 보조신호 검출기(104) 및 보조신호 디코더(92)를 구비한다. 보조신호 검출기(104)는 광검출기(PD)로부터의 제1 및 제2 고주파 신호(RFt1, RFt2)를 처리하여 광디스크(80)상에 프리포맷된 보조신호(Pc)와 광빔이 위치한 트랙의 종류를 나타내는 트랙 판별 신호(LGid)를 발생한다. 이를 위하여, 적응형 보조신호 디코더(104)는 광픽업(84)의 광 검출기(PD)로부터 제1 고주파 신호(RFt1)를 입력하는 제1 대역 여파기(110)와, 광픽업(84)의 광 검출기(PD)로부터 제2 고주파 신호(RFt2)를 입력하는 제2 대역 여파기(112)를 구비한다. 제1 대역 여파기(110)는 제1 고주파신호(RFt1)를 대역필터링하여 일정 주파수 대역 반송파신호를 검파하고, 그 검파된 반송파 신호를 제1 노드(111)에 공급한다. 제1 노드(111)에는 광빔이 산의 신호트랙에 위치할 경우에 반송파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는 달리, 광빔이 골의 신호트랙에 위치할 경우, 제1 노드(111)에는 직류신호가 공급된다. 한편, 제2 대역 여파기(112)는 제2 고주파 신호(RFt2)를 대역필터링하여 일정 주파수 대역의 반송파신호를 검파하고, 그 검파된 반송파 신호를 제2 노드(113)에 공급한다. 제2 노드(113)에는 광빔이 골의 신호트랙에 위치한 경우에 반송파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는 달리, 광빔이 산의 신호트랙에 위치한 경우, 제2 노드(113)에는 직류신호가 공급된다.
그리고 적응형 보조신호 검출기(104)는 제1 및 제2 노드(111,113)상의 신호들을 입력하는 가산기(114)와, 제1 노드(111) 및 제2 노드(113)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포락선 검파기(116,118)를 추가로 구비한다. 가산기(114)는 제1 및 제2 노드(111,113)상의 신호들을 가산·증폭하여 반송파신호(Pc)를 발생한다. 가산기(114)에서 발생된 반송파 신호(Pc)는 보조신호 디코더(92)에 공급된다. 제1 포락선 검파기(116)는 제1 노드(111)상의 신호중 포락선 성분만을 검출하여 적분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포락선 검파기(116)는 제1 노드(111)와 제3 노드(115) 사이에 접속된 제1 다이오드(D1)와, 제3 노드(115)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 제1 캐패시터(C1)를 구비한다. 제1 다이오드(D1)는 제1 노드(111)의 신호중 자신의 동작전압 이상의 성분을 제3 노드(115)쪽으로 통과시킨다. 제1 캐패시터(C1)는 제3 노드(115)상의 포락선 성분을 평준화하여 제3 노드(115)상에 적분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제3 노드(115)상의 적분신호는 광빔이 산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 소정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반면에 광빔이 골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는 기저 전압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3 노드(115)상의 적분신호는 전류 제한용 저항(R1)을 경유하여 비교기(120)의 비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제2 포락선 검파기(118)는 제2 노드(113)상의 신호중 포락선 성분만을 검출하여 적분한다. 이를 위하여, 제2 포락선 검파기(118)는 제2 노드(113)와 제4 노드(117) 사이에 접속된 제2 다이오드(D2)와, 제4 노드(117)와 기저전압원(GND) 사이에 접속된 제2 캐패시터(C2)를 구비한다. 제2 다이오드(D2)는 제2 노드(113)의 신호중 자신의 동작전압 이상의 성분을 제4 노드(117)쪽으로 통과시킨다. 제2 캐패시터(C2)는 제4 노드(117)상의 포락선 성분을 평준화하여 제4 노드(117)상에 적분신호가 발생되도록 한다. 제4 노드(117)상의 적분신호는 광빔이 골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 소정 전압레벨을 유지하는 반면에 광빔이 산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는 기저 전압레벨을 유지한다. 그리고 제4 노드(117)상의 적분신호는 전류 제한용 저항(R2)을 경유하여 비교기(120)의 반전 단자(-)에 공급된다. 그러면, 비교기(120)는 양 저항(R1,R2)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두개의 적분신호를 대비하여 산과 골의 신호트랙을 구분할 수 있는 트랙 판별 신호(LGid)를 발생한다. 트랙 판별 신호(LGid)는 광빔이 산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 하이논리를, 반대로 광빔이 골의 트랙에 위치한 경우에는 로우논리를 유지한다.
한편, 보조신호 디코더(92)는 적응형 보조신호 검출기(104)로부터의 보조신호(Pc)로부터 보조 클럭으로 사용된 이중 위상 클럭(PCLK)과, 골의 트랙(12)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와,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지시된 프레임 구간의 시작지점을 지시하는 보조 동지 신호(PYre)를 복원한다.
또한,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 보조 동기 신호(PYre)와 이중 위상 클럭(PCLK)를 입력하는 기준 신호 발생기(94)와, 기록정보 처리부(96)와 광픽업(84)의 레이저 다이오드(LD) 사이에 접속된 광 제어부(98)를 구비한다. 기준 신호 발생기(94)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와 동일한 위상과 동일한 폭의 펄스를 가진 기준 동기 신호(SYref)를 발생한다. 그리고 기준 신호 발생기(94)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이중 위상 클럭(PCLK)와 동일한 위상과 이중 위상 클럭(PCLK) 보다 소정 배수 만큼 큰 주파수를 가진 기준 클럭(SCLK)를 발생한다. 이 기준 클럭(SCLK)은 기준 동기 신호(SYref)와 함께 기록정보 처리부(96)에 공급된다.
그러면, 기록정보 처리부(96)는 기준 신호 발생기(94)로부터의 기준 동기신호(SYref)에 보조신호 디코더(92)으로부터의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를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타를 지시하는 사용자 식별코드부(UID)를 형성함과 아울러 기록 데이타를 일정한 크기(즉,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규정된 프레임)를 가진 사용자 데이타 블록(UDB)으로 블록화한다. 그리고 기록신호 처리부(96)는 사용자 데이타 블록(UDB)의 앞에 사용자 식별코드부(UID)를 부가하여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를 구성한다. 이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는 기준 신호 발생기(94)에서 발생된 기준 클럭에 맞추어 광제어기(98)에 공급된다. 그러면, 광 제어기(98)는 기록정보 처리부(96)로부터의 출력신호의 논리값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LD)를 단속하여 사용자 데이타 프레임(UDF)이 보조 어드레스 신호(PAdd)에 의해 구분된 광디스크(80)의 골의 트랙(12)상의 프레임 구간에 기록된다.
더 나아가,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픽업(84)의 광 검출기(PD)로부터의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입력하는 재생신호 처리부(100)와, 서보부(86)와 모터 구동부(88)와 광 제어기(98)에 공통적으로 접속된 제어기(102)를 추가로 구비한다. 재생신호 처리부(100)는 제3 고주파 신호(RFt3)를 채널 디코딩하여 데이타 비트 스트림을 검출하고, 그 데이타 비트 스트림으로 기준 동기 신호(SYref), 사용자 식별 코드(UID) 및 사용자 데이타 블럭(UDB)를 복원한다. 그리고 재생신호 처리부(100)는 복원된 사용자 식별 코드(UID)와 기준 동기 신호(SYref)를 제어부(102)에 공급한다.
제어기(102)는 서보부(86)와 모터 구동부(88)의 동작 여부를 제어함과 아울러 광제어기(98)의 동작모드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기(102)는 기록/재생 모드에 따라 기록정보 처리부(96)과 재생신호 처리부(100)을 선택적으로 구동한다. 또한, 제어기(102)는 재생 및 기록 모드시에 광픽업(84)을 트랙점프시켜 억세스하고자 하는 광디스크(80)상의 골의 트랙(12)에 위치시킨다. 이 때, 제어기(102)는 억세스하고자 하는 골의 트랙(12)으로의 점프할 트랙의 수를 보조 식별 코드(PID) 또는 사용자 식별 코드(UID)를 이용하여 산출한다. 이를 상세히 하면, 제어기(102)는 재생시에는 재생신호 처리부(100)로부터의 사용자 식별 코드(UID)에 의해 현재의 광빔이 조사되는 죤, 트랙 및 프레임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리고 규정된 죤별 트랙수와 프레임의 수를 이용하여 광빔이 점프할 트랙 수를 산출한다. 기록시에 제어기(102)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식별 코드(PID)에 의해 현재의 광빔이 조사되는 죤, 트랙 및 프레임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리고 규정된 죤별 트랙 수와 프레임의 수를 이용하여 광빔이 점프할 트랙 수를 산출한다. 더 나아가, 제어기(102)는 재생신호 처리부(100)으로부터의 기준 동기 신호(SYref) 또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에 의해 모터 구동부(88)를 제어하여 억세스 하고자 하는 트랙의 위치(즉, 광디스크(80)상의 죤들(ZN1내지 ZNi)에 따라 광디스크(80)를 다른 회전속도로 회전시킨다. 이를 상세히 하면, 제어기(102)는 재생시에는 재생신호 처리부(100)로부터의 기준 동기 신호(SYref)에 의해 광디스크(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기록시에는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동기 신호(PYre)에 의해 광디스크(80)의 회전속도를 조절한다. 마지막으로, 제어기(104)는 적응형 보조신호 디코더(90)로부터의 트랙 판별 신호(LGid)의 논리값에 의해 현재 억세스 중인 트랙(즉, 광빔이 위치한 트랙)이 산의 트랙인지 또는 골의 트랙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제어기(104)는 트랙 판별 신호(LGid)에 의해 판별된 결과에 따라 광픽업(84)를 하나의 트랙만큼 이동시켜 억세스 하고자 하는 트랙의 종류를 선택한다.
도1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랙 점프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13 의 흐름도는 도9 에 도시된 광디스크상의 임의의 트랙에서 다른 임의의 트랙상의 특정 프레임을 억세스하고자 할 경우에 트랙 점프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것으로, 제12도에 도시된 제어기(104)에 의해 수해된다. 제13도의 흐름도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30 단계에서, 제어기(104)는 도시하지 않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사용자가 억세스 하고자 하는 프레임에 대한 목표 프레임 어드레스를 입력한다. 그리고 제어기(104)는 목표 프레임 어드레스와 현재 프레임 어드레스(즉,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의 보조 식별코드(PID)에 포함된 보조 어드레스(기록시) 또는 재생신호 처리부(100)로부터의 사용자 식별코드(UID)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코드(UID)에 포함된 사용자 어드레스(재생시))를 비교하여 현재 광빔이 위치한 프레임이 목표 프레임인가를 판단한다(제132 단계).
제132 단계에서 현재 프레임 어드레스와 목표 프레임 어드레스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제어기(104)는 광픽업(84)를 트랙 점프시켜 광디스크의 데이타 해더 영역에 프리포맷된 죤 해더 테이블을 판독하여 그 판독된 죤 해더 테이블을 이용하여 목표 프레임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프레임이 포함된 트랙까지의 점프할 트랙의 수를 산출한다 (제134 단계). 이 때, 제어기(104)는 죤 해더 테이블을 보조신호 디코더(92)로부터 입력할 수도 있고 또한 재생신호 처리부(100)으로부터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기(104)는 광픽업(84)를 점프할 트랙의 수 만큼 트랙점프시켜 목표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프레임이 포함된 트랙에 광빔이 조사되도록 한다 (제136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는 산과 골의 트랙과는 별도의 영역인 워블링 피트에 보조신호를 프리포맷하고, 그 보조신호에 의하여 산과 골의 트랙 모두 또는 어느 한쪽 트랙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가지는 다수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별로 트랙당 상이한 수의 프레임들을 그리고 동일 죤내에서는 트랙당 동일한 수의 프레임을 가지도록 구분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는 기록용량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광디스크 구동장치의 랜덤 억세스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는 각 죤내에 포함된 트랙들을 회전수에 따라 정속구간과 변속구간으로 세분하여 죤들간의 광디스크의 회전속도의 과도현상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죤들간의 경계부에서도 광디스크를 안정되게 억세스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는 죤 해더 테이블에 의해 각 죤들에 대한 트랙의 수 및 프레임의 수와 그 위치에 관한 어드레스를 지시하여 광디스크 구동장치가 억세스하고자 하는 프레임을 더욱 더 빠른 시간내에 찾아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광디스크의 워블링 피트에 프리포맷된 보조신호의 규칙성에 의존하여 억세스하고자 광디스크상의 위치를 빠른 기간내에 찾아 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구동장치는 워블링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를 빠른 속도로 랜덤하게 억세스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된 동심원 형상의 산과 골의 트랙들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중 어느 한쪽의 경계변에 형성된 워블링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에 본 발명의 보조신호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중심으로부터 외곽쪽으로 교번적으로 배열된 동심원 형상의 산과 골의 트랙들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에 형성된 두개의 워블링 피트를 가진 광디스크에도 본 발명의 보조신호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13)

  1.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데이타 영역과, 상기 트랙을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는 동기신호들과 동기신호들에 의해 구분된 단위기록 구간들의 물리적인 위치를 지시하는 보조 어드레스들로 구성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되고 상기 트랙과 인접하게 위치한 보조 피트 영역을 구비하는 광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들이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에 따라 상기 보조 피트 영역에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고,
    상기 보조 어드레스들이 상기 동기신호들의 사이에 각각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영역에 포함된 트랙들은,
    산의 형상을 가진 산의 트랙과,
    상기 산의 트랙과 인접한 골의 트랙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신호가 산과 골의 트랙 중 어느 한쪽에만 데이타가 기록되도록 프리포맷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피트 영역은 보조신호가 실린 일정한 주파수의 반송파 신호에 따라 워블된 워블링 피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링 피트는 상기 산과 골의 트랙이 인접하는 두개의 경계변 중 어느 한쪽의 경계변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산과 골의 트랙들이 하나의 나선형의 트랙을 이루도록 1회전 마다 교번적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일정수의 트랙들 전체 또는 일부가 인접한 죤에 포함된 트랙에 비하여 트랙당 하나 적은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일정수의 트랙들 전체 또는 일부가 인접한 죤에 포함된 트랙에 비하여 트랙당 하나 많은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디스크의 특정영역에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의회전수와 1회전의 트랙당 단위 기록 구간의 수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프리포맷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에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단위 기록 구간들 중 첫번째 단위기록 구간에 대한 어드레스와 마지막 단위 기록 구간에 대한 어드레스가 추가로 프리포맷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영역이 광디스크의 리드-인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12.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도록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된 동기신호들과 이들 동기신호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보조 어드레스들로 구성된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프리 피트 영역을 가진 광디스크로부터 동기신호와 보조 어드레스를 복원하는 복원하는 수단과,
    상기 동기신호와 상기 보조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상기 기록영역에 기록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장치.
  13. 반경방향으로 배열된 원주띠 형상의 트랙들을 포함하는 기록영역과, 상기 트랙들을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을 포함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죤들로 구분함과 아울러 죤들에 따라 1회전의 트랙들을 상이한 수의 상기 단위 기록 구간들로 그리고 동일한 죤내에서는 1회전의 트랙들이 동일한 수의 단위 기록 구간들로 구분하도록 일정한 회전수의 트랙에 따라 상이한 회전각도의 간격으로 배열된 동기신호들과 이들 동기신호들 사이에 각각 배열된 보조 어드레스들을 가진 보조신호가 프리포맷된 프리 피트 영역과, 상기 죤들 각각에 포함된 트랙의 수와 트랙당 포함된 단위 기록 구간의 수가 기록된 특정영역을 구비한 광디스크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억세스 모드의 시작시 상기 특정영역에 기록된 정보를 독취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광디스크를 억세스에서 타 트랙으로의 트랙점프명령이 있는가를 검출하는 제2 단계와,
    상기 트랙점프명령이 있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트랙점프제어를 수행한 다음 억세스 모드를 제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구동방법.
KR1019970032479A 1996-07-16 1997-07-12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KR199900099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8638A KR980011090A (ko) 1996-07-16 1996-07-16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KR1996-28638 1996-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906A true KR19990009906A (ko) 1999-02-05

Family

ID=660398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638A KR980011090A (ko) 1996-07-16 1996-07-16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KR1019970032479A KR19990009906A (ko) 1996-07-16 1997-07-12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8638A KR980011090A (ko) 1996-07-16 1996-07-16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8001109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5296B1 (ko) * 2001-05-21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정보가 포함된 싱크 데이터가 기록된 광 기록매체,그 싱크 데이터 기록방법, 기록장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KR100636091B1 (ko) * 1999-04-2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방법
KR100800416B1 (ko) * 2000-06-20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산/골 기록방식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091B1 (ko) * 1999-04-21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기록 매체와 그 기록 방법
KR100800416B1 (ko) * 2000-06-20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산/골 기록방식 광디스크 및 그 기록/재생 장치
KR100425296B1 (ko) * 2001-05-21 2004-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가 정보가 포함된 싱크 데이터가 기록된 광 기록매체,그 싱크 데이터 기록방법, 기록장치,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11090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2810B1 (ko) 광기록매체, 광기록매체상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법 및 광기록장치
KR100349029B1 (ko) 기록매체
RU2242056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канирования оптического диска
US20030048706A1 (en) Optical disc, tracking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and focus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US6195325B1 (en)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1034952A (ja) 光ディスク及び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100633477B1 (ko) 광 디스크 및 이 광 디스크를 주사하는 장치
KR100298929B1 (ko) 정보기록/재생방법및장치
EP0886265B1 (en) Recording/reproducing optical disk with zig-zag shifted headers,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ing same
US6898171B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ith index header
JPH11120576A (ja) 光ディスク再生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9990009906A (ko) 광디스크와 그 구동 방법 및 장치
JPH10134357A (ja) 光ディスク
JP4557272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867236B2 (ja) 光ディスク記録媒体および光ディスク装置
JPH05314664A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再生方法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3456509B2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20010030906A (ko) 광 디스크 및 이 광 디스크를 주사하는 장치
KR100686066B1 (ko) 광 기록매체의 제어 장치
KR19980046878A (ko) 광디스크와 그 기록 방법 및 장치
JP2002008248A (ja)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のアドレス管理方法および光ディスクのドライブ装置
JP4051357B2 (ja) 光記録媒体の記録方法及び記録装置
KR100277029B1 (ko) 광디스크 기록방법 및 장치
JP3427344B2 (ja) 光ディスク再生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955981B2 (ja) 光ディスク再生方法、光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