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472A -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472A
KR19990009472A KR1019970031892A KR19970031892A KR19990009472A KR 19990009472 A KR19990009472 A KR 19990009472A KR 1019970031892 A KR1019970031892 A KR 1019970031892A KR 19970031892 A KR19970031892 A KR 19970031892A KR 19990009472 A KR19990009472 A KR 1999000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unit
cleaning device
glass
hose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18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3553B1 (ko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이진영
최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최현규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10199700318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5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0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2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 A47L1/03Power-driven machines or devices cleaning both sides of a window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3/00Safety devices for use in window-cleaning
    • A47L3/04Safety rope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수를 공급 배수되면서 유리창 청소구가 유리창의 양면에 흡착될 수 있게 구성하여 고층건물등과 같이 실외에서 유리창을 닦을수가 없는 곳에서, 유리창의 내외면을 실내에서 청소구의 손잡이를 잡고 닦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닦을 수 있게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호우스감개, 실외기, 실내기로 유리창 내외면 청소장치를 구성하되,
호우스감개를 코일 스프링에 의해 호우스가 자동으로 감기게 구성하여 그 호우스를 실외기의 급수구와 연결하여 유리면으로 부터 실외기가 이탈되어도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게하고, 실내외기에 자석을 매착하여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실내외기가 자석에 의해 흡착되게 구성하여 호우스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면서, 실내에서 실내기만 조정하면 자석에 의해 흡착된 실외기가 따라 움직이며 유리내외면를 용이하고 깨끗하게 닦을 수 있게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본 발명은 세척수를 공급 배수되면서 유리창 청소구가 유리창의 양면에 흡착될 수 있게 구성하여 고층건물등과 같이 실외에서 유리창을 닦을수가 없는 곳에서, 유리창의 내외면을 실내에서 청소구의 손잡이를 잡고 닦거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용이하게 닦을 수 있게한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파트나 사무실등 비교적 높은 고층건물에서는 추락 등의 사고 위험성으로 인하여 특히 유리창의 외면을 닦기가 매우 곤란했으므로 일반적으로 전문가에게 용역을 주어 건물 외부에서 로우프 등에 매달려 유리창을 닦는 방법을 이용하였으나, 그 역시 위험성은 마찬가지일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인건비 등의 경제적인 부담이 있었으며 물 청소시 아래층에 피해를 주고 수시로 청소를 할수 없어 유리창이 늘 지저분 하였던 것이다.
또한 실내에서 유리창의 외면을 닦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또한 유리창면을 사이에 두고 실외기와 실내기를 자석 등에 의해 흡착시켜 실내기의 이동에 따라 실외기가 같이 이동되어 유리창의 실내외면을 닦는 것으로 실내기의 무리한 움직임에 의해 실외기가 유리면으로 부터 이탈되어 지상으로 떨어져 지나가는 행인에게 피해를 입히거나 실외기가 망거겨 못쓰게 되는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고층건물 등의 유리창 내외면을 닦음에 있어서 전문가들에 의하지 아니하고도 사용자가 직접 안전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수시로 닦을수 있게 하고 실외기나 세척수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수 있게한 유리창 내외면 청소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전체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호우스 감개의 단면 설명도.
도3은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실내외기 단면 설명도.
도4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실기 사시도.
도5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실내외기 종단면 설명도.
도6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실내외기 횡단면 설명도.
도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실내기 회로 결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호우스, 2: 세척포, 10: 호우스감개, 11: 고정구, 12: 연결구, 13: 코일스프링, 14: 회전구, 15: 지지로울러, 16: 유동공, 17: 상하이동대, 18: 유동봉, 19: 구동로울러, 20: 정역모터, 21,21': 스프링, 30: 실외기, 31: 함체, 32: 작동봉, 33: 물방울 제거용 고무, 34: 물방울 제거대, 35: 모터, 36: 세척로울러, 37,37': 자석매착홈, 38,38': 자석, 39: 급수구, 40: 오수조, 41: 배수구, 50: 실내기, 51: 함체, 52,52': 정역모터, 53,53',54,54': 바퀴, 55: 전후진스위치, 56: 전후진작동간, 57,57': 자석매착홈, 58,58': 자석, 59: 급수구, 60: 오수조, 61: 배수구, 62: 손잡이봉, 63: 무게추, 64,64': 마이크로스위치, 65: 리모콘, 66: 전후진 스위치, 67,67': 좌우회전스위치, 72: 축봉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우스감개(10), 실외기(30) 및 실내기(50)로 유리창 내외면 청소장치를 구성하되,
호우스감개(10)는 고정구(11) 중앙에 호우스(1) 연결구(12)을 형성하여 이 연결구(12)를 축으로 코일스프링(13) 등에 의해 회전자재되게 회전구(14)를 축설하고, 고정구(11) 상부에 지지로울러(15)를 축착하고 그 하부에 유동공(16)를 형성하여 상하이동대(17) 상부의 유동봉(18)를 상하 유동되게 끼우고 이에 구동로울러(19)를 정역모터(20)에 의해 구동되게 축설하고, 상하이동대(17)를 스프링(21)(21')에 의해 항상 위로 당겨주게 구성하며,
실외기(30)는 세척포(2)를 내입되게 구성한 함체(31) 외부에 ㄷ자형 작동봉(32)을 축설하여 그 상부에 물방울제거용 고무(33)를 교체가능하게 구성된 물방울 제거대(34)를 축착하며,
함체(31)내측 상부에 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로울러(36)를 형성하고 중앙에 자석매착홈(37)(3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38)(38')를 매착하며, 함체(31) 상부에 급수구(39)를 형성하고 하부에 오수조(40)와 배수구(41)를 형성하며,
실내기(50)는 전기 실외기(30)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세척포(2)를 내입되게 한 함체(51) 중앙에 자석 매착홈(57)(5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58)(58')를 매착하고, 함체(51) 상부에 급수구(59)를 하부에 오수조(60)와 배수구(61)를 형성하며, 함체(51) 중앙에 손잡이봉(62)을 유동가능하게 축착하여 호우스감개(10)의 호우스(1) 끝단을 실외기(30)의 급수구(39)에 연결하여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자석(38)(38')(58)(58')에 의해 흡착되게 한 것이다.
또한 실내기(50)를 함체(51) 좌우에 정역모터(52)(52')에 의해 좌우가 각각 구동되는 바퀴(53)(53')(54)(54')를 축설하고 전후진 스위치(55)를 작동시키는 전후진 작동간(56)을 함체(51) 하부에 형성하며, 함체(51) 중앙에 축봉(72)을 끼우고 이에 무게추(63)를 매달아 이 무게추(63)에 의해 좌우 마이크로스위치(64)(64')를 작동되게하고, 리모콘(65)의 전후진 스위치(66), 좌우회전스위치(68)(68')에 의해 조정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3은 레일, 22,22'는 가이드, 42는 건전지 케이스, 68은 전원스위치, 69는 전환스위치, 70,70'는 벨트, 71,71'는 기어박스, VR은 가변저항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닦을때에는 유리창의 외부 창문틀 상부에 ㄴ자형 레일(3)을 부착하고, 호우스 감개(10)의 상하이동대(17)를 아래로 이동시키고 지지로울러(15)와 구동로울러(19) 사이에 레일(3)을 끼우고 상하이동대(17)를 놓으면 스프링(21)(21')에 의해 위로 이동되어 레일(3)에 지지로울러(15)와 구동로울러(19)가 당접되는 것이다.
이렇게 레일(3)에 호우스감개(10)를 설치하고 정역모터(20)을 구동시키면 구동로울러(19)가 회전되어 호우스감개(10)가 레일(3)을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필요 위치에 호우스 감개(10)를 멈취 놓고 사용하는 것이다.
이것이 여의치 않을때에는 호우스감개(10)를 유리창의 외부창문틀 상부에 고정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호우스감개(10)를 설치한 다음 유리창을 닦으면 되는 것으로 유리창을 닦는 방법은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50)의 손잡이(62')를 잡고 닦는방법과 리모콘(65)을 이용하여 실내기(50)를 작동시켜 닦는 방법이 있다.
우선 사용자가 직접 실내기(50)의 손잡이(62')를 잡고 닦는 방법을 설명하면,
이미 설치된 호우스감개(10)의 연결구(12)에 호우스(1)을 이용하여 수도꼭지 또는 별도의 물탱크에 연결하고 호우스감개(10)의 회전구(14)에 감겨있는 호우스(1) 끝단을 실외기(30)의 급수구(39)에 연결한다.
다음으로 실외기(30)의 배수구(41)에는 별도의 호우스(1)를 연결하여 그 호우스(1)를 실내의 하수구등으로 뽑아 놓는다.
호우스(1)가 연결된 실외기(30)를 유리창의 외면에 대고 내면에서 실내기(50)를 갖다 놓으면 실외기(30)와 실내기(50)의 자석(38)(38')(58)(58')에 의해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흡착되는 것이다.
이렇게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흡착되면 수도꼭지 또는 물탱크에서 호우스감개(10)의 연결구(12)로 물을 공급하면 호우스감개(10)의 호우스(1)를 통해 실외기(30)의 급수구(39)로 물이 공급되는 것이다.
물을 공급받으면서 실내기(50)의 손잡이(62')를 잡고 상하 좌우로 유리창을 닦게되면 자석(38)(38')(58)(58')의 힘에 의해 실외기(30)가 실내기(50)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움직이므로 유리창의 내외면을 실내에서 동시에 닦을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실외기(30)의 모터(35)를 구동시키면 세척로울러(36)가 회전되어 더욱 유리창을 깨끗하고 용이하게 닦을수 있는 것이다.
실내기(50)의 과다한 움직임 등에 의해 실외기(30)가 유리면으로 부터 떨어지더라도 창문틀에 고정되어 있는 호우스감개(10)에 호우스(1)로 연결되어 있어 지상으로 떨어질 염려가 없는 것이다.
또한 실외기(30)에 설치되어 있는 물방울 제거대(34)는 실외기(30)가 위로 움직일때는 물방울제거대(34)의 물방울제거용 고무(33)가 유리면으로 부터 떨어져 있다가 실외기(30)가 아래로 움직일때는 물방울제거용 고무(54)가 유리면에 당접되어 움직이므로 유리면의 물방울들을 훑어 내리므로 유리면을 더욱 깨끗이 할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급수구(41)를 통해 공급되어 유리창을 세척하고 생긴 오수나 물방울제거대(34)에의 훑어 내려진 물은 실외기(30)의 오수조(40)에 대부분이 모아져 배수구(41)를 통해 배수되어 실내의 하수구등으로 를러 내리므로 세척수가 하부로 튀지 않아 아래층 등에 피해를 주지 않는 것이다.
또한 세척포(2)나 물방울제거용 고무(33)등은 마모시 그 교체가 용이하고 간단하게 교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리모콘(65)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닦을때를 설명하면,
전기한 방법과 같이 실외기(30)를 유리면에 대고 실내에서 리모콘용 실내기(50)를 실내에서 실외기(30) 위치에 갖다 대면 서로의 자석(38)(38')(58)(58')에 의해 흡착되는 것이다.
리모콘(65)을 이용하여 유리창을 닦을때에는 실외기(30)가 있는 유리면만을 닦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흡착되면 전기한 설명과 마찬가지로 물을 공급하면서 리모콘(65)의 조정만으로 유리창이 깨끗하고 용이하게 닸을수 있는 것이다.
도7은 도시와 같이 리모콘(65)의 전원스위치(68)를 ON시키고 자동수동전환 스위치(69)를 수동으로 놓으면 리모콘(65)의 전후진 스위치(66), 좌우회전스위치(67)(67')의 조작에 의해 실내외기(30)(50)을 이동시켜 가며 유리창을 닦는 것으로 전후진 스위치(66)를 전진 위치놓게 되면 정역모터(52)(52')에 전원이 인가되어 정역모터(52)(52')의 회전이 기어박스(72)(72')를 통해 좌우 바퀴(53)(54)가 구동되어 실내기(50)가 전진하게 되므로 유리창을 사이에 두고 자석(38)(38')(58)(58')에 의해 흡착되어 있는 실외기(30)도 따라 움직여 유리창을 닦게 되는 것이다.
또한 좌우회전스위치(67)(67')중 우회전스위치(67)를 누르게 되면 우측바퀴(53)(53')을 구동시키는 정역모터(52)에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정역모터(52)는 정지하고 좌측바퀴(54)(54')의 정역모터(52')에는 계속 전원이 공급되어 실내외기(30)(50)가 우측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전후진스위치(66)를 후진위치에 놓게되면 정역모터(52)(52')에 전원이 역인가되므로 정역모터(52)(52')는 역회전 하게 되어 실내외기(30)(50)는 후진을 하면서 전기한 설명과 같이 유리창을 닦는 것이다.
그리고 리모콘(65)의 자동수동 전환스위치(69)를 자동으로 놓게되면 리모콘(65)의 조작없이 실내외기(30)(50)가 자동으로 유리창을 닦는 것으로, 자동수동 전환스위치(69)를 자동으로 하면 실내외기(30)(50)가 진행하던 방향으로 리모콘(65)의 조작없이 계속 진행하는 것으로 실내외기(30)(50)가 유리면의 이물질등으로 방향이 틀어지면 무게추(63)에 의해 틀어진 반대 방향의 정역모터(52)(52')에 전원 공급을 차단시켜 틀어진쪽 정역모터(52)(52')만 회전시켜 실내외기(30)(50)를 바르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즉, 실외기(30)(50)가 우측으로 회전되면 무게추(63)가 좌측 마이크로스위치(64')를 눌러 좌측바퀴(54)(54')을 구동시키는 정역모터(52')에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우측바퀴(53)(53')을 구동시키는 정역모터(52)에는 계속 전원을 공급하므로 좌측바퀴(54)(54')는 회전되지 않고 우측바퀴(53)(53')만 회전되므로 실내외기(30)(50)가 원상태로 돌아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방향을 잡으면서 계속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하다가 실내기(50)의 전후진 작동간(56)이 창문틀에 밀려 전후진 스위치(55)를 전진상태에서 후진상태로 혹은 후진상태에서 전진상태로 전환되면 정역모터(52)(52')에 공급되던 전원의 극성이 바뀌므로 정역모터(52)(52')의 회전방향이 바뀌어 좌우바퀴(53)(54)의 회전 방향도 바뀌어 실내외기(30)(50)는 진행하던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창문틀에 의해 진행방향이 바뀌면서 유리면을 상하이동하면서 사용자의 조정 없이 실내외기(30)(50) 스스로 유리면을 닦는 것이다.
또한 가변저항(VR)의 조정으로 정역모터(52)(52')의 회전속도를 조절할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선리모콘에 의해 작동되게 하였으나, 실내기에 무선수신회로와 릴레이 회로 리모콘에 송신회로를 첨가하면 무선리모콘으로도 작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호우스 감개를 창문틀 상부에 고정하거나 레일을 따라 이동되게 구성하고 호우스 감개의 호우스를 실외기에 연결하여 실외기가 지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였고, 세척수를 공급 배수되게한 실내외기를 유리면에 흡착되게 구성하고 실내기를 리모콘으로 조정할수 있게 구성하므로서 유리창을 실내에서 안전하고 용이하게 닦을 수 있으며 세척수를 호우스를 통해 실내의 하수구등으로 흐르게 하여 세척수가 아래층 또는 지상으로 떨어지지 않으므로 유리창에 대한 물청소를 수시로 할수 있어 항상 깨끗한 유리면을 유지할수 있으며 리모콘으로 조정하여 유리창을 닦을수 있어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유리창을 닦을수 있는등 여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호우스감개(10), 실외기(30) 및 실내기(50)로 유리창 내외면 청소장치를 구성하되,
    호우스감개(10)는 고정구(11) 중앙에 호우스(1) 연결구(12)을 형성하여 이 연결구(12)를 축으로 코일스프링(13) 등에 의해 회전자재되게 회전구(14)를 축설하고, 고정구(11) 상부에 지지로울러(15)를 축착하고 그 하부에 유동공(16)를 형성하여 상하이동대(17) 상부의 유동봉(18)를 상하 유동되게 끼우고 이에 구동로울러(19)를 정역모터(20)에 의해 구동되게 축설하고, 상하이동대(17)를 스프링(21)(21')에 의해 항상 위로 당겨주게 구성하며,
    실외기(30)는 세척포(2)를 내입되게 구성한 함체(31) 외부에 ㄷ자형 작동봉(32)을 축설하여 그 상부에 물방울제거용 고무(33)를 교체가능하게 구성된 물방울 제거대(34)를 축착하며,
    함체(31)내측 상부에 모터(35)에 의해 회전되는 세척로울러(36)를 형성하고 중앙에 자석매착홈(37)(3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38)(38')를 매착하며, 함체(31) 상부에 급수구(39)를 형성하고 하부에 오수조(40)와 배수구(41)를 형성하며,
    실내기(50)는 전기 실외기(30)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세척포(2)를 내입되게 한 함체(51) 중앙에 자석 매착홈(57)(57')을 형성하여 이에 자석(58)(58')를 매착하고, 함체(51) 상부에 급수구(59)를 하부에 오수조(60)와 배수구(61)를 형성하며, 함체(51) 중앙에 손잡이봉(62)을 유동가능하게 축착하여 호우스감개(10)의 호우스(1) 끝단을 실외기(30)의 급수구(39)에 연결하여 실외기(30)와 실내기(50)가 유리면을 사이에 두고 자석(38)(38')(58)(58')에 의해 흡착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내기(50)를 함체(51) 좌우에 정역모터(52)(52')에 의해 좌우가 각각 구동되는 바퀴(53)(53')(54)(54')를 축설하고 전후진 스위치(55)를 작동시키는 전후진 작동간(56)을 함체(51) 하부에 형성하며, 함체(51) 중앙에 축봉(72)을 끼우고 이에 무게추(63)를 매달아 이 무게추(63)에 의해 좌우 마이크로스위치(64)(64')를 작동되게하고, 리모콘(65)의 전후진 스위치(66), 좌우회전스위치(68)(68')에 의해 조정되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KR1019970031892A 1997-07-08 1997-07-08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KR100203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892A KR100203553B1 (ko) 1997-07-08 1997-07-08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1892A KR100203553B1 (ko) 1997-07-08 1997-07-08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472A true KR19990009472A (ko) 1999-02-05
KR100203553B1 KR100203553B1 (ko) 1999-06-15

Family

ID=1951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1892A KR100203553B1 (ko) 1997-07-08 1997-07-08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5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4070A1 (en) * 2003-11-08 2005-05-19 Won-Jin Je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both sides of window glasses
KR100845742B1 (ko) * 2008-01-24 2008-07-11 김종락 자력의 무단 조절구조가 마련된 유리창용 세척장치
KR100881926B1 (ko) * 2008-06-12 2009-02-04 성준식 클리닝 로봇
CN107007196A (zh) * 2017-06-14 2017-08-04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擦玻璃装置
CN109549553A (zh) * 2019-01-16 2019-04-02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用于清洗玻璃的智能清洗器
CN112471959A (zh) * 2020-12-07 2021-03-12 安徽信息工程学院 窗户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579B1 (ko) 2005-03-24 2009-05-19 도루 미야케 윈도우 와이핑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4070A1 (en) * 2003-11-08 2005-05-19 Won-Jin Jeo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both sides of window glasses
KR100845742B1 (ko) * 2008-01-24 2008-07-11 김종락 자력의 무단 조절구조가 마련된 유리창용 세척장치
WO2009093860A2 (ko) * 2008-01-24 2009-07-30 자력의 무단 조절구조가 마련된 유리창용 세척장치
WO2009093860A3 (ko) * 2008-01-24 2009-09-24 Kim Jong-Rack 자력의 무단 조절구조가 마련된 유리창용 세척장치
KR100881926B1 (ko) * 2008-06-12 2009-02-04 성준식 클리닝 로봇
CN107007196A (zh) * 2017-06-14 2017-08-04 浙江工贸职业技术学院 一种擦玻璃装置
CN109549553A (zh) * 2019-01-16 2019-04-02 常州机电职业技术学院 用于清洗玻璃的智能清洗器
CN112471959A (zh) * 2020-12-07 2021-03-12 安徽信息工程学院 窗户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3553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32722B (zh) 一种室内吊扇擦洗冲洗设备
KR101003486B1 (ko) 창문닦기로봇
KR100987121B1 (ko) 창문닦기로봇
US20080195253A1 (en) Robot for cleaning wall/window
WO2014166194A1 (zh) 玻璃清洁器
KR100203553B1 (ko) 유리창의 내외면 자동청소 장치
CN110526033B (zh) 一种电缆清洗及收卷装置
KR20000067506A (ko) 상하좌우 자동이동 유리창 청소장치
CN106539536B (zh) 一种幕墙玻璃清洗机器人
US20230407655A1 (en) Automated window-cleaning device
CN108814495B (zh) 一种用于茶楼茶杯的清洗装置
KR20000010460A (ko) 유리창 청소장치
CN107811587B (zh) 一种吊篮式高空外墙与玻璃幕墙清洗装置
KR100881926B1 (ko) 클리닝 로봇
KR101183116B1 (ko) 유리창 청소기구
KR200238595Y1 (ko) 자동 유리창 청소장치
CN105534393A (zh) 高空玻璃清洁装置
CN113558538B (zh) 一种基于物联网的用于智能家居的智能除尘设备
KR100257586B1 (ko) 유리창닦이장치
KR19980064920A (ko) 건물외벽 청소기
CN108433657B (zh) 一种微型服务清洁机器人
KR101103280B1 (ko) 회전형 청소기
KR20110096942A (ko) 유리창 청소기구
CN210736237U (zh) 一种自动化格栅除污装置
CN115412023B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太阳能板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