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322U -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 Google Patents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322U
KR19990009322U KR2019970022522U KR19970022522U KR19990009322U KR 19990009322 U KR19990009322 U KR 19990009322U KR 2019970022522 U KR2019970022522 U KR 2019970022522U KR 19970022522 U KR19970022522 U KR 19970022522U KR 19990009322 U KR19990009322 U KR 199900093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fastener
fork
calip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5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행
Original Assignee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훈, 대우기전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훈
Priority to KR2019970022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322U/en
Publication of KR19990009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322U/en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캘리퍼 브레이크에서 패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캘리퍼 바디(1)의 포크부(2)에 포크부 체결구(3)를 형성하고, 간동 패드(4)의 상기 포크부 체결구(3) 대응위치에 패드 체결구(5)를 형성하며, 상기 포크부 체결구(3)와 패드 체결구(4)에 억지끼워맞춤되는 클립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를 제공하여 제동압의 해제시 패드가 실린더 바디(1)와 일체로 거동하여 최초 제동압이 제공되기 전의 상태로 신속히 원위치 되면서 디스크로부터 확실한 이격상태를 가지게 되므로 제동압 해제시 패드의 리턴작용이 불량하여 발생되던 패드의 요동과 편마모 및 드래그 포스 발생 등의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structure of a pad in a caliper brake of an automobile, and forms a fork fastener 3 in a fork part 2 of a caliper body 1, and the fork fastener of the intermittent pad 4. (3) to provide a pad mounting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formed by installing a pad fastener (5)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providing a clip means that is forcibly fitted to the fork fastener (3) and the pad fastener (4). When the braking pressure is released, the pad behaves integrally with the cylinder body (1) and quickly returns to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braking pressure is provided and has a clear distance from the disk.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liminated problems such as the pad rocking and uneven wear and drag force generated.

Description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식 제동장치중 캘리퍼를 사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캘리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aking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liper brake for generating a braking force using a caliper of the hydraulic braking devic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는 자동차의 속도를 저하시키거나, 정차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유압을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에는 드럼 브레이크 장치와 캘리퍼 브레이크 장치가 있다.In general, a brake of a vehicle is used to lower the speed of a vehicle or to stably maintain a stopped state. There are a drum brake device and a caliper brake device in hydraulic brake devices that generate a braking force using hydraulic pressure.

여기서, 상기 캘리퍼 브레이크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운전자의 브레이크 조작을 받는 브레이크 페달과, 엔진의 흡기계로부터 제공되는 부압으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조작력을 증폭하기 위한 부스터와, 상기 부스터의 작동으로 고압의 브레이크 압을 발생시키는 마스터 실린더와, 상기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제공되는 유압으로 휠의 브레이크 디스크를 잡아 브레이크 작용을 하는 캘리퍼로 구성되어 있다.Here, looking at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device, a brake pedal receiving a brake operation of the driver, a booster for amplifying the operating force of the brake pedal by the negative pressure provided from the intake of the engine, and a high pressure brake by the operation of the booster It consists of a master cylinder which generates pressure, and a caliper which brakes the brake disc of the wheel by the hydraulic pressure provided from the master cylinder.

상기한 바와 같은 브레이크 장치의 작동은 운전자가 운전도중에 발로 상기 브레이크 페달을 조작하면 부스터가 이 힘을 증폭하여 마스터 실린더에서 유압을 발생시키며, 상기와 같이 발생된 유압은 상기 캘리퍼에 제공되면서 휠과 일체로 연결된 디스크를 잡아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brake pedal by foot while driving, the booster amplifies this force to generate oil pressure in the master cylinder, and the oil pressure generat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the caliper and integrated with the wheel. To hold the connected disk to generate braking force.

여기서, 상기 캘리퍼는 보통 대향 피스톤형과 부동 캘리퍼형(floating caliper type)으로 구분되며, 상기 대향 피스톤형은 실린더를 2개 이상 서로 마주하게 두어 피스톤이 디스크의 양쪽에서 패드를 압착하도록 된 형식이며, 상기 부동 캘리퍼형은 실린더를 한 개만 두어 상기 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으로 이동되는 피스톤에 의해 하나의 패드가 이동되며 그 반력으로 캘리퍼 바디 자체가 이동하면서 맞은편의 패드가 디스크를 압착하도록 하는 형식이다.Here, the caliper is usually divided into a counter piston type and a floating caliper type, and the counter piston type is a type in which two or more cylinders face each other so that the piston compresses the pads on both sides of the disc. The floating caliper type is a type in which one pad is moved by a hydraulically moved piston supplied to the cylinder by leaving only one cylinder, and the opposite pad compresses the disk while the caliper body itself moves by the reaction force.

도 1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부동형 캘리퍼의 일 예가 도시된 바, 캘리퍼 바디(100)와, 상기 캘리퍼 바디(100)내에 마련된 실린더(102)에서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슬라이딩 운동하는 피스톤(103)과, 상기 피스톤(103)의 슬라이딩시 압유의 누출을 방지하고 공극을 유지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한 씰링(104)과, 상기 피스톤(103)과 캘리퍼 바디의 실린더(102) 사이 섭동부위의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부트(105)와, 상기 피스톤(103)에 의해 직접 디스크(200)에 접촉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패드(106,107)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1 shows an example of a floating caliper as described above, a caliper body 100, a piston 103 sliding by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a cylinder 102 provided in the caliper body 100 and In order to prevent leakage of the pressurized oil during sliding of the piston 103 and to provide a force for maintaining a gap, a foreign material inflow of the perturbation portion between the piston 103 and the cylinder 102 of the caliper body is prevented. The boot 105 for blocking and the pads 106 and 107 which generate | occur | produce a braking force by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disc 200 by the said piston 103 are comprised.

여기서, 상기 패드(106,107)는 상기 피스톤(103)에서 제공되는 힘에 의해 직접 디스크(200)에 접촉하면서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패드(106,107)는 상기 피스톤(103)으로부터 디스크(200)에 압착되는 데에 필요로 하는 힘을 직접 전달받는 패드(이하, 직동 패드(106)라 한다.)와 상기 피스톤(103)의 작동에 의해 반대방향의 반력을 받는 캘리퍼 바디(100) 자체의 움직임에 의해 디스크(200)에 압착되는 힘을 전달받는 패드(이하, 간동 패드(107)라 한다.)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간동 패드(107)에 압착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바디(100)의 부분을 포크부(108)라 한다.Here, the pads 106 and 107 generate a braking force by directly contacting the disc 200 by the force provided by the piston 103, and the pads 106 and 107 are applied to the disc 200 from the piston 103. The movement of the caliper body 100 itself, which receives the force required to be compressed directl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linear pad 106) and the reaction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piston 103 It consists of a pa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termittent pad 107) that receives the force pressed by the disk 200 by the fork portion of the cylinder body 100 to provide a compressive force to the intermittent pad 107. It is referred to as (108).

상기와 같이 구성된 캘리퍼의 작동은 상기 실린더(102)에 유압이 제공되어 상기 피스톤(103)이 도면상 A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직동 패드(106)를 밀면, 상기 직동 패드(106)는 디스크(200)에 압착된다.The operation of the calip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102 so that the piston 103 pushes the linear pad 106 in the direction of the A arrow in the drawing, the linear pad 106 is the disk 200 Is squeezed on.

이때, 상기 실린더(102)는 피스톤(103)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의 힘을 받게되므로 상기 캘리퍼 바디(100)는 피스톤(103)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인 도면상의 B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포크부(108)를 통해 간동 패드(107)를 디스크(200)로 압착시키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cylinder 102 receives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103, the caliper body 10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B arrow on the drawing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103. The intermittent pad 107 is pressed onto the disk 200 through the fork 108.

상기와 같이 양쪽에서 직동 패드(106)와 간동 패드(107)가 서로 디스크(200)를 압착함으로써 디스크(200)에는 원하는 제동력이 발생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inear driving pad 106 and the intermittent pad 107 press the disk 200 with each other, a desired brak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disk 200.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놓으면 상기 실린더(102)내의 유압이 해제되면서 상기 피스톤(103)은 원위치되는 바, 이때 피스톤(103)이 원위치되도록 하는 힘은 상기 씰링(104)의 복원력에 의해서 얻는다.When the driver releases the brake pedal in the above state,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cylinder 102 is released, and the piston 10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force that causes the piston 103 to be returned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ealing 104. Get by

즉, 최초 상기 피스톤(103)에 강하게 압착되어 있는 씰링(104)은 디스크(200) 압착시에 자체의 탄성변형에 의해 피스톤(103)의 복귀에 필요한 복원력을 저장하고 있다가 실린더(102) 내의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와 같이 저장되었던 복원력을 피스톤(103)에 제공하여 피스톤(103)이 원위치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seal 104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piston 103 stores the restoring force necessary for the return of the piston 103 by elastic deformation of the disk 200 when the disk 200 is presse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released, the piston 103 is returned to the piston 103 by providing the restoring force, which has been stored as described above, to the piston 103.

따라서, 상기 피스톤(103)에 밀착되어 있는 직동 패드(106)도 디스크(200)로부터 이격되면서 드래그 포스(DRAG FORCE)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Therefore, the linear driving pad 106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103 is also spaced apart from the disk 200 so that drag force DRAG FORCE is not generated.

그런데, 상기 간동 패드(107)의 경우에는 디스크(200)로의 압착력을 제공하는 실린더 바디(100)의 포크부(108)와 별도의 체결기구가 마련되어있지 않아서 제동압의 해제시 디스크(200)와 실린더 바디(100)의 포크부(108) 사이에서 요동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intermittent pad 107, the fork part 108 of the cylinder body 100 that provides the pressing force to the disk 200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fastening mechanism, and thus the disk 200 and the brake pad are released when the brake pressure is released. It swings between the forks 108 of the cylinder body 10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간동 패드(107)의 요동으로 소음이 발생되고, 편마모 및 과다한 드래그 포스가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oise is generated by the shaking of the intermittent pad 107 as described above, causing uneven wear and excessive drag force.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동압의 해제시 간동 패드의 리턴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간동 패드의 요동 및 끌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ad of the caliper brake to prevent the oscillation and drag phenomenon of the intermittent pad to ensure that the return operation of the intermittent pad when the braking pressure is releas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nstallation structure.

도 1은 일반적인 캘리퍼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도,1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typical caliper brak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를 도시한 구조도,2 is a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pa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C'시점 측면도,3 is a side view taken along the line 'C' of FIG.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사용되는 클립수단의 일 예를 도시한 상세도이다.Figure 4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lip means u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캘리퍼 바디 2: (캘리퍼 바디의) 포크부1: caliper body 2: fork (of caliper body)

3: 캘리퍼 체결구 4: 간동 패드3: caliper fastener 4: interlock pad

5: 패드 체결구 6: 실린더5: pad fastener 6: cylinder

7: 피스톤 8: 직동 패드7: piston 8: linear pad

9: 씰링 10: 박판클립9: sealing 10: sheet clip

11: 원형띠 부분 12: 탄성편11: round stripe portion 12: elastic piece

13: 굴곡부13: ben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는 캘리퍼 바디의 포크부에 포크부 체결구를 형성하고, 간동 패드의 상기 포크부 체결구 대응위치에 패드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포크부 체결구와 패드 체결구에 억지끼워맞춤되는 클립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Pa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o form a fork fastener in the fork portion of the caliper body, a pad fastener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ork fastener of the intermittent pad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ork portion fasteners and pad fasteners are installed by fitting the clip means for fitt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캘리퍼 바디(1)의 포크부(2)에 포크부 체결구(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부 체결구(3)에 대응하는 위치의 간동 패드(4) 부위에 패드 체결구(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크부 체결구(3)와 패드 체결구(5)에는 억지끼워맞춤되는 클립수단이 설치되어 있다.2 and 3 illustrate the pad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rk fastener 3 is formed on the fork part 2 of the caliper body 1, and the fork fastener A pad fastener 5 is formed at the portion of the intermittent pad 4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3), and the fork fastener 3 and the pad fastener 5 are fitted with clip means for interfitting. It is.

여기서, 상기 클립수단은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원형띠 부분(11)을 마련하고, 상기 원형띠 부분(11)의 양쪽으로 상기 원형띠 부분(11)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탄성편(1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탄성편(12) 양단은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굴곡부(13)를 가지도록 하여 만들어진 박판클립(10)으로 하였다.Here, the clip means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and portion 11 in the center as shown in detail in Figure 4, a plurality of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band portion 11 on both sides of the circular band portion 11 An elastic piece 12 is formed, and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elastic pieces 12 have a thin plate clip 10 made to have a bent portion 13 inclined toward the cente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제동작용시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게 캘리퍼 바디(1)의 실린더(6) 내에 제공되는 유압으로 피스톤(7)이 직동 패드(8)를 디스크(미도시)에 압착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반력으로 상기 캘리퍼 바디(1)의 포크부(2)가 피스톤(7)의 운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운동하면서 상기 간동 패드(4)를 역시 디스크에 압착되도록 하여 디스크의 양쪽에서 직동 패드(8)와 간동 패드(4)가 압착력을 가함으로써 제동력이 발생되도록 한다.The actuation during braking operation is carried out by the hydraulic force provided in the cylinder 6 of the caliper body 1 as in the prior art, which causes the piston 7 to press the linear brake pad 8 to the disk (not shown), The fork part 2 of the caliper body 1 move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piston 7 such that the intermittent pad 4 is also pressed against the disc, thereby interfering with the direct acting pad 8 on both sides of the disc. The pad 4 exerts a pressing force so that the braking force is generated.

상기와 같은 제동상태에서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 해제로 제동력이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은 상기 실린더(6)내의 유압이 해제되면, 상기 피스톤(7)이 씰링(9)에서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되면서 상기 피스톤(7)에 밀착되어 있는 직동 패드(8)를 디스크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The operation of releasing the braking force by releasing the brake pedal of the driver in the braking state as described above is performed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n the cylinder 6 is released, while the piston 7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sealing 9. This is achieved by separating the linear motion pad 8 in close contact with the piston 7 from the disk.

또한, 상기와 같은 해제 작동시 상기 캘리퍼 바디(1)도 최초 간동 패드(4)를 디스크로 압착하던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이때, 상기 캘리퍼 바디(1)의 포크부(2)에는 상기 디스크에 압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던 간동 패드(4)가 상기 박판클립(10)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간동 패드(4)는 캘리퍼 바디(1)를 따라 이동되면서 디스크로부터 이격되어 원위치되게 된다.In addition, the caliper body 1 is also mov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itial intermittent pad 4 is pressed with a disc during the above release operation. In this case, the fork part 2 of the caliper body 1 Since the intermittent pad 4, which is pressed onto the disc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is integrally connected by the thin plate clip 10, the intermittent pad 4 moves along the caliper body 1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 Will be.

따라서, 제동압의 해제시 상기 간동 패드는 실린더 바디와 함께 최초 제동압이 제공되기 전의 상태로 원위치되면서 디스크로부터 확실한 이격상태를 가지게 되므로 제동압 해제시 간동 패드의 리턴작용이 불량하여 발생되던 간동 패드의 요동과 편마모 및 드래그 포스 발생 등의 문제점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brake pressure is released, the brake pad is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the initial braking pressure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cylinder body, and thus has a certain distance from the disk. Therefore, the brake pad is released due to a bad return action of the brake pad when the brake pressure is releas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liminated problems such as fluctuation of the wear and uneven wear and drag force generated.

Claims (2)

캘리퍼 바디의 포크부에 포크부 체결구를 형성하고, 간동 패드의 상기 포크부 체결구 대응위치에 패드 체결구를 형성하며, 상기 포크부 체결구와 패드 체결구에 억지끼워맞춤되는 클립수단을 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A fork part fastener is formed at the fork portion of the caliper body, a pad fastener is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fork part fastener of the intermittent pad, and a clip means is fitted to the fork fastener and the pad fastener. Pad mounting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수단은 중앙에 원형띠 부분을 마련하고, 상기 원형띠 부분의 양쪽으로 상기 원형띠 부분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탄성편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탄성편 양단은 중심을 향하여 기울어지는 굴곡부를 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브레이크의 패드 설치구조.According to claim 1, The clip means is provided with a circular band portion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elastic piece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lar band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circular band portion, both ends of the plurality of elastic pieces The pad mounting structure of the caliper brak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bent portion inclined toward.
KR2019970022522U 1997-08-20 1997-08-20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KR1999000932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22U KR19990009322U (en) 1997-08-20 1997-08-20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522U KR19990009322U (en) 1997-08-20 1997-08-20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322U true KR19990009322U (en) 1999-03-15

Family

ID=6968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522U KR19990009322U (en) 1997-08-20 1997-08-20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322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9322U (en) Pad mounting structure of caliper brake
US3973652A (en) Closed loop type disc brake
KR19990080952A (en) Disc brake
KR101316170B1 (en) a brake pad cover shim for vehicle' disc brakes
JPH07280004A (en) Disk brake
KR200388388Y1 (en) Disk brake for vehicles
KR200281960Y1 (en) Disc brake
KR100771041B1 (en) The Disk Brake
KR100245784B1 (en) Piston
KR200240945Y1 (en) Disc brake
KR0131083Y1 (en) Drum brake with wheel cylinder
JPH03239826A (en) Disk brake
KR100349539B1 (en) Disk brake
KR200281969Y1 (en) Disc brake
JPH083722Y2 (en) Disc brake
KR20230099667A (en) Disc brake for commercial vehicle with drag reduction structure
KR930002424B1 (en) Drum brake
KR19990027545A (en) Brake Pad Sliding of Car Disc Brake
KR200174630Y1 (en) Brake booster
KR20070061707A (en) Structure of variable type seal groove of disc brake for vehicle
KR19980036497U (en) Disc brake
KR100759881B1 (en) Disc brake
KR100418953B1 (en) Disc brake of automobile
KR101094753B1 (en) Disk brake
KR19990027541A (en) Elastic pad clip of car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