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9188U - 안경부착용 돋보기 - Google Patents

안경부착용 돋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9188U
KR19990009188U KR2019970022363U KR19970022363U KR19990009188U KR 19990009188 U KR19990009188 U KR 19990009188U KR 2019970022363 U KR2019970022363 U KR 2019970022363U KR 19970022363 U KR19970022363 U KR 19970022363U KR 19990009188 U KR19990009188 U KR 19990009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es
lens
magnifying glass
bridge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23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의
Original Assignee
홍성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의 filed Critical 홍성의
Priority to KR20199700223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9188U/ko
Publication of KR19990009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188U/ko

Links

Landscapes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부착용 돋보기를 안경에 체결하기 적합하도록 두개의 렌즈(10)를 연결하는 브리지(30)를 개선하여 돋보기를 안경에 견고하게 체결하여 안경이 움직여도 돋보기가 안경에서 이탈하지 아니하며 돋보기를 안경에 부착하고도 원거리를 볼 수 있도록 돋보기의 렌즈(10) 모양을 개선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안경부착용 돋보기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는 안경부착용 돋보기의 렌즈(10)를 연결하는 브리지(20)를 영문자 A자의 형태로 하고 상부(22)를 접어서 안경의 렌즈 연결 브리지(30)에 체결하게 하고 돋보기의 렌즈(10)를 반달모양으로 하여 안경의 렌즈의 아랫부분에만 덧붙이도록 하는 구조를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안경부착용 돋보기
본 고안은 안경부착용 돋보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근시 또는 난시용 안경착용자가 노안이 됨에 따라 원래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독서 등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를 선명히 보기 위하여 근시 또는 난시용 안경에 덛붙여 사용하는 돋보기로서 두개의 돋보기 렌즈(10)에 구멍을 뚫어 금속성 브리지(20)로 연결하고 이를 안경의 렌즈와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체결하여 안경이 움직여도 돋보기가 안경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며, 돋보기의 렌즈(10)를 반달모양으로 만들어 원래의 안경의 렌즈를 아랫부분만을 덮도록 하여 독서 등 가까운 거리의 물체는 돋보기부분(10)을 통하여 보고 원거리의 물체는 원래의 안경렌즈의 윗부분(50)을 통하여 보도록 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안경부착용 돋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돋보기 중에서도 안경부착용 돋보기는 두개의 볼록렌즈(10a)를 프라스틱테(60)로 연결하여 이를 안경과 별도로 휴대하고 다니면서 독서 등 근거리에 있는 물체를 볼 때 등 필요시에만 안경과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돋보기로서 이러한 안경부착용 돋보기는 타원형의 돋보기렌즈(10a) 두개를 안경의 다리만 없는 형태로 조립하고 한쪽 렌즈의 상부에 손잡이(70)를 부착하여 사용시 이 손잡이를 잡고 두 렌즈 사이의 벌어진 틈을 이용하여 안경의 코다리(40) 위에 걸쳐 놓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경부착용 돋보기는 안경위에 반듯하게 올려 놓기가 까다롭고 둥근 렌즈의 테부분(80)이 안경의 코다리(40)위에 살짝 얹혀 있는 상태이므로 매우 불안정하게 놓이게 되어 사소한 유동에도 쓰러지게 되어 있으므로 이를 사용중에는 몸 특히 머리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며 안경의 렌즈부분을 모두 덮어 안경의 전체가 돋보기가 되므로 이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원거리의 물체를 선명히 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안경부착용 돋보기에 있어 두개의 돋보기렌즈(10)를 영문자 A자 모양의 브리지(20)로 연결하고 이의 상부(22)를 접어 안경의 두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고정시킴으로써 머리를 움직이는 등으로 인하여 안경이 흔들려도 돋보기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렌즈(10)를 반달모양으로 하여 책 등 가까운 거리를 볼 때에는 돋보기부분(10)을 통하여 보고 원거리는 돋보기가 가리지 아니한 안경렌즈의 윗부분(50)을 통하여 볼 수 있는 안경부착용 돋보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개선된 돋보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두개의 반달모양의 볼록렌즈(10)를 영문자 A자 모양의 브리지(20)로 연결하고 이 브리지(20)의 상부(22)를 접어 안경의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고정시켜 안경이 움직이더라도 부착된 돋보기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고 돋보기 기능을 사용치 않을 때에는 돋보기를 분리하여 별도로 휴대함으로써 안경을 사용하는데 하등의 불편이 없도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안경부착용 돋보기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안경부착용 돋보기의 구조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돋보기를 안경에 부착한 모습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고안을 안경에 부착한 모습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돋보기의 렌즈20 : 돋보기의 브리지
30 : 안경의 브리지40 : 안경의 코다리
50 : 안경의 렌즈60 : 맞보기 렌즈
70 : 맞보기렌즈의 브리지
계속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구조를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반달모양의 볼록렌즈(10) 두개를 각각 공지의 방법으로 미간쪽 상부에 A자 모양의 브리지(20)와 같은 기울기로 상·하로 두개의 구멍(21)을 뚫고, 구부러지는 성질을 가진 두껍고 넙적한 A자 모양의 브리지 끝에도 공지의 두개의 구멍(21)을 뚫어 이를 렌즈의 구멍과 일치시켜 공지의 못(23)으로 체결하여 두개의 렌즈(10)를 연결하고 브리지(20)의 상부 끝부분(22)을 접어서 도 2에서와 같이 안경의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걸어서 사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안경의 크기에 맞는 위치에서 브리지(20)를 접어 안경의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걸고 사용하며, 비사용시에는 안경에서 분리하여 따로 휴대 및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4와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첨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개의 렌즈(10)를 브리지(20a)로 연결하되 브리지(20a)의 모양을 한글 ㄷ자 모양으로 하여 이 브리지(20a)를 안경의 코다리(40) 위에 올려 놓아 안경과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첨부도면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도면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두개의 맞보기렌즈(60)를 받침있는 A자 모양의 브리지(70)로 연결하고 이 브리지 상부를 접어서(22) 안경의 브리지에 체결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경부착용 돋보기는 A자형의 연결막대(20)에 반달모양의 두개의 볼록렌즈(10)를 연결하여 브리지(20)의 상부를 접어서(22) 안경의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30)에 걸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시 안경이 과도하게 움직여도 안경에서 이탈하거나, 위치가 변경되어 시야가 방해되는 일이 없고 렌즈를 반달모양(10)으로 구성함으로써 가까운 물체를 볼 때에는 돋보기의 렌즈(10)를 통하여 보게 되며, 원거리의 물체를 볼 때에는 돋보기가 덮이지 아니한 안경렌즈의 윗부분(50)을 통하여 볼 수 있게 되어 원거리를 볼 때 안경에서 돋보기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없어지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안경에서 분리하여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되어 안경부착용 돋보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두개의 반달모양의 볼록렌즈(10)를 브리지(20)로 연결하되 브리지(20)의 모양을 영문자 A자의 형태로 하며, 렌즈(10)에 브리지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각도로 두개의 구멍(21)을 뚫고 브리지 끝에도 렌즈의 구멍(21)에 대응하는 위치로 구멍(21)을 뚫어 이를 공지의 못(23)으로 연결하며, 브리지(20)의 상부를 구부려서 갈고리모양(22)으로 만들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용 돋보기.
  2. 제1항의 돋보기의 브리지(20)를 한글 ㄷ자 모양(20a)으로 하고 이의 양쪽 끝에 제1항의 방법으로 렌즈(10)를 연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용 돋보기.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 렌즈(10)를 채색한 맞보기렌즈(60)로 하며, 렌즈의 모양을 공지의 안경렌즈 모양으로 하고 브리지(70)를 받침있는 A자모양으로 하여 렌즈의 중간부분을 제1항의 체결방법으로 체결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부착용 시력보호용 안경.
KR2019970022363U 1997-08-18 1997-08-18 안경부착용 돋보기 KR199900091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63U KR19990009188U (ko) 1997-08-18 1997-08-18 안경부착용 돋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2363U KR19990009188U (ko) 1997-08-18 1997-08-18 안경부착용 돋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188U true KR19990009188U (ko) 1999-03-15

Family

ID=6968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2363U KR19990009188U (ko) 1997-08-18 1997-08-18 안경부착용 돋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918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6519B1 (en) Eyeglasses assembly including a removable auxiliary eyeglasses unit
CA2269137A1 (en) Folding eye glass frames with length adjustable temples
US5949515A (en) Spectacles
US4798454A (en) Integral rear view mirror for eyeglasses
US7347544B1 (en) Hingeless eyeglasses as collar or headband
KR870000241B1 (ko) 조정할 수 있는 코받이를 갖는 선글라스
US6848784B1 (en) Eyeglass device having primary and auxiliary spectacle frames
KR19990009188U (ko) 안경부착용 돋보기
JP3071524U (ja) 鼻当てパッド
KR100683905B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JP3003386U (ja) 眼 鏡
US6502936B2 (en) Vision facili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6224206B1 (en) Fashion eyeglasses and sunglasses
KR200188390Y1 (ko) 안경테의 힌지 구조
KR200388895Y1 (ko) 접이식 일회용 돋보기
CN215769231U (zh) 镜腿自动开启式眼镜
JP7199094B2 (ja) オーバーグラス
JP3027094U (ja) 眼鏡に着脱自在の撥ね上げ式前掛眼鏡
KR200280494Y1 (ko) 2중 안경 착탈구조
KR970002738Y1 (ko) 보조렌즈가 장치된 안경
KR101571392B1 (ko) 접이식 보조안경이 구비된 안경
JP3033548U (ja) メガネフレーム及び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
KR200266392Y1 (ko) 안경내측에 또 하나의 안경을 부착시키도록 한 안경
KR970002737Y1 (ko) 보조렌즈가 장치된 안경
KR200261578Y1 (ko) 보조안경를 부착하는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