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804A -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804A
KR19990008804A KR1019970030936A KR19970030936A KR19990008804A KR 19990008804 A KR19990008804 A KR 19990008804A KR 1019970030936 A KR1019970030936 A KR 1019970030936A KR 19970030936 A KR19970030936 A KR 19970030936A KR 19990008804 A KR19990008804 A KR 19990008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rod
lower rod
vehicle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9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계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30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8804A/en
Publication of KR19990008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804A/en

Links

Landscapes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 컬럼에 가해지는 충격을 2단계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 컬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조향 칼럼은 조향 핸들이 설치되는 상부 로드와 조향 기구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로 구성되며, 상부가 상부 로드와, 그리고 하부가 하부 로드와 사출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중간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핀은 하부 로드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 파손되는 것에 의하여, 하부로드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 튜브는 충격 흡수용 스프링이 내장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steering column in two stages, to prevent injury to the driver, and to prevent damage to the steering column. will be. The steering column consists of an upper rod on which a steering handle is installed and a lower rod connected to a steering mechanism, the upper portion of which includes an upper rod and an intermediate tube connected by a lower rod and an injection pin. It breaks down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rod, thereby absorbing the force acting on the lower rod. The intermediate tube for connecting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has a shock absorbing spring.

Description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 구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주행 동안 자동차의 전방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하여 조향 컬럼의 하부 로드가 상부 로드로 밀려져 상부 로드와 충돌될 때,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structure of an automobile, and more particularly, when the lower rod of the steering column is pushed onto the upper rod and collides with the upper rod by an impact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during driving, the driver absorbs the impact and It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that can protect the.

자동차의 조향 핸들이 설치되는 조향 컬럼에는 다수의 스위치를 하나로 통합한 콤비네이션 스위치 등이 설치되며, 이러한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통상 조향 컬럼에 설치되는 레버 형태의 스위치로서, 턴시그널 스위치, 라이트 컨트롤 스위치, 프런트 파워 스위치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스위치를 말한다.The steering column in which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is installed is equipped with a combination switch incorporating a plurality of switches into one, and such a combination switch is a lever-type switch that is usually installed in the steering column, and includes a turn signal switch, a light control switch and a front power switch. The switch refers to a switch form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조향 컬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키 스위치가 있으며, 키 스위치에 다수의 체결구에 의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키 스위치는 점화 스위치라고도 불리며, 운전자가 시트에 앉아 엔진 키를 돌리는 스위치로서 조향 로크 기구가 일체로 되어 있다.There is a key switch to be installed in the steering column, and the key switch is installed by a plurality of fasteners. This key switch is also called an ignition switch, and the steering lock mechanism is integrated as a switch for the driver sitting on the seat and turning the engine key.

콤비네이션 스위치는 조향 컬럼에 설치되어 있는 키 스위치에 형성된 한 쌍의 나사공에 콤비네이션 스위치에 형성된 나사공을 일치시켜, 나사를 체결하는 것으로 조향 컬럼에 설치된다. 콤비네이션 스위치와 키 스위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조향 컬럼은 상부 및 하부 컬럼 커버에 의하여 외부로부터의 노출이 차단된다.The combination switch is installed in the steering column by matching a screw hole formed in the combination switch with a pair of screw holes formed in the key switch provided in the steering column, and fastening the screws. With the combination switch and key switch installed, the steering column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by the upper and lower column covers.

도 1에는 종래의 조향 컬럼의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향 컬럼(1)은 조향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상부 로드(2)와 조향 기구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3)로 구성되며, 이러한 상부 로드(2)와 하부 로드(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튜브(4)를 통하여 사출핀(5)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진다.1 schematically shows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and as shown in FIG. 1, the steering column 1 is connected to a steering rod and an upper rod 2 on which a steering handle (not shown) is installed. It consists of a lower rod (3), the upper rod (2) and the lower rod (3) has a configuration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injection pin (5) through the intermediate tube (4) as shown in the figure.

이러한 사출핀(5)은 자동차의 전방에 충돌이 발생되어 대략 150 내지 300kgf 정도의 힘이 하부 로드(3)에 가해질 때, 하부 로드(3)가 중간 튜브(4) 내로 슬라이딩되는 전단 응력에 의하여 사출핀(5)이 파손되고, 이러한 사출핀(5)이 파손될 때, 하부 로드(3)에 작용하는 힘이 사출핀(5)에 의하여 흡수되어, 상부 로드(2)에 가해지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상부 로드(2)가 운전자에게 충격을 주는 것을 완화시킨다.When the injection pin 5 collides with the front of the vehicle and a force of about 150 to 300 kgf is applied to the lower rod 3, the lower rod 3 is slid by the shear stress that slides into the intermediate tube 4. When the injection pin 5 is broken and this injection pin 5 is broken, the force acting on the lower rod 3 is absorbed by the injection pin 5 to absorb the impact amount applied to the upper rod 2. Thus, the upper rod 2 is alleviated to shock the driver.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종래의 조향 컬럼은 조향 컬럼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일정 하중 이상, 즉 핀 파손 하중 또는 볼 파손 하중 이상이 되면, 조향 컬럼이 충격 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없어, 상부 로드와 하부 로드가 서로 충돌되어, 운전자에게 상해를 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amount of impact applied to the steering colum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certain load, that is, more than a pin breaking load or a ball breaking load, the steering column cannot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load, so that the upper rod and the lower part The rods collide with each other, causing a problem of injury to the driver.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향 컬럼에 가해지는 충격을 2단계로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향 컬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을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bsorb the impact applied to the steering column in two stages, to prevent the injury to the driver, as well as steering the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to prevent damage to the steering column. To provide a column.

도 1은 조향 핸들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종래의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ring column of a conventional vehicle with the steering wheel removed;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조향 컬럼 2 : 상부 로드1: Steering Column 2: Top Rod

3 : 하부 로드 4 : 중간 튜브3: lower rod 4: middle tube

5 : 사출핀 6 : 스프링5: Injection pin 6: Spring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조향 핸들이 설치되는 상부 로드와 조향 기구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로 구성되며, 상부가 상부 로드와, 그리고 하부가 하부 로드와 사출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중간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핀은 하부 로드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 파손되는 것에 의하여, 하부로드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있어서,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 튜브에 충격 흡수용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consists of an upper rod on which a steering handle is installed and a lower rod connected to a steering mechanism, the upper portion of which includes an upper ro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d and an intermediate tube connected by an injection pin, In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having a structure that absorbs the force acting on the lower rod by being broken when a certain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rod, the injection pin is in the intermediate tube for connecting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It is achieved by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a shock absorbing spring is incorporat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도 1과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ilar to FIG. 1.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1)은 조향 핸들(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는 상부 로드(2)와 자동차의 조향 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3)를 가진다. 상부 로드(2)와 하부 로드(3) 사이에서 중간 튜브(4)가 상부 로드(2)와 상부에 연결되고, 하부 로드(3)와 하부에서 사출핀(5)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은 종래의 조향 컬럼과 동일하며, 사출핀(5)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150 내지 300kgf 정도의 힘이 하부 로드(3)에 가해질 때 파손되는 구조를 가진다.As can be seen from FIG. 2, the steering column 1 of the motor vehic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as an upper rod 2 on which a steering handle (not shown) is installed and a lower part connected to the steering mechanism of the motor vehicle (not shown). Has a rod (3). An intermediate tube 4 is connected to the upper rod 2 and the upper part between the upper rod 2 and the lower rod 3, and is connected by the injection pin 5 at the lower rod 3 and the lower part. This configuration is the same as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and the injection pin 5 also has a structure that breaks when a force of about 150 to 300 kgf is applied to the lower rod 3 as in the prior ar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조향 컬럼(1)은 상부 로드(2)와 하부 로드93)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 튜브(4)에 충격 흡수용 스프링(6)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스프링(6)은 자동차의 전방에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하부 로드(3)에 가해지는 충격량이, 즉 150 내지 300kgf의 범위에 속하는 충격량이 하부로드(3)에 가해질 때, 하부 로드(3)와 중간 튜브(4)를 연결하기 위한 사출핀(5)이 파손되는 것에 의하여 1차적으로 흡수되고, 사출핀(5)이 파손되는 것으로 약화된 충격량이 스프링(6)에 의하여 흡수됨으로써, 상부 로드(2)에 전달되는 충격량이 작게 되는 것으로 자동차에 탑승한 운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the steering column 1 having the shock absorb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hock absorbing spring 6 embedded in an intermediate tube 4 for connecting the upper rod 2 and the lower rod 93. The spring 6 has a lower rod 3 when an impact amount is applied to the lower rod 3 when a collision occurs in front of the vehicle, that is, an impact amount falling within the range of 150 to 300 kgf is applied to the lower rod 3. The upper rod is absorbed by the injection pin 5 for damaging the injection tube 5 and the intermediate tube 4, and the shock amount weakened by the injection pin 5 being broken is absorbed by the spring 6. The impact amount transmitted to (2) is reduced, so that the driver in the vehicle can be protected.

상기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의하면, 조향 컬럼에 가해지는 충격을 2단계로 흡수하여, 충격 흡수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방에 충돌이 발생되었을 때, 조향 컬럼에 의하여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가 상해를 받는 것을 완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eering column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a collision occurs in front of the vehicle by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steering column in two stages, and increasing the shock absorption efficiency, by the steering column By absorbing the impact on the driver, the driver can be alleviated from injury.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will be.

Claims (1)

조향 핸들이 설치되는 상부 로드와 조향 기구에 연결되는 하부 로드로 구성되며, 상부가 상부 로드와, 그리고 하부가 하부 로드와 사출핀에 의하여 연결되는 중간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사출핀은 하부 로드에 일정한 힘이 작용할 때 파손되는 것에 의하여, 하부로드에 작용하는 힘을 흡수하는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 있어서,It consists of an upper rod on which a steering handle is installed and a lower rod connected to a steering mechanism, the upper portion of which includes an upper rod,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rod and an intermediate tube connected by the injection pin, wherein the injection pin is connected to the lower rod. In a 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a structure that absorbs a force acting on a lower rod by being broken when a constant force is applied, 상기 상부 로드와 상기 하부 로드를 연결하기 위한 중간 튜브에 충격 흡수용 스프링이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of a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ing spring is built in the intermediate tube for connecting the upper rod and the lower rod.
KR1019970030936A 1997-07-04 1997-07-04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999000880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936A KR19990008804A (en) 1997-07-04 1997-07-04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936A KR19990008804A (en) 1997-07-04 1997-07-04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804A true KR19990008804A (en) 1999-02-05

Family

ID=66039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936A KR19990008804A (en) 1997-07-04 1997-07-04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8804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8804A (en)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KR20050024627A (en) Impact absorption structure of steering column cover for automobile
KR19980084939A (en) Steering Column of Vehicle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9990008812A (en) Steering handle fixing nut with shock absorbing structure
KR100381448B1 (en) Structure of hood striker for vehicles
KR20020038123A (en) Detachable pivot shaft of windshield wiper
KR100380378B1 (en) A Shock Absorbing Structure with Function for Walker Protection in Fender Panel and Hood Panel
KR100412351B1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ront pillar
KR19980021828U (en) Shock-absorbing bracket steering column
KR100580038B1 (en) A shock absorving structure for sttering column
KR100368395B1 (en) Hood Locking Apparatus for Impact Absorbing of Car
KR100381540B1 (en) Auxiliary bumper for vehicle
KR100392013B1 (en) Bumper of Car with Walker Protection Function
KR19980072511A (en) Steering shaft with improved shock absorption
KR0137868Y1 (en) Airbag with Face Protection Hole
KR100368402B1 (en) Hood Locking Apparatus for Impact Absorbing of Car
KR200175605Y1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automobile dash panel
KR100350268B1 (en) Reinforced structure of side bumper in automobile
KR100368403B1 (en) Hood Locking Apparatus for Impact Absorbing of Car
KR100353599B1 (en) A Cowl Panel Impact Absorption Structure with Walker Protection Function in Car
KR19980038391U (en) Steering shaft structure of automobile
KR19980051663U (en) Shock absorber on the steering wheel
KR20020039777A (en) Impact Absorbing Type Hood Locking Apparatus for Car
KR20020074727A (en) Absorptive structure for vehicle pivot holder
KR20000004306U (en) Shock Absorption Structure of Vehicle Stee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