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8620A -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8620A
KR19990008620A KR1019970030660A KR19970030660A KR19990008620A KR 19990008620 A KR19990008620 A KR 19990008620A KR 1019970030660 A KR1019970030660 A KR 1019970030660A KR 19970030660 A KR19970030660 A KR 19970030660A KR 19990008620 A KR19990008620 A KR 19990008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player
operating piece
disk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0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965B1 (ko
Inventor
김종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30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965B1/ko
Publication of KR19990008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8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9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9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 상태의 변화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의 작동편이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디스크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는, 상면에 디스크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디스크 수용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수납되는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작동편을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은 하중중심의 편심으로 인하여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작동편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기 몸체에 구비하여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편의 상면이 상기 디스크 수용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하부측의 작동편이 상기 개구부를 돌출하여서 수납된 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 상태의 변화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의 작동편이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디스크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록매체로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과 같은 디스크를 채용하여 정보를 기록/재생하는 디스크플레이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힌지(21)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데크(20)와, 하우징(10) 내외로 디스크형 기록매체를 운반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의 일측벽에 형성된 개구(11)를 통해 그 하우징(10)의 내외로 출입 가능하게 설치된 디스크 트레이(30)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의 상부에는 압압부재(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데크(20)에는 턴테이블(22)과 스핀들 모터(23)와 광픽업장치(24)가 설치되어 있다.
디스크 트레이(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31)와, 이 몸체(31)에 결합된 레버들(32a,32b,32c,32d)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몸체(31)는 하우징(도 1의 10)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 배면이 데크(도 1의 20)와 대면된다. 상기 몸체(31)의 표면에는 디스크가 수용될 수 있도록 디스크 수용부(33)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들(32a,32b,32c,32d)은 상기 몸체(31)의 디스크 수용부(33) 주위에 힌지(34)에 의해 결합되어,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 수용부(33) 측으로 돌출 되는 제1위치(L1)와,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위치(L1)와 대략 직교하여 그 디스크 수용부로(33)부터 벗어나는 제2위치(L2)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레버들(32a,32b,32c,32d)은 서로 대칭이 되는 위치에 적어도 2개 이상을 설치하여 수납된 디스크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있어서 디스크 플레이어를 수직 상태 위치로 배치한 경우, 디스크(1)가 수직 상태 위치에서 지지되기 위하여 먼저 디스크 트레이(30)를 하우징(10)으로부터 추출하여 수직 상태 위치에서 하부에 위치된 레버들(32a,32b)을 상기 제1위치(L1)로 회동시켜 두고, 상부에 위치된 레버들(32c,32d)을 상기 제2위치(L2)로 회동시켜 둔다. 그리고, 디스크(1)를 몸체(31)의 디스크 수용부(33)에 수용시킨 후, 상부의 제2위치(L2)의 레버들(32c,32d)을 상기 제1위치(L1)로 회동시켜서 디스크 수용부(33)로부터의 디스크(1)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디스크 트레이(30)를 하우징(10)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디스크(1)가 하우징(10) 내부로 운반되게 된다. 디스크(1)가 하우징(10)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디스크(1)는 상기 디스크 수용부(33)와 레버들(32a,32b,32c,32d) 사이에서 턴테이블(22)과 압압부재(12)에 의해 클램핑된다. 그 후, 스핀들 모터(23)의 회전에 의해 턴테이블(22) 및 상기 클램핑된 디스크(1)가 회전되고, 광픽업장치(24)에 의해 그 디스크(1)의 정보가 읽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 상태의 변화의 변화에 따라 사용자가 레버들을 각각 수동으로 조작하여 그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 상태의 변화에 따라 디스크 트레이의 작동편이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작동되어 수직 상태의 수납 디스크를 장착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크 플레이어를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디스크 트레이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의 개략적인 구성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크 트레이를 수직 설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6b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의 작동편의 실시예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디스크 30...디스크 트레이
31...몸체 33...디스크 수용부
50a...작동편 51...힌지축
52...멈춤 부재 54b..걸림턱
56...하중부 58...지지부
70a...개구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는, 상면에 디스크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디스크 수용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수납되는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작동편을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은 하중중심의 편심으로 인하여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작동편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기 몸체에 구비하여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편의 상면이 상기 디스크 수용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하부측의 작동편이 상기 개구부를 돌출하여서 수납된 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를 나타낸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는 그 상면에 디스크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용부(33)를 갖는 몸체(31)와, 이 디스크 수용부(33) 주변의 몸체(31)에 설치되는 적어도 2개의 작동편들(50a,50b,50c,50d)과, 이러한 각 작동편들(50a,50b,50c,50d)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들(70a,70b,70c,70d)로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의 디스크 플레이어가 대략 90도 각도로 세워진 위치인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디스크 수용부(33)에 수납되는 디스크(1)도 수직 상태로 있게 되므로 디스크(1)가 디스크 수용부(33)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디스크 수용부(33) 주변의 몸체(31)에 적어도 2개의 작동편(50a,50b,50c,50d)을 설치한다. 그리고 각 작동편(50a)이 출입할 수 있도록 디스크 수용부(33) 주변의 각 작동편(50a)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 개구부(70a)를 설치하여서, 디스크 트레이의 위치 상태의 변화에 따라 각 작동편들(50a,50b,50c,50d)이 각 개구부(70a,70b,70c,70d)를 출입하게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 상태 위치에 있을 때에 작동편(50a)은 그 하중중심이 회동되는 힌지축(51)보다 위쪽에 있도록 함으로써 작동편의 하중중심이 편심을 갖도록 한다. 도 6a,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작동편(50a,60a)의 하중중심의 편심은 수평 상태 위치에서는 힌지결합된 부분의 힌지축(51)보다 위쪽에 그 하중 중심이 오도록 작동편(50a,60a) 위에 하중부(56,66)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하중중심의 편심 효과로 인하여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 상태로 위치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작동편(50a)의 자중은 하방으로 작용되므로 작동편(50a)의 상면은 디스크 수용부(33)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게 되어 수평면 상의 디스크 수용부(33)에 디스크를 수납함에 있어서는 각 작동편들(50a,50b,50c,50d)의 설치에 의한 영향이 없이 디스크를 수납할 수 있다. 이 때 수평 상태 위치에서 각 작동편(50a)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더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멈춤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소정각도란 작동편이 대략 수평으로 되거나 그 보다 약간 위쪽으로 경사지게되는 위치를 말하며 작동편의 하중중심이 힌지축(51)보다 위에 있게 하는 위치를 말한다. 이러한 멈춤 부재는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스토퍼일 수도 있고 또는 몸체(31)를 연장하여 스토퍼 기능을 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그러나 도 5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하부측의 작동편(50a)의 하중중심은 힌지축(51)의 좌측에 있게 되므로 작동편(50a)은 힌지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작동편(50a)이 디스크 수용부(33)의 상면을 돌출하게 된다. 작동편(50a)이 소정각도를 회전한 후에 수직 상태의 디스크(1)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서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 몸체(31)의 일부를 이용하거나 또는 몸체(31)에 별도로 부착하는 형태의 지지부(58)를 설치하여서 회전된 작동편이 지지되게 한다. 이러한 지지부(58)의 위치는 디스크 트레이(30)가 수직위치로 설치 상태의 변화되었을 때 수용되는 디스크(1)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작동편(50a)이 몸체(31)에 대하여 대략 90도 정도의 범위로 회전된 후에 멈춰질 수 있도록 하는 곳에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나, 작동편(50a)의 형태에 따라서는 90도 이내의 범위에서 멈춰지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수직 상태 위치에서도 상부측의 작동편(50d)은 그 자중이 하방으로 미치므로 수평 상태 위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작동편(50a)의 상면이 디스크 수용부(33)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수직 상태 위치에서 하부측의 작동편(50a)은 돌출 되나 하부측의 작동편(50d)은 몰입되어 있으므로, 수직 상태 위치로 수납된 디스크(1)의 하단은 하부측 작동편(50a)에 의해 지지되고 디스크(1)의 상단 은 디스크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수직 상태 위치에서 수납된 디스크(1)의 횡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편(50a)에서 연장된 걸림턱(54b)을 더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위치에서 사용될 때에는, 작동편(50a)의 일단은 몸체(31)하부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단은 작동편(50a)의 하부에 설치된 멈춤 부재(52)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작동편(50a) 전체가 몸체(31) 및 디스크 수용부(33)의 하부에 위치되어서 수평위치로 디스크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데에는 통상의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와 동일하다.
그러나,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위치로 설치 상태가 변화될 때에는 도 5와 같이 상부측 작동편(50d)은 그 하중이 아래쪽을 향하므로 디스크 수용부(33)위로 돌출 되지 않으나, 하부측 작동편(50a)은 그 하중중심이 힌지축(51)의 좌측에 오게 되므로 힌지축(51)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편(50a)이 개구부(70a)를 돌출하여서 지지부(58)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수직 상태 위치로 놓여 있는 디스크 수용부(33)에 디스크를 안착시키면, 디스크(1)의 상부측은 디스크 수용부(33)에 의해 지지되고 하부측은 개구부(70a)를 돌출한 하부측 작동편(50b) 및 걸림턱(54a)에 의해 지지되어 효과적으로 디스크(1)가 지지되게 된다.
그후에 다시, 디스크 플레이어를 수평위치로 설치 상태의 위치를 변화하여 사용할 때에는 개구부(70a)를 돌출했던 작동편(50a)은 디스크 트레이가 수평위치로 변화될 때의 위치변화에 따른 관성 내지 충격에 의해 다시 개구부(70a)내로 몰입되게 되어 도 4와 같은 원래의 위치로 변화되게 된다. 디스크 플레이어를 반대방향으로 수직 상태의 위치로 세우는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작동편이 유사하게 작용되어 디스크를 편리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서의 각종 변경 및 개량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위치가 수평 위치 또는 수직 위치로 변화되는 디스크 플레이어의 설치 상태의 위치 변화에 따라 수납되는 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는 작동편이 하중에 의하여 자동으로 돌출 또는 몰입되어서 사용자가 디스크를 용이하게 디스크 트레이에 장착시킬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즉 디스크 플레이어의 위치 상태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그 에 따른 다른 장치를 작동시키지 않고서도 디스크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준다.

Claims (5)

  1. 상면에 디스크가 수납되는 디스크 수용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디스크 수용부 주변의 상기 몸체에 설치되어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 상기 디스크 수용부에 수납되는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적어도 2개의 작동편을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은 하중중심의 편심으로 인하여 자중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작동편이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상기 몸체에 구비하여서,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평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작동편의 상면이 상기 디스크 수용부의 상면보다 아래에 있고, 상기 디스크 플레이어가 수직 상태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하부측의 작동편이 상기 개구부를 돌출하여서 수납된 디스크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상태 위치에서는 상기 작동편이 소정각도 이상으로는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멈춤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상태 위치에서는 상기 디스크를 지지하는 상기 작동편이 소정각도 이상으로는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지지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의 하중중심의 편심은 상기 수평 상태 위치에서는 상기 힌지결합된 부분의 힌지축의 상방에 하중 중심이 오도록 상기 작동편 위에 설치되는 하중부에 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은 상기 수직 상태 위치에서 수납된 상기 디스크의 횡방향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KR1019970030660A 1997-07-02 1997-07-02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KR1002479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660A KR100247965B1 (ko) 1997-07-02 1997-07-02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0660A KR100247965B1 (ko) 1997-07-02 1997-07-02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8620A true KR19990008620A (ko) 1999-02-05
KR100247965B1 KR100247965B1 (ko) 2000-03-15

Family

ID=1951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0660A KR100247965B1 (ko) 1997-07-02 1997-07-02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9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965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8013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18011B1 (ko) 광재생기기트레이
GB2307327A (en) Correcting for disc eccentricity in a disc drive
KR10024796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US20030147337A1 (en) Clamp device for optical disc
KR100408394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H06111444A (ja) ディスク装置
KR100230265B1 (ko) 디스크 플레이어
KR100234315B1 (ko) 디스크 플레이어용 디스크 트레이
KR100188964B1 (ko) 디스크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디스크 플레이어
KR980011244A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JP2629766B2 (ja) ディスク装着装置
JP2526468Y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ローディング機構
JPH09320161A (ja) ローディ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ク装置
JPH0142851Y2 (ko)
KR100278676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
KR940001757Y1 (ko)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콤팩트 디스크 취출장치
KR100486226B1 (ko) 디스크플레이어의픽업용캐리지의직선운동장치
KR100750103B1 (ko) 디스크 카트리지 및 이에 수납된 디스크를 클램핑하는클램핑장치
KR100195144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수납장치
KR200212862Y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
JP3277981B2 (ja) 運行記録計
KR100577221B1 (ko) 디스크구동장치
KR100219599B1 (ko) 디스크트레이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디스크 플레이어
KR100594212B1 (ko) 디스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