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440U -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440U
KR19990007440U KR2019970020958U KR19970020958U KR19990007440U KR 19990007440 U KR19990007440 U KR 19990007440U KR 2019970020958 U KR2019970020958 U KR 2019970020958U KR 19970020958 U KR19970020958 U KR 19970020958U KR 19990007440 U KR19990007440 U KR 199900074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suction hose
reserve tank
tank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9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9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7440U/ko
Publication of KR19990007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4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리저브 탱크(1) 몸체부(2)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캡(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2)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리턴 호스 연결구(4)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2)의 하부에는 석션 호스 주입구(5)가 돌출형성되어 엔진룸 내부의 주요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석션 호스 주입구(5)가 몸체부(2)의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이 석션 호스 주입구(5)에 삽입되는 주입 호스(6)의 선단부가 석션 호스 주입구(5)의 경사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리저브 탱크의 결합부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하여 리저브 탱크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A reservoir tank for installed in engine room of a car)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되는 리저브 탱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엔진룸의 공간에 리저브 탱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저브 탱크는 액체를 채운 계통에서 온도의 변화에 따라 액체의 체적이 변할 경우에 설치되는 바, 라디에이터에서 넘치는 냉각수를 수용하거나 부족한 액을 보충하는 탱크가 그 예로서 라디에이터 액, 클러치 액, 브레이크 액, 파워 스티어링의 오일 등 자동차에는 많은 리저브 탱크가 있으며 익스팬션 탱크라고도 한다.
즉, 상기 리저브 탱크의 종래 구조는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엔진룸(101) 내부에서 여러 호스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바, 이렇게 설치되는 리저브 탱크(102)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캡(103)이 설치되고, 리저브 탱크(102) 몸체부(104)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리턴 호스 연결구(105)가 형성되며, 상기 리저브 탱크(102) 몸체부(104)의 수직하방에는 석션 호스 주입구(106)가 돌출형성되어, 자동차의 주요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주입 호스(107)와 끼워져 연결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저브 탱크(102)를 자동차의 엔진룸(101)에 조립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리저브 탱크(102)의 몸체부(104)에 형성된 리턴 호스 연결구(105)와 석션 호스 주입구(106)에 각각 주입 호스(107)를 끼워줌으로써 리저브 탱크(104)를 엔진룸(101)에 장착하도록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리저브 탱크(102)가 설치되는 엔진룸(101) 내부가 협소할 뿐만아니라 각종 배선과 부품들에 의해 복잡하기 때문에 리저브 탱크(102)의 설치가 상당히 어렵고, 또한 상기 리저브 탱크(102)의 석션 호스 주입구(106)가 하부방향으로 직립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 호스(107)와의 연결작업시 작업자가 석션 호스 주입구(106)를 보지 못하는 상태에서 손을 넣어 연결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의 손이 다치게 되는 등 작업성의 저하로 생산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소한 엔진룸의 공간에 리저브 탱크를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조립작업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탱크 몸체부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캡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 몸체부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리턴 호스 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 몸체부의 하부에는 석션 호스 주입구가 돌출형성되어 엔진룸 내부의 주요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주입 호스와 끼워져 연결되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석션 호스 주입구가 탱크 몸체부의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이 석션 호스 주입구에 삽입되는 주입 호스의 선단부가 석션 호스 주입구의 경사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형성되어 결합되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리저브 탱크의 결합부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하여 리저브 탱크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저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a는 일반적으로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리저브 탱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리저브 탱크 2 : 탱크 몸체부
3 : 캡 4 : 리턴 호스 연결구
5 : 석션 호스 주입구 6 : 주입 호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저브 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리저브 탱크(1) 몸체부(2)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캡(3)이 설치되고, 상기 몸체부(2)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리턴 호스 연결구(4)가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2)의 하부에는 석션 호스 주입구(5)가 돌출형성되어 엔진룸 내부의 주요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연결설치되는 한편, 상기 석션 호스 주입구(5)가 탱크 몸체부(2)의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이 석션 호스 주입구(5)에 삽입되는 주입 호스(6)의 선단부가 석션 호스 주입구(5)의 경사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형성되어 결합되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와 같이 리저브 탱크(1)의 하부에 설치된 석션 호스 주입구(5)가 대략 45°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상기 석션 호스 주입구(5)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상기 절곡된 주입 호스(6)의 선단에 끼워넣음으로써 복잡한 엔진룸 내부에 리저브 탱크(1)를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또한, 상기 리저브 탱크(1)의 리턴 호스 연결구(4)와 석션 호스의 주입구(5)에 연결되는 호스들의 결합상태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되어, 리저브 탱크(1)의 설치에 따른 작업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리저브 탱크(1)의 설치가 용이하게 되어, 리저브 탱크(1)의 설치로 인한 작업자의 로스 타임을 제거함과 더불어 제품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에 의하면, 리저브 탱크의 결합부를 작업자가 눈으로 확인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하여 리저브 탱크의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자동차의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는 탱크 몸체부(2)의 상부에는 액체를 주입할 수 있는 캡(3)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 몸체부(2)의 일측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리턴 호스 연결구(4)가 형성되며, 상기 탱크 몸체부(2)의 하부에는 석션 호스 주입구(5)가 돌출형성되어 엔진룸 내부의 주요장치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주입 호스(6)와 끼워져 연결되도록 된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에 있어서,
    상기 석션 호스 주입구(5)가 탱크 몸체부(2)의 측하방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됨과 더불어 이 석션 호스 주입구(5)에 삽입되는 주입 호스(6)의 선단부가 석션 호스 주입구(5)의 경사각과 수평을 이루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형성되어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KR2019970020958U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KR199900074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58U KR19990007440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958U KR19990007440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40U true KR19990007440U (ko) 1999-02-25

Family

ID=69688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958U KR19990007440U (ko) 1997-07-31 1997-07-31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744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201A (ko) * 2013-12-19 201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저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2201A (ko) * 2013-12-19 2015-06-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저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218B2 (ja) 自動車用のブレーキ液タンク
EP0616574B2 (en) A vent device for a fuel supply pipe
EP1457406A2 (en) Reservoir with an integrated bracket
GB2328915A (en) Connected fluid reservoir and fuel tank arrangement
US20050016619A1 (en) Windshield wiper fluid reservoir
KR19990007440U (ko)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된 리저브 탱크
KR20180103561A (ko) 자동차 리저브 탱크
KR100428216B1 (ko) 주유구에 무빙 플레이트가 장착된 연료탱크
CN214247484U (zh) 一种汽车用膨胀水箱
JP3141447B2 (ja) 自動車のオイル注入装置
JP2000185644A (ja) リザーバタンクの取付構造
JPS6335020Y2 (ko)
CN218204031U (zh) 一种防止相邻车辆占位的机械车位锁
CN219635177U (zh) 一种支腿结构及泵送设备
KR100328983B1 (ko) 차량용 와셔액 탱크
KR19980048735U (ko) 연료탱크의 연료주입관
KR200166726Y1 (ko) 구리스 통합주입구
JP3681037B2 (ja) 洗浄液用タンク
JP3705324B2 (ja) ウオッシャーノズル取付構造
JP2859284B2 (ja) 給油装置
KR0140762Y1 (ko) 윈드 시일드 와셔액 리저버가 구비된 프론트 범퍼
KR20230166768A (ko) 프론트 필러 구조체
JP4310175B2 (ja) ウインドウォッシャ装置
JP4825545B2 (ja) 車両用ウォッシャ装置
KR20050061678A (ko) 워셔 분사장치의 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