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834A -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834A
KR19990006834A KR1019980021429A KR19980021429A KR19990006834A KR 19990006834 A KR19990006834 A KR 19990006834A KR 1019980021429 A KR1019980021429 A KR 1019980021429A KR 19980021429 A KR19980021429 A KR 19980021429A KR 19990006834 A KR19990006834 A KR 19990006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isk
friction material
disc
shaped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4653B1 (ko
Inventor
쇼조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가이샤 에쿠세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찌 마사루, 가부시끼가이샤 에쿠세디 filed Critical 아다찌 마사루
Publication of KR19990006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5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in another pattern, e.g. zig-zag, sinusoi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60Clutching elements
    • F16D13/64Clutch-plates; Clutch-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4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for making non-tubula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04H3/07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otherwise than in a plane, e.g. in a tubular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하지 않은 형상의 클러치페이싱을 저가로 사전형성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클러치페이싱을 사전형성하기 위하여 마찰재섬유가 환형형상으로 그 위에 배설되어 있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이고, 마찰재섬유를 그 위에 배설할 수 있는 디스크형 메인보디 10 및 복수의 돌출부 11을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 11은 마찰재섬유가메인보디의 표면상에 배설되어 있는 영역에 배열된다.

Description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 및 이 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본 발명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disc face plate), 특히 클러치페이싱(clutch facing)을 사전형성하기 위하여 마찰재섬유가 환형형상으로 그 위에 배설되어 있는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winder apparatus)에 사용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하는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장치에 사용될 클러치페이싱을 형성할 때, 먼저 유리수지 및 메탈와이어를 함께 권취하여 유리섬유를 얻는다. 다음에, 고무, 가황제 및 열경화성수지를 용매에 용해시킨 조성물을 유리섬유에 스며들게 하거나 또는 코팅하여 마찰재섬유를 형성한다. 이로써 마찰재섬유가 제품으로 형성, 즉 이 섬유가 환형형상으로 권취되어 사전형성된다. 그 후, 이 제품은 세정공정, 열프레스공정, 왜곡(warpage)수정공정 및 버링제거(de-burring)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클러치페이싱을 얻게 된다. 이들 형태의 공정중에,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이하 페이싱용 와인더장치라고 함)는 사전형성공정에 사용된다. 페이싱용 와인더장치는 환형의 오목한부분을 가진 다이, 상기 다이를 회전시키는 메커니즘, 및 마찰재섬유를 다이의 오목한부분으로 가이드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다이가 회전하는 동안, 마찰재섬유가 다이의 오목한부분으로 가이드되어 여기에서 환형형상으로 권취되어 사전형성된다.
전술한 종래의 클러치페이싱 제조중의 사전형성공정에 있어서는, 환형의 오목한부분을 가진 다이가 사용된다. 따라서, 클러치페이싱의 크기가 바뀔 때 마다 상이한 다이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다이는 고가의 제품이기 때문에 각각의 상이한 크기에 따라 다이를 준비하는 경우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다이를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페이싱을 제조하는 와인더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와인더장치로부터 제거한 도 1의 와인더장치에 사용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마찰재섬유의 권취공정중의 마찰재섬유를 그 위에 가진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하지 않은 형상을 가진 클러치페이싱을 제조할 때 간단한 작업을 저가로 실행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양태에 있어서, 클러치페이싱을 형성하는 와인더장치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는 마찰재섬유를 그 표면상에 배설할 수 있는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포함한다. 복수의 돌출부가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디스크형 메인보디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는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hole)이 형성된 제거가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가능 디스크는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표면을 덮도록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격자(格子)형상으로 배열되고,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있어서,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는 프레임과 디스크형 메인보디가 프레임상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프레임상에 지지된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메커니즘이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회전시킨다. 가이드메커니즘이 프레임에 지지되어 왕복운동으로 마찰재섬유를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디스크형 메인보디에 걸친 메인보디의 소정의 환형영역으로 가이드한다. 또한, 마찰재섬유는 디스크형 메인보디상에 배설될 수 있고, 복수의 돌출부는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디스크형 메인보디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와인더장치는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제거가능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거가능 플레이트는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표면 중 최소한 일부를 덮도록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격자(格子)형상으로 배열되고,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와인더장치는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프레임내로 들어올리는 수단 및 프레임상에 배설된 복수의 원뿔형 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는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들어올리는 리프팅수단에 반응하여 복수의 돌출부와 마찰재섬유를 결합하는 형상이다.
또한, 가이드메커니즘은 마찰재섬유가 사인커브(sinusoidal)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찰재섬유를 메인보디의 소정의 환형영역으로 가이드하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재섬유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상의 환형영역에 배설되고, 복수의 돌출부가 환형형상으로 배설된 마찰재섬유를 지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환형의 오목한부분이 부착된 종래의 다이는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크기가 상이한 클러치페이싱을 형성할 때, 마찰재섬유가 배설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상의 위치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마찰재섬유가 배설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상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마찰재섬유는 그 위치에 배열된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에 의하여, 환형의 오목한부분을 임의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동등한 작용으로 되고, 이로써 클러치페이싱을 하나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임의의 크기로 사전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거가능 디스크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의 메인보디 표면상에 배열되고,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상의 복수의 돌출부는 제거가능 디스크의 복수의 홀로부터 돌출한다. 또한, 마찰재섬유는 복수의 돌출부에 의하여 지지된 채 제거가능 디스크상의 환형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클러치페이싱의 사전형성이 완료되어 환형의 마찰재섬유가 제거될 때, 제거가능 디스크가 마찰재섬유의 제거와 함께 메인보디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이러한 마찰재섬유를 돌출부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거가능 디스크는 사전형성된 마찰재섬유를 돌출부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거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는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가 동심원으로 배열되는 경우, 복수의 마찰재섬유를 함께 권취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는 격자형상으로 배열되고 동심원으로 배열되지 않은 돌출부를 가져서, 섬유가 돌출부에 의하여 함께 권취되도록 가이드되기 때문에 섬유를 환형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마찰재섬유는 회전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상의 가이드메커니즘에 의하여 클러치페이싱의 내경과 외경 사이에 왕복운동으로 가이드된다. 이 때문에, 마찰재섬유가 특정의 폭을 가진 환형영역에 배열되어 클러치페이싱이 사전형성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양태 및 장점은 대응부재에 동일 참조부호로 표시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양태에 따른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는 베이스프레임 1, 베이스프레임 1의 상부에 배열된 베이스플레이트 2, 및 베이스플레이트 2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지지로드 3상의 베이스플레이트 2 보다 더 위에 배열된 장착플레이트 4를 포함한다.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베이스플레이트 2의 상면에 배열되고,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상향운동을 제어하는 압력실린더 6은 베이스플레이트 2의 하면에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베어링에 의하여 압력실린더 6의 상측로드 단부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라이즈플레이트(rise plate)상에 지지된다. 회전구동메커니즘 7이 장착플레이트 4의 상면에 배설되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를 회전시킨다. 리텐션메커니즘(retention mechanism) 8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장착플레이트 4 사이에 또한 배설되어 있다. 리텐션메커니즘 8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위로부터 하향하는 힘을 가하도록 배설되어,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상에 배설되어 있는 마찰재섬유의 지지를 보조한다. 또한, 이와 마찬가지로, 가이드메커니즘 9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장착플레이트 4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가이드메커니즘 9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찰재섬유를 왕복운동으로 특정범위(클러치페이싱의 내경과 외경 사이)내로 이동시켜서 마찰재섬유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특정 환형영역으로 가이드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디스크플레이트형 메인보디 10을 가진다. 메인보디 10의 표면상에는 복수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 10a가 형성되고, 채널 10 사이의 영역에는 복수의 니들형상 돌출부 11이 상향으로 돌출하여 배설되어 있다. 복수의 돌출부 11은 이들이 동심원으로 정렬되지 않도록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테프론(Teflon)으로 코팅된 비교적 얇은 메탈로 제조된 제거가능 디스크 12가 메인보디 10의 전체면을 덮도록 메인보디 10의 상면상에 배설되어 있다. 복수의 관통홀 12a가 제거가능 디스크 12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홀 12a는 메인보디 10의 표면상에 배열된 복수의 돌출부 11에 대응한다. 따라서, 제거가능 디스크 12를 메인보디 10의 상면상에 세트할 때, 복수의 돌출부 11이 제거가능 디스크 12의 관통홀 12a를 관통한다. 이 상태, 즉 제거가능 디스크 12가 메인보디 10의 상면상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 11이 제거가능 디스크 12의 상면으로부터 대략 1 ∼ 2 mm 돌출한다. 또한, 제거가능 디스크 12는 메인보디 10상에 설치 및 메인보디 10으로부터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회전구동메커니즘 7은 장착플레이트 4의 상면에 지지되어 있는 서보모터 15, 서보모터 15의 출력축에 결합되어 있는 페이스기어(face gear) 16, 및 구동기어 17을 포함한다. 서보모터 15의 회전은 제1 트랜스미션메커니즘 20을 통하여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에 전달된 후, 제2 트랜스미션메커니즘 21을 통하여 리텐션메커니즘 8에 전달된다. 제1 트랜스미션메커니즘 20은 장착플레이트 4에 배설되어 있고, 구동기어 17과 맞물리는 트랜스미션용 제1 기어 22, 장착플레이트 4에 배설된 트랜스미션용 제2 기어 23, 및 상기 2개의 기어를 함께 결합하는 스플라인샤프트(spline shaft) 24를 포함한다. 또한, 트랜스미션용 제2 기어 23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아래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와 맞물리고, 스플라인샤프트 24를 따라서 상승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아래에 배설된 도시하지 않은 기어는 회전불능상태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이 기어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하게 된다.
제2 트랜스미션메커니즘 21은 페이스기어 16과 맞물리는 베벨기어(bevel gear) 25; 회전축이 장착플레이트 4의 표면과 평행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풀리(pulley) 26; 리텐션메커니즘 8의 원뿔형 롤러(후술함)에 고정된 풀리 27; 풀리 26과 풀리 27 사이를 교차하는 벨트 28; 샤프트 29 및 베벨기어 25를 풀리 26에 결합하는 조인트 20을 포함한다. 리텐션메커니즘 8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중간샤프트에 중심을 맞춘 패턴으로 배열된 5개의 원뿔형 롤러 31 (도 1에 모두가 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각 원뿔형 롤러 31 사이에 배설된 5개의 압력플페이트 32를 포함한다. 각각의 원뿔형 롤러 31은 직경이 보다 작은 단부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중앙부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접할 때 원뿔형 롤러 31과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 사이에 미끄러짐이 최소로된다. 또한, 각각의 원뿔형 롤러 31은 그 하면상의 압력실린더에 의하여 더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부재상에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원뿔형 롤러는 아래로부터의 힘에 비례하여 적절한 양으로 상향으로 이동하고, 아래로부터의 힘이 릴리스되면 원뿔형 롤러는 원위치로 하향하여 이동한다. 즉, 원뿔형 롤러 31은 독자적인 서스펜션메커니즘(suspension mechanism)을 가진다. 또한, 5개의 원뿔형 롤러 중 단지 1개의 원뿔형 롤러만이 제2 트랜스미션메커니즘 21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압력플레이트 32는 리텐션메커니즘 8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가이드메커니즘 9는 지지로드 3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 40, 지지플레이트 40에 고정된 서보모터 41, 및 가이드레버 42를 포함한다. 가이드레버 43이 지지플레이트 40상에 배설되어 있고, 랙 44는 이 가이드레일 43을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가이드레버 42는 랙 44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다. 가이드레버 42는 L자형상으로 형성되고, 레버의 선단에는 가이드개구가 형성된다. 이 가이드홀은 복수의 섬유가닥(strand), 예를 들면 3개의 전방 가이드링 45에 의하여 가이드된 3가닥의 마찰재섬유를 집적한 후 이 3가닥을 소정위치로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피니언기어 46이 서보모터 41의 출력샤프트에 고정되어 있고, 이 피니언기어 46은 랙 44와 맞물린다. 이렇게 구성된 타입의 가이드메커니즘 9에 있어서, 가이드레버 42는 일정사이클로 왕복회전하는 서보모터 41에 의하여 왕복운동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가이드레버 42가 왕복운동으로 특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찰재섬유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특정의 환형영역, 즉 클러치페이싱의 내경과 외경 사이로부터 가이드되어 일정패턴이 후속하게 된다.
다음에, 클러치페이싱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체 공정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유리수지 및 메탈와이어를 함께 권취하여 메탈와이어가 삽입된 유리섬유를 얻는다. 다음에, 고무, 가황제, 및 열경화성수지를 용매에 용해시켜 유리섬유의 표면상에 코팅하여 마찰재섬유를 형성한다. 상기 방식으로 얻은 마찰재섬유는 상기 실시예에 개시된 페이싱용 와인더장치에 의하여 환형형상으로 사전형성된다. 이 사전형성된 마찰재섬유는 가열상태로 프레스형성을 거친다. 그 후, 이 섬유는 왜곡수정공정, 버링제거공정 및 연마공정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제품을 얻는다.
다음에, 페이싱용 와인더장치에서의 사전형성공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향으로 위치시킨다.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리텐션메커니즘 8과 분리되어 있다(리텐션메커니즘 8로부터 하측으로 떨어져 있음). 이 상태에서, 3가닥의 마찰재섬유가 각각 전방 가이드링 45를 통과한 후, 섬유는 가이드레버 42의 선단상의 가이드홀을 통과하여 원뿔형 롤러 31의 하측을 향하여 가이드된다. 다음에, 압력실린더 6이 작동하고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가 상승하여,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리텐션메커니즘 8이 접하게 된다. 이 때,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는 원뿔형 롤러 31을 미는 위치까지 상승한다. 이 작용으로 마찰재섬유가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와 리텐션메커니즘 8 사이에 매달려서 지지된다. 또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상승에 따라서, 트랜스미션용 제2 기어 23도 스플라인샤프트 24상에서 슬라이드하면서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서보모터 15를 구동시킨다. 서보모터 15가 회전할 때, 구동기어 17이 또한 회전하고, 이 회전은 트랜스미션용 제1 기어 22, 스플라인샤프트 24 및 트랜스미션용 제2 기어 23을 통하여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에 전달된다. 이 작용으로 인하여,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가 회전한다. 서보모터 15를 따라서 페이스기어 16이 또한 회전하고, 이 회전은 베벨기어 25, 샤프트 29 및 조인트 30을 통하여 풀리 26에 전달된다. 또한, 회전은 벨트 28 및 풀리 27을 통하여 원뿔형 롤러 31에 전달된다.
이렇게 하여, 서보모터 15가 회전할 때,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 및 원뿔형 롤러 31이 서로 동시에 회전한다.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가 회전하고 있을 때, 서보모터 41은 일정사이클로 왕복회전을 계속한다. 이 회전은 소정범위내에 수평방향으로 랙 44를 왕복이동하는 피니언기어 46을 통하여 랙 44에 전달된다. 가이드레버 42는 랙 44의 선단에 랙 44를 따라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레버 42는 소정범위내에 왕복운동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마찰재섬유는 폭 D영역, 즉 클러치페이싱의 내경과 외경 사이에 권취되는 반면, 사인곡선 즉 통로가 원주상으로 후속한다. 특히, 복수의 돌출부 11이 격자형상으로 배열되고 동심원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와인딩패턴이 사인커브형상으로 확실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마찰재섬유는 대략 15회 권취된다. 그러나, 제거가능 디스크 12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 11에 의하여, 최하층 마찰재섬유의 이동은 반경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제한된다. 바꾸어 말하면, 돌출부 11은 최하층 마찰재섬유를 고정위치에 지지한다. 이 때문에, 돌출부 11의 높이가 클러치페이싱의 두께 보다 낮지만, 제2 층위의 층은 제1 층과 동일방식으로 고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마찰재섬유가 권취될 때, 높이는 물론 증가한다. 그러나, 원뿔형 롤러 31은 이 높이에 비례하는 에어실린더의 압력힘에 반발하여 상향으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와인딩이 종료되면, 압력실린더 6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를 내려놓는다. 이 상태에서, 사전형성된 클러치페이싱이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상면, 즉 제거가능 플레이트 12의 상면상에 위치된다. 그 후, 스크류드라이버 또는 유사한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가능 플레이트 12를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메인보디 10으로부터 제거한다. 이 작용에 의하여, 사전형성된 클러치페이싱이 제거가능 플레이트 12 뿐만 아니라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5의 메인보디 10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보모터 41의 왕복회전 반복사이클만을 변경함으로써, 반경방향의 폭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왕복운동의 개시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외경의 크기가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사전형성된 클러치페이싱이 제거가능 플레이트 12 뿐만 아니라 페이싱용 와인더장치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사전형성된 클러치페이싱을 복수의 돌출부 11로부터 하나씩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제거공정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또한,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를 구동하는 서보모터 15의 회전과 가이드레버를 구동하는 서보모터 41의 회전간의 관계를 제어함으로써, 마찰재섬유의 와인딩패턴이 용이하게 점차 변경될 수 있다. 압력실린더 6은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돌출부가 배설된 한 가지 타입의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여러 가지 크기 및 형상의 클러치페이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상세는 그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특허청구항 및 그 동등물에 의하여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Claims (8)

  1. 클러치페이싱을 형성하는 와인더장치용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로서,
    마찰재섬유를 그 표면에 배설할 수 있는 디스크형 메인보디와,
    상기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제거가능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 디스크는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표면을 덮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4. 프레임과;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가 상기 프레임상에서 선택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된 디스크형 메인보디와;
    상기 프레임상에 지지되어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메커니즘과;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마찰재섬유가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내경과 외경 사이의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에 걸친 상기 메인보디의 소정의 환형영역으로 가이드되도록 왕복운동하는 가이드메커니즘과를 포함하고,
    마찰재섬유는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상에 배설가능하고, 복수의 돌출부가 상기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페이싱용 와인더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관통하는 복수의 홀이 형성된 제거가능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가능 디스크는 마찰재섬유를 배설할 수 있는 영역의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상기 표면 중 최소한 일부를 덮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격자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의 중심에 대하여 동심이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더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상기 프레임내로 들어올리는 수단과;
    상기 프레임상에 배설되고, 상기 디스크형 메인보디를 들어올리는 상기 리프팅수단에 반발하여 상기 복수의 돌출부와 마찰재섬유를 결합하는 복수의 원뿔형 롤러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더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이드메커니즘은 마찰재섬유가 사인커브형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찰재섬유를 상기 메인보디의 소정의 환형영역으로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인더장치.
KR1019980021429A 1997-06-10 1998-06-10 클러치페이싱용와인더장치및이장치에사용되는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KR100324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173697A JP3556071B2 (ja) 1997-06-10 1997-06-10 クラッチフェーシング巻取り機
JP97-151736 1997-06-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34A true KR19990006834A (ko) 1999-01-25
KR100324653B1 KR100324653B1 (ko) 2002-08-24

Family

ID=15525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1429A KR100324653B1 (ko) 1997-06-10 1998-06-10 클러치페이싱용와인더장치및이장치에사용되는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556071B2 (ko)
KR (1) KR100324653B1 (ko)
FR (1) FR27643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39985B1 (fr) * 2002-05-23 2004-08-20 Messier Bugatti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fabrication de preformes fibreuses annulaires
KR101292621B1 (ko) 2011-11-08 2013-08-02 주식회사평화발레오 클러치 디스크 조립방법
EP3023664B1 (en) 2013-09-09 2018-03-28 Exedy Corporation Friction material for clutch
FR3091300B1 (fr) * 2018-12-31 2021-02-19 Paris Sciences Lettres Quartier Latin nouveau procédé de tissage d’articles textiles et dispositif pour la mise en oeuvr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50937A (en) * 1936-02-24 1939-03-21 Raybestos Manhattan Inc Clutch facing
US2263500A (en) * 1941-02-24 1941-11-18 Thermoid Company Machine for producing a friction element
DE3003666A1 (de) * 1980-02-01 1981-08-06 Richard 4937 Lage Pott Gelege zur herstellung einer verstaerkung von im wesentlichen aus flaechen bestehenden bauteilen und ein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sselben
US4594122A (en) * 1985-02-26 1986-06-1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pparatus for preparing a contoured preform
DE4234083A1 (de) * 1992-10-09 1994-04-14 Olbo Textilwerke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egen von Fä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2272A (ja) 1999-01-06
KR100324653B1 (ko) 2002-08-24
FR2764311A1 (fr) 1998-12-11
JP3556071B2 (ja) 2004-08-18
FR2764311B1 (fr) 200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6878B1 (en) Method for forming pulley
US5709118A (en) Press apparatus for forming gear teeth
KR100324653B1 (ko) 클러치페이싱용와인더장치및이장치에사용되는디스크페이스플레이트
JP2001212626A (ja) フロー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0127877B1 (ko) 휠의 성형방법
JP3680001B2 (ja) ディスク状部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210172235U (zh) 一种离心风轮插片成型设备
JP3676698B2 (ja) 多溝プーリの製造方法
JP3469275B2 (ja) 歯車素形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1007890B1 (ko) 풀리의 크라운 성형장치 및 풀리의 크라운 성형방법
CN201687920U (zh) 皮带轮与轴承装配的结构及夹具
CN220462101U (zh) 一种具有箍紧功能的轮毂锻造模具
CN216859597U (zh) 一种自动压装的灯具安装设备
KR20190071910A (ko) 벨로우즈 성형장치의 어퍼다이 이동유닛
KR102425877B1 (ko) 로봇의 감속기에 적용 가능한 웜휠을 제조하는 기어 제조 장치 및 기어 제조 방법
CN220985492U (zh) 定子涨紧工装
CN210754544U (zh) 用于制作大尺寸边缘宽度的增厚部的圆板形零件的装置
JP4474911B2 (ja) ボス付カップ形状の部品の製造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JP2001263454A (ja) プーリの製造方法並びにプーリの製造装置
JPS63120920A (ja) 電磁クラッチ用ロータの製造方法
JPS5912377B2 (ja) 板金製ポリvプ−リの製造方法
JPS63126622A (ja) ねじ成形型装置
JPH0246932A (ja) しごき加工方法およびしごき加工用ダイス
CN116329469A (zh) 一种双组分环形坯件的终成型装置及方法
JPH0619586Y2 (ja) 摩擦円盤予備成形機における糸密度増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