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650U - 자동차용 러버 부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러버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650U
KR19990006650U KR2019970020135U KR19970020135U KR19990006650U KR 19990006650 U KR19990006650 U KR 19990006650U KR 2019970020135 U KR2019970020135 U KR 2019970020135U KR 19970020135 U KR19970020135 U KR 19970020135U KR 19990006650 U KR19990006650 U KR 19990006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ush
automobile
durability
automobiles
suspens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형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650U/ko
Publication of KR19990006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650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러버 부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현가계나 엔진 마운팅에 있어서 진동 흡수 및 동작에 대한 피봇 역할을 하기 위해 취부되는 러버 부시의 구조를 변경하여 그 내구성 및 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러버 부시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러버 부시(50)의 중공부(54)(54')에 탄성의 폴리우레탄 재질을 갖는 균열방지부재(60)를 압입하여 된 것으로, 러버 부시의 균열 방지는 물론, 현가계의 내구 성능과 조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러버 부시
본 고안은 자동차용 러버 부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현가계(suspension system)나 엔진 마운팅(engine mounting)에 있어서 진동 흡수 및 동작에 대한 피봇 역할을 하기 위해 취부되는 러버 부시(rubber bush)의 구조를 변경시킨 자동차용 러버 부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현가계나 엔진 마운팅부에 사용되는 러버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로서, 현가계의 로워 콘트롤 암(lower control arm)의 일측단에 취부되는 리어 러버 부시(rubber bush)(10)의 경우, 중앙부의 축(12)을 기준으로 그 양단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중공부(14)(14')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바퀴의 움직임에 대하여 좌우의 F1 방향에 대하여 경(硬)하고 상하의 F2 방향에 대하여는 연(延)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조향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러버 부시(10) 구조에서는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바퀴의 움직임과 제동에 따른 충격에 의하여 상기 러버 부시(10)의 변형에 따라 상기 중공부(14)(14') 형성부위에서 스플릿(균열) 현상이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현가계의 내구 성능의 저하는 물론 조향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의 현가계나 엔진 마운팅에 있어서 진동 흡수 및 동작에 대한 피봇 역할을 하기 위해 취부되는 러버 부시의 구조를 변경하여 그 내구성 및 조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러버 부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앙부의 축을 기준으로 그 양단에 소정 형상을 갖는 중공부가 형성되어 로워 콘트롤 암의 일측단에 취부되는 자동차용 러버 부시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시의 중공부에 탄성의 폴리우레탄 재질을 갖는 균열방지부재를 압입하여 된 자동차용 러버 부시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현가계나 엔진 마운팅부에 사용되는 러버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러버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러버 부시, 52:축,
54,54':중공부, 60:균열방지부재.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러버 부시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러버 부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서, 이에 따른 자동차용 러버 부시는 러버 부시(5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된 중공부(54)(54')에 탄성의 폴리우레탄 재질을 갖는 균열방지부재(60)를 압입하여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러버 부시(50)의 중공부(54)(54')에 각각 압입되어 밀폐작용을 하는 균열방지부재(60)는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바퀴의 움직임과 제동에 따른 충격, 그리고 러버 부시(50)의 중앙부 축(52)과 바깥쪽 축의 상호 작용 힘에 의한 상기 중공부(54)(54')의 균열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되며, 탄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므로 러버 부시(50)의 부드러운 방향성을 유지시켜서 러버 부시(5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러버 부시에 의하면 현가계의 로워 콘트롤 암의 일측단에 취부되는 리어 러버 부시의 중공부에 압입되는 균열방지부재에 의하여 러버 부시의 균열 방지는 물론, 러버 부시 및 현가계의 내구 성능 향상과 함께 조향 성능 또한 향상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중앙부의 축(52)을 기준으로 그 양단에 소정 형상을 갖는 중공부(54)(54')가 형성되어 로워 콘트롤 암의 일측단에 취부되는 자동차용 러버 부시(50)에 있어서,
    상기 러버 부시(50)의 중공부(54)(54')에 탄성의 폴리우레탄 재질을 갖는 균열방지부재(60)를 압입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러버 부시.
KR2019970020135U 1997-07-29 1997-07-29 자동차용 러버 부시 KR199900066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35U KR19990006650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용 러버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135U KR19990006650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용 러버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650U true KR19990006650U (ko) 1999-02-25

Family

ID=69687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135U KR19990006650U (ko) 1997-07-29 1997-07-29 자동차용 러버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65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9B1 (ko) * 2012-01-17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9B1 (ko) * 2012-01-17 2014-10-21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3944B1 (ko) 차량의 라지에이터 지지장치
KR19990006650U (ko) 자동차용 러버 부시
JPH11314510A (ja)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KR100412800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시스템의 진동저감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100398197B1 (ko) 자동차용 프론트로어아암의 부시설치구조
KR200162845Y1 (ko) 방진 고무
KR200158671Y1 (ko) 자동차용 리어서스페션 구조
KR100264655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프론트로어암
KR200317033Y1 (ko) 차량의수직강성제어가개선된스테빌라이저바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970075450A (ko) 자동차의 겹판 스프링
KR100678639B1 (ko) 자동차의 조향 장치용 더스트 커버
KR100249905B1 (ko) 자동차용 서스펜션
KR19980061295A (ko) 스티어링컬럼지지용 브라켓트의 보강구조
KR970001067A (ko) 자동차 중간기둥의 보강구조
KR200174300Y1 (ko) 자동차 리어엑슬 콘트롤 암
KR19980062769A (ko) 자동차의 크로스 부재
KR19980053147U (ko) 자동차의 크러쉬 패드 체결 구조
JP2000289575A (ja) 自動車のワイパー構造
JP2000313358A (ja) 自動車用緩衝部材
KR970015368A (ko) 자동차용 센터 필러 어셈블리
KR19980021242U (ko) 자동차용 로워아암 고정 구조
KR970005681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트라이얼 링크
KR19980027129U (ko) 판스프링 장착용 고무부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