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032U -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 Google Patents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032U
KR19990006032U KR2019970019448U KR19970019448U KR19990006032U KR 19990006032 U KR19990006032 U KR 19990006032U KR 2019970019448 U KR2019970019448 U KR 2019970019448U KR 19970019448 U KR19970019448 U KR 19970019448U KR 19990006032 U KR19990006032 U KR 199900060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fork
clutch sleeve
rolling device
groove
contac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호영
Original Assignee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만, 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종만
Priority to KR2019970019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032U/ko
Publication of KR199900060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032U/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클러치 슬리브와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회전 마찰력에 의해 감소하는 상기 부품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는 외주에 홈이 설치되며 내면에 스플라인이 절삭되어 있는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촉면을 갖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과 선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는 시프트 포크에 의해 이동하는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시프트 포크의 회전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본 고안은 차량의 수동 변속기에 사용되는 시프트 포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러치 슬리브와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회전 마찰력에 의해 감소하는 상기 부품들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엔진의 발생 회전력은 회전 속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거의 일정하기 때문에 출력은 회전 속도에 따라 크게 변화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가 주행할 때 필요로 하는 구동력은 도로상태, 주행 속도, 적재하는 하중 등에 따라 변화된다. 이에 따라 엔진과 추진축 사이에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변속기를 설치한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포크(12)를 사용하여 변속 작동을 하였다. 상기 시프트 포크(12)는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의해 상기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과 클러치 슬리브의 외부홈이 접촉하며 클러치 슬리브를 이동시켜 상기 클러치 슬리브 내면의 홈이 기어의 치형에 물리도록 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상기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마모 및 소음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차량의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외주에 홈이 설치되며 내면에 스플라인이 절삭되어 있는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촉면을 갖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과 선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시프트 포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포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선 A-A'에 따른 일부가 단면된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가 장착된 시프트 포크와 클러치 슬리브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됨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포크(12)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상기 시프트 포크(12)는 구멍(16), 롤러(18), 핀(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멍(16)은 클러치 슬리브와 면접촉하는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에 형성된다. 상기 롤러(18)는 상기 구멍(16)에 끼워져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접촉면과 선접촉한다. 상기 롤러(18)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형이다. 상기 핀(20)은 상기 롤러(18)의 회전 중심에 끼워져 상기 롤러(18)를 지지하며 양단은 상기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 상단에 고정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시프트 포크(12)와 클러치 슬리브(2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에 따른 일부가 단면된 시프트 포크(12)와 클러치 슬리브(2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에 결합된 롤러(18)는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수직홈(24)에 끼워져 상기 수직홈(24)의 접촉면과 결합된다. 상기 롤러(18)와 수직홈(24)은 선접촉한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22)는 내면에 클러치 기어와 결합하는 스플라인(26)이 절삭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외주에는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과 물리는 수직홈(24)이 설치되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테이퍼 롤러(28)가 장착된 시프트 포크(12)와 클러치 슬리브(22)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시프트 포크(12)에 사용되는 롤러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 롤러(28)이다.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홈은 양측면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경사홈(30)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포크(12)의 롤링장치가 클러치 슬리브(22)의 수직홈(24)에 장착되어 작동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수직홈(24)에 시프트 포크(12)의 접촉면(14)이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상기 접촉면(14)에 결합된 롤러(18)와 상기 수직홈(24)의 양측면은 서로 선접촉하며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회전에 따라 상기 롤러(18)도 핀(20)을 중심으로 연동하여 회전한다.
그러나 클러치 슬리브(22)의 외주에 형성된 홈의 형상이 수직홈(24)이 아닌 경우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홈(30)을 갖는 클러치 슬리브(22)일 경우 상기 경사홈(30)의 형상에 맞는 롤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 상기 경사홈(30)에 적합한 테이퍼 롤러(28)를 사용한다. 상기 테이퍼 롤러(28)의 기능은 수직홈(24)에 결합되는 롤러(18)의 기능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클러치 슬리브(22)의 수직홈(24)과 경사홈(30)의 폭은 각각 롤러(18)와 테이퍼 롤러(28)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는 시프트 포크에 의해 이동하는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시프트 포크의 회전 접촉면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모 및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수동 변속기에 있어서,
    외주에 홈이 설치되며 내면에 스플라인이 절삭되어 있는 클러치 슬리브와,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접촉면을 갖는 시프트 포크와,
    상기 시프트 포크의 접촉면에 형성된 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과 선접촉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의 회전 중심에 끼워지며 상기 접촉면의 상단에 결합되는 핀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은 수직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슬리브의 홈은 경사홈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판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는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 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KR2019970019448U 1997-07-23 1997-07-23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KR199900060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448U KR19990006032U (ko) 1997-07-23 1997-07-23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448U KR19990006032U (ko) 1997-07-23 1997-07-23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032U true KR19990006032U (ko) 1999-02-18

Family

ID=6967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448U KR19990006032U (ko) 1997-07-23 1997-07-23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03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05B1 (ko) * 2007-03-06 2008-03-20 위아 주식회사 수동변속기
CN108443496A (zh) * 2018-06-09 2018-08-24 无锡正瑞汽车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拨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705B1 (ko) * 2007-03-06 2008-03-20 위아 주식회사 수동변속기
CN108443496A (zh) * 2018-06-09 2018-08-24 无锡正瑞汽车传动技术有限公司 一种拨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3964A (en) Front and rear wheel drive motorcycle
KR19990006032U (ko) 시프트 포크의 롤링장치
US4360094A (en) Gear structure for a manual transmission for an automobile
KR100503998B1 (ko) 벨트 구동 링 무단 변속기 커플러
EP1498626A2 (fr) Joint homocinétique compact
FR2566710A1 (fr) Essieu moteur non differentiel
JP4024897B2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H1182680A (ja) 差動制限装置
KR100215674B1 (ko) 수동 변속기의 동기 치합 장치의 싱크로나이저 허브
KR19980063664U (ko) 수동 변속기용 시프트 포크의 윤활유 공급구조
JP2611563B2 (ja) 自動車における前後輪駆動装置
FI75119C (fi) Kraftuttagningsapparatur foer traktor.
JPH0449376Y2 (ko)
JP2635386B2 (ja) クラッチ
JPS6212120Y2 (ko)
JPS646440Y2 (ko)
JPH11257447A (ja) Vベルト式自動変速装置
JP3696373B2 (ja) 無段変速機
KR19980062940A (ko) 수동 변속기용 허브 클러치
KR19980053512U (ko) 수동변속기용 마찰재
KR100387514B1 (ko) 윤활을 위한 샤프트 구조
KR19980029815A (ko) 수동변속기의 도그치
KR19980040337U (ko) 추진축용 십자형 자재이음
JPH0225951Y2 (ko)
JPH045250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