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820U -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820U
KR19990005820U KR2019970019199U KR19970019199U KR19990005820U KR 19990005820 U KR19990005820 U KR 19990005820U KR 2019970019199 U KR2019970019199 U KR 2019970019199U KR 19970019199 U KR19970019199 U KR 19970019199U KR 19990005820 U KR19990005820 U KR 199900058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detergent container
container
wash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봉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70019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820U/ko
Publication of KR199900058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820U/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시 세제통에 투입된 분말 세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조 내로 투입되는 현상을 막는 한편, 세제가 응고되어 덩어리를 이룬 경우 이를 역학적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용해시키므로써 세탁효율 및 헹굼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세제통(3)이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공간부(4)와 상기 공간부(4) 상부에 장착되어 완전히 용해된 세탁수만을 통과시키는 그물망(5) 및 상기 그물망(5) 상단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세제수용액 배출구(6)를 각각 구비한 세제통 케이스(7)와,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공간부(4) 내에 삽입되며 하측에 세제분쇄돌기(8)가 형성된 경사면(9)을 갖는 세제수납용기인 세제통(3)을 구비하여서 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제통의 구조를 개선하여 세제가 보다 효과적으로 용해되도록 하는 한편 세제가 덩어리를 이룬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분쇄되어 용해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제의 유화 작용 및 세탁날개(Pulsator)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날개가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기기로서, 센서에 의해 세탁물의 양과 종류를 감지하여 세탁방법을 자동으로 설정하고, 또한 세탁수를 세탁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적절한 수위까지 급수한 후 마이콤의 제어를 받아 세탁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커버(1) 일측에 세제통(3)이 탈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제통(3) 내부에는 세제 투입용 그물망(18)이 장착된다.
따라서, 먼저 사용자가 세제통(3)을 당겨 개방시킨 상태에서 노출된 세제 투입용 그물망(18)에 분말 세제를 투입한 후, 세제통(3)을 다시 밀어 닫게 된다.
이와 같이 세제통(3)을 닫음에 따라 상기 세제통(3) 내의 세제 투입용 그물망(18) 상부에는 급수호스(17)의 유출구가 위치하게 된다.
그 후, 세탁을 위한 제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시작 버튼을 누르면, 세탁물의 포량을 감지한 후 마이콤(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에 따라 포량 데이타값에 일치하는 양의 세탁수가 급수호스(17)를 통해 세제통(3)으로 유입된 후, 빠져나가 세탁조(2) 내로 공급되므로써 세탁을 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세제통(3) 내에 투입된 분말세제는 급수호스(17)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와 섞여 세탁수와 함께 그물망를 통과하여 세탁조(2) 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는 세제 투입장치인 세제통(3) 내에 담겨진 세제가 충분히 용해되지 않은 상태로 세탁수에 휩쓸려 세탁조(2)로 유입된 후, 곧 바로 세탁작용이 시작되므로 세제의 유화작용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은 채 세탁이 끝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세탁물 및 세탁조(2)에 오염물질이 잔류하므로써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며,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많은 횟수의 급수 및 행굼작용이 필요하게 되므로써, 물과 전력의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며, 세탁시간이 늘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제가 응고되어 덩어리진 경우에는, 세탁수의 유입시에 분쇄되지 않아 세제통(3)에 잔류하고 있다가 헹굼행정을 진행하기 위한 급수시 뒤늦게 용해되어 세탁수와 함께 세탁조(2) 내로 유입된다.
이러한 경우, 세탁시에는 세제통(3)의 세제 투입용 그물망(18)에 들어 있는 세제가 모두 세탁조(2) 내에 공급되지 못하므로 세탁물 및 급수량에 비해 세제량이 부족해 세탁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며, 헹굼시에는 잔류하고 있던 세제 덩어리가 뒤늦게 분쇄되어 헹굼수와 함께 세탁조(2)로 유입되므로써 헹굼성능 및 효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탁시 세제통에 투입된 분말 세제가 세제통 내에서 충분히 용해된 후 세탁조로 유입되도록 하는 한편, 세제가 응고되어 덩어리를 이룬 경우 이를 분쇄수단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용해시키므로써 세탁성능 및 헹굼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제통이 설치된 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세제통 케이스에 세제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톱커버 2:세탁조
3:세제통 4:공간부
5:그물망 6:세제수용액 배출구
7:세제통 케이스 8:세제분쇄돌기
9:경사면 10:잔류수 배출구
11:탄성부재 12:가이드 리브
13:그물망 지지판 14:가이드 홈
15:급수공 16:샤워급수판
17:급수호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세제통이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상부에 장착되어 완전히 용해된 세탁수 만을 통과시키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 상단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세제수용액 배출구를 각각 구비한 세제통 케이스와,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하측에 세제분쇄돌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세제수납용기인 세제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세제통 케이스에 세제통이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톱커버(1)에 설치되어 세탁조(2) 내로 용해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세탁기의 세탁조(2) 내로 용해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가 세제통(3)이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공간부(4)와 상기 공간부(4) 상부에 장착되어 완전히 용해된 세탁수 만을 통과시키는 그물망(5) 및 상기 그물망(5) 상단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세제수용액 배출구(6)를 각각 구비한 세제통 케이스(7)와,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공간부(4) 내에 삽입되며 하측에 세제분쇄돌기(8)가 형성된 경사면(9)을 갖는 세제수납용기인 세제통(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세제통(3) 경사면(9)의 최하단에는 액면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세제수용액 배출구(6) 보다 낮아져 세제수용액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세제수용액 배출구(6)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잔류 세제수용액이 세탁조(2)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잔류수 배출구(10)가 추가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양측 내면 또는 세제통 케이스(7) 하단의 양측 리브에는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공간부(4)로 삽입된 세제통(3)이 상기 공간부(4)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세제통(3)에 압착력을 가하기 위한 판 스프링 구조의 탄성부재(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제통(3)의 양측벽 상단에는 가이드 리브(12)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그물망 지지판(13)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각 가이드 리브(12)가 대응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14)이 각각 형성되어 세제통(3)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통(3) 양측벽으로 오버플로우 되어 큰 입자를 가진 세제수용액이 상기 세제통(3) 하단부의 배출구를 통해 세탁조(2)로 유입되는 현상을 막아주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그물망(5) 상부에는 복수개의 급수공(15)이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샤워급수판(16)이 설치되어, 급수호스(17)를 통해 세제통 케이스(7) 상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분산되어 그물망(5) 쪽으로 낙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먼저 사용자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 세제를 세제통(3)에 넣을 경우, 톱커버(1)에 장착된 세제통 케이스(7)의 공간부(4)에 삽입된 세제통(3)의 손잡이를 잡고 당겨 세제통(3)이 공간부(4)로부터 충분히 빠져나오도록하여 세제통(3)의 세제 수납공간이 노출된 상태에서 수납공간 내로 알맞은 양의 분말 세제를 투입한 후, 세제통(3)을 다시 밀어 넣어 닫게 된다.
이때, 세제통 케이스(7)에 설치된 샤워급수판(16) 상부에는 급수호스(17)가 위치하게 되며,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양측면 또는 세제통 케이스(7) 하단의 양측 리브에는 탄성부재(1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공간부(4) 내로 삽입된 세제통(3)이 상기 탄성부재(11)에 의해 압착되어 상기 공간부(4) 내에서 견고히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세탁을 위한 제반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시작 버튼을 누르면, 마이콤(도시는 생략함)의 제어에 따라 세탁물의 포량이 감지되고, 이에 따라 포량 데이타값과 일치하는 양이 세탁조(2)에 채워질 때까지 급수호스(17)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급수호스(17)를 통해 세탁기의 톱커버(1)에 장착된 세제통 케이스(7) 상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샤워급수판(16)에 형성된 각 급수공(15)을 통해 분산되어 그물망(5)을 지나 세제통(3)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 때, 경사면(9)에 형성된 원추형인 세제분쇄돌기(8)의 쇄기작용과 낙하하는 세탁수의 충격력은 상호 작용하여, 세제통(3) 내에 뭉쳐진 세제 덩어리가 있을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분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세제통(3)내의 세제수용액은 비중이 낮으므로 액표면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세제는 입자가 커 그물망(5)을 통과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비중이 크므로 세제통(3) 내에 잔류하게 된다.
이것은 하수처리장의 하수처리 원리와 동일한 원리를 적용한 것이다.
이 때, 세제통(3)의 양측벽 상단에 형성된 가이드 리브(12)는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그물망 지지판(13) 저면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홈(14)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되어 세제통(3) 양측벽 상부를 밀폐하는 역할을하여 세제통(3) 내로 유입된 세탁수가 세제통(3) 양측벽으로 오버플로우되는 현상을 막아주게 된다.
이는, 입자가 크거나 덩어리진 세제를 가지는 세제수용액이 세제통(3)의 경사면(9)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세탁조(2)로 직접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액은 세제통(3) 상부로 쉽게 차오를 수 있으며, 작은 입자를 가지거나 완전히 용해된 세제수용액은 액위가 세제통 케이스(7) 양측벽에 형성된 배출구 높이보다 높아짐에 따라 오버플로우되어 세탁조(2)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또한, 세제통(3) 경사면(9)의 최하단에는 액면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세제수용액 배출구(6) 보다 낮아져 세제수용액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7)의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잔류 세제수용액이 세탁조(2)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세탁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잔류 세제수용액의 변패 및 세제통(3)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세제통(3)의 경사면(9) 상면에 형성된 세제분쇄돌기(8)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그 기하학적 형상을 쐐기작용이 일어나도록 하기 위해 원추형으로 했으나, 수압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 원통형 또는 그밖의 다른 모양으로 바꾸어 세탁수의 하강시 세제분쇄돌기(8)가 세제덩어리를 짓이겨 분쇄하는 형식으로 변경하는 것도 무방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세탁을 위한 급수시 세제통(3)에 투입된 분말 세제가 그물망(5)을 지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용해되어야만 오버플로우되어 배출구를 통해 세탁조(2)로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응고된 세제덩어리는 세탁수의 충격력 및 쐐기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쇄되어 충분히 용해된 후 세탁조(2)로 투입되도록 하므로써 세탁성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헹굼을 위한 급수시에 잔류 세제가 투입되어 헹굼성능이 저하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세탁기의 세탁조 내로 용해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가,
    세제통이 착탈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 상부에 장착되어 완전히 용해된 세탁수 만을 통과시키는 그물망 및 상기 그물망 상단 측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세제수용액 배출구를 각각 구비한 세제통 케이스와,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공간부 내에 삽입되며 하측에 세제분쇄돌기가 형성된 경사면을 갖는 세제수납용기인 세제통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경사면의 최하단에, 액면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세제수용액 배출구 보다 낮아져 세제수용액이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할 경우 상기 세제수용액이 세탁조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한 배출구가 추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케이스 양측면 또는 세제통 케이스 하단의 양측 리브에,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공간부로 삽입된 세제통이 상기 공간부 내에서 고정되도록 상기 세제통을 압착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그물망 상부에 복수개의 급수공이 면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된 샤워급수판이 설치되어 급수호스를 통해 세제통 케이스 상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분산되어 그물망쪽으로 낙하하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통의 양측벽 상단에는 가이드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세제통 케이스의 그물망 지지판 저면 양측에는 상기 각 가이드 리브가 대응하여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세제통과 세제통 케이스과의 조립에 의해 가이드 리브가 가이드 홈에 형합함에 따라 세제통 양측벽 상부가 밀폐되어 입자가 큰 세제수용액이 세제통 양측벽을 통해 오버플로우되어 세제통의 경사면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세탁조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KR2019970019199U 1997-07-21 1997-07-21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KR199900058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99U KR19990005820U (ko) 1997-07-21 1997-07-21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199U KR19990005820U (ko) 1997-07-21 1997-07-21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820U true KR19990005820U (ko) 1999-02-18

Family

ID=6968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199U KR19990005820U (ko) 1997-07-21 1997-07-21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82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48B1 (ko) * 2005-06-10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6248B1 (ko) * 2005-06-10 200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715B1 (ko) 세제 공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20090122005A (ko) 세탁기
JPH1157285A (ja) 洗濯機用フィルタ
JP2001259291A (ja) 洗濯機
KR20100066172A (ko) 세탁기 및 세탁 방법
US5862684A (en) Washer having shoe cleaning device
TW293854B (ko)
KR19990005820U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TWI798462B (zh) 洗衣機
KR20170096321A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JP3505113B2 (ja) 電気洗濯機
JP5555616B2 (ja) 洗濯機
JP3507622B2 (ja) 洗濯機
KR101115218B1 (ko) 세탁기의 이물질 채집 장치
JP2001046794A (ja) 電気洗濯機
JPH0546836B2 (ko)
KR0123724Y1 (ko) 세탁기의 액체세제 투입장치
KR20040078232A (ko) 세탁기용 필터
CN113062082B (zh) 用于洗衣机的毛屑自清洁装置和洗衣机
KR0122383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00209664B1 (ko) 세탁기의 염소제거장치
KR101146279B1 (ko) 세탁기의 필터 결합장치
KR0139274Y1 (ko) 세탁기 세제용해장치
KR19990016521U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H0752710Y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