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6521U -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6521U
KR19990016521U KR2019970029945U KR19970029945U KR19990016521U KR 19990016521 U KR19990016521 U KR 19990016521U KR 2019970029945 U KR2019970029945 U KR 2019970029945U KR 19970029945 U KR19970029945 U KR 19970029945U KR 19990016521 U KR19990016521 U KR 199900165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ase
inlet
water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장윤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70029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6521U/ko
Publication of KR199900165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6521U/ko

Links

Landscapes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상에 설치되어 세탁조로 소정량의 세제를 용해,투입하는데 사용되는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케이스내에 투입된 세제와 물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므로서 세탁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케이스(7a)의 유입구(7b)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변(7c)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7a)의 배출구(7d)에 그 내부의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변(7e)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7a)의 상부에 세제투입구(7f)를 밀폐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판상에 설치되어 세탁조로 소정량의 세제를 용해,투입하는데 사용되는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구성은 도 1과 같이 조작판넬부(미도시) 및 세제를 투입하는 세제공급장치가 구비된 상판(11)이 상부에 결합설치되고, 하부베이스(미도시)가 하부에 설치되는 캐비넷(10)과; 상기 캐비넷(10) 내부에 현가장치(21)로서 탄력있게 고정되는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내에 세탁물이 담겨지는 소정형상의 세탁조(30)와; 상기 캐비넷(10) 하부에 정역가능한 구동모터(미도시)와 밸트(미도시)로서 연결되어 세탁조(30)내의 펄세이터(미도시)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미도시);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에 있어서, 본 고안과 관련된 세제공급장치에 대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사각함형상의 케이스(101) 전방에 배출구(102)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1) 후벽에는 상판(11)의 급수구(미도시)와 연결되는 유입구(10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1)의 후방에서 상부로 복수의 미세살수공(105)을 가진 노즐판(104)이 형성되어 유입구(103)를 통해 유입된 물이 살수되므로서 케이스(101) 바닥의 세제를 용해시키게 된다.
즉, 상기 세탁기의 급수행정이 개시되면, 케이스(101) 후방의 유입구(103)로 부터 급수가 시작되며, 급수된 물은 노즐판(104)의 미세살수공(105)을 통해 살수되어 케이스(101) 바닥의 세제를 용해시킨 다음 케이스(101) 전방의 배출구(102)를 통해 세탁조(30)로 공급된다.
그런데, 종래의 세제공급장치는 그 구조 및 설치작업이 극히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급수된 물이 케이스(101)의 넓은 바닥면을 따라 배출구(102)으로 흐르면서 세제가 용해된 다음, 상기 세탁조(30)로 배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급수가 완료된 후에도 케이스(101)의 바닥면에 용해되지 않은 세제가 남아 있어 세제불충분으로 인한 세정효과가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세제공급장치의 케이스의 유입구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변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 그 내부의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변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세제투입구를 밀폐가능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내에 투입된 세제와 물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므로서 세탁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3:세탁조
7a:케이스 7b:유입구
7c:개폐변 7d:배출구
7e:배출변 7f:세제투입구
7g:역류방지수단 7h:역류방지판
7j:날개 7k:스프링부재
8:상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세제공급장치의 케이스의 유입구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변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에 그 내부의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변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세제투입구를 밀폐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또, 상기 세제투입구에 역류방지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세제투입구에 역류방지판을 설치한 다음, 상기 역류방지판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동되게 날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 세탁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먼저, 세탁기는 직사각형의 본체(1) 내부에 일정량의 세탁수가 담수되는 저수조(2)가 설치되는데, 상기 저수조(2)는 세탁과정에서 발생되는 회전수류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이는 걸이봉(미도시)에 의해 본체(1)의 내부에 매달려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저수조(2) 내부에 원통형의 세탁조(3)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는데, 상기 세탁조(3)에는 무수히 많은 통공(3a)이 형성된 것이며, 이 통공(3a)은 세탁조(3) 내부로 공급되는 세탁수를 저수조(2) 쪽으로 흘려보내는 것으로서, 이로 인하여 상기 세탁조(3)와 저수조(2)의 수위가 일치되고, 또한 이들 통공(3a)은 탈수과정에서 젖은 세탁물로 부터 발생되는 오염된 세탁수 및 찌꺼기를 저수조(2) 쪽으로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탁조(3)의 내부 바닥에 동력절환수단(6)의 세탁축(6a)과 결합된 펄세이터(4)가 정역회전 가능토록 설치되는데, 상기 펄세이터(4)는 세탁과정에서 정역회전 되는 것으로서, 세탁조(3) 내부로 급수된 세탁수를 회류시키며, 이처럼 발생된 회전수류에 의해 세탁물이 서로 비벼지듯이 세탁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상부에는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되는데, 상기 세제공급장치는 사각형상의 케이스(7a)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7a)의 일측면에 외부의 급수호스(미도시)와 연결되는 유입구(7b)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7b)에는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는 개폐변(7c)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7a)의 전방에는 그 내부의 물이 세탁조(3)로 투출되는 배출구(7d)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7d)에 케이스(7a) 내부의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배출변(7e)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7a)의 상부에 깔때기형상의 세제투입구(7f)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세제투입구(7f)의 상단 일부가 상판(8)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세제투입구(7f)에 케이스(7a)내부의 물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역류방지수단(7g)이 설치되는데, 상기 역류방지수단(7g)은 세제투입구(7f)의 하단에 역류방지판(7h)이 힌지(7i)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7i)와 근접된 역류방지판(7h)의 일측에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동되게 날개(7j)가 형성되며, 상기 역류방지판(7h)과 케이스(7a)의 상부 사이에 역류방지판(7h)이 세제투입구(7f)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스프링부재(7k)가 설치된다.
즉, 상기 케이스(7a)의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날개(7j)가 회전되어 역류방지판(7h)이 개방되는데, 이때 역류방지판(7h)과 연결된 스프링부재(7k)가 인장됨과 동시에 역류방지판(7h)상에 투입된 세제가 케이스(7a)로 투하되며, 상기 케이스(7a)에 물이 가득 차게 되면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량이 줄어들면서 스프링부재(7k)의 복원력에 의해 역류방지판(7h)이 세제투입구(7f)를 폐쇄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개폐변(7c)과 배출변(7e)은 도시되지 않은 마이콤에 의해 각기 작동되는데, 상기 초기 급수행정에서는 개폐변(7c)은 개방되는 반면에 배출변(7e)은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케이스(7a)이 물이 가득 저수됨과 동시에 개폐변(7c)과 배출변(7e)이 동시에 개방되어 케이스(7a) 내의 세제액이 세탁조(3)로 투출된다.
이때, 세제의 투입은 세탁행정이 개시되기 직전에 진행되는데, 먼저 케이스(7a)의 세제투입구(7f)에 소정량의 세제가 투입되면 세제투입구(7f)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는 역류방지판(7h)의 상면에 적치되어 있다가 세탁행정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술된 바와 같은 순서로 진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구성은 그 요지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그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설치구조는 도 2와 같이 상판(8)의 저부에 배출구(7d)가 세탁조(3) 상부에 위치토록 케이스(7a)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케이스(7a)의 유입구(7b)에 급수호스를 연결시키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7a)의 상부에 형성되어진 세제투입구(7f)가 상판(8)의 상방으로 돌설된다.
상기와 같이 세제공급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세탁공정을 수행하고자 하면, 케이스(7a)의 세제투입구(7f)에 소정량의 세제를 투입한 다음, 세탁행정을 개시하게 되는데, 이때 세제가 세제투입구(7f)의 유로를 차단하고 있는 역류방지판(7h)의 상면에 적치된다.
상기 세탁행정이 개시되면, 마이콤의 지시를 받아 케이스(7a)의 개폐변(7c)은 개방되는 반면에 배출변(7e)은 폐쇄되어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며, 이때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날개(7j)가 회전되어 역류방지판(7h)이 개방되면서 그 상면에 적치되어 있던 세제가 케이스(7a) 내부로 투입됨과 동시에 물속으로 용해된다. 즉, 상기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세제의 혼합이 극대화되며, 상기 케이스(7a) 내의 많은 량의 물로서 세제를 용해시키기 때문에 세제의 용해률이 극대화되므로 급수행정이 완료된 후 상기 케이스(7a)에 잔존하는 세제는 전혀 없게 된다.
상기 케이스(7a)에 물이 가득 차게 되면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량이 줄어들면서 스프링부재(7k)의 복원력에 의해 역류방지판(7h)이 세제투입구(7f)를 폐쇄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개폐변(7c)과 배출변(7e)이 동시에 개방되어 케이스(7a) 내의 세제액이 세탁조(3)로 투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세제공급장치의 케이스(7a)의 유입구(7b)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변(7c)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7a)의 배출구(7d)에 그 내부의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변(7e)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7a)의 상부에 세제투입구(7f)를 밀폐가능하게 설치하여 케이스내에 투입된 세제와 물의 용해를 용이하게 하므로서 세탁물의 세정효과를 극대화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상판이 상부에 결합설치되고, 하부베이스가 하부에 설치되는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내부에 현가장치로서 탄력있게 고정되는 저수조와; 상기 저수조내에 세탁물이 담겨지는 소정형상의 세탁조와; 상기 캐비넷의 하부에 정역가능한 구동모터와 밸트로서 연결되어 세탁조내의 펄세이터를 회전시켜 주는 구동수단; 등으로 구성된 세탁기에 세제공급장치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장치의 케이스(7a)의 유입구(7b)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제어하는 개폐변(7c)을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7a)의 배출구(7d)에 그 내부의 물과 세제가 혼합된 세제액이 배출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 배출변(7e)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케이스(7a)의 상부에 세제투입구(7f)를 밀폐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투입구(7f)에 역류방지수단(7g)을 설치하되, 상기 세제투입구(7f)에 역류방지판(7h)을 설치한 다음, 상기 역류방지판(7h)에 유입구(7b)를 통해 유입되는 물에 의해 회동되게 날개(7j)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19970029945U 1997-10-28 1997-10-28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999001652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45U KR19990016521U (ko) 1997-10-28 1997-10-28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945U KR19990016521U (ko) 1997-10-28 1997-10-28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6521U true KR19990016521U (ko) 1999-05-25

Family

ID=6967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945U KR19990016521U (ko) 1997-10-28 1997-10-28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6521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36B1 (ko) * 2006-01-10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WO2018088814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11519398A (zh) * 2019-02-01 2020-08-11 宁波吉德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洗涤剂的投放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136B1 (ko) * 2006-01-10 2013-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WO2018088814A1 (ko) * 2016-11-1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제박스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CN109923258A (zh) * 2016-11-10 2019-06-21 Lg电子株式会社 洗涤剂盒及具备其的衣物处理装置
US11021832B2 (en) 2016-11-10 2021-06-01 Lg Electronics Inc. Detergent box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same
CN111519398A (zh) * 2019-02-01 2020-08-11 宁波吉德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洗涤剂的投放方法
CN111519398B (zh) * 2019-02-01 2023-09-26 宁波吉德电器有限公司 一种滚筒洗衣机及洗涤剂的投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7143B1 (en) Laundry washing machine
KR100404981B1 (ko) 전방투입방식세탁기
EP2705187B1 (en) Appliance for treating textile items and auxiliary washing device
EP2142697A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67486B1 (ko) 세탁기
KR19990016521U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JP5555616B2 (ja) 洗濯機
JP3505113B2 (ja) 電気洗濯機
WO2021157202A1 (ja) 洗濯機
US3798932A (en) Siphoned vortex liquid dispenser for automatic washers
JP3058309B2 (ja) 洗剤投入装置付き洗濯機
JP2508197Y2 (ja) 洗濯機のフィルタ―装置
KR20000009651U (ko) 세탁기의 세액투입장치
CN220746358U (zh) 波轮洗衣机
KR100274674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297307Y1 (ko) 세탁기의 세제 용해장치
KR0139262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19990011193U (ko) 세탁기의 급수장치
KR200337428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196941Y1 (ko) 액체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9990086552A (ko) 세탁기의 세제투입장치
KR970000048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KR200157825Y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3332768B2 (ja) 洗濯機
KR200153267Y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