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724A - 안경다리 연마기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연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724A
KR19990003724A KR1019970027659A KR19970027659A KR19990003724A KR 19990003724 A KR19990003724 A KR 19990003724A KR 1019970027659 A KR1019970027659 A KR 1019970027659A KR 19970027659 A KR19970027659 A KR 19970027659A KR 19990003724 A KR19990003724 A KR 19990003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tube
cylindrical
plate
support shaft
pol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병근
Original Assignee
곽병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병근 filed Critical 곽병근
Priority to KR1019970027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3724A/ko
Publication of KR19990003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724A/ko

Links

Landscapes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안경다리 연마기에 관한 분야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에는 안경다리를 연마함에 있어서는 기능공에 의한 수작업을 통해 안경다리 하나하나를 연마해 왔었는바, 이로인해 작업생산성은 물론, 연마가공된 안경다리의 품질도 균일치 못하거니와 무엇보다도 분진과 소음 때문에 연마작업자체를 기피하는등 애로가 적지 아니하였기에 이를 기계적인 연마작업으로 변경하여 종래의 애로점을 해결코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안경다리 연마기(1)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에 모타(4)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2)내의 중심부에는 다수개의 원통관(3)이 삽설될 2개의 원통관지지판(7)이 형성되어 있되, 원통관지지판(7)의 상측부에는 본체(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6)이 다수 설치되어 있고 원통관지지판(7)의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에는 회전지지축(5)이 편심되게 관통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축(5)의 일측 선단부에는 반원형태의 철판재(10)를 가진 중심유지판(9)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지지축(5)의 타측 선단부에는 벨트(21)에 의해 모타(4)와 연결되어 있는 벨트 폴리(22)가 설치되어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음.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안경다리 표면을 연마하는데 사용됨.

Description

안경다리 연마기
본 발명은 안경다리 연마기에 관한것으로, 상세하게는 일정한 원통관 속에 연마하고자 하는 안경다리를 상당수 넣은뒤 모타가 회전할때 모타의 회전운동이 상기 원통관에는 전.후로의 직선운동 내지 둔각형태를 이루는 완만한 유()자형 운동으로 이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이러한 직선운동등에 의해 원통관 내부에 있는 안경다리가 매우 곱고 매끈하게연마되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동안 수작업에 의존해왔던 안경다리의 연마작업을 기계적 작업에 의해 능률적으로 행해질수 있도록 완전자동화 한것에 관한 것이다.
익히 알려져 있다시피 그동안 안경다리의 연마작업은 완전히 수작업에 의존 하여 왔던바, 이로인해 인건비 상승은 물론이고 3D업종 중에서도 기피업종에 속하는터라 인력구하기도 무척 어려운 실정에 있었으며, 따라서 문제점을 짚어 보기에 앞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안경다리의 연마작업과정을 한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레스 공정에 의해 안경다리가 형성되면 안경다리의 외표면부가 무척 거칠고 까칠까칠하므로 신체와 거의 붙어 살다시피하는 안경다리의 표면부를 매우 보드랍고 매끈매끈하게 처리해야만 하는 연마공정을 반드시 거쳐야만 하는데 이러한 안경다리의 연마공정을 지금까지는 완전히 수작업에 의해 행해져 왔던 것이다.
즉 작업자가 고무재로 된 그라인더에 안경다리를 갖다대고 표면부를 매끄럽게 연마한후 다시 다른 안경다리를 연마하는 식으로 1차연마작업을 행하였는데 이러한 작업은 노련한 숙련자의 기능수준으로 볼때 1일 8시간 작업이 대략 4000여개 정도를 연마해내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1차연마공정이 끝나면 재차 직경이 약 1m가량되고 길이가 2m정도 되는 대형 원통망에 1차연마공정이 끝난 안경다리와 박달재 및 호두껍데기 나무등을 잘게 자른 나무칩(Chip)을 다수 집어 넣고 약 40여시간 동안 회전시키면 안경다리는 단단한 나무칩과 서로 부딪히고 마찰되면서 더욱더 매끈하게 연마되어지게 되며, 더불어 연마과정에서 나오는 미세한 분진은 원통망 사이로 살살 빠져나오게 된다.
이러한 2차연마과정이 끝나면 저급품의 경우에는 곧바로 도금과정을 거쳐 제품화되도록 하고 고급품의 경우에는 다시 작업자가 별도의 취구에 안경다리를 하나하나씩 꼽아 넣은다음바후라고 하는 일종의 광택내는 연마기구를 작동시켜 취구옆을 쓱쓱지나가게 하면 안경다리에 번쩍번쩍거리는 광택이 쫙나게 되고 이 광택작업이 끝나면 안경다리를 뽑아내어 또다른 제품화의 과정을 밟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은 무엇보다도 고무재그라인더로 행하는 1차연마공정에서 빚어지는 문제라할 것인바, 푹푹찌는 무더위등의 열악한 작업환경속에서도 안경다리 하나하나를 그라인더에 갖다대고는 바짝붙어 이리저리 살펴 보면서 연마하는 작업행위가 단순하면서도 무척 고될뿐만아니라 연마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소음과 분진을 수도없이 듣고 마셔가며 작업을 행하다보니 수년 내지 수십년동안 작업해온 근로자들 대부분이 직업병에 걸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실정이고 사정이 이렇다보니 1차연마작업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들이 아예없어 근로자 충원에 여간 애먹을 뿐아니라 설령 충원했다 하더라도 금방 이직해 버림으로 인해 기술을 충분히 습득한 숙련자가 없는 악순환이 늘 되풀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1차연마 기술도 숙련된 기능공이 아니면 불량율이 상당할뿐 아니라 생산성 마저도 매우 떨어져 기능공이 숙련화가 시급한 과제이나 전술한 바처럼 분진 및 소음등 작업환경이 열악하고 장래에 대한 보장책이 매우 미흡해 그나마 남아 있는 숙련공도 거의 없을 뿐 아니라 있다해도 임금이 높아 안경다리의 연마가공 단가가 올라갈수 밖에 없고 따라서 안경제품의 가격이 높아질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제반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아출한것으로서,그 동안 수작업에 의존해 왔던 안경다리의 연마작업을 기계적인 작업에 의해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작업후의 연마상태 또한 수작업에 비할바 아닐정도로 훨씬 뛰어나며 아울러 작업 생산성 역시 동일한 작업시간을 기준할때 여러명 내지 수십명의 숙련공이 행할수 있는 작업량을 한번에 행할수 있도록 한, 획기적인 개발품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다리 연마기의 내부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사시도
도 3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연마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연마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연마통을 대한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안경다리연마기 (2) 본체
(3) (3') 원통관 (5) 회전지지축
(7) 원통관지지판 (8) 중심회전판
(9) 중심유지판 (11) 안경다리
(12) 원통관인입구 (14) 단턱
(15) 원통관 삽설로 (17) 원통관이탈방지판
(18)(18') 개폐구 (25) 연마석
안경다리연마기(1)를 형성함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본체(2)의 상단일측에 모타(4)가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2) 내의 중심뷔에는 다수개의 원통관(3)이 삽설된 2개의 원통관지지판(7)이 형성되어 있되, 원통관지지판(7)의 상측부에는 본체(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6)이 다수 설치되어 있고 원통관지지판(7) 중심부에는 또다른 중심회전판(8)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중심회전판(8)의 중심에서 벗어난 일측 지점 부분으로 회전지지축(5)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져 있어 원통관지지판(7) 및 중심회전판(8)의 중심으로 볼 때 회전지지축(5)이 편심되게 관통되어져 있으며, 또한 회전지지축(5)의 양측편중 일측 선단부에는 반원형태의 철판재(10)를 가진 중심유지판(9)이 설치되어 있고 타측 선단부에는 벨트(21)에 의해 모타(4)와 연결되어 있는 벨트풀리(22)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원통관지지판(7)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서 2개의 단턱(14)을 나란히 돌설하여 원통관삽설로(15)를 형성토록하되, 최외각 가장자리의 단턱(14) 일부분을 없애어 원통관인입구(12)를 형성하도록 하며 2개의 원통관지지판(7) 사이에는 다수개의 판지지봉(16)을 설치하되, 원통관인입구(12)쪽의 판지지봉(16) 측 부분에 볼트조임판(13)을 형성하도록 하고, 원통관삽설로(15)에는 원통관인입구(12)를 통해 다수개의 원통관(3)을 차곡차곡 삽설시킨후 최종적으로 삽설되는 좌.우양측의 원통관(3) 상단부에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설치하고는 볼트(23)로서 볼트조임판(13)과 단단히 체결하거나 풀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지중의 하나라고 할수 있는 회전지지축(5)과 원통관지지판(7)과의 결합구성 관계 즉 회전지지축(5)을 원통관지지판(7)내부로 관통시킬때 회전지지축(5)을 원통관지지판(7)의 중심부분에서 약간 비껴나간 부분으로 통과되도록 하여 편심되게 관통시키며 또한 관통된 회전지지축(5)의 일측 선단부에는 전술한 중심유지판(9)을 설치하되, 반원 형태의 철판재(10)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중심회전판(8)의 중심부분에서 약간 편심되게 설치되어져 있는 회전지지축(5)의 반대방향에 오도록 설치한다.
한편, 원통관삽설로(15)에 들어갈 원통관(3) 및 원통관(3) 내부에 들어갈 안경다리(11)등에 대해 설명하여 보기로 한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듯이 안경다리(11)등이 들어갈 원통관(3)의 일측은 밀폐구에 의해 완전히 막혀있고 타측은 삽입공(20)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구(1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안경다리(11)를 제외하고 원통관(3)에 들어가는 재료 여부에 따라 습식연마와 건식연마로 구분되어지는데 우선 1차로 행해지는 습식연마공정에 대해 설명하면, 하나의 원통관(3) 내부에 프레스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수백개의 안경다리(11)를 가지런히 넣음과 동시에 분말등으로 된 연마석(25)과 물을 적당히 섞은 혼합물을 원통관(3)에 쏟아넣되, 안경다리(11)의 경우에는 대략적으로 보아 원통관(3)의 내부 용적량에 비례하여 약 2/5가량 투입하고 연마석(25)과 물이 혼합된 혼합물은 약 1/5정도 투입하며 나머지 2/5가량은 빈공간으로 두도록 한뒤 개폐구(18)로서 원통관(3)의 입구를 단단히 막고서는 원통관인입구(12)를 통해 원통관(3)을 원통관삽설로(15)에 차례차례로 끼워넣고 최종적으로 삽설되는 좌·우양측의 원통관(3) 상단부에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설치하고는 볼트(23)로서 볼트조임판(13)과 연결하여 단단히 체결되도록 한다.
이어 약 1시간 30분 가량의 1차습식연마작업이 끝나면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풀고 원통관(3)을 원통관인입구(12)를 통해 차례로 꺼낸다음 개폐구(18)를 열고 안경다리(11)등의 내용물을 밖으로 들어 낸다음 2차건식연마공정으로 들어 가는데 2차로 행해지는 건식연마공정은 전술한 바와같은 동일내용의 안경다리연마기(1)와 원통관(3)이 사용되고 다만, 원통관(3 )내부에 들어가는 내용물만이 약간 다르다는것, 즉 1차습식연마공정에 의해 연마되어진 안경다리외에 규조토나 피혁조각등과 같이 조직이 매우 단단하고 치밀하면서도 건식연마가 가능한 재료 및 분말로 된 표면광택 연마제등을 1차습식연마공정의 비율과 비슷하게 투입하여 연마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도 7(a)(b)에서 보듯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방편으로 원통관(3)을 길게 형성하되 중간에 막음판(24)을 설치하고 원통관(3)의 양편에 개폐구(18')를 각각 형성할수도 있고 2개의 원통관(3')을 서로 접결시켜 하나의 원통관(3)으로 형성할수도 있다.
그렇치만 원통관(3)의 직경만큼은 대략 140m/m내외의 길이를 가진 안경다리(11)보다 커져서는 아니되는바, 왜냐하면 원통관(3)내에서 길게 누운형태로 차곡차곡 놓여진 안경다리(11)가 원통관(3)내에서 심하게 요동칠때 놓여진 상황과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안경다리(11)가 연마되는 것은 고사하고 아예 제품으로 사용하기가 힘들게끔 휘어질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또한 원통관(3)의 길이와 직경을 좀더 크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수도 있겠지만 도 8의 경우에서 보듯이 하나의 회전지지축(5)에 2개 1조를 이룬 원통지지판(7)을 여러조 형성하여 생산성을 대폭 높일수도 있는데 이때에는 보다 굵은 축의 회전지지축(5)과 마력수가 높은 모타(4)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밖에 원통관(3) 내부에 들어가는 공지의 연마석(25)은 습식 및 건식 여부를 가질것 없이 보다 효과가 높고 각 용도에 알맞는 연마석(25)을 구입하여 사용함이 필요한데 이러한 연마석(25)의 종류는 전술한 바처럼 박달재나무조각, 옥수수조각에 기름입힌것, 규조토, 피혁조각, 차돌석등 매우 다용하게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설명부호 26은 원통관 받침구이고,
27은 개폐구용 돌림판으로 원통관(3)이 제법커 개폐구(18)(18')를 손으로 열고 닫기에는 힘이 들기에 원통관(3)을 원통관받침구(26)에 올려놓고 개폐구용 돌림판(27)을 돌리거나 닫으면 개폐구(18)(18')가 손쉽게 열리거나 닫히게 되는바, 이럴때 이용되는 도구들이고 이밖에
28은 원통관지지판(7)과 중심회전판(8)사이에 설치되어져 있는 공지의 베어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안경다리의 연마작업을 행함에 있어,
지금까지 실시되어 왔던 수작업과는 달리 본 발명에서는 완전기계화 작업에 의존하여 연마작업을 실시하되, 앞서 말한대로 1차의 습식연마공정과 2차의 건식연마공정을 차례대로 거치도록 하는바, 이처럼 본 발명에 관해 설명함에 있어 습식과 건식공정을 나누어 설명하지만 실제로는 2대, 4대등 짝수대의 연마기계를 설치하여 습·건식 연마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연마시간도 대략 1시간 30분 내외의 범위에서 함께 시작되고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히는 요령이 필요할 것이며, 연마시간 역시 늘릴수록 좋겠지만 늘린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지만 안경다리(11)가 약간 복잡하고 특수하게 제조된 경우에는 연마시간을 좀더 늘릴 필요가 있다고 여겨지고 또 늘렸을 경우에는 습·건식의 연마시간을 동일하게 늘릴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어쨋든 프레스(Press)공정에 의해 일정한 형태가 정해진 안경다리(11)가 일단 제조되면 원통관(3)에 안경다리(11)를 넣되, 원통관(3)의 내부 용적량에 비례하여 약 2/5가량을 집어넣는데 이때 하나의 원통관(3)내에 들어가는 안경다리(11)의 수는 원통관(3)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겠으나 대략적으로 보아 하나의 원통관(3)내에 200~400개 가량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원통관(3)내에 또다시 물과 연마석(25)이 혼합된 혼합물을 1/5가량 넣고 개폐구(18)를 담은뒤 원통관인입구(12)를 통해 원통관삽설로(15)에 원통관(3)을 차례차례로 끼워넣고 최종적으로 원통관인입구(12)의 양끝단부에 삽설되어 있는 양 원통관(3)의 상단부에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설치하고는 볼트(23)로서 볼트조임판(13)과 연결하여 단단히 체결하도록 한다.
이어 본체(2) 외면에 있는 on/off스윗치를 작동시켜 모타(4)에 전원이 공급되면 벨트(21)에 의해 벨트풀리(22) 및 회전지지축(5)이 약 1800RPM 내외의 범위내에서 고속회전하게 되는데(RPM조종가능) 이때 회전지지축(5)는 원통관지지판(7) 및 중심회전판(8)의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는고로 비록 회전지지축(5)자체는 회전하더라도 중심유지판(8)내에서 편심적인 회전운동을 할수 밖에 없고 따라서 원통관지지판(7)은 회전지지축(5)의 회전운동 방향과는 달리 거의 전·후로의 직선운동 내지형태의 왕복운동만을 연속적으로 행하게 되며 따라서 원통관지지판(7)과 동일 운명에 놓여 있는 원통관(3) 역시 원통관지지판(7)의 왕복운동 형태와 동일하게 움직이게 되고 이러다보니 원통관(3) 내부의 안경다리(11) 및 연마석(25)등의 혼합물도 전후내지자 형태로 움직이고 출렁이면서 연마석(25)등에 의해 안경다리(11)가 연마하게 된다.
그리고 안경다리(11)등이 고속으로 유동되면서 연마되는 와중에 발생되는 충격 및 그러한 충격으로 인해 발생될지 모르는 안경다리(11)끼리의 마찰과 그로인한 홈발생등은 물이 완충 내지 표면마찰완화 역활을 담당하게 되므로 수작업에 따른 연마상태와 비교해볼때 도저히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본 발명의 공정에 따른 연마상태가 매우 매끄럽고 깔끔하다 할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습식 연마작업은 파도가 해변가에 있는 백사장의 모래를 쓸어 올렸다 내렸다하는 행위와 거의 유사하다고 보면 된다.
한편, 회전지지축(5)이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그 내부에 빈공간과 무거운 철판재(10)가 각각 절반가량씩 형성되어 있는 중심유지판(9)도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중심유지판(9)의 철판재(10)는 편심되게 설치되어져 있는 회전지지축(5)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어져 있어 회전지지축(5)의 편심된 회전운동에 의해 원통관지지판(7)이 심하게 흔들릴때 어느 한쪽 방향으로 힘이 강하게 쏠려 좌·우로의 균형된 흔들림에 문제가 있을 경우 그 기능이 발휘된다 할 것이다.
즉 회전지지축(5)의 편심된 회전에 의해 어느 한 방향으로 힘이 쏠릴 경우에는 무거운 철판재(10)가 그 반대편에서 회전하고 있으므로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힘이 쏠리는 것을 가급적이면 방치하게 된다는 것이지만 반드시 설치되어져야 할 필요적 구성요소는 아니라고 사료되며 이밖에 중심유지판(9) 만큼은 굳이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방법이외에 여러가지 방안이 있을수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회전지지축(5)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원통관지지판(7)의 왕복운동이 진행되면 원통관지지판(7)은 널뛰듯 엄청나게 요동치게 되는데 이러한 분별없는 요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원통관지지판(7)의 상단부에 본체(2)와 연결되어 있는 스프링(6)을 설치하여 원통관지지판(7)이 아래로 하강할때는 스프링(6)이 신장되고 위로 상승할때는 스프링(6)이 수축되며 좌·우로 움직일 경우에는 더 이상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러한 스프링(6)의 설치 갯수는 원통관지지판(7)의 크기와 회전속도등을 감안하여 적절하게 설치하면 된다.
이와같이 모타(4)에 의해 회전지지축(5)과 중심유지판(9)이 회전함과 동시에원통관지지판(7)이자 형태의 운동을 연속반복하게 되고 이어 원통관(3) 또한자형 운동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과정에서 안경다리(11)가 연마석(25)등의 혼합물에 의해 효율적인 연마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습식연마 과정이 약 1시간 30~2시간 가량 진행된 후에는 전원을 끄고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풀어 원통관(3)을 차례차례 밖으로 들어낸 다음 개폐구(18)을 열어 원통관(3)내의 내용물을 일정한 통에 죄다 쏟아 붓는다.
이어 안경다리(11)만을 걸러내고 걸러낸 안경다리(11)를 또다른 원통관(3)에 다시 집어넣어 2차적인 건식연마공정을 거치도록 하는데 이러한 건식연마공정에서는 전술한 바처럼 동일한 안경다리연마기(1)와 원통관(3)을 사용하되, 원통관(3) 내부에 투입되는 연마석(25)재료가 약간 다를수도 있다는 것(동일할수도 있음)과 물을 전혀 투입하지 않는다는 것,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표면광택 연마제가 첨가될수 있다는 차이밖에 없을 뿐이고 회전속도 및 작업시간등은 1차때의 습식연마공정과 모두 동일하다 할 것이다.
1차 및 2차의 연마공정시 사용한 연마석(25)을 모두 재 사용할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건식연마공정에서 약1시간 30분~2시간 가량 원통관(3)을 왕복 운동을 시킨다음 밖으로 토해낸 안경다리(11)를 살펴보면,
수작업에 비할바 아닐정도로 표면이 매우 부드럽고 매끄러운데다가 광택마저 날 정도로 연마가 깨끗하게 이루어졌음을 알수 있으며 더 나아가 고급품을 위한 완전한 표면광택까지 본 발명에 따른 1,2차공정으로서 이루어질수 있겠는가 하는 여부는 표면광택장치의 기준치가 어디까지인가에 따라 달라질수 있겠으나 어느 정도의 표면광택력은 있다고 사료되는데 다만 좀더 확실한 광택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3차공정으로서 기계적 작업에 의한 표면광택 공정을 별도로 거치게하거나 아니면 표면광택기구인 바후기계를 이용할수도 있으리라 여겨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수작업에 의존해 오던 안경다리 연마작업을 간단한 기계적인 작업공정을 통해 대량으로 연마할수 있게 되어 안경다리의 연마가공비가 대폭 절감될뿐아니라 숙련공 구하기가 너무 어려워 인력채용에 엄청난 고통을 겪었던 고질적인 난제를 단번에 해결할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수십명이 행하던 작업량을 한명이 관리하는 단 한대의 연막기로 수행해낼수 있음은 물론, 수작업에 의한 염마상태보다 월등히 탁월한 연마상태로 안경다리를 가공할수 있게 되어 품질의 고급화를 선도할수 있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할것이고, 이밖에도 소음 및 분진에 따른 직업병 해소와 함께 연마작업에 따른 작업공간을 대폭 줄일수 있는등의 다대한 효과가 예상되는 유용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Claims (6)

  1. 안경다리연마기(1)를 형성함에 있어서, 본체(2)의 일측에 모타(4)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2)내의 중심부에는 다수개의 원통관(3)이 삽설될 2개의 원통관지지판(7)이 형성되어 있되, 원통관지지판(7)의 상측부에는 본체(2)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스프링(6)이 다수 설치 되어 있고 원통관지지판(7)의 중심부에서 약간 벗어난 지점에는 회전지지축(5)이 편심되게 관통되어 있으며, 회전지지축(5)의 일측선단부에는 반원형의 철판재(10)를 가진 중심유지판(9)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지지축(5)의 타측 선단부에는 벨트(21)에 의해 모타(4)와 연결되어 있는 벨트풀리(22)가 설치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원통관지지판(7)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2개의 단턱(14)을 나란히 돌설하여 원통관삽설로(15)를 형성토록하되 최외곽 가장자리의 단턱(14) 일부분을 없애어 원통관인입구(12)를 형성하도록 하며, 2개의 원통관지지판(7)사이에는 다수개의 판지지봉(16)을 설치하되, 원통관인입구(12)쪽의 판지지봉(16)측 부분에 볼트조임판(13)을 형성하도록 하고 원통관삽설로(15)에는 원통관인입구(12)를 통해 다수개의 원통관(3)을 차곡차곡 삽설시킨후 최종적으로 삽설되는 좌·우양측의 원통관(3) 상단부에 원통관이탈방지판(17)을 설치하고는 볼트(23)로서 볼트조임판(13)과 연결하여 체결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원통관(3) 내부에 안경다리(11) 및 연마석(25)과 물이 적절히 혼합된 혼합물이 절반이상 투입되거나 또는 안경다리(11) 및 물이 혼합되지 아니한 연마석(25)과 표면광택 연마제등이 건식상태로 투입되고 이어 개폐구(18)(18')를 닫은뒤 원통관삽설로(15)에 원통관(3)을 삽설하여 연마작업이 가능하게끔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원통관(3)의 길이를 길게 구성한뒤 중간에 막음판(24)을 형성하고 양끝단부에 2개의 개폐구(18')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여 하나의 원통관(3)이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2개의 원통관(3')을 각기 별도로 형성한뒤 어느 일측편을 서로 접결시켜 하나의 원통관(3)이 형성될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5. 제 1항에 있어서. 원통관지지판(7)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중심회전판(8) 내부로 회전지지축(5)을 관통시키되, 중심회전판(8)의 중심부를 완전히 벗어난 지점으로 관통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지지축(5)의 회전운동이 편심되게 회전되어질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6. 제 1항에 있어서, 2개 1조를 이루는 원통관지지판(7)을 여러조 형성한뒤 굵고 긴 회전지지축(5)에 길게 연설하여 여러조의 원통관지지판(7)이 동시에 구동 가능하게끔 구성할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연마기.
KR1019970027659A 1997-06-21 1997-06-21 안경다리 연마기 KR199900037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59A KR19990003724A (ko) 1997-06-21 1997-06-21 안경다리 연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659A KR19990003724A (ko) 1997-06-21 1997-06-21 안경다리 연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724A true KR19990003724A (ko) 1999-01-15

Family

ID=65987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659A KR19990003724A (ko) 1997-06-21 1997-06-21 안경다리 연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372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6605A (zh) * 2018-05-08 2018-08-24 盘起工业(大连)有限公司 一种眼镜腿细长成型插针加工方法及系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36605A (zh) * 2018-05-08 2018-08-24 盘起工业(大连)有限公司 一种眼镜腿细长成型插针加工方法及系统
CN108436605B (zh) * 2018-05-08 2023-08-29 盘起工业(大连)有限公司 一种眼镜腿细长成型插针加工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1339A1 (en) Rock tumb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00391340A1 (en) Rock tumbling method and apparatus
CN108188841B (zh) 3d玻璃抛光方法
CN111531442B (zh) 一种方形茶盘边缘的四向打磨装置
EP2915628B1 (en) Method and system for vibratory finishing of composite laminate parts
KR19990003724A (ko) 안경다리 연마기
CN101678531A (zh) 用于分离磨床上的粉尘的装置和方法
CN206603355U (zh) 一种应用于珠宝首饰的固定打磨设备
CN205552257U (zh) 一种抛光机
CN207358789U (zh) 玻璃钢管道管口密封槽成型装置
CN205734235U (zh) 一种紧固型立式砂光机
KR200463067Y1 (ko) 저속 배럴 연마기
CN205734234U (zh) 一种减少磨损的立式砂光机
CN208322909U (zh) 一种圆形钢板打磨装置
CN215365816U (zh) 一种皮料抛光机
US1697609A (en) Polishing of glass surfaces
CN109434612A (zh) 一种制备金刚石砂轮用材料的设备
KR200428313Y1 (ko) 스크류가 구비된 연마기
CN207696310U (zh) 一种液压动力抛光机
CN217648214U (zh) 一种多用途复合型树脂磨具
CN212192667U (zh) 离心式抛光研磨机
CN110860992A (zh) 一种宝石扳指设计加工用抛光辅助装置及抛光工艺
CN107322099A (zh) 多功能挤压去毛刺自动工装夹具
CN211072913U (zh) 一种齿轮生产用内孔打磨装置
CN210307143U (zh) 一种阀门配件生产用打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