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340A -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340A
KR19990003340A KR1019970027203A KR19970027203A KR19990003340A KR 19990003340 A KR19990003340 A KR 19990003340A KR 1019970027203 A KR1019970027203 A KR 1019970027203A KR 19970027203 A KR19970027203 A KR 19970027203A KR 19990003340 A KR19990003340 A KR 19990003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teel sheet
film
deposited
de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4811B1 (ko
Inventor
최장현
김희춘
전성수
안성권
Original Assignee
이철우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연합철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19970027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48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48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4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a surface receptive to ink or othe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6Three layers or more
    • B05D7/57Three layers or more the last layer being a clear co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4/00Epoxy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2508/00Polyes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착강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주요 특징은, 소지강판층(20)과, 소지강판층(20)상에 선택적으로 에폭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도료를 도포하여 연신율, 내식성 및 부착성을 부여한 프라이마도막층(30)과, 소지강판층(20) 또는 프라이마도막층(30)상에 인쇄 특성 및 증착 접착성을 갖도록 형성한 증착 필름층(10)과, 선택적으로 증착 필름층(10)상에 요철무늬를 갖도록 엠보스 처리한 엠보싱층(50)을 형성한 증착강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증착 필름층(10)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도록 UV 클리어처리를 한 클리어도막층(1), 인쇄특성 및 증착 접착성이 뛰어나도록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표면처리한 PET 필름층(2), 시각적으로 금속질감을 부여하도록 PET필름상에 연마자국 처리한 헤어라인층(7),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안료, 아크릴 및 비닐수지, NC, 유기 용제류 등으로 인쇄처리한 인쇄층(3), 은, 알루미늄, 금, 동, 아연, 크롬, 니켈, 주석,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금속 고유의 색상 부여하거나 또는 반사도를 향상시킨 증착층(4), 사용 용도에 따라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코팅하는 접착코팅방식이나, 또는 공중합 PET, PP, PE 필름을 부착하여 열융착방식으로 접착토록 형성하여 소지강판과 증착필름과의 접착성과 내후성을 향상토록한 접착층(5)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알루미늄강판, 주석, 크롬 그리고 니켈도금강판, 전기아연도금처리한 도금강판 및 냉연강판(이하, 소지강판이라함)등의 전처리된 소지강판 자체 또는 프라이마 도장처리된 소지 강판에, 미려한 외장성 및 기능성이 부여된 증착필름을 부착한 후, 탄성고무롤로써 압하처리하여 제조하는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로써, 형광등의 반사판용으로 사용되는 증착강판의 표면에 형성하는 증착필름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필름 위에, 은, 알루미늄등 일부 금속 성분만을 사용하여 이를 진공증착하는 관계로, 색상 및 외관이 단순할 뿐만 아니라 물성에 있어서도 반사율, 접착성 및 내후성만 우수한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종래의 증착필름 구조는, 도 2 에서 보듯이, 상부에서 부터 순차로 아크릴 클리어도막층(11), 증착층(14), PET필름층(12), 접착층(15), 박리필름층(16)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이는 적용 용도의 대부분이 형광등 반사갓용으로 한정되어 있어, 형광등 반사갓용 외의 용도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다른 제품에 적용시 요구되는 가공성, 내마모성, 고내후성, 내식성, 고접착성 등의 물성이 떨어져, 다양하게 여러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처리(인산염이나 크로메이트처리) 또는 프라이마를 처리한 소지강판의 표면에, 사용 용도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증착필름을 부착후, 탄성롤로써 압하처리하고, 그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엠보스롤로서 강판표면을 압하처리하여 종래의 평활한 상태보다 매우 입체적이고 변화가 있는 상태를 부여하여 외장성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기능성도 향상시킨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용 용도의 다양화 및 증착강판의 제조시 공정단축등도 기할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장점 및 특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본 발명에 따른 증착강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종래의 일반증착필름의 층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는 본 발명의 증착필름의 층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클리어도막층 2: PET. 필름층
3: 인쇄층 4: 증착층
5: 접착층 6: 박리필름층
7: 헤어라인층 10: 증착필름층
20: 소지강판층 30: 프라이마도막층
40: 배면도막층 50: 엠보싱층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증착강판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착강판은, 전처리(인산염이나 크로메이트 처리) 또는 프라이마를 처리한 소지강판층(20)의 표면에, 사용용도에 따라 제조된 증착필름층(10)을 부착 형성한 후, 탄성고무롤로서 압하처리 하고, 그후,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엠보스롤로서 강판을 압하처리하여 엠보싱층(50)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미려한 무늬, 색상 및 우수한 기능성을 부여토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증착필름층(10), 즉 증착필름은, 종래의 증착필름의 단점을 개선한 제품으로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제품에 적용가능토록 구성하였고 또 증착강판의 제조시 공정단축도 가능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소지강판층(20)의 상부 표면 또는 그 배면에 도포하여 형성하는 프라이마도막층(30) 또는 배면도막층(40)의 PCM 도료는, 가공시 가공부위의 도막균열(크랙)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도막의 연신율이 좋으며 내식성이 우수한 에폭시계나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PCM 도료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증착필름과 소지강판에 도포하는 도료의 일반적인 포뮬러(formula)는 다음과 같다.
* 증착필름의 구성 *
비흡수성 소재인 금속판 표면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증착필름은 사용용도에 따라 크게 4 내지 7 층의 층구조로 이루어지는바, 그 구조를 예로들면 도 3 에서 보듯이, 상부로 부터 클리어도막층(1), PET필름층(2), 헤어라인(hair line)층(7), 인쇄층(3), 증착층(4), 접착층(5), 박리필름층(6)으로 나뉘어진다.
상기의 구성 층을 도 3 에 의거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도록 UV 클리어처리를 한 클리어도막층(1), 인쇄특성 및 증착 접착성이 뛰어나도록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표면처리한 PET 필름층(2), 시각적으로 금속질감을 부여하도록 PET 필름상에 연마자국 처리한 헤어라인층(7),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안료, 아크릴 및 비닐수지, NC, 유기 용제류 등으로 인쇄처리한 인쇄층(3), 은, 알루미늄, 금, 동, 아연, 크롬, 니켈, 주석,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금속 고유의 색상을 부여하거나 또는 반사도를 향상시킨 증착층(4), 사용 용도에 따라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코팅하는 접착코팅방식이나, 또는 공중합 PET, PP, PE 필름을 부착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토록 형성하여 소지강판과 증착필름과의 접착성과 내후성을 향상토록한 접착층(5), 특히 접착코팅 방식을 사용할 때 부착하는 PE, 또는 E.V.A. 필름의 박리필름층(6)으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클리어도막층(1), 인쇄층(3), 접착층(5), 박리필름층(6), 헤어라인층(7)은 사용 용도에 따라 그 층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하거나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접착층(5)을 형성함에 있어, 접착제코팅 경우엔 접착도막두께를 1∼5㎛로 하고, 열융착방식의 열융착필름의 두께는 15∼30㎛의 두께로 형성하고, 박리필름층(6)은 20∼30㎛의 두께로 형성한다.
증착필름층(10)의 증착층(4)의 금속증착막의 두께는 200∼1000Å 범위 일때에 은폐력 및 반사력 등에 있어서 효과가 뛰어나다. 증착막 두께는 증착필름의 표면저항으로 볼 때 대략 0.5∼5Ω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의 증착층(4)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증착은 진공도가 1.0×10-3토르 이하의 분위기하에서 실시한다. 진공도가 이 값보다 크면 증착막의 물성은 극히 취약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증착을 실시하는 진공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2.0×10-4토르 이하이다.
바람직한 한 예로써, 증착층(4)은 300∼500Å으로 두께로 형성하고, 인쇄층(3)은 4∼6㎛의 두께로 형성하고, PET필름층(2)은 40∼80㎛의 두께로 형성하고, 클리어도막층(40)은 2∼7㎛의 두께를 갖도록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한정하면 예로써, 상기한 클리어도막층(1)은 2㎛정도, PET필름층(2)은 60㎛정도, 인쇄층(3)은 5㎛정도, 접착층(5)은 2㎛정도, 박리필름층(6)은 25㎛정도의 두께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실시상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접착코팅 방식으로 증착 필름을 소지강판에 접착한후 박리필름층(16)을 박리하는 번거로운 공정을 제거하기 위하여, 박리필름층을 도 3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공중합 PET, PP, PE 필름을 부착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토록 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증착강판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면, 연속작업공정의 라인속도 20∼70mpm으로 진행하는 소지강판 표면에 접착제코팅처리한 증착필름의 박리필름을 제거하고 증착필름의 접착면을 부착시키거나 또는 열융착으로 접착하는 공정과, 부착된 증착필름을 탄성고무롤로서 압착시켜 소지강판에 접착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증착필름의 열융착에 의한 접착의 경우엔 섭씨 120 - 210 도의 범위에서 열융착 접착이 가능토록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소지강판의 전처리로서 인산염이나 크로메이트처리 또는 에폭시계나 폴리에스테르계의 PCM용 프라이마를 소지강판의 상부표면 또는 배면에 롤코팅하여 섭씨 120도 내지 290도로 가열,건조 시켜 소지강판을 준비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 도료의 일반적 성상 *
본 발명에 따른 증착강판에 적용하기 위한 프라이마 및 배면 도료는, 증착필름과 소지강판과의 부착성을 최대화하고, 그리고 가공성(연신율) 및 내식성이 극대화 되도록 하였다.
즉, 소지강판층(20)의 상부표면 또는 그 배면에 도포하여 형성하는 프라이마도막층(30) 또는 배면도막층(40)의 PCM 도료는, 가공시 가공부위의 도막균열(크랙) 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도막의 연신율이 좋고 내식성이 우수한 에폭시계나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PCM 도료를 사용한다.
특히, 하도인 프라이마의 경우, 증착필름층(10)에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에폭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수지를 베이스(기재)로 사용하여 건조도막두께가 5∼15㎛ 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에 대한 각종 성능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1)내마모성 측정
연필경도 H, 2H, 3H를 통하여 증착필름에 대한 긁힘 발생유무를 관찰한다.
(2)촉진 내후성 측정(KS-M-5982 기준)
촉진내후시험후 색차계를 사용하여 CIE의 ㅿL(lightness),ㅿb(황색도)를 측정한다.
측정장치: 컬러차 측정기(Color Difference Meter. 일본MINOLTA사 200)
측정조건: 촉진내후시험기(미국. ATLAS사 에서 24시간 기준 자외선과 물분무를 각 12시간씩 반복후 6일간 경과후 표면측정.
* ㅿb: (+)값 옐로우, (-)값 블루/ 수치가 등가할수록 황색도가 커짐.
* ㅿL: 색상의 밝기(백색도)를 표시/ 수치가 클수록 밝음.
(3) 내식성 측정(KS-D-9502 기준)
염수분무시험후 브리스터 발생폭의 정도를 측정한다.
측정조건: 염수분무 시험기(일본,SUGA사 IOS형)에서 온도35±2℃, 습도 95%이상, 5% Nacl, 시편각도 60°, 염수분무량 0.5∼3cc/hr의 조건에서 행하였으며,6일 경과후의 부식발생면적을 측정.
(4) 내열성
100℃의 물중탕기에서 3시간 경과후의 증착강판 외관상태를 육안 관찰한다.
(5) 접착성
100℃의 순환식 오븐에서 2일간 경과후의 증착필름층과 소지금속간의 접착상태를 측정한다.
(6) 표면외관
증착필름의 제조방식에 따른 메카니즘 차이에 따라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인쇄가 가능한가를 판단한다.
(7) 가공성
증착강판을 T-굽힘시험후 크랙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다.
상기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아래의 여러 조건하에서 구체적으로 실시하여 보았으며 그의 시험 결과는 표 1 에 나타 내었다.
( 실시예 1∼ 2 )
소지강판으로서, 두께 0.4mm, 폭 914mm, 도금부착량20g/m2인 인산염처리된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사용하고, 그 상부 표면에 증착필름을 연속 작업라인상에서 부착하였다.
이때에 사용되어진 증착필름의 층구성은, 주반복 단위가 60 중량%이상이 에틸렌테레탈레이트로 이루어진 PET필름(SKC 사의 금속증착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사용하였으며, 상부에 UV 크리어도막층(1)을 형성시켰고, 하부엔 헤어라인 처리후 적당한 무늬 및 색상의 인쇄를 행하고,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수지를 0.01내지 0.5g/m2의 양으로 도포후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두께 400Å으로 증착하여 증착층(4)을 형성시켰다.
그후 소지강판과의 접착을 위하여 최종적으로 코팅처리를 행하였다. 그리고 소지강판과의 접착처리 부분은 접착제를 사용한 접착코팅처리방식과 열융착필름을 사용한 열용착접착방식의 두가지를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
증착필름 상부 표면에 아크릴계의 클리어처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 실험예 4 )
증착필름 상부표면에 아크릴계의 클리어처리를 하고 인쇄처리를 하지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
소지강판에 프라이마 및 배면 코팅처리를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되었다.
( 비교예 1 )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PET필름층(12)의 상부표면에 1차로 알루미늄을 증착시켜 증착층(14)을 형성하고, 2차로 아크릴계 클리어처리를 하여 아크릴 클리어도막층(11)을 형성하였으며, PET필름층(12)의 하부에는 접착제를 코팅처리한 전면반사방식의 증착필름을 두께0.5mm, 폭 914mm로 알루미늄 소지강판에 부착시켰다.
항목분류 내마모성 내식성 내열성 접착성 표면외관 내후성 가공성
H 2H 3H
본발명의증착강판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
실시예4 × ×
실시예5
종래증착강판 비교예1 × × × ×
(◎ 매우양호,표현가능, ○ 양호, △ 보통, × 불량,표현 불가능)
표 1 의 시험 결과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착강판은 종래의 일반증착강판보다 표면외관, 내마모성, 내열성, 내식성, 접착성, 내후성 및 가공성의 면에서 뛰어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형광등 반사판용 증착강판에서의 전면반사방식의 증착필름은, 증착 및 클리어처리를 PET 필름층(12)의 상부에 순차하는 관계로 증착막이 쉽게 외부에 노출되어, 내열성, 내마모성 등에 있어서 약할뿐만 아니라, 외장성을 고려하여 PET필름층(12) 상부에 1차적으로 인쇄처리를 하여도 그 상부에 2차로 처리하는 증착막층에 의하여 인쇄층이 은폐가 되므로 미려한 외장성의 효과를 살릴수 없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증착필름의 경우는 이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모두 극복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외부의 물리적인 압력에 대하여는 내마모성, 가공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UV클리어 처리한 클리어 도막층(1)이 표면에서 뛰어난 물성을 나타내고, 내식성은 프라이마도막층(30) 및 도금층이 소재와 필름 사이의 계면에서 자기방어 및 희생 방식 등으로 방식 효과를 나타내고, 내열성, 접착성 및 내후성에 있어서는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보장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열융착 필름을 접착시켜, 종래의 접착코팅 방식에서의 박리공정, 즉 증착 필름을 소지강판에 접착할때 요구되는 박리필름의 박리 공정을 삭제할수 있어, 증착강판의 제조공정을 단축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표면 외관에 있어서는 사용용도에 따라 PET 필름층 (2) 내면에 시각적으로 금속질감이 느껴지도록 연마자국 처리한 헤어라인 처리후, 다양하고 미려한 색상 및 무늬를 인쇄하고, 바탕색상으로 금 및 은, 스테인레스스틸 등의 금속자체의 고유 색상을 살리고 질감을 부여할수 있는 금속증착을 행하여 외관이 미려할 뿐만 아니라, 또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요철무늬가 새겨진 엠보스롤을 강판에 압하처리하여 표면에 입체무늬를 형성시켜 한층 더 미려한 모양을 나타낼수 있어 장식용 강판으로도 사용할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서는 예시적으로 전기아연도금강판 및 알루미늄강판을 한정하여 시험한 결과이지만, 적용되는 강판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강판(소지강판)에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에 따른 효과도 상기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나타낼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소지강판층(20)과, 소지 강판층(20)상에 선택적으로 에폭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도료를 도포하여 연신율, 내식성 및 부착성을 부여한 프라이마도막층(30)과, 소지강판층(20) 또는 프라이마도막층(30)상에 인쇄 특성 및 증착 접착성을 갖도록 형성한 증착 필름층(10)으로 이루어지는 증착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소지강판층(20)의 하부측에 배면도막층(40)을 더 형성한 증착강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증착 필름층(10)상에 요철무늬를 갖도록 엠보스 처리한 엠보싱층(50)을 더 형성한 증착강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증착 필름층(10)은, 내마모성 및 가공성이 뛰어나도록 UV 클리어처리를 한 클리어도막층(1), 인쇄특성 및 증착 접착성이 뛰어나도록 수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표면처리한 PET 필름층(2), 시각적으로 금속질감을 부여하도록 PET필름상에 연마자국 처리한 헤어라인층(7), 다양한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안료, 아크릴 및 비닐수지, NC, 유기 용제류 등으로 인쇄처리한 인쇄층(3), 은, 알루미늄, 금, 동, 아연, 크롬, 니켈, 주석, 스테인레스 스틸, 티타늄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금속 고유의 색상 부여하거나 또는 반사도를 향상시킨 증착층(4), 사용 용도에 따라 아크릴계 또는 폴리우레탄계의 접착제를 코팅하는 접착코팅방식이나, 또는 공중합 PET, PP, PE 필름을 부착하여 열융착 방식으로 접착토록 형성하여 소지강판과 증착필름과의 접착성과 내후성을 향상토록한 접착층(5)으로 이루어지는 증착강판.
  5. 제 4 항에 있어서, 클리어도막층(1), 인쇄층(3), 접착층(5), 헤어라인층(7) 그리고 박리필름층(6)을 선택적으로 형성한 증착강판.
  6. 제 4 항에 있어서, 증착필름층(10)의 증착층(4)은 300∼500Å으로 두께로 형성하고, 인쇄층(3)은 4∼6㎛의 두께로 형성하고, PET필름층(2)은 40∼80㎛의 두께로 형성하고, 클리어도막층(1)은 2∼7㎛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 증착강판.
  7. 제 4 항에 있어서, 접착층(5)을 형성함에 있어 접착제코팅 경우엔 접착도막두께를 1∼5㎛로 하고, 열융착방식의 열융착필름의 두께는 15∼30㎛의 두께로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박리필름층(6)은 20∼30㎛의 두께로 형성한 증착강판.
  8. 증착강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연속작업공정의 라인속도 20∼70mpm으로 진행하는 소지강판 표면에 접착제코팅처리한 증착필름의 박리필름을 제거하고 증착필름의 접착면을 부착시키거나 또는 열융착으로 접착하는 공정과, 부착된 증착필름을 탄성고무롤로서 압착시켜 소지강판에 접착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증착강판의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한 증착필름의 열융착 접착의 경우, 소지강판에의 열융착은 섭씨 120 도 내지 210 도에서 이루어도록한 증착강판의 제조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소지강판의 선처리로서 소지강판의 표면에 건조도막두께 5 내지 15 마이크로미터로 에폭시계 또는 폴리에스테르계 프라이마를 하도 또는 배면도막층(40)에 롤코팅하여 섭씨 120도 내지 290도로 가열,건조 시켜 소지강판을 준비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증착강판의 제조방법.
KR1019970027203A 1997-06-11 1997-06-25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26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203A KR100264811B1 (ko) 1997-06-11 1997-06-25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24174 1997-06-11
KR97-24174 1997-06-11
KR1019970024174 1997-06-11
KR1019970027203A KR100264811B1 (ko) 1997-06-11 1997-06-25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340A true KR19990003340A (ko) 1999-01-15
KR100264811B1 KR100264811B1 (ko) 2000-09-01

Family

ID=2663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203A KR100264811B1 (ko) 1997-06-11 1997-06-25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481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65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의 도장방법
KR100769056B1 (ko) * 2007-02-23 2007-10-22 (주)씨엠시스템 적층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448B1 (ko) * 2007-08-31 2008-10-02 해원엠에스씨(주) 제진성, 흡음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접합강판
KR101442132B1 (ko) * 2013-01-25 2014-09-18 이학연 Pet 필름 부착강판을 이용한 실크스크린 인쇄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크스크린 인쇄강판
KR101466145B1 (ko) * 2013-04-18 2014-11-27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5382B1 (ko) * 2014-05-14 2015-07-10 (주)케이씨텍 도금 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783B1 (ko) * 2000-07-07 2003-01-30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알루미늄 증착 전사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바닥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344A (ja) * 1993-05-19 1994-11-29 Kobe Steel Ltd 意匠性に優れた表面処理材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2765A (ko) * 2001-11-23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스테인레스 질감을 가지도록 하는 냉장고 도어의 도장방법
KR100769056B1 (ko) * 2007-02-23 2007-10-22 (주)씨엠시스템 적층강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61448B1 (ko) * 2007-08-31 2008-10-02 해원엠에스씨(주) 제진성, 흡음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접합강판
WO2009028897A2 (en) * 2007-08-31 2009-03-05 Haewon Msc Co., Ltd. Bond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sound-absorbing, virbration-damping and processability
WO2009028897A3 (en) * 2007-08-31 2009-05-28 Haewon Msc Co Ltd Bonded steel plate having excellent sound-absorbing, virbration-damping and processability
JP2010516511A (ja) * 2007-08-31 2010-05-20 ヘウォン エムエスシ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制振性、吸音性及び加工性に優れる接合鋼板
CN101557932B (zh) * 2007-08-31 2013-03-27 海圆Msc株式会社 减振性、吸音性及加工性优秀的粘钢板
KR101442132B1 (ko) * 2013-01-25 2014-09-18 이학연 Pet 필름 부착강판을 이용한 실크스크린 인쇄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실크스크린 인쇄강판
KR101466145B1 (ko) * 2013-04-18 2014-11-27 유니온스틸 주식회사 Pet필름이 적층된 엠보스 라미네이트 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35382B1 (ko) * 2014-05-14 2015-07-10 (주)케이씨텍 도금 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4811B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19860B (zh) 涂敷的金属产品、其制备方法及该方法的用途
JP4253661B2 (ja) プリント性が加えられた片面エンボスカラー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896970B2 (en) Corrosion resistant coating giving polished effect
EP320540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lor steel sheet having polished stainless steel texture, and color steel sheet manufactured by the method
KR100264811B1 (ko) 증착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80311357A1 (en) Laminate construction containing discontinuous metal layer
CN107326327A (zh) 车灯外饰镀铝工件的制造方法
CN212555317U (zh) 一种有手感的涂层拉丝彩涂板
KR100442192B1 (ko) 편면 엠보스 칼라강판
JP2006212777A (ja) 意匠性に優れた模様塗装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KR20140123850A (ko) 액적코팅 컬러강판의 제조방법
CN102285165A (zh) 一种仿pvc膜效果的彩色拉丝pcm复合板
KR19980043973A (ko) 스틸칼라도장강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외판용 강판의 제조방법
JP5203016B2 (ja) 意匠性に優れた塗装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KR0180864B1 (ko) 용융아연도금 칼라강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73413B1 (ko) 증착필름 적층 금속판
JP2002219771A (ja) 表面が光輝化処理された金属または樹脂材料およびその光輝化処理方法
KR102516404B1 (ko) 장식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4280658B2 (ja) 塗膜密着性に優れたクリア塗装ステンレス鋼板
JP5203017B2 (ja) 意匠性に優れた塗装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KR20210007261A (ko) 입체무늬 패턴이 형성된 pcm 칼라강판의 제조방법
JP2008094013A (ja) 意匠性に優れた塗装金属板とその製造方法
JP2006028427A (ja) 耐食光輝性顔料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耐食光輝性塗膜用塗料組成物
KR100922591B1 (ko) 홀로그램 수압전사체
JP2000107680A (ja) 耐摩耗性,耐候性,意匠性に優れた高光輝性塗装鋼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